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70B1 - 라이스 밀 - Google Patents

라이스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470B1
KR101345470B1 KR1020120045445A KR20120045445A KR101345470B1 KR 101345470 B1 KR101345470 B1 KR 101345470B1 KR 1020120045445 A KR1020120045445 A KR 1020120045445A KR 20120045445 A KR20120045445 A KR 20120045445A KR 101345470 B1 KR101345470 B1 KR 10134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cage
rice
rice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261A (ko
Inventor
김인
Original Assignee
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 filed Critical 김인
Priority to KR102012004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4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도정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스 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도정물(R)을 공급 또는 수거하도록 된 호퍼(31)와 수거함(32)이 구비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내장되어 상기 호퍼(31)와 수거함(32)에 각각 대응되는 유입구(41)와 배출구(42,43)가 형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구비되는 망형상의 케이지(44) 및 이 케이지(44)에 내장되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이스 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라이스 밀{Rice mill}
본 발명은 라이스 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도정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스 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스 밀은 벼의 껍질을 탈피시켜 쌀을 성형하도록 도정장치로, 낱알의 표피를 깎아내는 정도에 따라 현미 또는 백미 등으로 도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근래에 와서는 일반 가정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현미 또는 백미 등과 같은 낱알의 분도(왕겨가 탈피된 현미에서 백미 상태에 이르는 도정의 정도)를 조절 또는 선택하여 도정하도록 된 소형의 라이스 밀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라이스 밀의 구성과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되는 라이스 밀은 본체에 구비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벼를 망형상의 케이지 내에 구비된 샤프트에 의해 껍질을 탈피시킴과 동시에 껍질이 탈피된 낱알의 표면을 연삭하여 분도에 맞는 입쌀을 성형하여 왕겨나 쌀겨는 흡입덕트에 의해 분리 배출하고 쌀을 별도의 통에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일례를 도 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샤프트(10)는 봉형상의 일측에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벼를 상기 케이지 측으로 유도하는 나선홈(11)이 형성되고, 이 나선홈(11)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지 내에 위치되어 벼를 연삭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돌기(12)가 형성된 원형단면의 봉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샤프트(10)는 상기 돌기(12)와 케이지의 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벼의 껍질을 탈피함과 동시에 낱알의 표피를 박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샤프트(10)는 한 쌍의 돌기(12)에 의해 벼를 연삭함으로 인해 도정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원형단면의 봉체에 별도의 돌기(12)를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 인해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샤프트(10)에 다수의 돌기(12)를 더 형성하게 되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돌기(12)에 의해 지나치게 벼를 연삭함으로 인해 낱알에 금이 가거나 깨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라이스 밀에는 낱알의 분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케이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가압판과 이 가압판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된 핸들을 포함하는 분도조절기가 장착되는데, 이 분도조절기가 본체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깔끔한 느낌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특허공보(특1995-0007583) 1995. 07. 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도정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도정시에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샤프트의 형상과 분도조절기의 위치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과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스 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피도정물(R)을 공급 또는 수거하도록 된 호퍼(31)와 수거함(32)이 구비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내장되어 상기 호퍼(31)와 수거함(32)에 각각 대응되는 유입구(41)와 배출구(42,43)가 형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구비되는 망형상의 케이지(44) 및 이 케이지(44)에 내장되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케이지(44)의 내부에 위치되어 삼각단면 형상의 도정축부(52)가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도정축부(52)에는 케이지(44)와의 마찰에 의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꼭지점 부분이 편평하게 면취되거나 라운딩된 3개의 도정면(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정축부(52)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56)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40)에는 상기 케이지(44)의 일단부를 개폐하도록 된 가압판(61)과, 이 가압판(6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3)와, 이 탄성부재(63)가 장착되는 회동축(66)과, 이 회동축(66)을 구동하여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한 상기 가압판(61)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핸들(67)을 포함하는 분도조절기(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66)은 상기 샤프트(50)의 축방향 연장선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핸들(67)은 상기 회동축(66)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0)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40)에 구비되는 망형상의 케이지(44)에 내장되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된 샤프트(50)의 구성이 삼각단면 형상의 도정축부(52)가 형성되고, 이 도정축부(52)에는 꼭지점 부분이 편평하게 면취되거나 라운딩된 도정면(5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샤프트(50)가 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되면서 3개의 도정면(55)에 의해 피도정물(R)을 도정함에 따라 샤프트(50)의 1회전 동안에 3회에 걸쳐 도정면(55)이 피도정물(R)에 접촉되어 도정효과를 대폭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꼭지점 부분이 편평하게 면취되거나 라운딩된 도정면(55)에 의해 피도정물(R)과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도정 중에 피도정물(R)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정축부(52)의 변부(54)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56)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샤프트(50)의 회전시에 케이지(44) 내부의 피도정물(R)이 골고루 혼합되어 각 피도정물(R)을 균일하게 도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도정면(55)의 도정작업을 보조하여 도정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5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40)의 측면에 핸들(67)이 위치되도록 된 분도조절기(60)기 구비됨으로써, 라이스 밀의 본체(30) 측면에 상기 분도조절기(60)가 배치 가능함으로 인해 라이스 밀의 전면을 깔끔하게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샤프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30)의 상부측에 피도정물(R)을 공급하도록 된 호퍼(31)가 구비되고, 하부측에 피도정물(R)을 수거하도록 된 수거함(32)이 구비되며, 상기 호퍼(31)와 수거함(32) 사이에 피도정물(R)의 도정을 행하도록 된 도정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정유닛은 상기 호퍼(31)로부터 공급되는 피도정물(R)을 도정한 후에, 상기 수거함(32)으로 피도정물(R)을 배출하도록 하우징(40) 내에 케이지(44)와 샤프트(50)가 내장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4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피도정물(R)의 분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도조절기가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4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사각박스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상기 유입구(41)와 배출구(42,43)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1)와 배출구(42,43)는 각각 상기 호퍼(31)와 수거함(32)에 대응되어 피도정물(R)이 유출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44)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망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케이지(44)에는 상기 유입구(41)로부터 배출구(42,43)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50)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도조절기(60)는 상기 하우징(40)의 일단에 형성되어 피도정물(R)이 배출되는 배출공(45)을 개폐하도록 된 가압판(61)과 이 가압판(6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3) 및 이 탄성부재(63)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된 핸들(6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도정유닛을 구동하는 수단과 도정과정에서 생성된 쌀겨와 같은 잔류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40)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50)를 회전 구동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33)로 구비되고, 이 구동모터(33) 또는 상기 하우징(40) 일측에는 석션용 팬이나 모터 등으로 구비되는 흡입수단(34)과 이에 연결되는 흡입덕트(3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33)와 샤프트(50)는 벨트(37)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33)의 모터축과 샤프트(50)의 일단에는 상기 벨트를 결합할 수 있는 풀리(36,5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40)에는 상기 배출구(42,43)의 대응된 상부측에 상기 흡입덕트(35)가 연결되도록 흡출구(46)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호퍼(31)를 통해 공급되는 피도정물(R)이 상기 샤프트(50)에 의해 상기 케이지(44) 내에서 도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도정된 피도정물(R)은 상기 배출구(42,43)를 통해 수거함(32)에 낙하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도정과정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42,43)는 상기 가압판(61)의 전후로 배치되는 제1 배출구(42)와 제2 배출구(4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배출구(42)는 상기 케이지(44)의 하부측에 케이지(44)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도정과정 중에 생성되는 도정 잔류물인 왕겨나 쌀겨의 일부를 배출하게 되고, 상기 제2 배출구(43)는 상기 가압판(61)을 통과한 쌀이 주로 배출되도록 되는데, 이때에 상기 제2 배출구(43)로 배출되는 입쌀에 잔류된 쌀겨를 상기 흡출구(46)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판(61)은 상기 호퍼(31)를 통해 지속적으로 피도정물(R)이 공급됨에 따라 피도정물(R)의 양에 따른 상기 케이지(44) 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유입구(41) 측에 위치되어 상기 호퍼(31)로부터 공급되는 피도정물(R)을 상기 케이지(44)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축부(51)와 이 이송축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44) 내에서 도정을 행하도록 된 도정축부(52)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샤프트(5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5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송축부(51)와 이에 연장된 도정축부(5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송축부(51)는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나선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도정축부(52)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삼각단면 형상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도정축부(52)는 3개의 변부(54)가 편평하게 형성되어 삼각형태로 배치되고, 이 변부(54)가 상호 맞닿은 꼭지점 부분은 편평하게 면취되거나 라운딩된 3개의 도정면(55)이 형성되는데, 상기 도정면(55)은 상기 변부(54)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지(44)의 내면에 근접되어 샤프트(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케이지(44)와의 마찰에 의해 피도정물(R)을 박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44)에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50)의 도정면(55)과의 거리를 더욱 근접시킴으로 인해 마찰효과를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샤프트(50)에 따르면, 종래처럼 별도의 돌기(12)를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할 필요가 없이 절삭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게 되고, 또한 3개 도정면(55)이 형성되어 샤프트(50)의 1회전 동안에 3회에 걸쳐 피도정물(R)에 접촉됨으로 인해 도정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정면(55)에 의해 피도정물(R)과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도정 중에 피도정물(R)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서 기술한 분도조절기(6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도조절기(60)는 상기 케이지(44)의 일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배출공(45)에 설치되는 가압판(61)과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3)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압판(61)에는 일면에 일정 길이로 연장된 로드(62)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62)에 탄성부재(63)의 일단이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63)는 양단이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제1 레그(64)와 제2 레그(65)가 형성된 코일 형태로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63)는 코일 부분이 회동축(66) 상에 결합되는데, 상기 회동축(66)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된 핸들(67)이 결합되고, 이 핸들(67)에는 상기 탄성부재(63)의 타단이 결합되는 브라켓(68)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분도조절기(60)는 상기 탄성부재(63)의 각 레그(64,65)가 상기 로드(62)와 브라켓(68)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핸들(67)이 회동축(66)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탄성력을 조절하게 되고, 상기 가압판(61)은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한 탄성정도에 따라 그 가압력이 조절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력이 상기 가압판(61)에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피도정물(R)이 케이지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길어져 상기 샤프트(50)에 의한 도정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분도가 높은 백미를 형성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가압판(61)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작용되면 피도정물(R)이 케이지(44)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짧아 분도가 낮은 현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도조절기(60)에 있어서, 상기 핸들(67)은 본체(30)의 측면에 위치되어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동축(66)은 상기 샤프트(50)의 축방향 연장선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핸들(67)은 상기 회동축(66)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0)의 측면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상기 샤프트(50)의 형상과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40)으로 길이방향으로 피도정물(R)이 이송 및 도정되고, 이에 의해 본체(30)의 전면에서 수거함(32)의 인출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동축(66)이 샤프트(50)에 대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들(67)이 본체(30)의 전면에 위치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67)이 본체(30)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도정축부(52)의 변부(54)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56)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50)의 회전시에 케이지 내부의 피도정물(R)이 골고루 혼합되어 각 피도정물(R)을 균일하게 도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도정면(55)의 도정작업을 보조하여 도정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피도정물(R)을 공급 또는 수거하도록 된 호퍼(31)와 수거함(32)이 구비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내장되어 상기 호퍼(31)와 수거함(32)에 각각 대응되는 유입구(41)와 배출구(42,43)가 형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구비되는 망형상의 케이지(44) 및 이 케이지(44)에 내장되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케이지(44)의 내부에 위치되어 삼각단면 형상의 도정축부(52)가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도정축부(52)에는 케이지(44)와의 마찰에 의해 피도정물(R)을 도정하도록 꼭지점 부분이 편평하게 면취되거나 라운딩된 3개의 도정면(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정축부(52)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56)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에는 상기 케이지(44)의 일단부를 개폐하도록 된 가압판(61)과, 이 가압판(6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3)와, 이 탄성부재(63)가 장착되는 회동축(66)과, 이 회동축(66)을 구동하여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한 상기 가압판(61)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핸들(67)을 포함하는 분도조절기(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66)은 상기 샤프트(50)의 축방향 연장선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핸들(67)은 상기 회동축(66)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0)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밀.
KR1020120045445A 2012-04-30 2012-04-30 라이스 밀 KR10134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45A KR101345470B1 (ko) 2012-04-30 2012-04-30 라이스 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45A KR101345470B1 (ko) 2012-04-30 2012-04-30 라이스 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61A KR20130122261A (ko) 2013-11-07
KR101345470B1 true KR101345470B1 (ko) 2013-12-27

Family

ID=4985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445A KR101345470B1 (ko) 2012-04-30 2012-04-30 라이스 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87B1 (ko) * 2014-10-30 2016-10-28 (주)바로인 낱알파손방지용 샤프트가 구비된 가정용 도정기
KR101721641B1 (ko) * 2016-02-17 2017-03-30 주식회사 에이원컴퍼니 도정기
KR101838539B1 (ko) * 2017-11-29 2018-03-14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왕겨분리기
KR102194917B1 (ko) * 2020-06-08 2020-12-24 경기도 3단 도정방식의 도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3Y1 (ko) 2001-02-22 2001-07-03 최복식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3Y1 (ko) 2001-02-22 2001-07-03 최복식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61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470B1 (ko) 라이스 밀
KR20190113976A (ko) 횡형 연삭식 정곡기
JP2015112550A (ja) 搗精装置
KR100882460B1 (ko) 연삭과 연미장치가 부가된 도정기
CN202723650U (zh) 一种研磨器
CN109277137B (zh) 一种调隙机构
KR100216117B1 (ko) 정미기
JP2012210691A (ja) 集塵アダプターおよび集塵アダプターを備えた動力工具
KR101102507B1 (ko) 세라믹 정미기의 로터 연삭장치
CN211026522U (zh) 一种多功能研磨机
CN208276703U (zh) 一种耐磨球表面打磨装置
KR20130058549A (ko) 곡물탈피기
CN114761133B (zh) 切削式精米机
JP5253032B2 (ja) 精穀装置
CN202283201U (zh) 一种磨浆机
KR20190005422A (ko) 정미기
KR20150059832A (ko) 수직 및 마찰식 정미기
JP6600371B2 (ja) 精米機
KR20180004614A (ko) 가정용 즉석 벼 도정기
KR101670387B1 (ko) 낱알파손방지용 샤프트가 구비된 가정용 도정기
JP6383618B2 (ja) 精米機
JP3129316U (ja) 精米装置
CN213611666U (zh) 一种多功能磨浆机
CN210357279U (zh) 一种双辊碾米机
KR101745396B1 (ko) 도정기용 샤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