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33Y1 - 토출량 조절구 - Google Patents

토출량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33Y1
KR200472533Y1 KR2020140000785U KR20140000785U KR200472533Y1 KR 200472533 Y1 KR200472533 Y1 KR 200472533Y1 KR 2020140000785 U KR2020140000785 U KR 2020140000785U KR 20140000785 U KR20140000785 U KR 20140000785U KR 200472533 Y1 KR200472533 Y1 KR 200472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uter housing
water
discharg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자
Original Assignee
김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자 filed Critical 김정자
Priority to KR202014000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 바닥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구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조절모듈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절모듈이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출량 조절구{Device for controlling a quantity of water}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토출량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돗물의 토출량은 동일한 사이즈의 수도관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토출량이 달라지는 원인으로서 물탱크 설치 위치, 물탱크와 수도기기 간의 거리 차, 수도관 내의 불순물 양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수도관 내의 불순물은 스케일(scale)을 발생시켜 수도관 내부를 차폐하기 때문에 수압에 관계없이 원하는 토출량을 제공할 수 없다.
한편, 불순물이 없다는 가정 하에서 수압은 한정된 수도관의 크기와 시간 내에서 토출될 수 있는 물의 토출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관 내의 수압이 약한 수도기기에서는 한정된 시간 내에서 적은 량의 물이 토출될 것이고, 반대로 수압이 강한 수도기기에서는 보다 많은 량의 물이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한다. 최초 물탱크에서 메인 배관을 통하여 수돗물이 여러 가정으로 지급되는 최대 지급량이 분당 20ℓ라고 가정할 경우, 물탱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가정의 수도기기를 완전 개방시킬 때는 그 수압이 강하기 때문에 13~15ℓ의 물이 토출됨에 따라 낭비를 초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탱크와 원거리에 있는 가정의 수도기기에서는 상대적으로 5~7ℓ밖에 토출되지 못하게 되어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실질적으로, 물탱크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당한 양의 물이 토출되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으나 거리에 따른 수압차로 인해 상기와 같이 과도한 토출량에 따른 낭비 문제와 부족한 토출량에 따른 불편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점을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가해지고 있다.
특히, 물이 과도하게 토출되는 경우에는 막대한 양의 물이 낭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결책이 더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샤워기 헤드와 물 공급 배관이 접속되는 내부, 수전과 물 공급 배관이 접속되는 내부 등과 같이 각종 물 공급 배관에 따른 유로에 토출량 조절구를 설치하여 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을 감소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대부분의 토출량 조절구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물 토출량의 정밀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토출량 조절구에 대한 구조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617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090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17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4767.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토출량 조절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 바닥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구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조절모듈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절모듈이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토출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 토출구; 및 상기 센터 토출구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터 토출구의 둘레 영역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모듈 헤드; 상기 센터 토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듈 헤드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모듈 헤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센터 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테일; 및 상기 모듈 헤드와 상기 모듈 테일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모듈 헤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 헤드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센터 토출구, 상기 유입구, 상기 사이드 토출구의 순으로 개구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헤드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물이 과도하게 토출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토출량 조절구는 분해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내부 하우징과 조절모듈 간의 배치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내부 하우징과 조절모듈 간의 배치도, 도 9는 도 1의 절개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9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100)는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조절모듈(130), 그리고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제조의 편의성, 그리고 부식되지 않는 재료의 내구성을 위해 탄성부재(140)를 제외하고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그리고 조절모듈(130) 모두는 동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그리고 조절모듈(130) 모두가 동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재질적인 특징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식에 강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그리고 조절모듈(130)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조절모듈(130), 그리고 탄성부재(140)의 구성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아본다.
우선, 외부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100)의 외관을 이룬다. 도 1 및 도 2처럼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100)가 조립되었을 때, 내부 하우징(120)의 날개 플랜지(122)를 제외한 모든 구조가 외부 하우징(110)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110)은 그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 바닥면(111)에 다수의 토출구(112,11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다수의 토출구(112,113)는 외부 하우징(110)의 바닥면(111)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 토출구(112)와, 센터 토출구(112)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센터 토출구(112)의 둘레 영역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토출구(1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터 토출구(112)는 1개 형성되고, 다수의 사이드 토출구(113)는 센터 토출구(112)의 주변으로 3개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토출구(112,113)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센터 토출구(112) 역시 몇 개의 홀(hole)이 될 수 있고, 사이드 토출구(113) 역시 2개, 혹은 4개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내부 하우징(120)은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도 1 및 도 2처럼 외부 하우징(11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내부 하우징(120)은 외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삽입부(121)와 연결되되 외부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외부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삽입부(1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 플랜지(122)를 포함한다.
날개 플랜지(122)가 내부 하우징(120)의 삽입부(121)의 직경이나 외부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날개 플랜지(122)는 수도기기에 조립될 때의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의 내벽에는 조절모듈(130)의 모듈 헤드(131)가 이탈되지 않도록 모듈 헤드(131)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20) 내에 조절모듈(130)과 탄성부재(140)를 배치하면서 내부 하우징(120)의 삽입부(121)가 외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내부 및 외부 하우징(120,110)을 조립할 경우, 내부 하우징(120)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120a)에 조절모듈(130)의 모듈 헤드(131)가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조절모듈(130)과 탄성부재(140)가 내부 하우징(120)의 날개 플랜지(122) 쪽으로 이탈될 우려는 없다.
다음으로, 조절모듈(130)은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131a)를 구비하되 내부 하우징(120) 내에서 내부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조절모듈(130)은 수압에 따라 내부 하우징(120) 내에서 위치 이동되면서 다수의 토출구(112,113)를 부분적으로 개폐 또는 가리면서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모듈(130)은 모듈 헤드(131), 모듈 테일(132), 그리고 커넥터(133)를 포함한다.
모듈 헤드(131)는 다수의 유입구(131a)가 형성되되 탄성부재(140)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모듈 헤드(131)가 내부 하우징(120)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120a)에 걸려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31a)는 모듈 헤드(131)에 3개 형성된다. 하지만, 이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으므로 유입구(131a)의 개수는 2개 혹은 4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토출량의 효율적인 미세 조절을 위해, 센터 토출구(112), 유입구(131a), 사이드 토출구(113)의 순으로 개구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사이즈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듈 테일(132)은 센터 토출구(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모듈 헤드(131)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모듈 헤드(131)와 이격 배치되고 센터 토출구(1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수압이 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최대 압축되었을 때, 모듈 테일(132)이 센터 토출구(112)를 거의 가릴 수 있게 모듈 테일(132)은 센터 토출구(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3)는 모듈 헤드(131)와 모듈 테일(132)을 연결한다. 편의상 조절모듈(130)을 모듈 헤드(131), 모듈 테일(132), 그리고 커넥터(133)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일 재질, 즉 동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탄성부재(140)는 그 일단부는 조절모듈(130)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외부 하우징(110) 내의 바닥면(111)에 배치되며, 조절모듈(130)이 외부 하우징(110) 내의 바닥면(11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40)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수압이 강할 경우,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140)는 압축되고 이에 의해 조절모듈(130)이 외부 하우징(110)의 바닥면(111) 쪽으로 이동되면서 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수압이 사라지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40)가 팽창되면서 조절모듈(130)은 원위치 복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100)에 따르면 앞쪽과 뒤쪽으로 다수의 유입구(131a)와 다수의 토출구(112,113)가 형성되고, 내부 및 외부 하우징(120,110) 사이에 조절모듈(130)과 탄성부재(140)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토출량이 너무 과할 경우, 물이 과도하게 토출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토출량 조절구(100)는 분해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200) 역시, 외부 하우징(210), 내부 하우징(220), 조절모듈(230), 그리고 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모듈 헤드(231)와 상기 외부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는 탄성부재(240)의 양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231a,211a)이 형성된다.
이처럼 모듈 헤드(231)와 상기 외부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자리 배치홈(231a,211a)이 형성되면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되는 탄성부재(240)가 제 위치에서 변형되지 않고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의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토출량 조절구(200)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토출량이 너무 과할 경우, 물이 과도하게 토출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토출량 조절구(200)는 분해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300) 역시, 외부 하우징(310), 내부 하우징(320), 조절모듈(330), 그리고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탄성부재(340)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이 아닌 판스프링으로 적용된다. 이처럼 판스프링으로 탄성부재(340)가 적용되더라도 조절모듈(3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은 구조의 토출량 조절구(300)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토출량이 너무 과할 경우, 물이 과도하게 토출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토출량 조절구(300)는 분해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구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출량 조절구(400) 역시, 외부 하우징(410), 내부 하우징(420), 조절모듈(430), 그리고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탄성부재(440)는 판스프링으로 적용되는데, 이때 외부 하우징(410)의 바닥면(411)에는 탄성부재(440)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면서 걸리도록 하는 스프링 걸림턱(411a)이 형성된다. 이처럼 스프링 걸림턱(411a)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걸림턱(411a)에 탄성부재(44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440)가 제 위치에서 변형되지 않고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의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토출량 조절구(400)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물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토출량이 너무 과할 경우, 물이 과도하게 토출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토출량 조절구(400)는 분해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토출량 조절구 110 : 외부 하우징
111 : 바닥면 112 : 센터 토출구
113 : 사이드 토출구 120 : 내부 하우징
120a : 걸림턱 121 : 삽입부
122 : 날개 플랜지 130 : 조절모듈
131 : 모듈 헤드 131a : 유입구
132 : 모듈 테일 133 : 커넥터
140 : 탄성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 바닥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구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조절모듈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절모듈이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토출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 토출구; 및
    상기 센터 토출구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터 토출구의 둘레 영역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 플랜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모듈 헤드;
    상기 센터 토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듈 헤드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모듈 헤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센터 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테일; 및
    상기 모듈 헤드와 상기 모듈 테일을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모듈 헤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 헤드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토출구, 상기 유입구, 상기 사이드 토출구의 순으로 개구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 헤드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구.
KR2020140000785U 2014-02-04 2014-02-04 토출량 조절구 KR200472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85U KR200472533Y1 (ko) 2014-02-04 2014-02-04 토출량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85U KR200472533Y1 (ko) 2014-02-04 2014-02-04 토출량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33Y1 true KR200472533Y1 (ko) 2014-05-07

Family

ID=5353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85U KR200472533Y1 (ko) 2014-02-04 2014-02-04 토출량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8018A (zh) * 2018-10-19 2019-01-08 滁州米润科技有限公司 一种箱包生产用涂料搅拌装置
KR20230130889A (ko) * 2022-03-04 2023-09-12 백현수 샤워기용 정량토출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144B2 (ja) 1995-12-19 2001-07-16 北新工業株式会社 流量調節用の節水弁
KR200407765Y1 (ko) 2005-11-18 2006-02-03 김영조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KR100799457B1 (ko) 2007-03-09 2008-02-01 김영조 절수장치가 내설되는 벽 샤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144B2 (ja) 1995-12-19 2001-07-16 北新工業株式会社 流量調節用の節水弁
KR200407765Y1 (ko) 2005-11-18 2006-02-03 김영조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KR100799457B1 (ko) 2007-03-09 2008-02-01 김영조 절수장치가 내설되는 벽 샤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8018A (zh) * 2018-10-19 2019-01-08 滁州米润科技有限公司 一种箱包生产用涂料搅拌装置
KR20230130889A (ko) * 2022-03-04 2023-09-12 백현수 샤워기용 정량토출 밸브
KR102605014B1 (ko) * 2022-03-04 2023-11-23 백현수 샤워기용 정량토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454B1 (en) Flow control valve
JP2011510361A (ja) モジュラー式インライン型流体調整装置
KR200472533Y1 (ko) 토출량 조절구
KR20190021911A (ko)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US10619749B2 (en) Flow-controlling unit having function of limiting tilting angle of flow-controlling piece
CN101066748B (zh) 旋塞部件及具备该旋塞部件的液体收容容器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CN105090545A (zh) 一种调节阀
EP2719840A2 (en) Water faucet with function of noise reduction and pressure adjustment
US8739327B2 (en) Single handle faucet and a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KR20190125117A (ko) 자동 조절기능과 절수기능을 갖는 수전
US9567733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flow of a fluid, in particular the flow of water in a shower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US11054129B2 (en) Boiler fill valve with regulated fast-fill
CN105736771A (zh) 一种单向导水组件和自动加水的料理机
KR20110092726A (ko) 밸브 조립체
JP6218688B2 (ja) 加湿素子および加湿装置
CN204784918U (zh) 一种水流量调节阀
JP5284547B1 (ja) 流量調整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シュバルブ
CN201301985Y (zh) 一种用于洁身器的水压调节阀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JP6021194B2 (ja) 2次側戻り水対策用逆止弁
KR101294107B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의 밸브장치
KR101223160B1 (ko) 압력변화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 수도꼭지
JP4481227B2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