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70Y1 -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70Y1
KR200452470Y1 KR2020080009314U KR20080009314U KR200452470Y1 KR 200452470 Y1 KR200452470 Y1 KR 200452470Y1 KR 2020080009314 U KR2020080009314 U KR 2020080009314U KR 20080009314 U KR20080009314 U KR 20080009314U KR 200452470 Y1 KR200452470 Y1 KR 200452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protector
rubber
molten steel
protecto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88U (ko
Inventor
권진욱
박만교
임재습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잔교, 물양장, 암벽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서리 보호구(1), (21),(31),(41),(51),(61)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43)이 결합 일체화된 모서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1),(21),(31),(41),(51),(61)는 고무 몸체(9)의 내부에 통공(11)을 형성하고 형강(10),(15),(42)을 내장하며 외부 일 측에 보강 섬유(12)를 장착하고,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43)은 구조 용강(13)의 외부로 고무(14)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모서리 보호구와 달리 모서리 보호구 자체에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모서리 보호구가 파손이 되더라도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앙카까지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아 항만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될 위험이 적고, 유지보수 시 모서리 보호구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방법이 쉽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 되며, 색상 모서리 보호구를 사용함으로써 항만 부두의 미관에 크게 도움을 주고 선박의 접안 시 쉽게 식별 할 수 있어 위험 요소도 줄일 수 있고, 모서리 보호구의 가장 큰 특징인 선박 방충 역할로 선박 및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 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까지 가져다 준다.
해양, 구조물, 모서리, 보호장치, 보호구, 고무, 형강, 구조 용강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Edge protective device for ocean structure}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잔교, 물양장, 암벽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서리 보호구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이 결합 일체화된 모서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는 고무 몸체의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형강을 내장하며 외부 일 측에 보강 섬유를 장착하고,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은 구조 용강의 외부로 고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모서리 보호구와 달리 모서리 보호구 자체에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모서리 보호구가 파손이 되더라도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앙카까지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아 항만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될 위험이 적고, 유지보수 시 모서리 보호구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방법이 쉽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 되며, 색상 모서리 보호구를 사용함으로써 항만 부두의 미관에 크게 도움을 주고 선박의 접안 시 쉽게 식별 할 수 있어 위험 요소도 줄일 수 있고, 모서리 보호구의 가장 큰 특징인 선박 방충 역할 로 선박 및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 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까지 가져다 준다.
현재 항만 안벽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모서리 보호구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PE수지, 복합소재 및 폐타이어를 사용하고, 그 모양은 'ㄱ'자 형태가 일반적이며, 고정방법은 모서리 보호구에 구멍을 뚫고 앙카볼트(Anchor-bolt)로 직접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9는 현재 시공되고 있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의 1 예를 나타 낸다.
도면에서, 모서리 보호구(100)는 길 다란 고무 몸체(101)의 내부에 통공 (10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앙카볼트(103)를 사용하여 항만 부두의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서리 보호구(100)가 파손될 때 콘크리트도 파손이 일어나고 앙카볼트(103)까지 교체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보수하기가 어렵고 유지 보수비용이 크게 든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을 형강이 내장된 모서리 보호구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체결하고 앙카볼트로 결합 일체화함으로써 선박 방충 역할은 물론 내식성 및 내충격성이 좋고 모서리 보호구의 교체 시 앙카볼트만 풀면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쉽고 교체 비용도 절감되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모서리 보호구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이 결합 일체화된 모서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는 고무 몸체의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형강을 내장하며 외부 일 측에 보강 섬유를 장착하고,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은 구조 용강의 외부로 고무가 코팅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모서리 보호구와 달리 모서리 보호구 자체에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모서리 보호구가 파손이 될 때나 되더라도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앙카까지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아 항만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될 위험이 적고, 유지보수 시 모서리 보호구만 교체를 하게 되기 때문에, 교체 방법이 쉽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 된다. 또한, 색상 모서리 보호구를 사용함으로써 항만 부두의 미관에 크게 도움을 주고 선박의 접안 시 쉽게 식별 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 요소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서리 보호구의 가장 큰 특징인 선박 방충 역할로 선박 및 부두의 콘크리트가 파손 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까지 가져다 준다.
본 고안은 해양구조물-잔교, 물양장, 암벽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로써 선박이 접안 되는 부두 끝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모서리 보호구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이 결합 일체화된 모서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는 고무 몸체의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형강을 내장하며 외부 일 측에 보강 섬유를 장착하고,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은 구조 용강의 외부로 고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은 모서리 보호구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무 코팅 구조 용강으로 모서리 보호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선박의 충돌로 인한 모서리 보호구가 파손되더라도 고무 코팅 구조 용강만 풀면 모서리 보호구를 쉽게 교체 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보호구의 재질은 고무로 되어 있어 항만의 콘크리트 파손을 막는 동시에 접안 하는 선박의 방충역할을 한다. 또한, 색상 고무를 사용하여 야간에 정박하는 선박들의 안전성까지 도모한다.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은 고무로 씌워져 있어 설치 후에도 부식이 되지 않아 교체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비용이 줄어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를 실시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는 모서리 보호구(1)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으로 이루어지고, 해양 구조물의 콘크리트 바닥(8)에 고정된 앙카(4),(6)에 앙카볼트(5),(7)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바닥(8)에 결합 일체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서리 보호구(1)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으로 구성된 상기 모서리 보호장치는 콘크리트 바닥(8)에 결합 일체화되는데, 상기 모서리 보호구(1)의 좌측 상부에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그리고 우측 하부에는'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각각 장착한다.
이 때, 상기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은 콘크리트 바닥(8)에 고정된 앙카(4), 그리고 상기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은 앙카(6)에 각각 끼워 고정되고, 최종적으로 앙카볼트(5),(7)에 의해 견고히 장착된다.
시차적으로 살펴 보면,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콘크리트 바닥(8)에 먼저 고정하고 모서리 보호구(1)를 그 위에 끼워 넣은 다음, 마지막으로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상기 모서리 보호구(1) 윗면에 체결하여 모서리 보호구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정한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1)는 노후 되거나 파손되더라도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 의 앙카볼트(7)만 풀면 쉽게 교체를 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고 비용도 절감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모서리 보호구(1)의 설명도로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 (1)는 고무 몸체(9)의 내부에 통공(11)을 형성하고 'ㄱ'자 형강(10)을 내장하며 외부 일 측(우측 상부)에 보강 섬유(12)를 장착한 형상 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탄성 재질인 고무를 사용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1)를 도 2와 같이 제작하는데 있어 그 내부에는 이탈방지용 'ㄱ'자 형강(1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다수 개 불연속적으로 하여 마모 개선 코드(보강 섬유, 12)와 함께 넣는다. 먼저 이탈방지용 'ㄱ'자 형강(10)의 기능은 모서리 보호구(1)가 고무 코팅 구조 용강(2), (3)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의 충돌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마모 개선 코드는 선박의 잦은 정박에 의해 부딪히는 부분에 보강 섬유(12)를 넣어 표면의 마모력을 증대 시키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의 설명도로서 좌측은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 우측의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A-A,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상기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은 콘크리트 바닥(8)에 고정된 앙카(4), 그리고 상기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은 앙카 (6)에 각각 끼워 고정되고, 최종적으로 앙카볼트(5),(7)에 의해 견고히 장착되며, 여기서,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은 구조 용강(13)의 외부로 고무(14)가 코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4)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인 구조 용강(13)에 고무(14)를 덮어 씌운 것으로써 내식성에 강하고 내충격성에도 좋다. 본 고안에서는 구조 용강에 피복/코팅을 하는 재질로서 고무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고무에만 국한 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의 대체도 가능하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그 설치 방법은 제일 먼저 콘크리트 바닥(8) 타설 시 앙카(4),(6)를 설치하고 앙카(6)에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끼우고 앙카볼트(7)로 고정 시킨 후 모서리 보호구(1)를 끼워 넣고, 마지막으로 'ㄱ' 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앙카(4)에 끼우고 앙카볼트(5)로 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모서리 보호구(1)의 노후화 및 파손에 의한 교체도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1 실시예로서의 도 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1)는 좌측 상부에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그리고 우측 하부에는'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각각 장착하되, 콘크리트 바닥(8)에 고정된 앙카(4),(6)에 각각 끼워 고정되고, 앙카볼트(5),(7)에 의해 견고히 장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1)가 콘크리트 바닥(8)에 결합 일체화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모서리보호구(61)의 설치 상태(좌측)와 고무 코팅 구조 용강(43)의 단면(우측)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모서리보호구(61)는 고무 몸체(9)의 내부에 통공(11)을 형성하고'l' 자 형강(42)을 내장하였으며,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해 비교적 얇은 구조 용강(13)을 갖는 넓은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43)을 사용하여 좌, 우측에서 고정된 앙카(44)에 앙카볼트(45)를 통해 손쉽게 고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4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기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이 없는 모서리 보호구(21)(좌측)와 'Z'자 형강(15)을 내장한 모서리 보호구(31)(우측)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는 양 측 끼움 맞춤형인 모서리 보호구로써 'ㄱ',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 모두를 사용하여 앞쪽 방향과 위쪽 방향 모두를 완전 고정 시키는 형태이나, 상기 도 7의 좌측은 하부 끼움 맞춤형인 모서리 보호구(21)로써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으로만 모서리 보호구(21)를 고정 시키는 형태이고, 도 7의 우측은 하부 끼움 맞춤 상부 고정형으로서 하부는 도 5와 동일하게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을 사용하여 고정 하지만 상부는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사용하지 않고 모서리 보호구 (31)내에 'Z'자형 형강(15)을 일체형으로 한 것이며, 앙카볼트만 사용하여 고정 한다. 교체 시 앙카볼트만 풀면 다른 모서리 보호구로 바로 교체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의 제5,6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기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에 요철부(16)를 형성한 모서리 보호구(41)(좌측)와 우측에 충격 보강부(17)를 형성한 모서리 보호구(51)(우측)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모서리 보호구(41) 윗면 바닥에 요철을 넣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모서리 보호구(51)의 우측 앞 부분에 충격 보강부(17)를 둥글게 돌출 시켜 도 5의 모서리 보호구(1) 보다 선박의 충격 흡수를 더 향상 시킨 것이다.
상기 고무 코팅 구조 용강(2),(3),(43)의 주된 역할은 모서리 보호구를 지지 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8에는 그 지지력 및 미끄럼 방지를 더 보강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고무 코팅 구조 용강으로서, 상부 일 측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타 측 하단에 여러 가지 형상의 볼록부(18),(19),(20)가 형성된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는 끼워 맞춤 식으로 되어 있어 교체가 용이하고, 모서리 보호구를 고정 시키는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은 고무로 덮여 있어 내식성 및 내충격성에 강하다. 모서리 보호구안에 있는 이탈방지용 'ㄱ'자, 'l'자 또는 'Z'자 형강은 선박이 모서리 보호구에 충격을 줄 때 모서리 보호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서는 모서리 보호구 마다 색상(검정/노랑색)을 줌으로써 야간에 선박의 부두 접안 시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해양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응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를 실시한 경우의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모서리 보호구의 설명도.
도 3은 도 1의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의 설명도.
도 4는 도 3의 A-A, B-B, C-C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2 실시예로서의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3,4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5,6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고무 코팅 구조 용강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0은 현재 시공되고 있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의 1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31,41,51,61 : 모서리 보호구 2,3,43 : 고무 코팅 구조 용강
4,6,44 : 앙카 5,7,45 : 앙카볼트 8 : 콘크리트 바닥
9 : 고무 몸체 10,15,42 : 형강 11: 통공
12 : 보강섬유 13 : 구조 용강 14 : 고무
16 : 요철부 17 : 충격 보강부
18,19,20 : 볼록부

Claims (5)

  1. 콘크리트 바닥에 앙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
    상기 'ㅡ'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30)의 상측에 끼워지는 모서리 보호구(1);
    상기 모서리 보호구(1)를 상측에서 고정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바닥에 앙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ㄱ'자형 고무 코팅 구조 용강(2);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보호구(1)는 고무 몸체의 내부에 통공(11)을 형성하고 형강(10)을 내장한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2),(3)은 일 측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와 타측 하단에는 모서리 보호구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요철부를 갖는 볼록부(18),(19),(2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 내부에 매입된 형강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 혹은 다수 개 불연속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에 색상을 주어 미관이 수려하고 야간에는 식별이 용이하여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구의 외부 일 측에 보강섬유(12)를 장착하여 모서리 보호구의 표면 마모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KR2020080009314U 2008-07-14 2008-07-14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KR200452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14U KR200452470Y1 (ko) 2008-07-14 2008-07-14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14U KR200452470Y1 (ko) 2008-07-14 2008-07-14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88U KR20100000688U (ko) 2010-01-22
KR200452470Y1 true KR200452470Y1 (ko) 2011-02-25

Family

ID=4419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314U KR200452470Y1 (ko) 2008-07-14 2008-07-14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67B1 (ko) * 2023-12-11 2024-04-12 천상일 운반 가능한 혈액 저장팩 보관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022A (ja) * 1997-02-14 1998-08-25 Shibata Ind Co Ltd 防舷材
KR20040003573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공기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6203A (ko) * 2002-09-23 2004-03-30 주식회사 인터큐브 폴더용 휴대전화기
KR200403573Y1 (ko) * 2005-09-30 2005-12-09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항만 구조물용 완충구조
KR200426203Y1 (ko)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KR100836268B1 (ko) * 2006-12-08 2008-06-10 권재선 항만에 설치되는 선박 충돌 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022A (ja) * 1997-02-14 1998-08-25 Shibata Ind Co Ltd 防舷材
KR20040003573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공기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6203A (ko) * 2002-09-23 2004-03-30 주식회사 인터큐브 폴더용 휴대전화기
KR200403573Y1 (ko) * 2005-09-30 2005-12-09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항만 구조물용 완충구조
KR200426203Y1 (ko)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KR100836268B1 (ko) * 2006-12-08 2008-06-10 권재선 항만에 설치되는 선박 충돌 완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67B1 (ko) * 2023-12-11 2024-04-12 천상일 운반 가능한 혈액 저장팩 보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88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2262T3 (es) Defensa, estructura marítima, método de fabricación
KR100956519B1 (ko)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KR101163975B1 (ko) 가요성 부표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200426203Y1 (ko)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KR200452470Y1 (ko)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097422B1 (ko) 부잔교
KR101173082B1 (ko)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20180130494A (ko) 보안용 불워크, 주변 보호 시스템 및 주변 보호 방법
KR20100130254A (ko) 수상 도크
KR200454901Y1 (ko) 충격에 강한 방현재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0649105B1 (ko) 항만 부두의 접안시설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방현재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200480505Y1 (ko) 에어 펜더
US7921792B2 (en) Apparatus for affixing a dock to an inboard mooring pole
KR100360365B1 (ko)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
KR200220510Y1 (ko) 차막이용 블록
CA2572231A1 (en) Ship fender
KR100365999B1 (ko) 해양구조물의 모서리부의 보강패널 및 보강공법
CN213233323U (zh) 一种港口码头用的高分子护弦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