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86Y1 - 환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86Y1
KR200481686Y1 KR2020160001642U KR20160001642U KR200481686Y1 KR 200481686 Y1 KR200481686 Y1 KR 200481686Y1 KR 2020160001642 U KR2020160001642 U KR 2020160001642U KR 20160001642 U KR20160001642 U KR 20160001642U KR 200481686 Y1 KR200481686 Y1 KR 200481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flow tube
degree
circumferential surface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웅
Original Assignee
송광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웅 filed Critical 송광웅
Priority to KR2020160001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환기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환기구 장치는 천정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덕트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공기유동관체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하단에 테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천정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환기구본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를 덮도록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기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소켓부를 구비한 커버부; 상기 소켓부에 나사체결되는 소정길이로 구성되는 볼트부를 구비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하부의 개폐도가 조절되는 개폐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 내부에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상하 이동시 상기 볼트부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관체; 전단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과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원통형 송풍기모듈;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여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본체의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에 결합가능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커버부의 1회 내지 3회의 회전에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후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며, 일측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탄성재질의 고무부재가 구비된 타격부재;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의 외부로 신장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동부재;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돌출편을 밀어낸 다음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작을 하는 캠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캠부재에 의해 후퇴했다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전진하면서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가 충격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공기유동관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 내주면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 및,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을 경우,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구 장치 {VENTILATING OP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환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부품간의 손쉽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환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물 실내 천장에는 공기를 환기하도록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니기 위해서 환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기구는 환기구본체가 건물 실내의 천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이 환기구본체의 상단에는 덕트가 연결되며, 이 환기구본체의 하부에는 나사체결방식의 개폐판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개폐판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판을 승강조절함으로써 환기구본체의 개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환기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건물 실내의 천정플레이트에 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고 힘들어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환기구는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좋지 않아서 덕트를 환기구본체의 상단에 연결할 때, 환기구본체의 상단이 쉽게 손상되어 새제품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설치상에 어려움이 많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038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05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29019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간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환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양호하여 덕트와의 연결시 부품의 손상없이 견고하게 덕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환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환기구내부의 오염물을 보다 효율적이고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환기구 내부의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는 환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으로 환기구의 개폐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환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환기구 장치는 천정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덕트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공기유동관체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하단에 테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천정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환기구본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를 덮도록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기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소켓부를 구비한 커버부; 상기 소켓부에 나사체결되는 소정길이로 구성되는 볼트부를 구비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하부의 개폐도가 조절되는 개폐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 내부에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상하 이동시 상기 볼트부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관체; 전단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과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원통형 송풍기모듈;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여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본체의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에 결합가능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커버부의 1회 내지 3회의 회전에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후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며, 일측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탄성재질의 고무부재가 구비된 타격부재;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의 외부로 신장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동부재;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돌출편을 밀어낸 다음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작을 하는 캠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캠부재에 의해 후퇴했다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전진하면서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가 충격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공기유동관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 내주면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 및,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을 경우,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간의 결합과 분리가 간단하므로 환기구의 설치가 쉬워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시공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청소유닛을 더 구비하여, 환기구를 분리하여 세척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환기구 내부의 먼지를 세척해 주어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유닛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환기구장치는 환기구본체(110), 커버부(120), 개폐판(130)을 포함한다.
환기구본체(110)는 천정플레이트(w)에 고정설치되어 덕트(f)와 연결되는 것으로, 공기유동관체(111) 및 플랜지(113)로 구성된다.
공기유동관체(1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13)는 공기유동관체(111)의 하단에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공기유동관체(111)는 천정플레이트(w)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천정플레이트(w)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덕트(f)에 끼워지는 형태로 덕트(f)와 결합된다. 또한, 공기유동관체(111)의 상단 내측에는 "+"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대(1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대(115)의 중심에는 후술할 볼트부(133)의 상하이동시 볼트부(133)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수용관체(116)가 형성된다.
플랜지(113)는 공기유동관체(111)의 하단에서부터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고리형 원판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113)에는 원주상에 소정간격을 따라 나사통과공(113a)이 형성된다. 나사(미도시)를 나사통과공(113a)을 통해 천정플레이트(w)에 체결해 줌으로써, 플랜지(113)를 천정플레이트(w)의 하면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플랜지부(113)를 하부에서 덮도록 링형의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부(123)는 상부로 돌출되고, 외측단(121)은 상부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부(120)는 상단 내측에 "+" 형태의 지지리브(1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리브(126)의 중심에는 후술한 볼트부(133)가 나사체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 소켓부(127)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120)는 환기구본체(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커버부(120)의 내측부(123) 즉, 커버부(1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24)이 형성되고, 환기구본체(110)의 내주면 일측, 구체적으로 공기유동관체(111)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24)에 나사체결가능한 제2나사산(114)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나사체결하거나 반대로 회전시켜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제1나사산(124)과 제2나사산(114)이 1회 내지 3회의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 대해 1회 내지 3회 돌리면 손쉽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 조립할 때, 많은 횟수를 돌려서 힘들게 설치할 필요 없이, 커버부(120)를 1회 내지 3회만 돌려주면 환기구본체(110)에 결합하거나 반대로 역방향으로 1회내지 3회만 돌려주면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서 분리해낼 수 있어 설치와 분리가 편리해질 수 있다.
개폐판(130)은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개폐판(130)의 중심에는 상부로 볼트부(133)가 형성된다. 이 볼트부(133)는 소켓부(127)에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개폐판(13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판(130)이 승강하여 커버부(120)의 개방된 하부의 개폐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개폐판(130)이 커버부(120)에 대해 하부로 내려가면, 커버부(120)의 개방된 하부의 개폐도가 증가하여 많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개폐판(130)이 커버부(120)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여 커버부(120)와 가까워지면 커버부(120)의 개폐도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판(130)은 상하 위치조정에 따라 환기구본체(110)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환기구본체(110)의 플랜지(113)를 천정플레이트(w)의 하면에 대고, 나사(미도시)를 나사통과공(113a)을 통해 천정플레이트(w)에 체결하여 환기구본체(110)를 천정플레이트(w)에 조립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판(130)이 체결된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 대해 회전시켜 제1나사산(124)이 제2나사산(114)에 나사체결시킴으로써 손쉽게 커버부(120)를 환기구본체(110)에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공기유동관체(111)의 상단에 "+"형태의 지지대(115)가 설치되고, 그 중심에 수용관체(116)가 형성된 구조로서, 덕트(f)에 공기유동관체(111)를 끼우고, 호스클램프(미도시)로 고정해 줄때, 공기유동관체(111) 상부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공기유동관체(111)의 상부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대(115)의 중앙에 수용관체(116)가 형성되어 개폐판(130)의 상하이동시 볼트부(133)의 상단이 이동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환기구장치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원통형 송풍기모듈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은 내부에 모터(143)와, 이 모터(143)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43)가 내장설치되며, 아울러,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에는 모터(14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드부(145)가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의 직경은 대략 공기유동관체(111)와 동일한 직경이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의 전단에는 공기유동관체(111)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부(147)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의 끼움부(147)에 송풍기모듈(140)을 끼워주는 간단한 방식으로 송풍기모듈(140)을 환기구본체(110)와 결합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송풍기모듈(140)을 환기구본체(110)의 상단에 조립한 다음,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의 상단에 덕트(f)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원통형 송풍기모듈(140)은 모터(143)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터(143)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141)의 회전방향이 결정되어, 송풍기능 또는 배풍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를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환기구장치는 제 2 실시 예에 비해 청소유닛(160)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환기구의 장시간 사용시,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는 먼지가 고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강을 위해 환기구본체(110)를 천정플레이트(w)에서 분리해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환기구장치는 청소유닛(16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장치 자체적으로 유동관체(111)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청소유닛(16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케이싱(161), 실린더부(162), 스프링(163), 타격부재(164), 캠부재(166), 청소구동부재(167)를 포함한다.
케이싱(161)은 공기유동관체(11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내부에 실린더부(162), 타격부재(164), 캡부재(166), 청소구동부재(167)가 수용된다.
실린더부(162)는 케이싱(161)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타격부재(164)가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163)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실린더부(162)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타격부재(164)가 실린더부(162)로부터 외부로 신장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타격부재(164)는 실린더부(162)에 삽입되어 실린더부(162)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전후 직선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에는 돌출편(164a)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탄성재질의 고무부재(164b)가 구비된다. 또한, 타격부재(164)는 실린더부(162)에서 최대로 인출된 경우, 공기유동관체(111)의 외주면에 닿도록 구성된다.
캠부재(166)는 청소구동부재(16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청소구동부재(167)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청소구동부재(167)는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에 캠부재(166)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6 (a)와 같이, 캠부재(166)가 12시방향을 향한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30~60도 회전함에 따라 캠부재(166)가 돌출편(164a)을 밀어 타격부재(164)를 후퇴시키고, 도 6 (b)와 같이 캠부재(166)의 회전각도가 60도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캠부재(160)의 끝단이 돌출편(164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부재(164)가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격부재(164)가 공기유동관체(111)를 타격함으로써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d)가 충격에 의해 분리된다.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서 분리된 먼지(d)는 도 5와 같이 송풍기모듈(140)의 구동에 의해 배풍이 이루어진 경우,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청소구동부재(167)는 리모콘 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되도록, 소정시간 주기별로 청소구동부재(167)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d)의 양 즉,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 오염도를 검출하여 청소구동부재(167)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 오염도검출센서(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오염도검출센서(170)와 청소구동부재(167)는 제어부(1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90)는 오염도검출센서(170)에서 검출된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 오염도에 따라 청소구동부재(16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어부(190)는 케이싱(161) 또는 환기구본체(110)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오염도검출센서(170)는 광학식,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먼지(d)의 두께를 측정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 오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오염도검출센서(170)로부터 검출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청소구동부재(167)를 구동시켜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을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어부(190)는 청소구동부재(167)의 구동시, 송풍기모듈(140)을 배풍기능을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유동관체(111)의 내주면에서 분리된 먼지(d)가 덕트(f)를 통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개폐구동부재(181)와 가스센서(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구동부재(181)는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트부(133)를 일방향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제어부(190)가 개폐구동부재(181)를 제어함으로써 개폐판(130)의 상하이동에 따른 개폐도 조정을 전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개폐구동부재(181)가 전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부(133)가 소켓부(127)에 나사체결되지 않고 상하 슬라이딩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폐구동부재(181)는 볼트부(133)를 밀거나 당겨 주는 전동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볼트부(133)를 소켓부(127)에서 전동식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개폐구동부재(181)는 여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스센서(183)는 환기구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유동관체(111)를 지나는 공기에서 유해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가스센서(183)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개폐구동부재(181)를 조작하여 개폐판(130)를 최대로 상승시켜, 환기구본체(110)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즉, 개폐판(130)을 최대로 상승시켜 커버부(120)의 하부를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써, 유해가스가 환기구를 통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가스센서(183)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송풍기모듈(140)을 제어하여, 송풍기모듈(140)이 배풍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환기구본체(110) 및 덕트(f)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90)는 가스센서(183)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송풍기모듈(140)을 제어하여, 송풍기모듈(140)이 송풍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외부의 청정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여 유해가스를 희석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환기구본체
111...공기유동관체
114...제2나사산
115...지지대
116...수용관체
113...플랜지
120...커버부
124...제1나사산
126...지지리브
127...소켓부
130...개폐판
133...볼트부

Claims (6)

  1. 천정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덕트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공기유동관체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하단에 테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천정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환기구본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를 덮도록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기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소켓부를 구비한 커버부;
    상기 소켓부에 나사체결되는 소정길이로 구성되는 볼트부를 구비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하부의 개폐도가 조절되는 개폐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 내부에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상하 이동시 상기 볼트부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관체;
    전단에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상단과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원통형 송풍기모듈;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여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본체의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에 결합가능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커버부의 1회 내지 3회의 회전에 상기 환기구본체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후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하며, 일측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탄성재질의 고무부재가 구비된 타격부재;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의 외부로 신장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동부재;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청소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돌출편을 밀어낸 다음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작을 하는 캠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캠부재에 의해 후퇴했다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전진하면서 상기 공기유동관체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 고착된 먼지가 충격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공기유동관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관체 내주면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 및,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을 경우, 상기 청소구동부재 및 상기 송풍기모듈을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체의 내주면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60001642U 2016-03-28 2016-03-28 환기구 장치 KR200481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42U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03-28 환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42U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03-28 환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86Y1 true KR200481686Y1 (ko) 2016-10-31

Family

ID=5723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42U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03-28 환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8B1 (ko) 2022-11-17 2023-11-29 허성일 손쉬운 설치과정을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설치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759A (ja) * 1996-09-11 1998-04-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吹出口構造
KR20040023441A (ko) * 2002-09-11 2004-03-18 양홍선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880912B1 (ko) * 2007-08-28 2009-02-04 유진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KR100970389B1 (ko) 2010-01-07 2010-07-15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실내공기 조화용 환기구
KR200450526Y1 (ko) 2008-08-27 2010-10-08 주식회사 바이롬 환기구
KR101129019B1 (ko) 2009-10-06 2012-03-23 최창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759A (ja) * 1996-09-11 1998-04-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吹出口構造
KR20040023441A (ko) * 2002-09-11 2004-03-18 양홍선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880912B1 (ko) * 2007-08-28 2009-02-04 유진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KR200450526Y1 (ko) 2008-08-27 2010-10-08 주식회사 바이롬 환기구
KR101129019B1 (ko) 2009-10-06 2012-03-23 최창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KR100970389B1 (ko) 2010-01-07 2010-07-15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실내공기 조화용 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8B1 (ko) 2022-11-17 2023-11-29 허성일 손쉬운 설치과정을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133B2 (en) Air cleaner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155857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EP2952240B1 (en) Air cleaner
WO2016041260A1 (zh) 空气处理系统的顶盖
KR200481686Y1 (ko) 환기구 장치
JP2007136288A (ja) サイクロン式集塵器及び空気浄化装置
KR102100221B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TWI801981B (zh) 空氣淨化器
US20080256693A1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Toilet Odour Removal
CN104654484A (zh) 一种室内外空气流通净化集尘装置
KR20150003460U (ko) 댐퍼 내장형 디퓨져
KR102520369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환기시스템용 공기조절 전동댐퍼
US20060085898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2358787B1 (ko) 욕실용 환풍기
CN109442579A (zh) 自清洁式新风装置
KR20120020261A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20210101171A (ko) 공기청정기
CN105135526A (zh) 立式空调器
CN212368868U (zh) 一种除尘机构及清洁机器人
CN107830379A (zh) 监控器高效固定装置
JP2010286205A (ja) 送風装置
KR200442606Y1 (ko) 전방향 선풍기
US2630056A (en) Exhauster mechanism
KR101950949B1 (ko) 환풍기 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