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71Y1 -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 Google Patents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171Y1
KR200452171Y1 KR2020090004165U KR20090004165U KR200452171Y1 KR 200452171 Y1 KR200452171 Y1 KR 200452171Y1 KR 2020090004165 U KR2020090004165 U KR 2020090004165U KR 20090004165 U KR20090004165 U KR 20090004165U KR 200452171 Y1 KR200452171 Y1 KR 200452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own rice
polishing
guid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218U (ko
Inventor
이치석
Original Assignee
이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석 filed Critical 이치석
Priority to KR2020090004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7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미기의 현미유입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회전롤러가 삽입된 케이싱을 갖는 연마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마부에 위치된 스크류를 갖는 회전롤러의 선단부에 연마용 망체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의 후미 상부로는 호퍼가 결합되는 정미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의 아래에 위치되고 연마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된 스크류 외측에 삽입 위치되는 현미유입개구를 갖는 원통금속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금속체의 외주면에는 발열선 또는 발열판의 발열체를 구비하여 자체의 열 발생을 통해 연마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정미기 내로 유입되는 현미에 발열을 통해 순간 건조 및 수분 저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 현미의 미분 부착에 의해 자주 형성되던 슬러지의 발생을 사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다.
도정, 정미기, 현미유입, 가이드, 금속체, 발열체, 발열, 건조

Description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GUIDE FOR RICE POLISHING MACHINE}
본 고안은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구비함에 따라 정미기 내로 공급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킴으로써 슬러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쌀로 가공하는 것을 도정(milling; 搗精)이라 하며, 벼는 왕겨층과 쌀겨층(미강층) 및 배(씨눈), 배유(씨젖)로 구성되어 있고, 왕겨층을 제거한 것을 현미라 하고, 현미에서 쌀겨층을 제거한 것을 우리가 흔히 말하는 쌀이라 하는데, 이 도정과정 중에는 쌀과 부산물로 왕겨와 미강 및 쇄미 등이 발생하게 되며, 도정의 정도에 따라 쌀의 품질이 결정되어진다.
통상 현미에서 쌀겨층을 제거하는 작업은 정미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기존 정미기로는 현미의 표면을 고속회전으로 깎는 연삭식과 미립 상호간 또는 금속망 등과 마찰시켜 현미의 표면을 제거하는 마찰식이 있으며, 연삭식과 마찰식을 조합한 콤파스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정미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정미기는 회전롤러(11)가 삽입된 케이싱(12)을 갖는 연마부(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마부(10)에 위치된 회전롤러(11)의 선단부에는 연마용 망체(13)가 결합된다.
상기 연마부(10)의 후미 상부로는 호퍼(2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롤러(11)에는 호퍼(20)측과 연통되어 현미가 유입되는 유입부분에 스크류(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롤러(11)는 구동수단인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마부(10)에는 스크류(11a)가 형성된 회전롤러(11)측에 위치되는 주물재의 원통형 가이드블럭(30)을 설치하여 호퍼(20)를 통해 연마부(10)로 유입되어지는 현미가 회전롤러(11)측 스크류(11a)에 의해 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지도록 가이드작용되게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미기에 있어서는, 쌀의 가공을 위한 도정시 정미기의 연마부(10)로 유입되는 현미의 미분이 호퍼(20)와 스크류(11a)와의 사이에 가교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블럭(30)의 내측면에 잘 부착되므로 슬러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찹쌀의 도정시에는 가이드블럭(30)측에 슬러지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슬러지의 발생은 정미기로 공급되는 현미를 완전하게 건조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투입시 많이 발생되고, 현미가 수분을 머금고 있음에 의해 발생되어진다.
이로 인한, 슬러지의 발생은 가이드블럭(30)의 내경을 축소시키게 되고 현미의 공급 불량에 의한 적체현상 발생 및 회전롤러(11)측의 스크류에 부하발생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도 부하가 발생되어 전기적 오류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정미기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해서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연마부(10)에서 가이드블럭(30)을 분리해내고 자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지속적인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체를 구비함에 따라 정미기 내로 유입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며 도정을 위한 정미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은 현미의 공급에 따른 적체현상을 방지하고 회전롤러 및 모터의 부하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며 잦은 청소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회전롤러가 삽입된 케이싱을 갖는 연마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마부 에 위치된 스크류를 갖는 회전롤러의 선단부에 연마용 망체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의 후미 상부로는 호퍼가 결합되는 정미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의 아래에 위치되고 연마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된 스크류 외측에 삽입 위치되는 현미유입개구를 갖는 원통금속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금속체의 외주면에는 발열선 또는 발열판의 발열체를 구비하여 자체의 열 발생을 통해 연마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가이드에 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정미기 내로 유입되는 현미에 발열을 통해 순간 건조 및 수분 저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미의 미분 부착에 의해 형성되던 슬러지의 발생을 사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고 현미의 공급에 따른 적체현상 및 정미기의 부하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잦은 청소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 및 정미기의 가동정지 없이 지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도정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100)는 회전롤러(11)가 삽입된 케이싱(12)을 갖는 연마부(10)가 구비되되, 상 기 연마부(10)에 위치된 회전롤러(11)의 선단부에 연마용 망체(13)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10)의 후미 상부로는 호퍼(20)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11)에는 호퍼(20)측과 연통되어 현미가 유입되는 유입부분에 스크류(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11)는 구동수단인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20)의 아래에 위치되고 연마부(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롤러(11)에 형성된 스크류(11a) 외측에 삽입 위치되는 현미유입개구(111)를 갖는 원통금속체(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원통금속체(110)의 외주면에는 발열체(120)를 구비하여 원통금속체(110)에 전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통금속체(110)가 전열을 통한 자체의 열 발생을 통해 연마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원통금속체(110)는 스테인리스나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기타 금속체로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발열체(120)는 PVC선, 실리콘선, 카본 탄소선, 카본열선 등 각종 발열선이나 카본 면상발열체 등 각종 발열판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100)는 발열선 또는 발열판의 발열체(120)가 구비된 원통금속체(110)를 연마부(10) 내의 현미가 유입되는 부분에 삽입 배치하되, 회전롤러(11)에 형성된 스크류(11a) 외측 에 삽입 위치되게 하며, 현미유입개구(111)를 통하여 호퍼(20)로부터 현미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호퍼(20)와 연통되게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가이드(100)에서는 호퍼(20)의 아래 및 연마부(10)의 시작부분에서, 즉 호퍼(20)를 통하여 연마부(10)의 회전롤러(11)측으로 현미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열을 제공하여주므로 가이드(100)의 내부로 현미가 유입시 순간 건조시키는 작용으로 수분을 저감 또는 제거하게 되며, 수분의 함유로 인해 가이드(100)의 내측면에 현미의 미분이 달라붙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가이드(100) 자체가 발열에 의해 건조하므로 기존과 같이 슬러지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완전 건조되지 않은 현미가 공급되더라도 이를 순간 건조시켜 사용하므로 슬러지 발생을 방지 및 가이드(100)의 내경이 축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현미의 공급에 따른 적체현상이나 부하발생 없이 원활하게 정미기를 가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 도정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 잦은 청소에 따른 불편함까지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정미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정미기에 설치되는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정미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현미유입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마부 11: 회전롤러
11a: 스크류 12: 케이싱
13: 연마용 망체 20: 호퍼
100: 가이드 110: 원통금속체
111: 현미유입개구 120: 발열체

Claims (1)

  1. 회전롤러(11)가 삽입된 케이싱(12)을 갖는 연마부(10)가 구비되되 상기 연마부(10)에 위치된 스크류(11a)를 갖는 회전롤러(11)의 선단부에 연마용 망체(13)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10)의 후미 상부로는 호퍼(20)가 결합되는 정미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20)의 아래에 위치되고 연마부(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롤러(11)에 형성된 스크류(11a) 외측에 삽입 위치되는 현미유입개구(111)를 갖는 원통금속체(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금속체(110)의 외주면에는 발열선 또는 발열판의 발열체(120)를 구비하여 자체의 열 발생을 통해 연마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미를 순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KR2020090004165U 2009-04-09 2009-04-09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KR200452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65U KR200452171Y1 (ko) 2009-04-09 2009-04-09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65U KR200452171Y1 (ko) 2009-04-09 2009-04-09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18U KR20100010218U (ko) 2010-10-19
KR200452171Y1 true KR200452171Y1 (ko) 2011-02-10

Family

ID=4420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165U KR200452171Y1 (ko) 2009-04-09 2009-04-09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7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28Y1 (ko) 1999-07-15 2000-02-15 배근수 현미수분조절장치
KR20010063828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스마트 안테나를 이용한 가변처리이득패킷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36449A (ko) * 2003-04-04 2003-05-09 김세종 Omr 카드를 이용한 알림 메세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36449Y1 (ko) 2003-09-18 2003-12-18 주식회사 고려엔지니어링 쌀 세척 및 건조장치
JP2004344761A (ja) 2003-05-22 2004-12-09 Toyo Rice Cleaning Machine Co Ltd 洗米作業終了方法及び洗米装置
KR20100046949A (ko) * 2008-10-28 2010-05-07 이응구 제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28Y1 (ko) 1999-07-15 2000-02-15 배근수 현미수분조절장치
KR20010063828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스마트 안테나를 이용한 가변처리이득패킷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36449A (ko) * 2003-04-04 2003-05-09 김세종 Omr 카드를 이용한 알림 메세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344761A (ja) 2003-05-22 2004-12-09 Toyo Rice Cleaning Machine Co Ltd 洗米作業終了方法及び洗米装置
KR200336449Y1 (ko) 2003-09-18 2003-12-18 주식회사 고려엔지니어링 쌀 세척 및 건조장치
KR20100046949A (ko) * 2008-10-28 2010-05-07 이응구 제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18U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62B1 (ko) 정미기
CN104258921B (zh) 一种碾米机
CN103829350A (zh) 板栗剥壳机
CN1817600B (zh) 研磨设备的串联式连续研磨机之间的连接系统
KR200452171Y1 (ko) 정미기용 현미유입 가이드
CN201252817Y (zh) 平搓式花生剥壳器
KR101345470B1 (ko) 라이스 밀
WO2007131423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de matière d'un broyeur planétaire à boulets de grande dimension
KR20130058549A (ko) 곡물탈피기
JP5275053B2 (ja) 精米機
KR20120049483A (ko) 봉재의 표면 박리 장치
CN211879749U (zh) 一种镗铣床松拉刀减速电机供电机构
KR20150059832A (ko)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CN110918228A (zh) 一种食品用粉碎装置
CN105536939A (zh) 一种球磨机
JPH09173876A (ja) 精穀ロール及び精穀機
KR100211853B1 (ko) 연삭식 정미기의 정곡롤
CN204911661U (zh) 一种悬浮剂砂磨机
CN201223814Y (zh) 内置式卧辊磨
CN204685202U (zh) 一种纳米研磨机用出料旋套
CN213032562U (zh) 一种辊式碾米机
CN217192838U (zh) 一种轴向可调式多刀具铣刀盘
CN215197076U (zh) 一种大米加工用连续式脱壳装置
CN212189233U (zh) 一种碾米机双辊结构
CN220279218U (zh) 一种阀体加工用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