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108B1 -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108B1
KR100293108B1 KR1019980047569A KR19980047569A KR100293108B1 KR 100293108 B1 KR100293108 B1 KR 100293108B1 KR 1019980047569 A KR1019980047569 A KR 1019980047569A KR 19980047569 A KR19980047569 A KR 19980047569A KR 100293108 B1 KR100293108 B1 KR 10029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ealer
sealer
cutter
block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417A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1998004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1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터실러의 작동에 대응하여, 커터실러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를 상호 근접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6)와, 상기 본체(2)에 수직설치되며 커터실러블록(22) 및 승강다이(2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28)과, 상기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에서 대향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랙부재(40,42)와, 이 랙부재(40,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4)와, 상기 구동모터(2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다이(20)를 승강시키는 크랭크기구(46)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터실러의 작동에 대응하여, 커터실러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를 상호 근접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포장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일측에 장착된 원지걸이(4)에 원지롤(6)을 설치하고, 이 원지롤(6)에 감긴 포장원지(8)를 인출하여 포켓형으로 접는 포머(10)와, 포머(10)에 의해 접힌 포장원지(8)의 센터부를 융착하는 센터실러(12)를 이용하여 포장원지(8)를 포켓형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포켓형으로 형성된 포장원지(8)의 내부에 내용물을 투입한 후, 상기 포머(10)의 후단에 배치되는 커터실러(14)로 내용물이 담긴 포장지를 일정간격으로 밀봉함과 동시에 일정길이로 잘라내므로써, 필로우포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는 컨베이어장치(16,18)가 각각 구비되어, 이 커터실러(14)에 내용물이 담긴 포장지를 공급하거나, 커터실러(14)에 의해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완성된 포장물(9)을 배출한다.
상기 커터실러(14)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로 출몰되는 승강다이(20)와, 이 승강다이(20)의 상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히터와 그 하측으로 출몰되는 커터가 구비된 커터실러블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어, 그 중간위치에서 상호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실러(14)를 작동시키면, 상기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가 상호 승강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지의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때, 상기 히터가 포장지를 융착시켜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가 커터실러블록(2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포장지를 일정길이로 잘라내므로써, 필로우포장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포장기는 상기 커터실러(14)를 구동하는 장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구비된 컨베이어장치(16,18)가 소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되어, 이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로 상기 커터실러(14)의 승강다이(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승강다이(20)의 하강시,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가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로 떨어지거나, 상기 커터실러(14)에 의해 절단되어 완성된 포장물(9)이 커터실러(14)의 배출측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18)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따라, 작업이 중단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커터실러의 승강에 대응하여, 커터실러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를 상호 근접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컨베이어장치의 사이로 완성된 포장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터실러에 의해 절단된 포장물이 배출측 컨베이어장치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커터실러의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자동포장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실러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전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20. 승강다이
22. 커터실러블록 26.구동모터
28. 가이드프레임 40,42. 랙부재
44.피니언기어 46. 크랭크기구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에 설치되는 원지롤(6)에 감긴 포장원지(8)를 인출하여 포켓형으로 접는 포머(10)와, 상기 포켓형으로 접힌 포장원지(8)의 센터부를 융착시키는 센터실러(12)와, 상호 대응되도록 승강되는 커터실러블록(22) 및 승강다이(20)로 구성되며 포켓형으로 구성된 포장원지(8)를 밀봉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실러(14)와, 이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각각 설치된 컨베이어장치(16,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6)와, 상기 본체(2)에 수직설치되며 상기 커터실러블록(22) 및 승강다이(2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28)과, 상기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에서 대향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랙부재(40,42)와, 이 랙부재(40,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4)와, 상기 구동모터(2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다이(20)를 승강시키는 크랭크기구(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그 측면에 가이드홈(56)이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54)와, 상기 승강다이(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에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핀(6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플레이트(54)가 장착된 컨베이어장치(16,18)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은 그 하측보다 상측이 상기 커터실러(14)에 근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포장기의 본체(2)의 상면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로 구성된 커터실러(14)가 설치되며, 이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는 컨베이어장치(16,18)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2)은 그 내부에 구동모터(26)가 구비된 것으로, 그 상면에는 가이드프레임(28)이 수직설치된다. 이 가이드프레임(28)은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의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빔을 수직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 가이드프레임(28)에 수직형성된 상부가이드홈(34)과 하부가이드홈(36)에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향방향으로 한쌍의 랙부재(40,42)가 각각 평행하게 수직연장되며, 이 랙부재(40,42)의 사이에는 피니언기어(44)가 치합된다. 이 피니언기어(4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8)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그 둘레면의 대향측에 상기 랙부재(40,42)가 동시에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다이(20)에는 상기 구동모터(26)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기구(46)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6)를 구동시키면, 크랭크기구(46)에 의해, 승강다이(20)와, 이 승강다이(20)에서 연장된 랙부재(40)가 승강된다. 그리고, 이 랙부재(40)의 승강에 따라, 이 랙부재(40)에 치합된 피니언기어(44)가 회전되며, 이에따라, 커터실러블록(22)에서 연장된 랙부재(42)와 커터실러블록(22)가 승강된다. 이때, 상기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므로, 그 중간부에서 상호 밀착되어 커터실러(14)의 사이로 공급되는 포장원지(8)를 밀봉하여 일정길이로 잘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터실러블록(22)은 상기 승강다이(20)와 접촉되었을 경우, 그 내부에 구비된 커터만 하강하여, 포장원지(8)를 절단하는 2단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16,18) 중,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의 양측면에는 캠플레이트(54)가 장착된다. 이 캠플레이트(54)는 상기 커터실러(14)에 인접된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가이드홈(56)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56)은 그 하측보다 상측이 상기 커터실러(14) 쪽에 근접되도록 크랭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직선부(58)와, 이 하부직선부(58)보다 상기 커터실러(14) 쪽에 근접되도록 형성된 상부직선부(60)의 사이를 경사부(62)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다이(20)의 양단에는 브라켓(64)이 장착되며, 이 브라켓(64)에는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에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핀(66)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66)은 승강다이(20)의 승강시 같이 승강되어, 상기 가이드홈(56)의 경사부(62)의 면을 밀어, 상기 캠플레이트(54)를 전후 이동시키며, 이에따라, 상기 캠플레이트(54)가 장착된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홈(56)은 그 하측보다 상측이 상기 커터실러(14) 쪽에 근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승강다이(20)의 상승시,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가 후진되어 컨베이어장치(16,18)가 상호 이격된다.
도면번호 68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가이드로드(68)에는 상기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의 양단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만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였으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배출측 컨베이저장치(18)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거나, 컨베이어장치(16,18)를 모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컨베이어장치(16,18)의 인접단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형상의 가이드홈(56)이 형성된 캠플레이트(54)를 장착하여, 상기 승강다이(20)의 승강에 따라, 컨베이어장치(16,18)가 상호 근접 및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플레이트(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16,18)에 결합되는 것 대신, 이 캠플레이트(54)를 상기 승강다이(20)의 양측에 장착하고, 이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에 결합되는 가이드핀(66)을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캠플레이트(54)의 승강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가 상호 이격 및 근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베이어장치(16,18)가 상호 근접되고, 상기 승강다이(20)가 컨베이어장치(16,18)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6)를 구동시키면, 상기 크랭크기구(46)에 의해 승강다이(20)가 상승되며, 승강다이(20)의 상승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가 후진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다이(20)가 상호 이격된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를 통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승강다이(20)의 상승에 따라, 커터실러블록(22)이 하강되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이 그 중간위치에서 상호 밀착되어,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로부터 공급된 포장원지(8)를 밀봉하여 잘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구(46)가 더욱 회전되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다이(20)가 컨베이어장치(16,18)의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가 상호 근접됨과 동시에, 상기 커터실러블록(22)은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에 의해 상기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의 사이로 포장원지(8)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측 컨베이어장치(16)와 배출측 컨베이어장치(18)가 상호 근접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다이(20)가 상부로 돌출될 때만 상호 이격되므로,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로 완성된 포장물(9)이 떨어지거나, 커터실러(14)에 의해 잘라진 포장물(9)이 커터실러(14)의 배출측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18)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종래의 커터실러 구동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랙부재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승강다이(20)와 커터실러블록(22)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16,18)를 상호 근접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컨베이어장치(16,18)의 사이로 완성된 포장물(9)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터실러(14)에 의해 절단된 포장물(9)이 배출측 컨베이어장치(16,18)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된 커터실러(14)의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본체(2)에 설치되는 원지롤(6)에 감긴 포장원지(8)를 인출하여 포켓형으로 접는 포머(10)와, 상기 포켓형으로 접힌 포장원지(8)의 센터부를 융착시키는 센터실러(12)와, 상호 대응되도록 승강되는 커터실러블록(22) 및 승강다이(20)로 구성되며 포켓형으로 구성된 포장원지(8)를 밀봉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실러(14)와, 이 커터실러(14)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각각 설치된 컨베이어장치(16,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6)와, 상기 본체(2)에 수직설치되며 상기 커터실러블록(22) 및 승강다이(2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28)과, 상기 커터실러블록(22)과 승강다이(20)에서 대향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랙부재(40,42)와, 이 랙부재(40,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4)와, 상기 구동모터(2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다이(20)를 승강시키는 크랭크기구(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는 그 측면에 가이드홈(56)이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6,18)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54)와, 상기 승강다이(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에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핀(6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플레이트(54)가 장착된 컨베이어장치(16,18)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플레이트(54)의 가이드홈(56)은 그 하측보다 상측이 상기 커터실러(14)에 근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KR1019980047569A 1998-11-06 1998-11-06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KR10029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69A KR100293108B1 (ko) 1998-11-06 1998-11-06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69A KR100293108B1 (ko) 1998-11-06 1998-11-06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17A KR19990014417A (ko) 1999-02-25
KR100293108B1 true KR100293108B1 (ko) 2002-01-09

Family

ID=3752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69A KR100293108B1 (ko) 1998-11-06 1998-11-06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1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3Y1 (ko) * 2010-05-26 2010-11-08 장성환 포장장치
KR200451405Y1 (ko) 2010-09-29 2010-12-13 장성환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KR101449718B1 (ko) * 2013-03-07 2014-10-1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커터
KR101840941B1 (ko) * 2016-11-01 2018-03-22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박스모션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35A (ko) * 2001-08-23 2003-02-26 김은갑 포장기계의 직구동 시스템
KR101552915B1 (ko) * 2014-01-24 2015-09-15 김형년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3Y1 (ko) * 2010-05-26 2010-11-08 장성환 포장장치
KR200451405Y1 (ko) 2010-09-29 2010-12-13 장성환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KR101449718B1 (ko) * 2013-03-07 2014-10-1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커터
KR101840941B1 (ko) * 2016-11-01 2018-03-22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박스모션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17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1712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processing of a material web
KR100293108B1 (ko)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KR100293107B1 (ko)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KR100293109B1 (ko) 자동포장기의커터실러구동장치
JP3840299B2 (ja) パッケージ製造装置の折り線形成装置
ES2215949T3 (es) Maquina para embalar una pila de productos de papel o similares en hojas de envoltura.
JP2002002636A (ja) 箱体の切開方法及び装置
KR200178707Y1 (ko) 식품가공물 포장장치
JP3766157B2 (ja) パッケージ製造装置
CN214876135U (zh) 一种翻转式包裹机构
KR100806147B1 (ko)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N215945022U (zh) 一种裹纸式打包系统
KR100320525B1 (ko) 자동 포장기계의 실링장치
JP2002337806A (ja) 包装機の折り込み装置
JP3961282B2 (ja) 箱体切開装置のカッター部構造
ITTO20060088A1 (it) Macchina confezionatrice dotata di barre di taglio e saldatura indipendenti
CA1174157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filling and sealing packages
US4601158A (en) Container flap f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3742171B2 (ja) パッケージ製造装置の折り畳み機構
KR970010585A (ko) 필로우타입 자동포장기
US20050087462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a product in a box-shaped container
JP2005014961A (ja) ボトムローディング式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
JP2002002637A (ja) 箱体切開装置のカッター部構造
JP2000281025A (ja) ピロー包装体の耳部整形装置
JP2003192277A (ja) 昇降作業装置のウエィ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