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26Y1 - 환기구 - Google Patents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26Y1
KR200450526Y1 KR2020080011431U KR20080011431U KR200450526Y1 KR 200450526 Y1 KR200450526 Y1 KR 200450526Y1 KR 2020080011431 U KR2020080011431 U KR 2020080011431U KR 20080011431 U KR20080011431 U KR 20080011431U KR 200450526 Y1 KR200450526 Y1 KR 200450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fastening
protrusion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435U (ko
Inventor
허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to KR2020080011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2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한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설치될 장소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의 제1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제1 하우징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 홈부가 형성되며, 제2 하우징의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제1 하우징 내주면의 걸림 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환기구, 하우징, 걸림 홈부, 체결부

Description

환기구{Ventilator}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외 공기를 유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형이 용이하며 결합 방식이 간편한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되는 대형 오피스 빌딩들이나, 주상복합 빌딩들은 중앙집중식 공조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중앙집중식 공조 시스템을 구비한 건물들의 경우 천장에 다수의 소형 환기구들이 설치된다. 중앙집중식 공조 시스템에서는 창문 등을 통한 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소형 환기구들을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던 소형 환기구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각 구성 부재들의 성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각 구성 부재간의 체결 구조 및 체결 방식이 복잡하여 설치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 소형 환기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성형이 용이하며, 각 구성 부재간의 체결 구조를 단순화시켜 설치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환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는 고정용 관통 구멍이 형성된 수평 몸체, 상기 수평 몸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몸체,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수직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평면부와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개구, 및 상기 돌출부에 지지대를 통해 지지되며 조절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용 커버와 상기 개페용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조절 나사를 구비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수직 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부에 걸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는 돌출부의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며, 돌출부가 제1 개구 내로 삽입될 경우 수직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 돌기는 돌출부가 제1 개구 내로 삽입되어 체결 돌기와 수직 몸체의 내주면이 접촉할 경우 휨 변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 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걸림 홈부는 수직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몸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단차에 의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 2개의 측벽에 연결되는 지지벽, 및 제1 개구로 노출되는 내벽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데, 체결부가 걸림 홈부에 위치할 경우, 체결 돌기의 바닥면이 지지벽과 접촉되면서 체결부가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체결 돌기는 걸림 홈부의 내벽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걸림 홈부는 수직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 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수직 측벽, 및 이러한 2개의 수평 측벽 및 수직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1 개구로 노출되는 내벽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걸림 홈부가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에는, 체결부가 걸림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체결 돌기는 2개의 수평 측벽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 측벽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홈부와 체결부는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개 형성될 경우에는 각각이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은 성형 공정이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한 환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를 일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고안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의 일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는 환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20)에 결합되는 개폐구(3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10)은 환기구(100)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결합되는 고정용 관통 구멍(18)이 형성된 수평 몸체(12)와 후술할 제2 하우징(20)의 돌출부(2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 몸체(11)로 구성된다. 수평 몸체(12) 는 건물의 천장 벽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고리 모양을 가진다.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 몸체(11)와 수평 몸체(12)는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몸체(12)는 수직 몸체(11)의 하단부에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다. 수평 몸체(12)에는 복수개의 고정용 관통 구멍(18)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고정용 관통 구멍(18)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고정용 관통 구멍(18) 내부로는 고정용 나사(미도시) 등이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을 환기구(100)가 설치될 천장 벽면 등에 고정시킨다.
수직 몸체(11)는 건물의 천장 벽면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공조 시스템의 환기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수직 몸체(11)는 수평 몸체(1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수직 몸체(11)의 외주면은 속이 빈 원기둥 형태가 된다. 특히, 수직 몸체(11)의 외주면과 내주면은 수평 몸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구간을 나누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제1 하우징(11)의 경우, 내주면과 외주면이 수평 몸체(12)와의 연결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수평 몸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이후부터는 수평 몸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개구(13)의 직경은 수평 몸체(1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작아지다가, 소정 지점부터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이처럼, 제2 하우징(20)의 삽입이 시작되는 지점에서는 제1 개구(13)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제2 하우징(2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수직 몸체(11)의 내주면에는 소정 깊이의 단차를 가지는 걸림 홈 부(14)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 홈부(14)는 수직 몸체(11)의 상단부에서부터 수평 몸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걸림 홈부(14)의 단차는 이후 설명될 제2 하우징(20)의 체결부(24)의 체결 돌기(25)가 걸려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도 2a는 제1 하우징(10)의 상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I-I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 홈부(14)는 3개가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 홈부(14)의 개수는 요구되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고, 각 걸림 홈부(14)의 간격 역시 마찬가지이다. 걸림 홈부(14)가 2개 형성될 경우에는, 서로 180°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 홈부(14)는 수직 몸체(1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몸체(1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H1)만큼 연장 형성되는데, 걸림 홈부(14)의 길이(H1)는 후술될 제2 하우징(20)의 돌출부(21)의 높이 또는 제2 하우징(20)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25)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 하우징(10)은 요구되는 형태를 가지는 금형을 제작한 후, 사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제1 하우징(10)의 수직 몸체(11) 및 수평 몸체(12)의 형태가 도 1 내지 2b에 도시되는 형태가 되도록 사출 성형한 이후, 밀링이나 선반 가공 등을 통해 걸림 홈부(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걸림 홈부(14)는 수직 몸체(11)의 상단부로부터 형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 홈부(14)는 수직 몸체(11)의 상단부 쪽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걸림 홈부(14)의 형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a 및 7b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하우징(40)의 경우, 걸림 홈부(44)가 수직 몸체(41)의 상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몸체(41)의 상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하우징(40)은 이와 같이 걸림 홈부(44)의 형성 위치 및 형태만 도 1 내지 2b에 도시된 제1 하우징(10)과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게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하우징(40)에 있어서의 수직 몸체(41), 수평 몸체(42), 제1 개구(43), 및 고정용 관통 구멍(45)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 내지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 홈부(14)는 소정의 단차 형성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15), 이러한 2개의 측벽(15)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수평 몸체(1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지지벽(16), 및 2개의 측벽(15) 및 지지벽(16)에 둘러싸이며 제1 개구(13)쪽으로 노출되는 내벽면(1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 홈부(14)는 한면이 개방된 슬롯 형태가 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걸림 홈부(44)의 경우, 도 1 내지 2b에 도시되는 걸림 홈부(14)와 달리 한쪽면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지지 않는다. 일 변형예에 따른 걸림 홈부(44)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 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수직 측벽, 및 이들 2개의 수평 측벽과 수직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1 개구(43)로 노출되는 내벽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2 하우징
도 1, 및 도 3a 내지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의 수평 몸체(12)에 대응되는 평면부(22)와 평면부(2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로 구성된다. 또한, 평면부(22)와 돌출부(21)를 관통하는 제2 개구(23)를 포함한다.
평면부(22)는 제1 하우징의 수평 몸체(12)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원형이며,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다. 평면부(22)의 바닥 부분은 건물의 천장 벽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부분의 형태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곡면 형태를 가진다.
평면부(22)는 제2 하우징(20)이 제1 하우징(10)과 결합될 경우, 제1 하우징(10)의 수평 몸체(12) 부분과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 평면부(22)의 외주가 수평 몸체(1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평면부(22)의 외경은 수평 몸체(12)의 외경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평면부(22)의 바닥 부분 중 수평 몸체(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오게 되는 부분 역시 건물 천장 벽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평면부(22)의 바닥 부분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요구 조건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형될 수있음은 자명하다.
돌출부(21)는 평면부(22)의 중앙 부분에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평면부(22)와 돌출부(2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부(21)는 제2 하우징(20)과 제1 하우징(10)의 결합 시, 수직 몸체(11)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돌출부(21)의 외주면의 형태는 수직 몸체(11)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부(21)의 외주면 역시 수직 몸체(!1)와 마찬가지로, 평면부(22)와의 연결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평면부(22)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이후부터는 평면부(2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개구(23)의 직경 역시 제1 개구(13)와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작아지다가 소정 지점부터는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돌출부(22)의 내주면에는 3개의 지지대(27)가 형성된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되는 지지대(27)는 돌출부(22)의 최상부에 형성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저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7)는 제2 하우징(20)의 사출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2)의 내주면에서부터 제2 개구(23)의 중심 방향으로 빔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대(27)는 반드시 3개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형성된다.
지지대(27)들은 제2 개구(23)의 정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부(28)를 지지한다. 고정부(28)는 후술할 개폐구(30)와 결합되는 것으로, 개폐구(30)의 조절 나사(31)와 나사 결합되는 조절 구멍(29)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2)는 복수개의 체결부(24)를 구비한다. 체결부(24)는 제1 하우 징(10)의 걸림 홈부(14)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걸림 홈부(14)에 걸림 결합된다. 체결부(24)는 돌출부(22)의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2개의 슬릿(26)에 의해 형성된다.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릿(26)의 길이(h1)는 체결부(24)가 후술할 휨 변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24)에는 걸림 홈부(14)의 지지벽(16)에 걸림 지지될 수 있는 체결 돌기(25)가 형성된다. 체결 돌기(25)는 도 3b 내지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부(24)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며, 체결부(24)의 폭 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 범위 내에서 체결 돌기(25)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체결 돌기(25)가 체결부(24)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20) 역시 제1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금형을 제조한 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데, 소정의 돌기가 형성된 금형을 만들어 사출 성형을 한 후, 선반 공정 등을 이용하여 슬릿을 형성하기만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2 하우징(20)의 성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 하우징(20) 역시 간단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체결 돌기(25)는 소정의 길이만큼 체결부(24)로부터 돌출부(2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체결 돌기(25)의 돌출 정도는 체결부(24)가 걸림 홈부(14)에 위치할 경우 체결 돌기(25)가 걸림 홈부(14)의 지지벽(16)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부(24) 역시 걸림 홈부(14)와 마찬가지로 3개가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24) 의 개수 역시 요구되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고, 각 체결부(24)의 간격 역시 마찬가지이다.
개폐구
개폐구(30)는 제2 하우징(20)의 고정부(28)와 결합되는 것으로, 환기구(100)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개폐구(30)는 개폐용 커버(31)와 조절 나사(32)로 구성된다.
개폐용 커버(31)는 아래 윗면이 모두 볼록한 곡면 형태를 가지는 원반 모양으로 형성되며, 조절 나사(32)는 조절 구멍(29)에 나사 결합하여 개폐용 커버(31)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된다. 개폐용 커버(31)의 외주면이 제2 하우징(20)의 평면부(22)의 내주면의 특정 지점과 선접촉하는 지점에서 환기구(100)는 완전히 차단된다. 개폐구(30)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체결된 이후 제2 하우징(20)의 고정부(28)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폐용 커버(31)에는 회전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물 내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회전 조작을 위한 돌기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고, 조작 레버(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체결
도 4 내지 6은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체결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100)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제1 하우징(10)이 우선적으로 환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에 고정 설치되고, 이후 제2 하우징(20)의 돌출부(21)를 제1 하우징(10)의 수직 몸체(11) 내부로 삽입하여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체결시키게 된다. 제2 하우징(20)이 제1 하우징(10)과 견고하게 체결되고 나면, 개폐구(30)를 제2 하우징(20)의 고정부(28)에 결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환기구(100)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을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체결 방식을 중심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의 돌출부(21)가 제1 하우징(10)의 수직 몸체(11) 내부로 삽입되면, 체결부(24)는 수직 몸체(11)의 내주면에 의해 휨 변형되고, 이에 따라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체결부(24)는 체결 돌기(25)가 수직 몸체(11)의 내주면에 접촉함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휨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소정의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체결부(24)가 소정 길이(h1)로 형성되는 슬릿(26)에 의해 휨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제2 하우징(20)의 돌출부(21)를 쉽게 제1 하우징(10)의 수직 몸체(11)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이 회전 이동하여 체결 돌기(25)가 걸림 홈부(14)의 일 측벽(15)을 넘어서게 되면 '딸각'소리와 함께 체결부(14)가 걸림 홈부(14)에 걸림 체결된다. 이 때, 휨 변형되어 있던 체결부(24)는 걸림 홈부(14)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되며, 제2 하우 징(2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고정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의 평면부(22)의 외주는 제1 하우징(1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체결되며, 체결 돌기(26)의 측단면은 걸림 홈부(14)의 내벽면(17)과 접촉하고, 체결 돌기(26)의 하단부는 걸림 홈부(14)의 지지벽(16)에 접촉하게 된다. 이처럼 체결 돌기(26)가 걸림 홈부(14)에 완전히 밀착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 돌기(26)의 측단면이 걸림 홈부(14)의 내벽면(17)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돌기(26)가 지지벽(16)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면 체결 돌기(26)의 측단면이 내벽면(17)과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부(24)의 폭은 걸림 홈부(14)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체결부(24)가 걸림 홈부(14)에 체결되더라고 체결부(24)의 폭과 걸림 홈부(14)의 폭의 차이값 정도만큼의 범위 내에서 제2 하우징(20)의 움직임이 허용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체결 돌기(26)의 폭이 체결부(24)의 폭 보다도 더 작게 형성되므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제2 하우징(20)의 움직임 허용의 폭은 체결 돌기(26)의 폭과 걸림 홈부(14)의 폭의 차이값 범위 내가 된다.
한편, 도 7a 및 7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하우징(40)이 설치된 경우 역시 제2 하우징(20)에 형성된 체결부(24)의 휨 변형에 따른 걸림 결합 방식으로 제1 하우징(40)과 제2 하우징(20)이 체결되는 것은 동일하다. 이 경 우, 제2 하우징(20)의 체결 돌기(26)가 지지되는 부분은 제1 하우징(40)의 걸림 홈부(44)의 수평 측벽들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 측벽이 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분리하는 방식은 상술한 체결 방식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고정적으로 체결된 상태의 제2 하우징(20)을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체결 돌기(26) 부분은 일정 구간 걸림 홈부(14) 내에서 회전 이동한 후, 걸림 홈부(14)의 일 측벽(15)의 단차를 넘어가면서 '딸각'소리를 내게 된다. 이어 체결 돌기(26)는 제1 하우징(10)의 수직 몸체(1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힘에 의해 체결부(24)는 다시 휨 변형하게 된다. 체결부(24)가 휨 변형한 상태에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 밖으로 쉽게 탈거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의 경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체결 구조가 단순하여, 각 하우징의 성형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각 하우징의 체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1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1 하우징을 도 2a에 도시된 I-I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2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2 하우징을 도 3a에 도시된 II-II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제1 개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과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III-III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고안의 일 변형예에 따른 환기구의 제1 하우징을 IV-IV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Claims (15)

  1. 고정용 관통 구멍이 형성된 수평 몸체, 상기 수평 몸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몸체,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수직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평면부와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개구, 및 상기 돌출부에 지지대를 통해 지지되며 조절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용 커버와 상기 개폐용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조절 나사를 구비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환기구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수직 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 내로 삽입될 경우 상기 수직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수직 몸체의 내주면이 접촉할 경우 휨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수직 몸체의 내주면이 접촉할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고정용 관통 구멍을 통해 설치될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상기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환기구의 개폐 정도는 상기 개폐구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수직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수평 몸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 상기 2개의 측벽에 연결되는 지지벽, 및 상기 제1 개구로 노출되는 내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걸림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는 최초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체결 돌기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벽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벽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걸림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걸림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내벽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수직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 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수직 측벽, 및 상기 2개의 수평 측벽 및 수직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1 개구로 노출되는 내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걸림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2개의 수평 측벽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2개의 걸림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2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3개의 걸림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3개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3개의 걸림 홈부 및 체결부는 각각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3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지지대는 각각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KR2020080011431U 2008-08-27 2008-08-27 환기구 KR200450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31U KR200450526Y1 (ko) 2008-08-27 2008-08-27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31U KR200450526Y1 (ko) 2008-08-27 2008-08-27 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35U KR20100002435U (ko) 2010-03-09
KR200450526Y1 true KR200450526Y1 (ko) 2010-10-08

Family

ID=4419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431U KR200450526Y1 (ko) 2008-08-27 2008-08-27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10-31 송광웅 환기구 장치
KR20230047643A (ko) 2021-10-01 2023-04-10 박태업 환기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92B1 (ko) * 2020-04-27 2021-07-05 강희준 풍향 조절이 용이한 환기용 디퓨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90Y1 (ko) * 1991-05-03 1993-07-07 성낙훈 냉,난방용 공기 조화장치의 공기확산기
KR20000020575U (ko) * 1999-05-10 2000-12-05 김중식 공기확산구 부착장치
KR20030068508A (ko) * 2003-07-11 2003-08-21 양홍선 실내 기류 확산 효율이 증대된 공기확산격자
KR20050080304A (ko) * 2004-02-09 2005-08-12 (주)벤텍이엔지 실내용 급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90Y1 (ko) * 1991-05-03 1993-07-07 성낙훈 냉,난방용 공기 조화장치의 공기확산기
KR20000020575U (ko) * 1999-05-10 2000-12-05 김중식 공기확산구 부착장치
KR20030068508A (ko) * 2003-07-11 2003-08-21 양홍선 실내 기류 확산 효율이 증대된 공기확산격자
KR20050080304A (ko) * 2004-02-09 2005-08-12 (주)벤텍이엔지 실내용 급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10-31 송광웅 환기구 장치
KR20230047643A (ko) 2021-10-01 2023-04-10 박태업 환기구 장치
KR20230110458A (ko) 2021-10-01 2023-07-24 박태업 환기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35U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832B2 (en) Air distribution apparatus
AU2012261549B2 (en) Air Distribution Apparatus
US10323853B2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KR200450526Y1 (ko) 환기구
US4560320A (en) Ventilating unit
KR101595499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JP650360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2039834B1 (ko)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JP2018159732A (ja) カバー取付け構造及び表示装置
KR20046222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14327Y1 (ko) 디퓨저
JP4129024B2 (ja) 表示パネルの取付け構造
BE1027970A1 (nl) Klepsamenstel voor een luchtkanaal in of aan een ventilatiesysteem
JP4367245B2 (ja) 給排気口の施工方法
JP6895607B2 (ja) 換気装置
JP3266482B2 (ja) 通風口のシャッタ装置
JP4517084B2 (ja) 配管カバー
JP2017044275A (ja) 埋設式ガス栓の取付構造
JP7232899B2 (ja) 埋込型スピーカー
KR20140001677U (ko) 디퓨져의 풍량조절장치
JP2008088990A (ja) 部品の取付構造
KR19990031050U (ko) 매립형 배전박스
JP2006166616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201803155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