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110A -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110A
KR20160031110A KR1020140120225A KR20140120225A KR20160031110A KR 20160031110 A KR20160031110 A KR 20160031110A KR 1020140120225 A KR1020140120225 A KR 1020140120225A KR 20140120225 A KR20140120225 A KR 20140120225A KR 20160031110 A KR20160031110 A KR 2016003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actor
wound dressing
gelatin
protein dru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404B1 (ko
Inventor
손태일
최윤소
편도기
허윤
조영민
이형재
김은혜
정진홍
한가득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4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커플링(coupling) 시약에 의한 고정화 방법에 따르는 세포독성, 파괴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각종 생리활성물질, 성장인자, 단백질 등을 지지체에 위치 비특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피부의 상처를 덮어주는 습윤 도포제 및 상처 치유제로 응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대량생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Wound Dressings Immobilized Protein Drugs Using Photo Curable Gelatin Derivativ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상 치유(wound healing)는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며, 조직회복의 과정으로 화학주성(chemotaxis), 세포의 분화(cell differentiation) 및 복제(replication), 기질 단백질(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신생, 창상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Steed, D.L. et al., Clin. Plast. Surg. 25:397, 1998).
창상 치유 과정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 중의 하나로 성장 인자(growth factor)들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창상 치유 과정 전반에 걸쳐 세포의 성장, 분화, 대사 등을 조절하고 창상 주변 환경 또한 조절하므로, 이를 이용한 치료제의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들이 창상 치유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가 있다. 상기 TGF-는 여러 가지 세포들의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는 물질로, 성장 조절, 면역반응의 조절, 골생성의 자극, 연골-특이적 고분자(cartilage-specific macromolecule)의 유도, 창상치유 촉진 등의 여러 가지 복잡한 기능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Bennett, N.T. et al., Am. J.Surg. 165:728, 1993).
창상은 피부결손의 유무에 의해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피부결손의 유무에 의해 치유기전이 다르다. 대부분의 경미한 상해에서와 같이, 피부결손을 수반하지 않는 창상의 경우, 예를 들면, 표피(epidermis)만이 손상된 경우에는 각질세포(keratinocyte)가 창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이동하여 결국 창상을 덮어서 표피 및 각질을 재형성시킨다(Knighton, D.R. et al., Invest. Radiol 26:604-611, 1991). 그러나, 피부의 모든 층이 손상되거나 파괴된 경우에는,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이 창상 공간을 충진함과 동시에 창상부위의 주위로부터 재생하여 오는 표피로 창상 부위가 덮여져야 한다. 상기 육아조직은 창상 공간 내로 이동하는 섬유아세포에 의한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예를 들어 콜라겐(collagen)의 침착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창상의 치유기전은 피부결손의 유무에 의해 크게 다르다. 성공적인 창상치유를 위해서는 창상치유의 전체 다단계 과정이 완료되어야만 한다. 창상 치유에 관계하는 성분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빠지면 치유는 일어나지 않으며, 피부는 복원되지 않고 창상은 노출된 채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창상은 쉽게 감염될 수 있게 되어 치유 과정을 더 지연시키고 피부 상에서 궤양(ulcer) 및 미란(erosion)의 형성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결손을 수반하는 창상에 있어서 육아조직의 증식 및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지지체에 치료를 돕는 단백질 약물, 예를 들어 성장인자와 같은 물질들을 고정화시켜 치료 부위에 적용하는 것이 액상의 성장인자가 함유된 지지체보다 더 지속적이며, 일정한 치료 효과의 입증을 하는 연구 및 특허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US2012-0129255 A1; US2006-0149392 A1; Cheryl L.C. et al., Biomacromolecules, 8:1116-1123, 2007). 단백질 약물들을 지지체에 고정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방법으로 고정화시킨 이 방법은 많은 제조 시간이 사용되며, 화학적 결합 공정, 또는 지지체를 세척하는 공정에서 단백질 약물들의 변형 혹은 소실이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한다.
창상치료를 촉진하는 단백질 약물을 고정화시키는 새로운 대안 중 하나로 광경화성 유도체를 이용한 단백질 약물 고정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haron L.B et al., AAPS PharmSci, 5(4): 101-111, 2003; Yoon Y. et al.,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B: Applied Biomaterials, 2:312-322, 2007).
2000년 이전에는 국내에서 습윤드레싱재 개발이 전무하였으나, 최근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과 하이드로겔(hydro -gel)을 이용한 습윤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상품화되어 판매 중에 있다.
이러한 습윤드레싱 성분 중 젤라틴은 천연고분자로써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높은 흡습성을 지녀 상처 발생시 피부에 습윤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창상피복재의 연구 및 개발에서 사용되고 있다.
S.H Park 그룹에서는 생선 유래 젤라틴과 ABS(N-4-(Azido) -Benzoyloxysuccinimide)를 결합시켜, 광경화성 물질인 아지도페닐-생선젤라틴(Azidophenyl-Fish Gelatin)을 만들고, 이 물질을 이용하여 성장인자들을 지지체에 고정시켜 의료용 지지체에 대해 연구하였다(S.H. Park et al., J. APPL POLYM. SCI., 127(1): 154-160, 2012). 성장인자 및 광경화성 물질을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기존 광경화 공정보다 간편하고, 고정할 물질을 광경화성 물질과 혼합한 후 빛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공정에서 고정물질의 변화나 소실에 대한 가능성이 매우 작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지지체를 주로 뼈나 치아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티타늄을 사용하여 습윤적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창상치료재로써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반응성 유도체를 이용한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광반응성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을 이용하여 광경화 방식으로 창상피복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창상피복재가 단백질 약물의 변형이나 소실없이 지지체에 고정화되는 것과 창상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과 단백질 약물의 혼합물을 지지체에 올려놓고,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커플링(coupling) 시약에 의한 고정화 방법에 따르는 세포독성, 파괴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각종 생리활성물질, 성장인자, 단백질 등을 지지체에 위치 비특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피부의 상처를 덮어주는 습윤 도포제 및 상처 치유제로 응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대량생산에 유용하다.
도 1은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이용한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치료재의 구조 및 생산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다.
도 2a는 마이크로패터닝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이용한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치료재에 빛을 조사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b는 마이크로패터닝 plate의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농도별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EGF 고정화 유무에 따른 세포성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상처치유 in vivo test를 시각적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상처치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Immunohistochemistry 실험의 조직검경 사진이다.
도 6은 Immunohistochemistry 실험의 조직검경 score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BS(4-Azidobenzoyloxysuccinimide)와 젤라틴을 반응시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인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를 제조하는 것과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인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를 이용하여 광반응(광경화 혹은 광가교)를 통해 단백질 물질이 지지체에 간단히 고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의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아지도페닐-젤라틴의 화학식]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약물은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장인자는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1(transforming growth factor-1), 표피생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에나멜 단백질(enamel protein),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의 지지체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 -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 및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과 단백질 약물의 혼합물을 지지체에 올려놓고,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약물은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1(transforming growth factor-1), 표피생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에나멜 단백질(enamel protein),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의 지지체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 -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 및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과정은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인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 10g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1mg의 활성성분을 혼합하여 드레싱 소재와 복합화시키는 단계이다. 혼합은 통상적인 볼텍싱(Voltexing)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 볼텍싱(Voltexing)등을 통해 준비된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과 활성성분의 혼합물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실리콘 겔등의 소재 표면에 혼합물을 얇게 도말하고 UV를 조사함으로써 고정화가 가능하며, 더불어 드레싱 소재와의 복합화가 이루어진다. UV 조사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며 3~5분 간격으로 충분히 진행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의 제조
젤라틴 4g을 60mL의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ABS 2.3g을 디옥산(Dioxane)에 용해시켰다. 젤라틴 수용액은 냉욕하에서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11로 조절한 뒤, 디옥산(Dioxane)에 용해시킨 ABS를 천천히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킨 후 Oil bath내에서 60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조건은 반응이 갑자기, 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첨가한 젤라틴과 ABS가 최대한 많이 반응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1N-HCl을 첨가하여 pH7로 맞춘 후, 48시간 동안 투석(Dialysis)을 했는데, 이는 상기 단계에서 pH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한 물질들로 인해 생긴 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약 4시간마다 증류수를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석(Dialysis) 과정을 거친 물질은 여과를 통해 불순물을 걸러주었으며, 걸러진 용액의 용매들은 증발을 통해 모두 제거하였다. 얻어진 물질은 아세톤(Acetone)과 에테르(Ether)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진공건조를 통해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얻었다.
실시예2: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이용한 단백질 약물 고정화 창상피복재 제조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인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 10g을 증류수 10mL에 용해시킨 다음, EGF 1mg을 첨가하였다. 이 물질을 더욱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볼텍스믹서(Voltex Mixer)를 이용하였다. 이 혼합물을 폴리우레탄 폼, 하이드로 콜로이드 등의 드레싱 소재에 얇게 도말했다. 다음으로 UV를 상온에서 3~5분씩 충분히 조사하여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이용하여 단백질 약물이 고정화된 창상피복재를 얻었다.
실시예3: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의 단백질 약물 고정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의 단백질 약물, 성장인자 등을 광고정 능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Epidermal Growth Factor(EGF, 50mg/mL)와 섞고 마이크로패터닝을 진행하였다. 마이크로패터닝은 빛이 투과되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광경화가 발생하여 세척 후에도 식별물질이 패턴에 남게 된다. 패터닝 수행 후 식별물질인 1차 antibody를 포함한 blocking solution을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0.05% PBS/Tween-20 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1시간 동안 2차 antibody 반응을 시켰다. 이 때, 2차 antibody는 FITC 형광 색소가 표지되어 있어,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 가능하다.
도 2a는 마이크로패터닝된 창상피복재에 빛을 조사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빛이 조사되는 간격을 나타낸 도 2b와 비교한 결과(200 마이크로미터 간격의 하얀 부분은 빛이 통과하는 부분이고, 400 마이크로미터 간격의 검정색 부분은 빛이 통과되지 못하는 부분이다.), 빛이 통과하는 영역에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와 함께 EGF가 광고정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는 단백질 약물, 성장인자 등을 광고정화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4: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의 광고정화된 성장인자의 방출 능력 평가
실시예 3에서 성장인자를 고정화시킨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가 degradation되면서 광고정화된 성장인자가 서서히 방출되어 나타내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농도별로 준비하고 동일한 양의 EGF를 섞은 후 cell culture 용 plate에 도말하고 자연건조 후 광조사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준비한 plate 표면위에 동일한 양의 세포를 seeding하여 세포의 성장률을 평가함으로써 방출되는 E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은 농도별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EGF 고정화 유무에 따른 세포성장을 현미경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F가 광고정화된 실험군의 세포 성장률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는 유도체의 농도에 상관없이 EGF 실험군에서는 EGF가 고정화되었다가 방출됨으로써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5: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창상치유 효과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in vivo test를 시각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용 쥐 피부에 동일한 크기의 상처를 내고 아무처리하지 control군,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만 처리하여 광조사 한 Az-gelatin군, EGF만 처리한 EGF군 그리고 EGF를 포함한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를 처리한 Az-gelatin with EGF군을 준비하였다. Az-gelatin with EGF군의 경우, 실험 7일째에 다른 군보다 현저히 작아진 상처 크기를 확인 하였다.
또한, 상기 피복재 사용의 조직학적 평가를 위하여 Immunohistochemistry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5는 각 실험군의 조직검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조직검경을 통해 측정된 염증(Inflammation),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 섬유화(Fibrosis) 및 상피재생화(Epithelial regeneration)을 score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Az-gelatin with EGF군은 다른 군(Control, Az-gelatin 및 EGF군)에 비해, 실험일이 경과 할수록 염증정도와 이물반응 정도는 낮아지고, 섬유화와 상피재생력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EGF 성장인자와 같은 단백질 약물을 성공적으로 광고정화 시켰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창상피복재는 대조군에 비해 염증과 이물반응을 저하시키고, 섬유화와 상피재생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창상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약물은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1(transforming growth factor-1), 표피생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에나멜 단백질(enamel protein),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의 지지체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 -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 및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5.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 아지도페닐-젤라틴(Azidophenyl-gelatin)과 단백질 약물의 혼합물을 지지체에 올려놓고,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약물은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1(transforming growth factor-1), 표피생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에나멜 단백질(enamel protein),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의 지지체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 -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 및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20140120225A 2014-09-11 2014-09-1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25A KR101667404B1 (ko) 2014-09-11 2014-09-1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25A KR101667404B1 (ko) 2014-09-11 2014-09-1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110A true KR20160031110A (ko) 2016-03-22
KR101667404B1 KR101667404B1 (ko) 2016-10-19

Family

ID=556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25A KR101667404B1 (ko) 2014-09-11 2014-09-11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48A (ko) * 2017-09-20 2019-03-2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약물을 포함하는 코아세르베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치료제
KR20220076005A (ko) * 2020-11-30 2022-06-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581B1 (ko) 2018-01-22 2019-08-20 주식회사 디알나노 메틸렌블루 혼합물을 포함하는 패치형 창상피복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158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7146A (ko) * 2009-06-22 2010-12-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200453101Y1 (ko) * 2009-03-06 2011-04-06 주식회사 제네웰 창상피복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158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53101Y1 (ko) * 2009-03-06 2011-04-06 주식회사 제네웰 창상피복재
KR20100137146A (ko) * 2009-06-22 2010-12-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그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tajima, T. et al.,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2011) 108(10), 2468-247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48A (ko) * 2017-09-20 2019-03-2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약물을 포함하는 코아세르베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치료제
KR20220076005A (ko) * 2020-11-30 2022-06-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404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timulation of wound healing using bioinspired hydrogels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an et al. Exosome-functionalized polyetheretherketone-based implant with immunomodulatory property for enhancing osseointegration
Sun et al. Devising micro/nano-architectures in multi-channel nerve conduits towards a pro-regenerative matrix for the repair of spinal cord injury
Thompson et al. Two-photon polymerized poly (caprolactone) retinal cell delivery scaffolds and their systemic and retinal biocompatibility
Zuo et al. Photo-cross-linkable methacrylated gelatin and hydroxyapatite hybrid hydrogel for modularly engineering biomimetic osteon
Li et al. Repair of thoracic spinal cord injury by chitosan tube implantation in adult rats
DE69925361T2 (de) Vernetzbare macromere, die eine initiatorgruppe tragen
Neibert et al. Wound‐healing with mechanically robust and biodegradable hydrogel fibers loaded with silver nanoparticles
Shin et al. Polydeoxyribonucleotide-delivering therapeutic hydrogel for diabetic wound healing
Lacko et al. Magnetic particle templating of hydrogels: engineering naturally derived hydrogel scaffolds with 3D aligned microarchitecture for nerve repair
Xia et al. A biodegradable trilayered barrier membrane composed of sponge and electrospun layers: hemostasis and antiadhesion
Fadilah et al. Cell secretomes for wound healing and tissue regeneration: Next generation acellular based tissue engineered products
KR102493436B1 (ko) 수축 제어가 가능한 진피층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성능의 인공피부 의 제조
Shoba et al. 3 D nano bilayered spatially and functionally graded scaffold impregnated bromelain conjugated magnesium doped hydroxyapatite nanoparticl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Ekambaram et 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electrospun biomimetic sulphonated PEEK nanofibrous scaffold for human skin cell proliferation and wound regeneration potential
KR101667404B1 (ko)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Luong et al. In situ functionalization of 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 cryogels with oligopeptides via β-cyclodextrin–adamantane complexation for studying cell-instructive peptide environment
Arab et al. Evaluation of peptide nanogels for accelerated wound healing in normal micropigs
Ding et al. Photopolymerizable, immunomodulatory hydrogels of gelatin methacryloyl and carboxymethyl chitosan as all-in-one strategic dressing for wound healing
Qian et al. Antioxidant biocompatible composite collagen dressing for diabetic wound healing in rat model
Thanusha et 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gelatin/hyaluronic acid/chondroitin sulfate/asiatic acid based biopolymeric scaffold for the treatment of second-degree burn wounds–Wistar rat model study
Zhai et al. Mechanically strengthened hybrid peptide-polyester hydrogel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spinal cord injury repair
Kurian et al. Multifunctional dendrimer@ nanoceria engineered GelMA hydrogel accelerates bone regeneration through orchestrated cellular responses
Kulkarni et al. Curcumin loaded nanofibrous mat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
Noszczyk et al. Biocompatibility of electrospun human albumin: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