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05Y1 -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05Y1
KR200451405Y1 KR2020100010041U KR20100010041U KR200451405Y1 KR 200451405 Y1 KR200451405 Y1 KR 200451405Y1 KR 2020100010041 U KR2020100010041 U KR 2020100010041U KR 20100010041 U KR20100010041 U KR 20100010041U KR 200451405 Y1 KR200451405 Y1 KR 200451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am
film
lif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장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환 filed Critical 장성환
Priority to KR2020100010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자나 떡류 등의 내용물을 자동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봉지된 필름을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커팅할 수 있고, 커터날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내용물이 밀봉된 포장용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된 하우징(71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773)과 하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 착좌대(772); 상기 상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바(751)와 상기 하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봉(766);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제1음각캠(72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제2음각캠(723)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회전체(720); 및 상기 제1음각캠(721)의 캠프로파일(721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종동휠(722)과 상기 제2음각캠의 캠프로파일(723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서 상기 승강봉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2종동휠(7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Cutting device and Wrapping machine with the same}
본 고안은 떡, 한과, 과자, 빵이나 케익 등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 필름의 이송, 밀봉 및 커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로 개선된 포장용 기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양 측면에 음각된 캠 프로파일이 각각 형성된 승강회전체를 이용하여 포장지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커팅하기 위한 음각캠이 형성된 승강회전체를 구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떡, 한과, 과자류, 빵이나 케익류와 같은 식료품은 보통 비닐 포장지 등에 담겨 유통 및 판매되는데, 이러한 내용물들을 포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포장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포장장치는 크게 자동 포장장치와 반자동 포장장치로 구별할 수 있는데, 반자동 포장장치라 함은 작업자가 포장지에 제품을 넣은 후 포장지의 끝 부분을 포장장치에 넣어 한 번에 하나씩 밀봉 포장하도록 된 장치를 말하며, 자동포장장치라함은 제품이 투입되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을 거쳐 자동으로 제품의 이송과 밀봉 및 커팅작업이 수행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1은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포장장치의 외관 구성도인데,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079073호 "포장장치"에서 그 구성의 일부를 개시한 바 있다. 본 고안에서도 도1의 구성과 공유되는 부분은 도1의 도면 번호를 그대로 참조할 것이며, 본 고안에 일체화된 상기 등록특허에서 이미 상술한 내용에 관하여는 본 고안에서 중복하여 자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종래의 포장장치는 하부에 위치하는 롤 형태의 필름(600)이 다수의 롤러(401~403)들을 거쳐 공급되는 제품 적치대(100), 제품 적치대(100)에서 이송되어 온 필름의 양 측 가장자리가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200)를 거치면서 밀착되는 필름의 양 측 가장자리를 밀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당겨주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부를 열융착하기 위한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용물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에서 봉지된 포장 필름의 밀봉부 외측단은 커터날 등을 통하여 절단한 후 포장공정이 마무리 된다.
그런데, 출원인은 종래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날이 부착되는 블럭이 에어 실린더(800)와 같은 유공압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에어 실린더(800)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의 구비가 반드시 요구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압축기 등이 하우징(7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장치의 무게가 증가함은 물론 압축기가 구동되는 소음이 항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커터날이 결합하여 상하로 구동되므로 필름을 절단 커팅할 때 커팅 충격이 장치에 전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유공압 장치 및 압축기의 구성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장치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장치의 무게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소음과 진동이 적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성능에 부정적인 진동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등록특허 제0790735호 "포장장치" 등록특허 제293108호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공개특허 제10-2009-0111201호 "낱장 절취 가능한 비닐시트 묶음 형성장치 및 비닐시트 묶음"
본 고안의 목적은 밀봉된 포장용 필름의 커팅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다수의 링크절이나 복잡한 승강장치가 없이도 양 측면에 캠 프로파일을 음각한 한 개의 승강회전체를 이용하여 커터날과 커터날 착좌대를 부드럽고 정확하게 승강시켜 포장지를 커팅할 수 있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가 제품 적재부, 포장 안내부 및 밀봉부와 결합하여 구성되는 포장장치를 아울러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용물이 밀봉된 포장용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된 하우징(71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773)과 하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 착좌대(772); 상기 상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바(751)와 상기 하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봉(766);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제1음각캠(72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제2음각캠(723)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회전체(720); 및 상기 제1음각캠(721)의 캠프로파일(721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종동휠(722)과 상기 제2음각캠의 캠프로파일(723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서 상기 승강봉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2종동휠(7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가 제안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블럭과 하단블럭 사이의 가이드봉 상에는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에는 가로바(752)가 결합하고, 상기 가로바에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딩 가이드(741) 상에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 블럭(742)이 결합하며, 상기 제1종동휠(722)이 상기 가로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포장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내용물을 밀봉 및 커팅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프레임(f) 전면부에 배치되며 필름(600)이 다수의 중간롤러(401~403)들을 거쳐서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0); 상기 제품 적재부를 지나 이송되어 온 필름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필름의 양측단이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를 거친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기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된 양측 가장자리를 열융착으로 밀봉 포장하는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 및 위에서 기술한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가 아울러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터날을 구동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장치의 무게와 부피가 감소할 뿐 아니라 압축기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계적인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 실린더에 부착된 커터날의 작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커터날의 동작 진동으로 인하여 장치의 부품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단일의 승강회전체에 의하여 커터날과 커터날 착좌대를 동시에 승강시키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면에서 유리하며,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포장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의 부분 절개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상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승강회전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승강회전체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배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8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의 부분 절개 외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상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장치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품 적재부(100), 포장 안내부(200), 다수의 중간롤러(401~403), 밀봉부(500) 및 커팅장치(7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포장장치는 본 고안에 일체화된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0790735호 및 출원인의 개발품인 도1의 포장장치와 커팅장치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동일한 제품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위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품 적재부(100)는 떡 등의 제품이 올려지며, 다수의 중간롤러(401~403)를 거치고 이송되어온 필름(600)이 그 상면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품 적재부(100)로 공급되는 필름 위에 얹혀진 내용물과 필름은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필름의 폭보다 좁은 폭은 가지는 유도판(210)과 바닥판(220)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안내부(200)로 이동한다.
필름(600)이 포장 안내부(200)를 지나는 동안 필름의 양측단부, 즉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일정 부분 접히게 된다.
포장 안내부(200)의 전방에는 한 조의 구동롤러(511)와 피동롤러(512)로 이루어지는 풀링롤러(pulling roller,51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풀링롤러(510)는 접힌 필름(600)의 양 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링롤러(510)의 전방에는 밀착된 필름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밀봉하기 위한 열융착롤러(5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S와 C는 풀링롤러(510)와 열융착롤러(52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켓 및 체인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미설명부호 900은 장치의 제어를 위한 회로와 전기전자 소자들이 내장된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2 내지 도4는 위의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에서 커팅장치(700) 만을 도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생략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팅장치(700)는 크게 하우징(710) 내부의 모터 베이스(71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712), 상기 구동모터(712)의 모터축(712a)에 연결되는 회전축(713)에 결합하는 승강회전체(720), 상기 승강회전체(720)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바(751)과 승강봉(766), 상기 승강바(751)에 결합하여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는 상단블럭(761), 상기 승강봉(766)에 결합하여 상기 상단블럭(761) 하부의 상기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는 하단블럭(762), 상기 상단블럭(761)에 고정되는 커터날 홀더(771) 및 상기 하단블럭(762)에 고정되는 커터날 착좌대(7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봉(763)은 하우징(71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좌우측 한 쌍으로 설치되며,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710)의 상면에 보강판(781)을 대고 상기 보강판(781)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763)의 상·하부에는 상단블럭(761)과 하단블럭(762)이 가이드봉(763)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승강하도록 각각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65는 상·하단 블럭(761,762)을 가이드봉(763)에 결합하기 위한 가이딩 보스(guiding boss)를 나타내는데 상·하단 블럭(761,762)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된다.
상기 상단블럭(761)에는 홀더 고정블럭(774)에 의하여 커터날 홀더(771)가 고정 결합하며, 상기 커터날 홀더(771)에 커터날(773)이 결합한다. 상기 커터날 홀더(771)와 상단블럭(761) 간에는 완충 가이드봉(775)이 좌우로 결합하여 커팅동작시 커터날 홀더(771)가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 가이드봉(775)의 외주부에는 완충 스프링(776)이 장착되고,상기 가이드봉(763)의 외주부에는 탄성 스프링(764)이 장착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82는 가이드봉(76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보조판을 나타내며, 상기 보조판(782)에는 한 쌍의 관통공(783)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블럭(761)의 양 측단에는 승강바(751)가 고정 결합하고, 승강바(751)의 하단은 하우징(710)을 관통하여 하우징(710)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하우징(7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좌우측 승강바(751)의 하단부에는 가로바(752)가 결합한다.
상기 가로바(752)의 절곡된 측면과 승강바(751)의 측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핀구멍(752a,751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핀구멍에는 높이 조절핀(751b)이 결합한다.
상기 구동모터(712)에 동력 연결되는 회전축(713) 상에는 승강회전체(720)가 축설되는데, 상기 승강회전체(720)의 전후 양 측면에 제1 및 제2 음각캠(721,723)이 형성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승강회전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승강회전체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커팅장치 하부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상기 승강회전체(7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로서 전후방의 판면에 각각 제1음각캠(721)과 제2음각캠(723)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및 제2음각캠(721,723)은 각각 승강바(751)와 승강봉(766)의 승강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오목하게 함몰된 내벽면에 각각 제1캠프로파일(721a,721b)과 제2캠프로파일(723a,723b)를 형성한다. 상기 제1캠프로파일은 제1 내측 캠프로파일(721a)과 제1 외측 캠프로파일(7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캠프로파일은 제2 내측 캠프로파일(723a)과 제2 외측 캠프로파일(72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음각캠(721) 및 제2음각캠(723)의 폭은 이에 결합하여 운동하는 후술할 제1 및 제2 종동휠(722,72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즉, 제1음각캠(721)의 제1 내측 캠프로파일(721a)과 제1 외측 캠프로파일(721b) 간의 거리가 제1종동휠(72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며, 제2음각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치이다.
상기 승강회전체(720)에 일정한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음각캠 및 제2음각캠(721,7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캠프로파일(721a,723a)에 접촉하여 구르는 제1종동휠(722)과 제2종동휠(724)이 구비된다.
상기 제1음각캠(721)은 승강바(751), 상단블럭(761) 및 커터날 홀더(771)를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바(7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종동휠(722)과 접촉하여 캠운동한다. 즉 제1종동휠(722)이 상기 제1음각캠(721)의 내벽면인 캠프로파일(721a)을 따라 구속되어 회전하면서 승강바(751)가 상하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음각캠(723)은 승강봉(766), 하단블럭(762) 및 커터날 착좌대(772)를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봉(76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종동휠(724)과 접촉하여 캠운동한다. 즉, 제2종동휠(724)이 상기 제2음각캠(723)의 내벽면인 캠프로파일(723a)을 따라 구속되어 회전하면서 승강봉(766)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판(781)에는 승강봉(766)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딩 보스(766a)가 관통 결합하고, 하우징(710)의 내부에 까지 연장된다. 상기 승강봉(766)은 상기 가이딩 보스(766a)의 내경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승강운동하게 된다.
상기 가로바(752)에는 슬라이딩 블럭(742)이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럭(742)은 하우징(710)의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741)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커팅장치(700)에 의하면 회전축(713)이 회전하면 승강회전체(72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커터날(773)을 장착한 커터날 홀더(771)가 하강함과 동시에 커터날 착좌홈(772a)이 상면에 형성된 커터날 착좌대(772)가 상승하면서 필름을 절단 커팅하게 된다. 따라서, 커팅 동작이 소음이나 진동없이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13a는 커플링을 나타내고, 713b는 회전축(713)의 키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의 커팅장치(700)를 포장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소음이나 진동이 적으며, 커팅동작이 신속하고 부드럽게 수행될 뿐 아니라 하나의 승강회전체(720)로서 커터날(773)과 커터날 착좌대(772)의 상하 승강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효율면에서 유리하며 커팅동작이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과자, 떡, 케익과 빵 등의 음식물을 자동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래 포장장치의 소음, 진동 및 커팅동작을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부피나, 무게가 감소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설계된 바 음식료품의 제조, 유통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해당 업계에서 채택하면 편리할 것이다.
100: 제품 적재부 200: 포장 안내부
210: 유도판 220: 바닥판
300: 수거부 401~403: 롤러
510: 풀링 롤러 511: 구동 롤러
512: 피동 롤러 520: 열융착 롤러
530: 동력 전달축 600: 필름
700: 커팅장치 710: 하우징
711: 모터 베이스 712: 구동모터
713: 회전축 720: 승강회전체
721: 제1음각캠 721a,721b: 제1캠프로파일
722: 제1종동휠 723: 제2음각캠
723a,723b: 제2캠프로파일 724: 제2종동휠
741: 슬라이딩 가이드 742: 슬라이딩 블럭
751: 승강바 752: 가로바
761: 상단블럭 762: 하단블럭
763: 가이드봉 764: 탄성 스프링
766: 승강봉 766a: 가이딩 보스
766b: 연장편 766c: 개방공
771: 커터날 홀더 772: 커터날 착좌대
773: 커터날 774: 홀더 고정블럭
775: 완충 가이드봉 776: 완충 스프링

Claims (4)

  1. 내용물이 밀봉된 포장용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된 하우징(71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773)과 하단블럭에 결합하는 커터날 착좌대(772);
    상기 상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바(751)와 상기 하단블럭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승강봉(766);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제1음각캠(72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제2음각캠(723)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회전체(720); 및
    상기 제1음각캠(721)의 캠프로파일(721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종동휠(722)과 상기 제2음각캠의 캠프로파일(723a)과 접촉하여 캠운동함으로서 상기 승강봉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2종동휠(7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과 하단블럭 사이의 가이드봉 상에는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에는 가로바(752)가 결합하고, 상기 가로바에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딩 가이드(741) 상에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 블럭(742)이 결합하며, 상기 제1종동휠(722)이 상기 가로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4. 포장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내용물을 밀봉 및 커팅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프레임(f) 전면부에 배치되며 필름(600)이 다수의 중간롤러(401~403)들을 거쳐서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0);
    상기 제품 적재부를 지나 이송되어 온 필름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필름의 양측단이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를 거친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기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된 양측 가장자리를 열융착으로 밀봉 포장하는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2020100010041U 2010-09-29 2010-09-29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KR200451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1U KR200451405Y1 (ko) 2010-09-29 2010-09-29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1U KR200451405Y1 (ko) 2010-09-29 2010-09-29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405Y1 true KR200451405Y1 (ko) 2010-12-13

Family

ID=4447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41U KR200451405Y1 (ko) 2010-09-29 2010-09-29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0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63B1 (ko) 2012-06-04 2013-07-09 김현수 물품포장기용 절단장치
KR101552915B1 (ko) * 2014-01-24 2015-09-15 김형년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KR101577808B1 (ko) * 2015-05-13 2015-12-16 주식회사 삼정지비엘 떡 포장기의 컷팅장치
CN112829998A (zh) * 2021-03-06 2021-05-25 朱文贵 一种铝窗边框用自动紧密贴膜边角自动定位切断的装置
CN116330672A (zh) * 2023-05-30 2023-06-27 北京精仪天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tpu薄膜热熔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KR102556678B1 (ko) 2023-03-27 2023-07-18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단속 운전이 가능한 고속 컷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08B1 (ko) 1998-11-06 2002-01-09 김기태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08B1 (ko) 1998-11-06 2002-01-09 김기태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63B1 (ko) 2012-06-04 2013-07-09 김현수 물품포장기용 절단장치
KR101552915B1 (ko) * 2014-01-24 2015-09-15 김형년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KR101577808B1 (ko) * 2015-05-13 2015-12-16 주식회사 삼정지비엘 떡 포장기의 컷팅장치
CN112829998A (zh) * 2021-03-06 2021-05-25 朱文贵 一种铝窗边框用自动紧密贴膜边角自动定位切断的装置
KR102556678B1 (ko) 2023-03-27 2023-07-18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단속 운전이 가능한 고속 컷팅장치
CN116330672A (zh) * 2023-05-30 2023-06-27 北京精仪天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tpu薄膜热熔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CN116330672B (zh) * 2023-05-30 2023-08-08 北京精仪天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tpu薄膜热熔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405Y1 (ko)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US10919170B2 (en) Food product slicing apparatus
KR200462451Y1 (ko) 포장장치
KR200450893Y1 (ko) 포장장치
US20150202831A1 (en) Packaging Machine for Food Product
CN110654621A (zh) 一种小袋抓取式装箱机
CA1294526C (fr) Machine pour le thermoformage d'un film etanche a l'interieur d'un conteneur en carton pour l'emballage d'une denree a conserver et pour l'operculage du conteneur
CN112454983A (zh) 一种高平整度烟盒生产工艺
CN209758665U (zh) 一种顶部覆膜机
KR20120095276A (ko) 맛살 입봉장치
CN115122783B (zh) 一种自动对准的茶叶包装箱打码机
CN214191792U (zh) 一种环保烟盒高效生产线
CN210337083U (zh) 一种瓦楞纸板压痕装置
CN210312035U (zh) 一种双层烘箱上的龙门升降架
CN110216916B (zh) 一种制袋机
CN208166176U (zh) 一种礼品包装纸全自动分卷设备
JP3523227B2 (ja) 包装機及びこの包装機を用いた包装フィルムのシール方法
KR101089703B1 (ko) 패턴지 상자 자동 접지장치
CN216834401U (zh) 一种托盒保鲜膜包装机托盒顶起装置
CN214191793U (zh) 一种方便面盒用高效生产线
CN113199807B (zh) 一种面向智能仓储的纸箱高效裁剪系统
CN116280528B (zh) 一种自动插管机
CN108312613B (zh) 一种自动切块机
KR100806147B1 (ko)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N220640370U (zh) 一种青团自动包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