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147B1 -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147B1
KR100806147B1 KR1020070008500A KR20070008500A KR100806147B1 KR 100806147 B1 KR100806147 B1 KR 100806147B1 KR 1020070008500 A KR1020070008500 A KR 1020070008500A KR 20070008500 A KR20070008500 A KR 20070008500A KR 100806147 B1 KR100806147 B1 KR 100806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film
packaging
uni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구
Original Assignee
신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구 filed Critical 신형구
Priority to KR102007000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Abstract

초밥, 떡(이하, "음식물" 이라 한다) 등과 같이 낱개로 소형으로 제작가능한 음식물을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않도록 하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음식물을 롤(roll)으로부터 이송(feeding)되는 포장필름으로 각각 자동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며 다수의 캠이 장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방향이 변경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동일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에 올려지는 음식물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턴테이블과,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안착홈으로부터 음식물을 탈취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포켓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탈취부와,
이송모터와, 포장필름이 감긴 롤과, 이송모터의 구동시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롤으로부터 포장필름을 안착홈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포장필름 공급부와,
포장필름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과,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링크운동되는 로드 및 링크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날에 의해 포장필름을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포장필름 절단부와,
구동축에 장착된 소정의 캠의 운동에 의해 음식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대항하는 한 쌍의 제1접이부재와 음식물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접이부재로 이루어지고, 포켓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접어 음식물을 감싸는 음식물 포장부와,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접합봉으로 이루어지며, 제2접이부재상측에 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이송부 이동에 의해 제2접이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에 감싸여진 포장필름의 접혀진 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접합부와,
동력발생부, 포장필름 공급부 및 접합부의 해당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음식물, 포장장치, 포장필름, 히터

Description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a packing device of food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동력발생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포장필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포장필름을 공급하는 포장필름 공급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길이방향으로 포장하는 포장필름을 접는 접이수단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폭방향으로 포장하는 포장필름을 접는 접이수단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포장필름을 접합시키는 접합수단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포장부쪽으 로 들어올리는 음식물 탈취부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길이방향으로 포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폭방향으로 포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에서 음식물을 포장하는 작업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구동모터 2; 체인
3-9; 캠 10; 구동축
11; 제1기어 12; 제2기어
13; 안착홈 14; 음식물
15; 수직이동봉 16; 포켓
17; 링크 18; 가이드핀
19; 이송모터 20; 구동롤러
21; 아이들롤러 22; 롤
23; 포장필름 24; 벨트
25; 회전축 26; 탄성부재
27; 축 28; 고정날
29; 로드 30; 링크
31; 이동날 32; 제1접이부재
33; 제2접이부재 34; 링크
35; 로드 36; 링크
37,38; 가이드레일 39; 로드
A; 동력발생부 B; 턴테이블
C; 음식물 탈취부 D; 포장필름 공급부
E; 포장필름 절단부 F; 음식물 포장부
G; 접하부 H; 제어부
본 발명은 초밥, 떡(이하, "음식물" 이라 한다) 등과 같이 낱개로 소형으로 제작가능한 음식물을 포장필름으로 낱개로 연속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않도록 하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음식물을 롤(roll)으로부터 이송(feeding)되는 포장필름으 로 각각 자동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 낱개 포장장치(특허출원 제12861호)는, 음식물을 평면의 포장지(포장필름을 말함)를 이용하여 감싸도록 한 후, 열융착하여 포장하는 음식물 포장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의 상면에 포장지가 안착되도록 포장지를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홀에 안착된 음식물을 절단된 포장지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음식물 이송부와,
음식물 이송부의 홀을 관통하여 음식물을 홀의 상부로 이송하는 수직이송부와,
수직이송부의 상단에 안착된 음식물을 포장지가 감싸도록 음식물의 바깥방향에서 음식물의 저면 안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장지의 가장자리를 접는 다수개의 접이판과,
포장지에 의해 감싸여진 음식물을 밖으로 밀어내는 수평이송부와,
수평이송부에 의해 밀려 나가는 음식물에 대하여 포장지가 접혀진 부위에 위치하며 열을 발생하는 가열부와,
절단부와, 음식물 이송부와, 수평이송부와, 수직이송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음식물 낱개 포장장치는, 음식물을 감싸 포장하는 포장장치의 구동부재(링크, 로드 등을 말함)들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포장시 작업자가 이들 구동부재와 접촉으로 인해 다치는 안전사고(安全事故)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식물을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않도록 하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음식물을 포장필름으로 낱개로 자동 포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장치의 구동부재(링크, 체인, 로드(rod)와 같은 동력전달용 부품을 말함)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시 작업자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며 다수의 캠이 장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방향이 변경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동일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에 올려지는 음식물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턴테이블과,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 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안착홈으로부터 음식물을 탈취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포켓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탈취부와,
이송모터와, 포장필름이 감긴 롤과, 이송모터의 구동시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롤으로부터 포장필름을 안착홈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포장필름 공급부와,
포장필름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과,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링크운동되는 로드 및 링크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날에 의해 포장필름을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포장필름 절단부와,
구동축에 장착된 소정의 캠의 운동에 의해 음식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대항하는 한 쌍의 제1접이부재와 음식물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접이부재로 이루어지고, 포켓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접어 음식물을 감싸는 음식물 포장부와,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접합봉으로 이루어지며, 제2접이부재상측에 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이송부 이동에 의해 제2접이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에 감싸여진 포장필름의 접혀진 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접합부와,
동력발생부, 포장필름 공급부 및 접합부의 해당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방법은, 본 발명의 포장장치를 이용하 여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방법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턴테이블 회전으로 소정위치에 이동시키는 제1단계(S100 참조)와,
포장필름 공급부의 롤으로부터 이송되는 포장필름을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제2단계(S200 참조)와,
포켓에 수용되며 포장필름이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수직이동봉에 의해 음식물 포장부의 제1,2접이부재쪽으로 들어올리는 제3단계(S300 참조)와,
음식물의 바닥면과 포켓상면사이에 한 쌍의 제1접이부재를 집어넣어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1,2면)를 음식물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은후, 음식물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3면)를 제2접이부재에 의해 음식물 길이방향으로 접어진 포장필름 아래로 일부 포개지도록 접는 제4단계(S400 참조)와,
제2접이부재 상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이송부에 의해 제2접이부재에 안착된 음식물을 접합부쪽으로 이동시 음식물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4면)를 접는 제5단계(S500 참조)와,
제4,5단계에 의해 음식물 바닥면에 접어져 포개지는 포장필름의 접혀진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제6단계(S600 참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음식물 포장부는, 가이드레일 상측에 대항되게 설치되며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측판의 안착홈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이동봉 상승으로 포켓에 수용되어 상승되는 음식물의 상면을 가압하며, 음식물에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제1,2접이부재에 의해 접을 경우 음식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측판의 안착홈은, 음식물의 크기에 따라 가압편의 승강되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과, 상부 안착홈과 연통되는 하부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가압편은, 상부 안착홈과 하부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상부 가압편과, 상부 가압편에 대항하게 형성되며 음식물의 상면을 가압하는 하부 가압편과, 하부 가압편과 상부 가압편사이에 설치되며 포켓 승강시 연동되는 가압편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식물 포장부는, 음식물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가이드레일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전커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포장필름 공급부는, 포장필름이 감긴 롤이 안착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롤과, 받침롤중 어느 하나의 받침롤 외측면에 설치되어 받침롤의 회전을 제한하여 포장필름의 텐션을 유지하는 띠형상의 패드와, 패드 일단에 고정되어 패드를 받침롤에 대해 가압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식물 포장부는,
음식물에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3면)를 제2접이부재 구동에 의해 접는 동작과, 포장필름의 제1,2,3면이 접어진후 제2접이부재에 안착된 음식물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이송부 이동으로 제2접이부재로 부터 접합부쪽으로 이송시켜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4면)를 접는 동작이 구동축에 장착된 하나의 캠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포장필름이 감긴 롤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받침롤의 연장축에 지지되고,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포장필름의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생커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필름의 융착고정되는 접합부위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접합부의 열접합봉이 6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는, 구동모터(1)와, 구동모터(1)에 체인(2)을 통해 연결되고 구동모터(1) 구동시 회전되며 다수의 캠(3-9)(7개가 장착됨)이 장착되는 구동축(10)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A)와,
구동축(10)에 장착된 제1기어(11)(베벨기어)와, 제1기어(11)와 이맞물림되는 제2기어(12)(베벨기어)에 의해 구동축(10)으로부터 구동방향이 변경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동일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홈(13)에 올려지는 음식물(14)(낱개로 제작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초밥, 떡 등을 말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턴테이블(B)과,
구동축(1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5)의 캠운동시 연동되는 링크(17)와, 링크(17)에 의해 가이드핀(18)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봉(15)과, 수직이동봉(15) 상단에 장착되며 안착홈(13)으로부터 음식물(14)을 탈취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포켓(16)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탈취부(C)와,
이송모터(19)와, 포장필름(23)이 감긴 롤(22)과, 이송모터(19)에 벨트(24)(타이밍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회전축(25)에 장착되며 이송모터(19) 구동시 구동되는 구동롤러(20)와, 탄성부재(26)(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가능한 축(27)에 장착되어 구동롤러(20)와 마찰접촉되는 아이들롤러(21)로 이루어지며, 구동롤러(20)와 아이들롤러(21)의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롤(22)에 감긴 포장필름(23)을 안착홈(13)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포장필름 공급부(D)와,
포장필름(23)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28)과, 구동축(1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6)의 운동에 의해 링크운동되는 로드(29) 및 링크(30)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날(31)로 이루어지며, 고정날(28)과 이동날(31)에 의해 포장필름(23)을 음식물(14)을 포장할 수 있는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포장필름 절단부(E)와,
구동축(10)에 장착된 캠(3)의 캠운동시 연동되는 링크(34,36), 로드(35)의 링크운동에 의해 가이드레일(37)을 따라 음식물(1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대항하는 한 쌍의 제1접이부재(32)와, 구동축(10)에 장착된 캠(4)의 캠운동시 연동되는 로드(39), 링크(40)의 링크운동에 의해 가이드레일(38)을 따라 음식 물(14)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접이부재(33)로 이루어지고, 포켓(16)에 수용되는 음식물(14)에 씌워진 포장필름(23)의 가장자리를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제1,2접이부재(32,33)에 의해 접어 음식물(14)을 감싸는 음식물 포장부(F)와,
구동축(1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7)의 캠운동시 연동되는 링크(42a)의 링크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동봉(42)과, 수직이동봉(42) 상단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열접합봉(43)(일예로서, 포장필름(23)의 융착고정되는 접합부위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6개가 사용됨)로 이루어지며, 제2접이부재(33)에 의해 음식물(14)의 폭방향으로 포장필름(23) 가장자리를 접은 후 제2접이부재(33)에 대기중인 음식물(14)을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레일(38)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핀(45)을 따라 제2접이부재(33)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이송부(44)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14)에 감싸여진 포장필름(23)의 접혀진 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접합부(G)와,
동력발생부(A), 포장필름 공급부(D) 및 접합부(G)의 해당 구동부를 제어하는 각종 스위치가 장착된 제어부(컨트롤박스를 말함)(H)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음식물 포장부(F)는,
가이드레일(37) 상측에 대항되게 설치되며 안착홈(46)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47)과,
측판(47)의 안착홈(46)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이동봉(15) 상승으로 포켓(16)에 수용되어 상승되는 음식물(14)의 상면을 가압하며, 음식물(14)에 씌 워진 포장필름(23)의 가장자리를 제1,2접이부재(32,33)에 의해 접을 경우 음식물(14)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편(48)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포장필름(23)이 감긴 롤(22)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받침롤(51,52)의 연장축에 지지되고, 외부의 이물질(인체에 유해한 먼지 등을 말함)로부터 포장필름(23)의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생커버(10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측판(47)의 안착홈(46)은,
음식물(14)의 크기에 따라 가압편(48)의 승강되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46a)과,
상부 안착홈(46a)과 연통되는 하부 안착홈(46b)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가압편(48)은, 상부 안착홈(46a)과 하부 안착홈(46b)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상부 가압편(48a)과,
상부 가압편(48a)에 대항하게 형성되며 음식물(14)의 상면을 가압하는 하부 가압편(48b)과,
하부 가압편(48b)과 상부 가압편(48a)사이에 설치되며 포켓(16) 승강시 연동되는 가압편(48)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탄성부재(49)(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식물 포장부(F)는, 음식물(14)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가이드레일(37,38)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전커버(5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포장필름 공급부(D)는,
포장필름(23)이 감긴 롤(22)이 안착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롤(51,52)과,
받침롤중 어느 하나의 받침롤(51) 외측면에 설치되어 받침롤(51)의 회전을 제한하여 포장필름(23)의 텐션을 유지하는 띠형상의 패드(53)와,
패드(53) 일단에 고정되어 패드(53)를 받침롤(51)에 대해 가압지지하는 탄성부재(54)(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8a은 구동축(10)에 장착되는 캠(8)에 착탈가능하게 접촉되고 음식물(14)을 포장필름(23)으로 포장하는 1사이클이 완료되는 경우 리셋기능을 하게되는 리미트스위치이다. 9a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 캠(9)에 착탈가능하게 접촉되고 턴테이블(B)의 안착홈(13)에 음식물(14)이 올려져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5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이송모터(19)를 구동시켜 포장필름(23)을 이송키는 리미트스위치이다. 27a는 구동롤러(25)와 아이들롤러(27)사이에 포장필름을 초기에 용이하게 집어넣을 수 있도록 아이들롤러(27)에 연장형성되는 레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어부(H)의 전원 스위치(H1)를 조작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모터(1)가 구동된다. 구 동모터(1)로부터 체인(2)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축(10)이 회전된다. 이때 구동축(10)에 장착된 캠(3-9)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축(10)에 장착된 제1기어(11)(베벨기어가 사용됨)와 이와 치합된 제2기어(12)(베벨기어가 사용됨)의 상호 이맞물림으로 인해 구동축(10)의 회전력은 "X"축 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B)은 "Y"축 방향으로 역방향으로(반시계방향을 말함) 회전된다.
S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B)에 등간격으로 동일원주상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13)에 안착된 음식물(14)은 턴테이블(B)의 회전으로 인해 소정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안착홈(13)의 상방에 설치된 센서(55)(일예로서, 광센서가 사용됨)에 의해 안착홈(13)에 음식물(14)이 안착되어 이동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센서(55)에 의한 검출신호는 제어부(H)(컨트롤박스를 말함)에 전달된다. 제어부(H)에서는 센서(55)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포장필름공급용 이송모터(19)를 구동시킨다.
이송모터(19)에 연결된 벨트(24)(타이밍벨트) 구동으로 인해 회전되는 회전축(25)의 구동롤러(20)와, 구동롤러(20)와 접촉되도록 축(27)에 고정된 아이들롤러(21)의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한 쌍의 받침롤(51,52)에 안착된 롤(22)에 감긴 포장필름(23)이 풀려나온다.
롤(22)으로부터 풀려나오는 포장필름(23)이 받침롤(51) - 중간롤(56) - 지지판(57)을 차례로 통과하여 구동롤러(20)와 아이들롤러(21)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받침롤(51) 외측면에 밀착되는 띠형상의 패드(53)의 가압으로 인해 받침롤(5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므로, 롤(22)으로부터 풀려나오는 포장필름(23)은 텐션(장력을 말함)을 유지할 수 있다.
S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장착된 캠(6)(포장필름(23)을 절단하도록 동력을 공급한다)의 구동으로 인해 링크운동을 하는 링크(30), 로드(29), 링크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날(31)과, 포장필름(23) 공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28)에 의해 포장필름(23)을 소정크기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되는 포장필름(23)은 안착홈(13) 상방에 형성된 거치대(57)에 안착된다.
S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장착된 캠(5)(포켓(16)을 승강시키도록 동력을 공급한다)의 구동으로 인해 링크운동을 하는 링크(17)에 의해 수직이동봉(15)이 가이드 핀(18)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수직이동봉(15) 상승으로 인해 수직이동봉(15) 상단에 고정된 포켓(16)이 안착홈(13)에 안착된 음식물(14)을 탈취하여 음식물 포장부(F)쪽으로 상승된다. 이때 거치대(57)에 안착된 포장필름(23)이 음식물(14) 상면에 안착되므로 가이드레일(37)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수용부(59)에 포장필름(23)이 안착된 음식물(14)이 수용된다.
이때, 포장필름(23)이 음식물(14)(일예로서, 음식물(14)의 단면형상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경우를 말함)의 상면과 사방 외측면을 감싼다.
S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장착된 캠(3)(제1접이부재(32)를 음식물(14)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공급한다)의 구동으로 인해 링크운동을 하는 링크(34), 로드(35), 링크(36), 로드(36a)의 구동으로 한 쌍의 제1접이부재(32)가 가이드레일(37)을 따라 음식물(14)쪽으로 전진 이동된다.
즉, 제1접이부재(32)가 음식물(14)과 포켓(16)상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음식물(14)의 길이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23)의 가장자리(제1,2면(23a,23b)을 말함)를 음식물(14) 바닥면에 접는다.
이때, 포켓(16)은 캠(5) 구동으로 인한 수직이동동(15)의 하강으로 인해 음식물(14)으로부터 이탈되며, 음식물(14)은 한 쌍의 제1접이부재(32)위에 놓여진다. 전술한 가이드레일(37) 상측에 설치된 가압편(48)의 가압에 의해 포장필름(23)으로 감싸지는 음식물(14)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가압편(48)은 음식물(14)의 크기에 따라 그 장착위치가 가변 조정된다. 즉 음식물(14)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상부 가압편(48a)이 측판(47)에 형성된 하부 안착홈(46b)에 결합된다. 반면에 음식물(14)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상부 가압편(48a)이 측판(47)에 형성된 상부 안착홈(46a)에 결합된다.
또한, 전술한 음식물(14)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가압편(48)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상부 가압편(48a)과 하부 가압편(48b)사이에 탄설된 탄성부재(49)(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의 탄셩력에 의해 가압편(48)의 회동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제1접이부재(32)가 음식물(14)쪽으로 완전하게 전진 이동한 경우, 구동축(10)에 장착된 캠(4)(제2접이부재(33)를 음식물(14)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공급한다)의 구동으로 인해 링크운동을 하는 링크(40), 로드(39), 링크(41) 의 구동으로 제2접이부재(33)가 가이드레일(38)을 따라 음식물(14)쪽으로 전진 이동된다.
즉, 제2접이부재(33)가 음식물(14)을 받쳐주고 있는 한 쌍의 제1접이부재(32) 밑으로 진입한다. 이로 인해 음식물(14)의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23)의 가장자리(제3면(23c)을 말함)를 제1,2면(23a,23b) 밑으로 접는다. 이때 제2접이부재(33)가 음식물(14) 밑으로 완전하게 이동한 경우, 한 쌍의 제1접이부재(32)는 캠(3) 구동으로 인해 가이드레일(37)을 따라 초기위치로 후진 이동한다.
S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캠(4) 구동으로 인해 제2접이부재(33) 상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44)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접이부재(33)위에 놓여진 음식물(14)을 접합부(G)쪽으로 이동시킨다. 음식물(14)이 제2접이부재(33)로부터 이탈되어 접합부(G)쪽으로 이동되므로 제3면(23c)에 대항되는 포장필름(23)의 가장자리(제4면(23d)을 말함)를 제3면(23c) 밑으로 접는다.
이때, 가이드레일(37) 상측에 설치된 가압편(48)에 의해 음식물(14)이 눌러지므로 제2접이부재(33)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S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필름(23)에 의해 육면이 감싸여진 음식물(14)이 접합부(G)에 이동되는 경우, 구동축(10)에 장착된 캠(7) 구동으로 인해 링크운동을 하는 링크(42a), 수직이동봉(42)의 구동으로 상승되는 열접합봉(43)에 의해 음식물(14)을 감싼 포장필름(23)의 접힘부를 열융착으로 고정한다.
전술한 캠(4) 구동으로 인해 이송부(44)에 연장형된 푸셔(미도시됨)(pusher)에 의해 접합부(G)에 의해 접힘부분이 열융착되어 포장처리된 음식물(14)을 배출슈 트(61)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음식물(14)을 포장하는 1사이클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음식물(14)을 포장하는 구동부 외측으로 빙둘러 설치되는 안전용 케이싱(62)과, 음식물 포장부(F)의 제1,2접이부재(32,33)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전커버(50)에 의해 음식물을 포장할 경우, 작업자의 장갑 또는 의류가 해당 부품에 말려들어가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음식물을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않도록 하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음식물을 포장필름으로 낱개로 자동 포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음식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포장장치의 구동체인과 같은 구동부재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시 작업자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며 다수의 캠이 장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방향이 변경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동일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에 올려지는 음식물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턴테이블;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음식물을 탈취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포켓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탈취부;
    이송모터와, 포장필름이 감긴 롤과, 이송모터의 구동시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롤으로부터 포장필름을 상기 안착홈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포장필름 공급부;
    상기 포장필름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링크운동되는 로드 및 링크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날에 의해 포장필름을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포장필름 절단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소정의 캠의 운동에 의해 음식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대항하는 한 쌍의 제1접이부재와 음식물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접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켓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접어 음식물을 감싸는 음식물 포장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캠의 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동봉과, 수직이동봉 상단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접합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접이부재상측에 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이송부 이동에 의해 제2접이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에 감싸여진 포장필름의 접혀진 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접합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 포장필름 공급부 및 접합부의 해당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포장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측에 대항되게 설치되며 상,하부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하부 안착홈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이동봉 상승으로 포켓에 수용되어 상승되는 음식물의 상면을 가압하며, 음식물에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1,2접이부재에 의해 접을 경우 음식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가압편과 하부 가압편으로 이루어진 가압편; 및
    상기 하부 가압편과 상부 가압편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포장부는,
    음식물에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3면)를 상기 제2접이부재 구동에 의해 접는 동작과, 포장필름의 제1,2,3면이 접어진후 상기 제2접이부재에 안착된 음식물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이송부 이동으로 제2접이부재로 부터 접합부쪽으로 이송시켜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4면)를 접는 동작이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하나의 캠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필름이 감긴 롤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받침롤의 연장축에 지지되고,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포장필름의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생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필름의 융착고정되는 접합부위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합부의 열접합봉이 6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6. 청구항 1항의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방법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턴테이블 회전으로 소정위치에 이동시키는 제1단계;
    포장필름 공급부의 롤으로부터 이송되는 포장필름을 소정크기로 절단하는 제2단계;
    포켓에 수용되며 포장필름이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수직이동봉에 의해 음식물 포장부의 제1,2접이부재쪽으로 들어올리는 제3단계;
    음식물의 바닥면과 포켓상면사이에 한 쌍의 제1접이부재를 집어넣어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1,2면)를 음식물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은후, 음식물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3면)를 제2접이부재에 의해 음식물 길이방향으로 접어진 포장필름 아래로 일부 포개지도록 접는 제4단계;
    상기 제2접이부재 상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이송부에 의해 제2접이부재에 안착된 음식물을 접합부쪽으로 이동시 음식물 폭방향으로 씌워진 포장필름의 가장자리(제4면)를 접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5단계에 의해 음식물 바닥면에 접어져 포개지는 포장필름의 접혀진부위를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방법.
KR1020070008500A 2007-01-26 2007-01-26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100806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00A KR100806147B1 (ko) 2007-01-26 2007-01-26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00A KR100806147B1 (ko) 2007-01-26 2007-01-26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147B1 true KR100806147B1 (ko) 2008-02-22

Family

ID=3938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00A KR100806147B1 (ko) 2007-01-26 2007-01-26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4073A (zh) * 2013-05-16 2013-09-04 肖飞 月饼自动装托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567A (en) 1976-06-24 1978-04-25 Package Machinery Company High speed wrapping machine with rotary folder
JPS6455203U (ko) 1987-10-01 1989-04-05
JPH0343193A (ja) * 1989-07-11 1991-02-25 Mase Bankin Seisakusho:Kk 豆腐の切断パック詰め装置
KR20030066248A (ko) * 2002-02-05 2003-08-09 최용주 사출금형에서 히터가 내장된 매니폴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567A (en) 1976-06-24 1978-04-25 Package Machinery Company High speed wrapping machine with rotary folder
JPS6455203U (ko) 1987-10-01 1989-04-05
JPH0343193A (ja) * 1989-07-11 1991-02-25 Mase Bankin Seisakusho:Kk 豆腐の切断パック詰め装置
KR20030066248A (ko) * 2002-02-05 2003-08-09 최용주 사출금형에서 히터가 내장된 매니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4073A (zh) * 2013-05-16 2013-09-04 肖飞 月饼自动装托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9412B1 (en) Packaging for mattresse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packaging
KR100790735B1 (ko) 포장장치
BR112014027930B1 (pt) sistema para a retirada da caixa envoltória que abriga embalagens de acondicionamento, para carregamento numa máquina empacotadora de produtos, e método para retirada de embalagens de acondicionamento de dentro de uma caixa envoltória para alimentação a uma máquina empacotadora de produtos
US9193488B2 (en)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with stretchable and heat-weldable film
KR100806147B1 (ko)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N209921738U (zh) 一种无纺布包装封口装置
KR200450893Y1 (ko) 포장장치
KR200462451Y1 (ko) 포장장치
JP6152132B2 (ja) ひねり包装装置
JP5763332B2 (ja) 包装機
JP5271819B2 (ja) 胴巻き包装機
JP2015081109A (ja) 食物収納包装方法
JP2017071432A (ja) 脱気装置および包装機
JPH0664620A (ja) 容器の段重ね帯掛け包装機
KR20190097517A (ko) 면봉 이송 장치
KR102554840B1 (ko) 직접투입방식의 필로우 포장기
KR102402867B1 (ko) 과자 포장지용 열융착장치
JP5446463B2 (ja) 包装装置
KR20230057720A (ko) 버티컬타입 실링장치
CN109591307B (zh) 收缩膜加工设备
JP4377668B2 (ja) 包装機の折り込み装置
JPH0624321Y2 (ja) 包装装置
JP4103448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KR20010037338A (ko) 식품가공물 포장장치
JP4164766B2 (ja) 袋詰品シー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