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74Y1 - 차량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74Y1
KR200451274Y1 KR2020090004755U KR20090004755U KR200451274Y1 KR 200451274 Y1 KR200451274 Y1 KR 200451274Y1 KR 2020090004755 U KR2020090004755 U KR 2020090004755U KR 20090004755 U KR20090004755 U KR 20090004755U KR 200451274 Y1 KR200451274 Y1 KR 200451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housing
fixing groov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644U (ko
Inventor
이성행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7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토퍼 하단 일측에 회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킹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내측 하우징과 상부커버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개방된 전면부 하부에 고정홈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측에 힌지 축으로 결합되어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하부에 상기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회전안내되어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유닛이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힌지 축과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레이, 스토퍼, 회전부재, 로킹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Tray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퍼 하단 일측에 회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킹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트레이는 차량 내부의 패널에 장착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들 살펴보면, 단순히 물건을 수납하는 도어를 힌지연결하고 상기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탄성부재를 이용한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의 수직방향 작동에 의해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도어를 개방 및 밀폐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는 도어의 밀폐시 스토퍼가 고정홈에 삽입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고정홈 테두리부와 접촉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소음 발생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토퍼와 연결된 노브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어를 밀폐시킨 후 다시 상기 노브를 살며시 놓게 되 면 탄성부재에 의해 스토퍼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도어를 밀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브를 들어올려주면서 도어를 밀폐시키는 작동방법은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간단한 동작만으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토퍼 하단 일측에 회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킹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내측 하우징과 상부커버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개방된 전면부 하부에 고정홈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측에 힌지 축으로 결합되어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하부에 상기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회전안내되어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유닛이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힌지 축과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코일스프링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회전부재와,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하단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재를 분리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폐쇄동작에서 상기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 테두리부와 접촉되는 하부 일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스토퍼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돌기 축이 구비되는 회전체와,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 축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 상부를 탄발적으로 감싸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도어의 힌지 축과 결합고정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핑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도어의 폐쇄동작시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하단 양측에 완충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퍼 하단 일측에 회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폐쇄동작에서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스토퍼 유닛의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안내되어 로킹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돌기 축의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회전체를 구비함으로써 회전체가 항상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체가 고정홈에 원활히 삽입고정되어 도어의 폐쇄동작에서 로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도어 하단부에 완충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폐쇄동작시 도어의 하단 부가 하우징과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요부인 도어 개폐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하우징(100), 도어(200), 완충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내측하우징(190)과 상부커버(18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측하우징(190)과 상부커버(180) 사이에 제1 완충패드(170)가 개재된다.
이때, 상기 내측하우징(190)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200)의 개방시 상기 도어(200)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2 완충패드(14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18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와 체결구(181)에 의해 체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내측하우징(190)이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는 상기 내측하우징(190)과 하우징 본체(110) 간의 수직방향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 범퍼(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전면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전면부 하부에 고정홈(120)이 형성되며, 이러한 개방된 전면부는 도어(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에서 하우징 본체(110)는 상기 도어(200)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홀(111)이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트레이에 수납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유동을 방지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루버 매트(1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111)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힌지 축(221)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힌지 축(221)이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0)의 폐쇄동작시 상기 도어(2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부 하단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0)의 후면패널(220) 하단 양측에 완충구(22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200)는 하부에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고정홈(120)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회전안내되어 상기 고정홈(120)에 삽입되는 스토퍼 유닛(2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 유닛(250)은 스토퍼(251), 회전부재(258) 및 노브(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51)는 코일스프링(251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발지지되며, 상기 회전부재(258)는 상기 스토퍼(251)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여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된다.
또한, 상기 노브(252)는 상기 스토퍼(251) 하단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25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고정홈(120)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재(258)의 회전체(253)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유닛(250)은 상기 도어(200)의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이 결합되는 내측에 구비되며, 상세히 상기 후면패널(220)의 일면 하부에 구비된 설치부(230)에 상기 스토퍼(251)와 회전부재(25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브(252)는 상기 도어(200)의 전면패널(210)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211)을 통하여 상기 스토퍼(252)의 타측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노브(252)를 상측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251)가 연동되어 탄발지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58)는 상기 도어(200)의 폐쇄동작에서 상기 고정홈(120)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120) 테두리부와 접촉되는 하부 일면이 라운딩된 라운드부(256)를 가지는 회전체(253)와, 상기 회전체(253)를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체(2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53)는 상기 스토퍼(251)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양측에 돌기 축(25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253)는 상기 돌기 축(254)의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257)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257)는 상기 돌기 축(254)의 원부방향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 축(254)에 양단이 결합고정되며, 상기 회전체(253) 상부를 탄발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체(257)는 양단이 코일타입으로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상기 탄성체(257)는 상기 회전체(253)가 상기 돌기 축(254)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판 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의 다양한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250)은 상기 스토퍼(251)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노브(252)가 상기 스토퍼(251)와 결합되는 부분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120) 테두리부와 접촉시 완충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3 완충패드(25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완충유닛(300)은 상기 도어(200)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0)의 힌지 축(221)과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측에서 결합되며, 고정기어(310)와 댐핑기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기어(310)는 상기 도어(200)의 힌지 축(221)과 상기 하우 징 본체(110)의 외측으로부터 체결구(320)에 의해 결합고정되어 상기 도어(200)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된다.
이때, 상기 고정기어(310)는 상기 도어(200)의 힌지 축(221)과 결합될 때, 힌지 스프링(311)이 개재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311)은 일단이 상기 고정기어(310) 일측에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기어(310)는 결합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치차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고정기어(31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결합홀(111)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댐핑기어(330)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의 개폐시에 회동하는 상기 힌지 축(221)과 연결된 고정기어(310)가 상기 댐핑기어(330)와 연동되어 상기 댐핑기어(330)에 의해 상기 도어(200)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기어(310)의 치차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어(200)의 개폐동작에서 초기 동작속도는 빠르고 중반부터 후기 동작속도는 상기 댐핑기어(330)의 치차와 치합되면서 댐핑되어 느리게 완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도어(200)가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면, 상기 도어(200)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도어(200)의 전면패널(210)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노브(252)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스토퍼 유닛(25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 유닛(250)의 회전체(253)가 고정홈(120)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도어(20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부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252)를 들어올리는 하중은 초기에 상기 회전체(253)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만 작용하도록 하며, 이때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체(253)는 스토퍼(251)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정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도어(200)가 개방상태에서 다시 폐쇄상태로 작동하는 상태, 즉 상기 스토퍼 유닛(250)에 의한 상기 도어(200)의 로킹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200)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스토퍼 유닛(250)의 회전부재(258)에 의해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20)에 상기 회전부재(258)의 회전체(253)이 삽입고정됨으로써 로킹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유닛(250)의 작동상태를 보면, 스토퍼(251)의 수직방향 탄발지지와 회전체(253)의 원주방향 탄발지지에 의해 상기 회전체(253)이 상기 고정홈(120) 테두리부에 안내되어 상기 회전체(253)가 소음이 거의 없이 상기 고정홈(120)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53)는 상기 고정홈(120) 테두리부와 접촉되는 하부 일면이 라운딩된 라운드부(256)를 가지고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홈(120)의 테두리부에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상기 스토퍼(251) 하단 일측에 회전부재(258)를 구비함으로써 도어(200)의 폐쇄동작에서 고정홈(120)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스토퍼 유닛(250)의 회전부재(258)에 의해 회전안내되어 로킹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돌기 축(254)의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회전체(253)를 구비함으로써 회전체(253)가 항상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체(253)가 고정홈(120)에 원활히 삽입고정되어 도어(200)의 폐쇄동작에서 로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어(200) 하단부에 완충구(225)를 구비함으로써 도어(200)의 폐쇄동작시 도어(200)의 하단부가 하우징(100)과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요부인 도어 개폐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하우징 본체
111: 결합홀 180: 내측 하우징
190: 상부커버 200: 도어
210: 전면패널 220: 후면패널
250: 스토퍼 유닛 253: 회전체
257: 탄성체 258: 회전부재
300: 완충유닛 310: 고정기어
330: 댐핑기어

Claims (5)

  1.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내측 하우징과 상부커버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개방된 전면부 하부에 고정홈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측에 힌지 축으로 결합되어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하부에 상기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회전안내되어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유닛이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힌지 축과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코일스프링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회전부재와,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하단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재를 분리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폐쇄동작에서 상기 고정홈의 테두리부에 접촉시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 테두리부와 접촉되는 하부 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스토퍼의 하단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돌기 축이 구비되는 회전체와, 원주방향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 축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 상부를 탄발적으로 감싸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도어의 힌지 축과 결합고정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핑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동작시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하단 양측에 완충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KR2020090004755U 2009-04-21 2009-04-21 차량용 트레이 KR200451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55U KR200451274Y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55U KR200451274Y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44U KR20100010644U (ko) 2010-10-29
KR200451274Y1 true KR200451274Y1 (ko) 2010-12-08

Family

ID=4420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755U KR200451274Y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571B1 (ko) 1995-12-06 1999-09-01 정몽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0435270B1 (ko) 2001-06-04 2004-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러브 박스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571B1 (ko) 1995-12-06 1999-09-01 정몽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0435270B1 (ko) 2001-06-04 2004-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러브 박스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44U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4420B2 (ja) カップホルダ
US8079446B2 (en) Operational mechanism for movable body
JP4900395B2 (ja) 洗濯機の蓋構造
JP5965166B2 (ja) 収納装置
JP5009217B2 (ja) 蓋体の開閉機構及び車両用小物入れ
KR100901419B1 (ko) 트레이 장치
US20040140675A1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JP7133709B2 (ja) ダンパー装置
KR200451274Y1 (ko) 차량용 트레이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JP5459167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987904B1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JP2000289530A (ja) ドアトリム用ポケット
JP5016350B2 (ja) 車両用物入装置
JP412975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KR100825402B1 (ko) 글로브박스의 내입형 개폐장치
JP2007099180A (ja) 車両用物入装置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EP2321484B1 (en) Household appliance
JP4329615B2 (ja) 容器ホルダ装置
KR100830158B1 (ko) 차량용 도어의 수납함
JP6220139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N210408058U (zh) 电饭煲
KR200451275Y1 (ko) 차량용 트레이
KR101416465B1 (ko) 차량의 후드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