KR200453101Y1 - 창상피복재 - Google Patents

창상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01Y1
KR200453101Y1 KR2020090002537U KR20090002537U KR200453101Y1 KR 200453101 Y1 KR200453101 Y1 KR 200453101Y1 KR 2020090002537 U KR2020090002537 U KR 2020090002537U KR 20090002537 U KR20090002537 U KR 20090002537U KR 200453101 Y1 KR200453101 Y1 KR 200453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ound
polyurethane foam
bonded
hydrocoll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30U (ko
Inventor
김현정
김갑근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to KR2020090002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0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1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의 상부에 접합되고 상처면 접촉 층(10)보다 그 면적이 넓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상부에 접합되는 외측 보호 필름 층(30);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상 주변의 정상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알러지 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처 치유 효과 등이 우수한 창상피복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창상 피복재, 폐쇄성 드레싱재, 하이드로폼,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Description

창상피복재{Wound Dressing}
본 고안은 상처면 접촉층인 폴리우레탄 폼과 점착지지체인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처면 접촉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 상기 상처면 접촉층의 점착지지체인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 상기 점착지지체에 접합된 외측 보호 필름 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을 보호하며 상기 점착층과 부착되는 내측 보호 필름층; 및 이형 시트지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의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의 하나로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창상치유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는 습윤 환경, 감염, 이물, 괴사조직, 온도, 산소농도, pH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상적인 드레싱재 요건은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 능력, 삼출물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ㆍ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무독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거즈 및 부직포형 드레싱재는 삼출액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되어 교환시 신생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며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표면에 있는 돌출 섬유 등이 탈락되어 상처에 이물질로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중 상처면 부착을 방지하고 돌출 섬유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한 부직포 및 거즈 드레싱재가 제시되었으나, 이는 상처면을 습윤 환경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상처면을 습윤 환경으로 유지해주는 다양한 폐쇄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격이고 흡수성의 조절 용이성 및 투습도의 조절 용이성 부족으로 인하여 광범위 창상에 적용되지 못하고 특정한 용도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 드레싱재의 종류에는 필름형, 폼형, 하이드로콜로이드형, 하이드로겔형, 소디움알지네이트 등을 사용한 부직포형 등이 있다. 특히, 필름형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조의 용이성은 있으나 흡수 능력이 없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그 외의 폐쇄성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 조의 용이성, 경제성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4,202,800호, 제4,367,327호, 제4,686,137호에서는 친수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여 드레싱재로 적용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형 드레싱재는 가벼운 상처 즉, 찰과상, 진무름 또는 피부 이식 공여부(Skin graft donor site)에는 유용하나 투습도 및 흡수능이 부족하여 삼출액이 발생하는 창상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드레싱재는 제조의 용이성 및 사용의 간편성은 있으나, 드레싱재의 특성 측면에서 삼출액 흡수능이 부족하고 투습도가 낮기 때문에 매우 경한 상처 이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즉, 하이드로콜로이드 단독의 제품의 경우에는 삼출물 흡수능이 거의 없어 삼출물이 옆으로 새어 나와 상처를 지저분하게 하거나 의복 등을 더럽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삼출물이 존재하는 창상에는 사용이 어렵다. 또한 기존의 밴드타입(아크릴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필름)의 폴리우레탄 폼드레싱재(거즈)의 경우에는 점착제(대부분 아크릴 점착제의 사용으로 여름철의 경우 알러지 반응이 심함)의 자극 등으로 인해 상처 주변피부가 손상을 받아 회복속도 및 효율이 낮은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과 점착지지체인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의 창상피복재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각각 단독으로 창상피복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1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의 상부에 접합되고 상처면 접촉 층(10)보다 그 면적이 넓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상부에 접합되는 외측 보호 필름 층(30);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1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의 상부에 접합되고 상처면 접촉 층(10)보다 그 면적이 넓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상부에 접합되는 외측 보호 필름 층(3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보호 필름 층(40);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 로이드 점착층(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부직포나 거즈 드레싱재의 단점인 건조 환경 유지, 제품의 두께에 비해 낮은 흡수능, 상처면 부착성 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창상 주변의 정상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알러지 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처 치유 효과가 우수한 창상피복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보온 효과도 우수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내부의 압력을 완화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교환 사용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도 손쉽게 교환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적어도 상처에 직접 접촉하는 상처면 접촉층(10)과 이를 지지하는 점착 지지체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 도 1은 본 고안의 창상피복재 형태의 일 예로서, 상처면 접촉층(10),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외측 보호 필름층(30), 및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의 창상피복재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1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의 상부에 접합되고 상처면 접촉 층(10)보다 그 면적이 넓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상부에 접합되는 외측 보호 필름 층(3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보호 필름 층(40);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다공성 제품으로서, 기본적으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반응시켜 얻은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발포제, 가교제, 첨가제 등과 반응하여 얻어지는 유연성이 양호한 제품으로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런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4'-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 6-이소프로필-1,3-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퓨마레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포제, 가교제, 첨가제 등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 층(20)에는 일반적인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을 적용한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창상피복재로 사용되는 것이며, 창상 부위의 분비물을 흡수하고 상처를 보호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이고, 이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핫 멜트(Hot Melt) 점착제, 고흡습성 수지 또는 천연고분자, 오일(Oil)류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며, 이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상처에 적용 시 창상부위의 분비물을 흡수하여 창상을 보습환경으로 유지시켜 드레싱 표면이 상처에 들러붙지 않아 교환이 용이하고, 딱지를 만들지 않아 창상치유를 촉진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제품 자체에 접착력이 있어 고정 필름이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pH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한 상처 치유 환경조절이 가능하고 피부 자극성이 낮으며, 점착성 및 Tack성 조절, 흡 수 능력과 흡수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처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에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외측 보호 필름층(30)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및 폴리우레탄 폼 층(10)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다양한 소재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호 필름 층(40)은 점착제(20)와 부착되는 층으로서 폴리우레탄 폼 층(10)을 보호하며, 반투과성으로 수분증발을 조절해주는 효과도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다양한 소재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이형 시트지 층(50)으로는 일반적인 창상피복재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를 결합한 형태의 하이드로 폼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드레싱재에 비하여 삼출물 흡수능이 우수하고, 외부로부터의 폐쇄성 환경을 제공하여 삼출물이 적은 상처에도 습윤 환경 제공이 가능하여 상처 회복 효과가 빠르고, 피부 자극성도 거의 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폴리우레탄 폼은 삼출물이 있는 경우에 삼출물을 흡수하여 습윤 환경 유 지하며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반폐쇄성 드레싱재이기 때문에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완전한 습윤 환경 제공이 어려워 삼출물이 적은 경우에는 상처 회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완전한 폐쇄성 환경을 갖는 드레싱재로서 삼출물이 적은 창상의 경우에도 습윤 환경 치료가 가능하긴 하나, 삼출물 흡수 능력이 떨어져 이를 단독으로 삼출물이 많은 상처에 사용하면 삼출물이 옆으로 흘러나와 의복을 더럽히거나 상처부위를 더럽혀 상처 치유 속도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합한 형태의 창상피복재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를 상처에 적용 시, 삼출물이 발생하는 중앙 부위의 상처에는 폴리우레탄 폼을 적용하여 적절한 삼출물 흡수 및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상처치유를 촉진시켜주고, 주위의 작은 상처에는 상처 치유 효과가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층을 적용하여 외부로부터의 폐쇄성 환경으로 삼출물이 적은 상처에도 습윤 환경 제공이 가능하여 상처 회복효과가 빠르며, 또한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을 기재된 구체 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 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하기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 형태의 일 예의 단면 모식도이다.
하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상피복재 형태의 일 예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상처면 접촉 층(폴리우레탄 폼 층)
20: 점착 지지체(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
30: 외측 보호 필름 층
40: 내측 보호 필름 층
50: 이형 시트지 층

Claims (2)

  1. 상처면 접촉 층인 폴리우레탄 폼 층(10);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의 상부에 접합되고 상처면 접촉 층(10)보다 그 면적이 넓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상부에 접합되는 외측 보호 필름 층(30);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이형 시트지 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상피복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10)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층(2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보호 필름 층(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상피복재.
KR2020090002537U 2009-03-06 2009-03-06 창상피복재 KR200453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537U KR200453101Y1 (ko) 2009-03-06 2009-03-06 창상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537U KR200453101Y1 (ko) 2009-03-06 2009-03-06 창상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30U KR20100009030U (ko) 2010-09-15
KR200453101Y1 true KR200453101Y1 (ko) 2011-04-06

Family

ID=4419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537U KR200453101Y1 (ko) 2009-03-06 2009-03-06 창상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10A (ko) * 2014-09-11 2016-03-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9800B (en) * 2018-12-13 2021-11-03 Adv Med Solutions Ltd Resilient wound dressing
KR102386028B1 (ko) * 2021-01-06 2022-04-14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창상피복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867A (ko) * 2000-12-29 2004-01-1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흡수성 상처 드레싱
US20080249486A1 (en) 2005-12-17 2008-10-09 Paul Hartmann Ag Medicinal Composition with Active Ingredients and Wound Contact Layer with a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867A (ko) * 2000-12-29 2004-01-1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흡수성 상처 드레싱
US20080249486A1 (en) 2005-12-17 2008-10-09 Paul Hartmann Ag Medicinal Composition with Active Ingredients and Wound Contact Layer with a Com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10A (ko) * 2014-09-11 2016-03-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404B1 (ko) 2014-09-11 2016-10-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30U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14476B2 (en) Improved wound dressing
ES2638906T3 (es) Apósito absorbente hidrocelular, y usos del mismo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crónicas y agudas
ES2200004T3 (es) Vendajes espirosorbentes de heridas para la regulacion de los exudados.
ES2638908T3 (es) Apósito adhesivo fino muy absorbente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crónicas
ES2227867T3 (es) Aposito para heridas mejorado.
WO2018226592A1 (en) Wound dressing with odor absorption and increased moisture vapor transmission
ES2416505T3 (es) Materiales para vendaje de heridas de espuma absorbente
JP5756124B2 (ja) 改善された粘着性を有するハイドロゲルマトリックス
IE61933B1 (en) Wound dressing
JPH1156900A (ja) 創傷用吸収包帯
KR200390463Y1 (ko) 하이드로겔을 도포한 상처 치료용 밴드
WO2015096230A1 (zh) 一种新型泡沫复合伤口敷料
ES2334330T3 (es) Adhesivo inocuo para la piel provisto de una sustancia de disminucion del ph.
US10940050B2 (en) Wound dressing assembly
KR20120003231U (ko)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창상피복재
KR100719433B1 (ko)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EP3174507A1 (en) Two-stage wound dressing assembly
KR200453101Y1 (ko) 창상피복재
KR200422370Y1 (ko) 창상피복재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JP2000175958A (ja) 創傷用包帯
CN201578446U (zh) 一种藻酸盐泡沫敷料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CN215459320U (zh) 用于伤口愈合的组合式水凝胶敷料
KR200359390Y1 (ko) 의료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