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60U - 댐퍼 내장형 디퓨져 - Google Patents

댐퍼 내장형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60U
KR20150003460U KR2020140001913U KR20140001913U KR20150003460U KR 20150003460 U KR20150003460 U KR 20150003460U KR 2020140001913 U KR2020140001913 U KR 2020140001913U KR 20140001913 U KR20140001913 U KR 20140001913U KR 20150003460 U KR20150003460 U KR 201500034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operating screw
screw
hole
fasten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정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2020140001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60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상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바디를 천장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도, 바디캡과 댐퍼를 바디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통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스크류; 상기 작동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스크류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작동스크류의 장축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댐퍼; 상기 작동스크류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디캡;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소켓; 및 상기 체결소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스크류의 상단부에는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홈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는 상기 체결소켓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관통홈 측과 대향하는 적어도 일 부위가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 내장형 디퓨져{DIFFUSER WITH A BUILT-IN DAMPER}
본 고안은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퓨져 바디 내부에서 승하강 운동하는 댐퍼를 활용하여 바디로부터 댐퍼와 바디캡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 내부의 환기 또는 냉난방을 위하여 디퓨져를 천장에 설치하고 상기 디퓨져에 덕트를 연결함으로써 냉난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왔다.
도 8은 종래 디퓨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퓨져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과, 프레임에 나사 조립되는 바디(3)와, 바디에 나사 조립되는 공기량 조절구(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은 하단 절곡단에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절곡단으로부터 연결통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통의 외벽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내벽에 나사돌조가 형성된다. 바디(3)는 하단에 만곡부가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개구공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하단 양 끝단에 나사단(4)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공(5)이 형성된 나사편으로 이루어진다. 공기량 조절구(6)는 바디(3)의 하단에 이격 설치되는 조절판(7)과, 조절판(7)에 구비되어 나사편에 형성된 나사공(5)과 조립되는 나사봉(8)과, 나사봉의 이동거리를 조절시키는 너트로 구성되어 조절판(7)의 회전 조작에 따른 높낮이 조절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디퓨져는 디퓨져의 청소, 수리 내지 공기량 조절구 등의 교체 작업을 위해서는 천장에 설치 고정된 바디를 천장에서 해체해야만 해당 바디에 장착된 공기량 조절구 등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였고, 이에 따라 디퓨져의 청소 내지 수리 등의 작업이 번거롭고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 상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바디를 천장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도, 바디캡과 댐퍼를 바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통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스크류; 상기 작동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스크류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작동스크류의 장축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댐퍼; 상기 작동스크류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디캡;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소켓; 및 상기 체결소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스크류의 상단부에는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홈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는 상기 체결소켓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관통홈 측과 대향하는 적어도 일 부위가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체결소켓의 상부 영역에 상기 체결소켓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절개홈은 상기 관통홈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에 의하면, 천장 상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바디를 천장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도, 댐퍼의 승강 동작을 활용하여 바디캡과 댐퍼를 바디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퓨져의 청소, 수리 내지 바디캡 교체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댐퍼의 개폐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작동스크류의 성형시, 이를 상하빼기 금형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제1 방향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제2 방향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바다캡 분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 디퓨져의 분해 사시도.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제1 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제2 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덕트와 연결되는 바디(10),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50), 댐퍼(50)의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는 작동스크류(60), 격판(20), 작동스크류(60)를 지지하는 체결소켓(30), 및 바디캡(70)을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의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작동스크류(60)에 구비되는 머리부(61)와, 체결소켓(30)에 구비되는 절개홈(35)과, 바디캡(70)에 구비되는 블레이드(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디(10)는 내부는 비어 있어 공기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개구되어 있는 통형 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형 부재(11)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5)는 바디(10)를 천장 슬라브에 매립시 천장 밑면에 걸림 동작되어 바디(10)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함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바디(10) 내부에는 작동스크류(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소켓(30)과, 상기 체결소켓(30)을 바디(10) 내부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대(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체결소켓(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바디(10) 내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중심에 배치된 체결소켓(30)은 다수 개의 지지대(40)에 의해 바디(10) 내부에 고정된다.
이렇게 바디(10)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소켓(30)은 그 내부에 후술할 댐퍼 보스(55)를 수용하여 댐퍼(50)의 승하강 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특히, 체결소켓(30)은 그 상부 영역에 상기 체결소켓(3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홈(35)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중심부에는 체결소켓(3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홈(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홈(31)은 체결소켓(30)의 상단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개홈(35)은 관통홈(31)의 주변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관통홈(31)은 그 내주면을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머리부(61)의 곡면형 밑면이 관통홈(31)의 볼록한 곡면과 접촉하며 마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머리부(61)가 관통홈(31)으로부터 억지 이탈되는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절개홈(35)은 후술할 작동스크류(60)의 분리 동작이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부로서, 작동스크류(60)의 분리를 위해 바디캡(70)을 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면, 이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체결소켓(30)의 상부 영역이 관통홈(31)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스크류(60)가 체결소켓(3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대(4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막대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40)는 체결소켓(30)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일단부는 체결소켓(3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바디(10)의 내면에 고정됨으로써 체결소켓(30)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작동스크류(60)는 바디캡(70)의 일면 상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바디(10)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된 봉형 부재이다.
작동스크류(60)는 바디캡(70)을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축회전하게 되고, 이 때 작동스크류(60)에 장착된 댐퍼(50)는 작동스크류(60)의 축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작동스크류(60)의 하단부는 바디캡(70)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체결소켓(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동스크류(60)의 상단부는 체결소켓(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체결소켓(30)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자전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작동스크류(60)의 상단부에는 체결소켓(30)의 관통홈(31)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홈(31)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홈(31)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61)와 작동스크류(60)는 네크(65)를 통해서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네크(65)는 머리부(61) 및 작동스크류(60)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네크(65)는 적어도 일 부위가 체결소켓(30)의 관통홈(31) 내에 삽입 배치된 결합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스크류(60)는 머리부(61)가 체결소켓(3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소켓(30)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소켓(30)의 관통홈(31)에 결합된 축(즉, 네크)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작동스크류(6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61)는 관통홈(31) 측과 대향하는 적어도 일 부위(C1)가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부(61)의 상기 적어도 일 부위(C1)는 네크(65)와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밑면으로서 체결소켓(3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면(C1)이고, 이는 볼록한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스크류(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스크류는 암나사산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나사산은 작동스크류(60)의 정회전(또는 역회전)이 1회전만 가능하도록 형성(즉, 360°의 암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동스크류(60)의 암나사산의 피치를 1회전(즉, 360°)에 해당하는 피치로만 형성함으로써, 바디캡(즉, 작동스크류)을 정방향(또는 역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작동스크류(60)는 한 개의 피치(Pitch)만큼만 이동하고 더 이상 전진(또는 후진)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스크류(60)를 암나사산으로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산을 360°의 나사산 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작동스크류(60)를 성형시 상하빼기 금형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작동스크류(60)의 암나사산을 통상의 스크류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같이 360°초과의 나사산 구조로 형성하면, 해당 작동스크류(60)를 성형 후 이를 금형으로부터 돌려빼는 구조로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바 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격판(20)은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내향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중심부는 관통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격판(20)은 댐퍼(50)와의 이격 거리에 의해 공기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의 댐퍼(50)는 작동스크류(60)에 나사 결합되고, 체결소켓(30)에 의해 축회전 동작은 저지되고 승하강 운동만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동스크류(60)의 정회전(또는 역회전)시 작동스크류(60)의 장축을 따라 상승(또는 하강) 운동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승강 운동을 통해 공기의 흡입량(또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댐퍼(50)는 댐퍼판(51)과 보스(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우 댐퍼판(51)은 격판(20)으로의 접근 및 후퇴를 통해 공기 유입구의 개방량을 변경함으로써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댐퍼(50)는 작동스크류(6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는 바, 작동스크류(60)의 나선형 스크류에 대응하여 댐퍼(50) 역시 나선형 스크류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댐퍼(50)에 마련되는 나선형 스크류는 댐퍼판(51) 상에 구비되는 보스(5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스(55)는 댐퍼판(51)의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중공 부재로서, 보스(55)의 중공은 적어도 작동스크류(60)가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스크류(60)는 이러한 보스(55)의 중공을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된다.
보스(55)는 바디캡(70)을 일 방향 회전시, 체결소켓(30) 내부로 점차 삽입되게 구성되고, 체결소켓(30) 내부로 삽입된 후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체결소켓(30)의 상단부와 만나게 된다.
한편, 작동스크류(60)의 암나사산에 대응하여, 보스(5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스크류는 수나사산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은 작동스크류(60)의 정회전(또는 역회전)이 1회전만 가능하도록 형성(즉, 360°의 수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디캡(70)은 댐퍼(5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디(10)의 하단 개구부를 마감하고, 바디(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방사상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며, 작동스크류(6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작동스크류(60)의 정/역 방향 축회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캡(70)은 캡베이스와 마감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베이스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그 상면에 작동스크류(60)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마감캡은 캡베이스의 하면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댐퍼 내장형 디퓨져는 블레이드(75)와 스톱퍼(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바디캡(70)의 일 방향 회전에 따른 댐퍼(50)의 하강 동작시 댐퍼(5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바디캡(70)이 더 이상 상기 일 방향 회전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75)는 바디캡(70)의 상면 상에 수직한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바디캡(70)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스크류(60)를 중심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블레이드(75)는 그 최상단부(즉, 블레이드의 높이)가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암나사산의 시작점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톱퍼(53)는 댐퍼(50)의 하면 상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댐퍼판(51)의 밑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75)를 다수 개로 구성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스톱퍼(53) 역시 같은 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스톱퍼(53)는 댐퍼판(5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바디캡(70)을 일 방향 점차 회전시키면 댐퍼(50)는 하측 방향으로 점차 하강하며 공기 유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댐퍼(50)가 바디(10)의 공기유입구를 최대 개방시키는 위치에 도달하면 댐퍼(50)에 마련된 스톱퍼(53)가 블레이드(75)에 걸리게 되어 바디캡(70)의 회전 동작이 저지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디퓨져가 최대 개방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75)와 스톱퍼(53)에 의한 걸림 동작을 통해 작동스크류(60)와 댐퍼(50) 간의 나사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공기 유량 조절 동작과, 바디캡 분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의 바다캡 분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바디캡(70)을 일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디캡(70)에 연결된 작동스크류(60) 역시 일 방향으로 축회전하게 된다.
이 때, 작동스크류(60)는 체결소켓(30)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회전하게 되는 바, 작동스크류(60)에 나사 결합된 댐퍼(50)는 작동스크류 (60)의 장축을 따라 상승하여 격판(20)에 점차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비례하여 공기 유입구 면적이 감소되어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반면, 사용자가 바디캡(70)을 반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디캡(70)에 연결된 작동스크류(60) 역시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댐퍼(50)는 작동스크류(60)의 장축을 따라 하강하여 격판(20)으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되고, 이에 비례하여 공기 유입구 면적이 증대되어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도 5와 같이 댐퍼가 최대 지점(즉, 공기유입구 폐쇄)까지 상승하여 더 이상의 상승 동작이 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바디캡(70)을 일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시키게 되면, 해당 외력에 의해 댐퍼(50)의 보스(55)가 체결소켓(30)을 밀어내는 동작이 발생된다. 이 때, 체결소켓 (30)은 이에 마련된 절개홈(35)에 의해 그 상부 영역이 관통홈(31)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바디캡(70)을 더 회전시키면 댐퍼(55)는 더 이상 상승 동작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바디캡(70)의 하강 동작이 발생되는데, 이 때 체결소켓(30)의 관통홈(31) 상측 상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머리부(61)는 관통홈(31) 측과 대향하는 밑면(C1)이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해당 머리부(61)는 상부 영역이 벌어져 있는 체결소켓(30)의 관통홈(31)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상기에서 설명 및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퍼 내장형 디퓨져에 의하면, 천장 상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바디(10)를 천장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도, 댐퍼의 승강 동작을 활용하여 바디캡과 댐퍼를 바디(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퓨져의 청소, 수리 내지 바디캡 교체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바디 15: 플랜지부
30: 체결소켓 31: 관통홈
35: 절개홈 40: 지지대
50: 댐퍼 51: 댐퍼판
53: 스톱퍼 55: 보스
60: 작동스크류 61: 머리부
65: 네크 70: 바디캡
75: 블레이드

Claims (5)

  1. 실내의 환기 또는 냉난방 공기의 공급을 위한 디퓨져에 있어서,
    공기 유로가 형성된 통 형상의 바디(10);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스크류(60); 상기 작동스크류(6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장축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댐퍼(50); 상기 작동스크류(6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5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디캡(70); 상기 바디(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소켓(30); 및 상기 체결소켓(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홈(31);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상단부에는 상기 관통홈(31)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홈(31)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홈(31)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스크류(60)는 상기 체결소켓(30)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헛돌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61)는 상기 관통홈(31) 측과 대향하는 적어도 일 부위가 곡면 형상 또는 상향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30)의 상부 영역에 상기 체결소켓(3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개홈(35)은 상기 관통홈(31)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31)의 내주면을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50)는, 판형의 댐퍼판(51); 및 상기 댐퍼판(51) 상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중공 부재로서 상기 작동스크류(60)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보스(55)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55)의 내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외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캡(70)의 상면 상에 수직한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블레이드(75); 및 상기 댐퍼판(5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75)에 걸림 동작되는 스톱퍼(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디퓨져.
KR2020140001913U 2014-03-10 2014-03-10 댐퍼 내장형 디퓨져 KR201500034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13U KR20150003460U (ko) 2014-03-10 2014-03-10 댐퍼 내장형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13U KR20150003460U (ko) 2014-03-10 2014-03-10 댐퍼 내장형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60U true KR20150003460U (ko) 2015-09-18

Family

ID=5434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13U KR20150003460U (ko) 2014-03-10 2014-03-10 댐퍼 내장형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6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14Y1 (ko) * 2017-01-11 2018-06-22 안진혁 풍량조절 댐퍼 부착 디퓨져
FR3061271A1 (fr) * 2016-12-27 2018-06-29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FR3061272A1 (fr) * 2016-12-27 2018-06-29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EP3343121A1 (fr) 2016-12-27 2018-07-04 Atlantic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KR20190046397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힘펠 풀림방지 구조가 구비된 디퓨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271A1 (fr) * 2016-12-27 2018-06-29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FR3061272A1 (fr) * 2016-12-27 2018-06-29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EP3343120A1 (fr) 2016-12-27 2018-07-04 Atlantic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EP3343122A1 (fr) 2016-12-27 2018-07-04 Atlantic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EP3343121A1 (fr) 2016-12-27 2018-07-04 Atlantic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Bouche d'extraction ou d'insufflation d'air
KR200486714Y1 (ko) * 2017-01-11 2018-06-22 안진혁 풍량조절 댐퍼 부착 디퓨져
KR20190046397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힘펠 풀림방지 구조가 구비된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600Y1 (ko) 댐퍼 내장형 디퓨져
KR20150003460U (ko) 댐퍼 내장형 디퓨져
US6991534B2 (en) Adjustable vent
KR101161153B1 (ko) 방향제가 구비된 전동식 디퓨져
KR101132646B1 (ko)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101595499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979981B1 (ko) 환기량 조절용 디퓨져
TW201502402A (zh) 流量控制套筒組
CN103629797A (zh) 可变风量扩散器
KR100944370B1 (ko) 릴리프 댐퍼
KR101155723B1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102322756B1 (ko) 전동식 풍량조절용 디퓨져
EP3643983B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200463501Y1 (ko) 전동 디퓨저
KR101938281B1 (ko) 전자식 밸브, 그를 포함하는 배관시스템 및 공조설비
KR200486714Y1 (ko) 풍량조절 댐퍼 부착 디퓨져
KR102430002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저
BE1024668A1 (nl) Ventilatie-inrichting
KR200472533Y1 (ko) 토출량 조절구
KR101247339B1 (ko) 공급조절팬의 풀림을 방지하는 공기조화용 환기구
KR200481686Y1 (ko) 환기구 장치
KR200472462Y1 (ko) 디퓨져의 풍량조절장치
KR101555921B1 (ko) 디퓨져 탈부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2468857B1 (ko) 댐퍼를 갖는 급기 디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