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832A -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 Google Patents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832A
KR20150059832A KR1020130143398A KR20130143398A KR20150059832A KR 20150059832 A KR20150059832 A KR 20150059832A KR 1020130143398 A KR1020130143398 A KR 1020130143398A KR 20130143398 A KR20130143398 A KR 20130143398A KR 20150059832 A KR20150059832 A KR 2015005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haft
chamber
brown rice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옥영
Original Assignee
고옥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옥영 filed Critical 고옥영
Priority to KR102013014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832A/ko
Publication of KR2015005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벼 또는 현미를 상부에서 투입하고, 잔량 없이 스크류 작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원터치 가공방식으로 도정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는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고, 하부에서는 회전에 의한 마찰을 통해서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되게 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공급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어서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벼 또는 현미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통해 이송되어온 벼 또는 현미를 수용하는 정미실; 상기 샤프트에 다수 개로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여서 상기 정미실에 수용된 벼 또는 현미를 날개를 통해 도정하는 정미로우터;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정미실에 구비되어서 상기 정미로우터의 회전시 벼 또는 현미가 마찰에 의해 도정되게 하는 마찰판; 상기 정미실의 일측에 외통하도록 설치되어서 벼 또는 현미 도정시 벗겨진 쌀겨를 배출하는 쌀겨배출부; 상기 정미실로부터 도정된 도정미의 배출량이 압력저항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수용하는 저항실; 상기 정미실로부터 상기 저항실로 배출되는 도정미의 양을 상하작동함으로써 제어하는 압력판; 및 상기 저항실에 있는 도정미를 배출하는 도정미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Rice-polishing machine of vertical and friction type}
본 발명은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에서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고, 도정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마찰판으로 밀쳐서 잔량 없이 용이하게 도정되게 하며, 도정미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되 원터치 방식으로 도정할 수 있게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낟알은 겨를 박리시키는 정미 공정을 거쳐서 현미로 가공되고, 상기한 현미를 연삭하여 백미로 성형함과 아울러 이를 다시 광택 처리하는 연마 공정을 통해 청결미로 가공된다.
종래에는 정미기의 하부로 도정될 낟알 곡식을 투입하여 정미하고 있지만, 이때는 수분이 16%이상을 가진 곡식에 대해서는 정미기 내에서 이동이 수월하지 않아 도정하기란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분이 있는 곡식을 용이하게 가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정미기가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기립형 정미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 미국 특허 4,583,4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립형 정미기에 있어서는, 로터로 회전하는 연마석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16각형의 스크린을 배치하여 정미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스크린의 내주면에는 고정 연마석을 배열하여 마찰에 의한 낟알의 정미 효율을 높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371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립형 정미기에 있어서는, 기립형 정미기에서 미강 배출통로로 퇴적되는 미강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외부로 노출되게 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립형 정미기는 낟알이 상향 이동하면서 도정되는 상향 압송방식이나, 반대로 낟알을 위에서 공급하여 하향 이동되도록 하고 도정 되면서 하측의 배출구로 수거되도록 한 하향 압송방식도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립형 정미기에 있어서는 도정될 벼 또는 현미가 도정시 단지 로터의 회전에 의해서만이 이동하여 빠른 시간에 완전하게 도정이 되지 않고 잔량이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도정미를 배출할 때 일정하게 조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항상 정미기 옆에서 도정미의 배출을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에서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여 도정하되, 도정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바람을 이용하여 마찰판으로 밀쳐서 잔량 없이 빠른 시간에 용이하게 도정되게 하며, 또한 도정미의 배출량을 일정 시간 동안 도정된 후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도정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상 도정된 양이 일정하게 배출되게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벼 또는 현미를 상부에서 투입하고, 잔량 없이 스크류 작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원터치 가공방식으로 도정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는, 상부에서는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고, 하부에서는 회전에 의한 마찰을 통해서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되게 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공급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어서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벼 또는 현미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통해 이송되어온 벼 또는 현미를 수용하는 정미실; 상기 샤프트에 다수 개로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여서 상기 정미실에 수용된 벼 또는 현미를 날개를 통해 도정하는 정미로우터;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정미실에 구비되어서 상기 정미로우터의 회전시 벼 또는 현미가 마찰에 의해 도정되게 하는 마찰판; 상기 정미실의 일측에 외통하도록 설치되어서 벼 또는 현미 도정시 벗겨진 쌀겨를 배출하는 쌀겨배출부; 상기 정미실로부터 도정된 도정미의 배출량이 압력저항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수용하는 저항실; 상기 정미실로부터 상기 저항실로 배출되는 도정미의 양을 상하작동함으로써 제어하는 압력판; 및 상기 저항실에 있는 도정미를 배출하는 도정미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미로우터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미로우터의 측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하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이 통공되게 하여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될 때 중앙부로 오지 않고 외측의 마찰판으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 개의 통공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판은 벼 또는 현미가 상기 정미실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도정되게 하여 배출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벼 또는 현미 등의 곡식을 도정하게 되면,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힘을 통해 용이하게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급되게 하여 도정함과 아울러, 도정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바람을 이용하여 마찰판으로 밀쳐서 정미로우터의 날개와 마찰판의 접촉을 통해서 잔량 없이 빠른 시간에 용이하게 도정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정미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일정 시간 동안 도정된 후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도정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상 도정된 양이 일정하게 배출되게 하여 작업자가 제어하지 않더라도 도정 및 배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스크류 및 정미로우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샤프트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압력판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스크류 및 정미로우터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샤프트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서 압력판을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벼 또는 현미를 상부에서 투입하고, 잔량 없이 스크류 작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원터치 가공방식으로 도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는, 하우징(10), 호퍼(20), 샤프트(30), 스크류(40), 정미실(50), 정미로우터(60), 마찰판(70), 쌀겨배출부(80), 저항실(90), 압력판(100) 및 도정미배출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에서는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고, 하부에서는 회전에 의한 마찰을 통해서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되게 샤프트(30)를 회전시키는 모터(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퍼(2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스크류(40)로 공급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샤프트(30)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모터(11)에 의해 회전하여 스크류(40) 및 정미로우터(6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공기가 유동되게 하여, 그 공기가 통공(65)을 통해서 정미실(50)로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샤프트(30)에 장착되어 통공(65)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조장하는 송풍기가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류(40)는 샤프트(30)에 장착되어서 그에 의해 회전되어서 호퍼(20)를 통해 공급되는 벼 또는 현미를 정미실(50)로 하향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미실(50)은 스크류(40)를 통해 이송되어온 벼 또는 현미가 정미로우터(60) 및 마찰판(70)을 통해서 도정되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미로우터(60)는 샤프트(30)에 장착되어서 그에 의해 회전하여 정미실(50)에 수용된 벼 또는 현미를 날개(55)를 통해 마찰판(70)과 접촉함으로써 도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정미로우터(60)는 한번의 회전으로 벼 또는 현미의 도정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샤프트(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미로우터(60)의 측부에는, 즉 샤프트(50)의 3면에는 그의 상하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이 통공되게 하여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될 때 중앙부로 오지 않고 외측의 벽쪽인 마찰판(70)으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 개의 통공(65)이 구비되게 하였다.
따라서, 정미실(50)에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는 중앙부로 오지 않고 날개(55)와 마찰판(70) 사이로 이동하여 빠른 시간에 도정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마찰판(70)은 하우징(10)의 내벽에 설치되고 정미실(50)의 외측에 구비되되 정미로우터(60)의 날개(55)와 벼 또는 현미가 마찰에 의해 도정되는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정미로우터(60)의 회전시 벼 또는 현미가 마찰에 의해 도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쌀겨배출부(80)는 정미실(50)의 일측에 외통하도록 설치되어서 벼 또는 현미 도정시 벗겨진 쌀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항실(90)은 정미실(50)로부터 도정된 도정미의 배출량이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 압력저항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저항실(90)의 상부인 정미실(50)의 하단부에 설치된 압력판(100)을 통해서 도정미의 배출량이 제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판(100)은 정미실(50)로부터 저항실(90)로 배출되는 도정미의 양 및 배출속도를 상하작동함으로써 제어하되 하부에 스프링(51)을 구비하여 도정미를 배출하지 않을 시에는 원위치로 복원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8분의 일정 시간동안 도정하여 배출하도록 조정하면, 상기 압력판(100)은 그 시간동안 정미실(50)의 하부 배출부를 막고 있다가 8분이 지난 후에는 자동으로 열려 도정미가 저항실(90)로 이동하여 도정미배출부(1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판(100)은 벼 또는 현미가 정미실(50)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도정되게 하여 배출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정미배출부(110)는 저항실(90)에 있는 도정미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의한 원터치방식으로 도정하는 작업 실시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벼나 보리와 같은 곡식을 도정하기 위한 작업자는 정미기의 상태가 온으로 되게 하고, 모터(11)를 작동시킨다.
상기 모터(11)가 작동이 되고 샤프트(30)가 회전하게 되면, 작업자는 도정될 곡식을 하우징(10)의 상부에 있는 호퍼(20)로 공급한다.
상기 호퍼(20)에 있는 곡식은 자연스럽게 하향 이동하여 스크류(40)로 이동하고, 상기 스크류(40)는 샤프트(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공급된 곡식을 아래의 정미실(50)로 이동시킨다.
상기 정미실(50)로 이동한 곡식은 샤프트(30)와 함께 회전하는 정미로우터(6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칼날인 날개(65)와 마찰판(70)의 사이로 들어와서 샤프트(30)의 회전력에 의해 곡식은 도정되고, 이와 동시에 도정되어 남은 쌀겨와 같은 껍질은 쌀겨배출부(8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정미실(50)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도정 시간동안 곡식이 도정되게 한 후, 그 시간이 지나면 압력판(100)을 하부로 이동시켜 정미실(50)을 개방하여 도정된 곡식이 저항실(90)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의 도정된 곡식이 저항실(90)로 이동하고 난 다음에는 상기 압력판은 스프링(51)의 복원력을 통해서 원위치로 이동하여 정미실(50)의 하부가 폐쇄되게 한다.
상기 저항실(90)로 이동한 도정된 곡식은 도정미배출부(1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곡식의 도정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모터
20: 호퍼 30: 샤프트
40: 스크류 50: 정미실
51: 스프링 55: 날개
60: 정미로우터 65: 통공
70: 마찰판 80: 쌀겨배출부
90: 저항실 100: 압력판
110: 도정미배출부

Claims (4)

  1. 벼 또는 현미를 상부에서 투입하고, 잔량 없이 스크류 작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원터치 가공방식으로 도정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에 있어서,
    상부에서는 벼 또는 현미가 공급되게 하고, 하부에서는 회전에 의한 마찰을 통해서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되게 모터(11)를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도정될 벼 또는 현미를 공급하는 호퍼(20);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11)에 의해 회전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샤프트(30);
    상기 샤프트(30)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0)에 의해 회전되어서 상기 호퍼(20)를 통해 공급되는 벼 또는 현미를 이송시키는 스크류(40);
    상기 스크류(40)를 통해 이송되어온 벼 또는 현미를 수용하는 정미실(50);
    상기 샤프트(30)에 다수 개로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0)에 의해 회전하여서 상기 정미실(50)에 수용된 벼 또는 현미를 날개(55)를 통해 도정하는 정미로우터(60);
    상기 하우징(10)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정미실(50)에 구비되어서 상기 정미로우터(60)의 회전시 벼 또는 현미가 마찰에 의해 도정되게 하는 마찰판(70);
    상기 정미실(50)의 일측에 외통하도록 설치되어서 벼 또는 현미 도정시 벗겨진 쌀겨를 배출하는 쌀겨배출부(80);
    상기 정미실(50)로부터 도정된 도정미의 배출량이 압력저항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수용하는 저항실(90);
    상기 정미실(50)로부터 상기 저항실(90)로 배출되는 도정미의 양을 상하작동함으로써 제어하되 하부에 스프링(51)을 구비하여 도정미를 배출하지 않을 시에는 원위치로 복원하는 압력판(100); 및
    상기 저항실(90)에 있는 도정미를 배출하는 도정미배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미로우터(6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샤프트(3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미로우터(60)의 측부에는, 상기 샤프트(50)의 상하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이 통공되게 하여 벼 또는 현미가 도정될 때 중앙부로 오지 않고 외측의 마찰판(70)으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 개의 통공(6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100)은 벼 또는 현미가 상기 정미실(50)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도정되게 하여 배출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KR1020130143398A 2013-11-25 2013-11-25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KR20150059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98A KR20150059832A (ko) 2013-11-25 2013-11-25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98A KR20150059832A (ko) 2013-11-25 2013-11-25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2A true KR20150059832A (ko) 2015-06-03

Family

ID=5350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398A KR20150059832A (ko) 2013-11-25 2013-11-25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8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56B1 (ko) 2015-10-27 2016-11-17 (주) 성산기업 정미기
CN109277121A (zh) * 2018-10-30 2019-01-29 安徽益健堂中药饮片科技有限公司 一种黑米高效脱皮装置
CN112892642A (zh) * 2021-01-14 2021-06-04 乐山瓒鑫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风量调节组件和出米精度调节组件的碾米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56B1 (ko) 2015-10-27 2016-11-17 (주) 성산기업 정미기
CN109277121A (zh) * 2018-10-30 2019-01-29 安徽益健堂中药饮片科技有限公司 一种黑米高效脱皮装置
CN112892642A (zh) * 2021-01-14 2021-06-04 乐山瓒鑫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风量调节组件和出米精度调节组件的碾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53761U (zh) 一种胚芽米碾米机
CN102407174A (zh) 研磨式立式碾谷机
CN101347751B (zh) 一种卧式谷物及豆类脱皮机
CN102371198A (zh) 紧凑型高效组合碾米机
KR20150059832A (ko)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CN207463350U (zh) 一种具有粉碎粒度可调功能的鱼饲料用粉碎设备
CN107961835B (zh) 一种大米抛光设备
CN201295618Y (zh) 一种卧式谷物及豆类脱皮机
CN109277137A (zh) 一种调隙机构
CN205903921U (zh) 一种谷物脱壳机
CN204841780U (zh) 一种用于砂带碾米机的碾米腔
CN207709120U (zh) 中药粉碎系统
CN211358926U (zh) 一种自带风机的碾米机
CN214210716U (zh) 一种小麦加工用碾碎装置
CN202366741U (zh) 新式紧凑型高效组合碾米机
CN110433892B (zh) 带滤网的大米加工装置
CN207805774U (zh) 一种变性淀粉粉碎装置
CN107377048A (zh) 新型胶砻砂辊式碾米机
CN204427847U (zh) 坚果破壳/脱壳机
CN204017883U (zh) 药材碾碎机
KR101932391B1 (ko) 커피 원두 분쇄장치
CN207493820U (zh) 富硒杂粮磨面机
CN209124017U (zh) 一种磨盘结构
CN207823095U (zh) 一种大米加工生产线用防堵塞的入料口装置
CN218359462U (zh) 一种农产品加工生产用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