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765Y1 -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765Y1
KR200407765Y1 KR2020050032657U KR20050032657U KR200407765Y1 KR 200407765 Y1 KR200407765 Y1 KR 200407765Y1 KR 2020050032657 U KR2020050032657 U KR 2020050032657U KR 20050032657 U KR20050032657 U KR 20050032657U KR 200407765 Y1 KR200407765 Y1 KR 200407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amer
pressure
amoun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20050032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765Y1/ko
Priority to CNU2005201426544U priority patent/CN2900636Y/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고안은,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수도기기 등에 장착되는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고, 포말기 상부에 탄설된 유량조절구에 의해 토출되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압력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물의 양이 항시 자동으로 조절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는,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장착되고,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너지 강약에 따라 토출구를 통과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구와,
유량조절구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고, 유량조절구를 통과하는 유체를 정류시키며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와,
포말기를 수용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유량조절구를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절수, 포말기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tap water discharge automatic contril device of using water pressur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수도기기의 토출구 11; 투입구
12; 유량조절구 13; 포말기
14; 본체 15; 캡
16; 하우징 17; 배출구
18; 플런저(plunger) 19; 플랜지
20; 탄성부재 21; 관통공
22; 조절구 23; 패킹
본 고안은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수도기기 등에 장착된 포말기 상부에 탄설된 유량조절구를 통과하는 토출량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에 장착되는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고, 포말기 상부에 탄설된 유량조절구에 의해 토출되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압력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물의 양이 항시 자동으로 조절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은 같은 크기의 수도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도기기의 설치된 위치에 따라 토출량이 상이하고, 이는 물탱크가 설치된 위치와, 물탱크와 각 수도기기 등의 간격 차이로 인해 수도관을 통하여 흐르는 수압 및 토출량이 상이하게 되며, 또한 노후된 수도관일 경우에 내부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으로 인해 토출량이 상이하게 된다.
전술한 수압은 수도관의 크기와 한정된 시간내에 토출될 수 있는 물의 량과 비례하므로 수도관의 수압이 약한 수도기기에서는 동일한 시간내에 적은 량의 물이 토출되고, 이와 반면에 수압이 강한 수도기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토출된다.
이로 인해, 고층 빌딩 또는 고층 아파트의 저층에서는 필요이상의 수압으로 인해 토출량 일부가 낭비되어 발생되는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도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여 수도관 내부의 단면적을 줄여 토출량을 기준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수도관 내부의 수압과는 상관없이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수도관의 크기와 수압에 따라 요구되는 많은 종류의 유량 조절장치가 제작되어야 하고, 각 가정을 방문하여 수도관의 크기, 수압 및 토출량을 측정한 후 밸브를 분해후 특정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므로,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수도기기 등의 토출구에 탄설된 유량조절구에 의해 토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고층 건물의 저층에서 발생되는 필요이상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물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도관의 크기 및 수도관 내부의 수압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유량조절구에 의해 토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각 가정의 수도기기에 알맞는 유량 조절장치를 따로따로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실용성 및 편리성을 갖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장착되고,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압력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토출구를 통과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구와,
유량조절구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고, 유량조절구를 통과하는 유체를 정류시키며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와,
포말기를 수용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유량조절구를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유량조절구는,
전술한 투입구가 형성된 캡과,
상하단이 개방되고, 캡 내부에 끼워맞춤되며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캡의 투입구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며, 하우징 하단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플랜지를 캡 상단에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플런저의 플랜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플랜지 하방으로 콘형상의 조절구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는, 수도꼭지 등을 포함하는 수도기기의 토출구(10)에 장착되고, 투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압력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토출구(10)를 통과하는 유체의 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유량조절구(12)와,
유량조절구(12)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고, 유량조절구(12)를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류시키며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13)와,
포말기(13)를 수용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유량조절구(12)를 수도기기의 토출구(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본체(14)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유량조절구(12)는,
전술한 투입구(11)가 상단에 형성된 원통형 캡(15)과, 상하단이 개방되고 캡(15) 내부에 끼워맞춤되며 포말기(13)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하우징(16)과, 캡(15)의 투입구(11)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하우징(16) 내부에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며 하우징(16) 하단의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플런저(18)(plunger)와, 플런저(18)의 플랜지(19)를 캡(15) 상단에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며, 탄성력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탄성부재(20)(일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플런저(18)의 플랜지(19)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일예로서, 도면에는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이 형성되고 플랜지(19) 하방으로 콘형상의 조절구(22)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조절구(22) 하단의 직경은 하우징(16)의 배출구(17)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3은 본체(14) 상단에 장착되며 유량조절구(12)를 포말기(13) 상단에 이격되게 장착하는 패킹이고, 24는 포말기(13)에 장착되어 스케일(scale)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걸름망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5)가 부착된 수도꼭지 몸체(26)의 토출구(10)에 유량조절구(12)가 포말기(13)가 내설된 본체(14)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한다. 이로 인해 수도기기의 토출구(10)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구(12)가 패킹(23)에 의해 포말기(13)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여 장착된다.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25)를 조작하여 수도꼭지 몸체(26)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몸체(26)를 통과하는 수돗물은 토출구(10)에 장착된 유량조절구(12)를 통과한 후, 포말기(13)를 경유하여 토출된다.
즉, 유량조절구(12)의 캡(15)에 형성된 투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돗물은, 플런저(18)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과하여 하우징(16)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토출구(10)를 통과하는 유체는 플런저(18)의 플랜지(19)에 의해 이동통로의 단면적이 축소되므로 플랜지(19)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과할 경우 유체에 압력이 발생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이러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18)를 하우징(16) 내부에서 포말기(13)를 향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이때 탄성부재(20)는 압축상태임).
즉, 전술한 플런저(18) 하방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된 조절구(22)에 의해 하우징(16) 하단에 관통형성된 배출구(17)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런저(18)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큰 경우 하우징(16) 내부에서 플런저(18) 이동량이 많게됨에 따라, 하우징(16)의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체량이 감소되고, 이와 반대로 플런저(18)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플런저(18) 이동량이 줄어들어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체량이 증가된다. 즉 플런저(18)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체량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도기기의 토출구(10)를 통과하는 수압 및 토출량이 많 은 경우에 전술한 플런저(18) 이동량이 증대되므로 하우징(16)의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체량이 줄어들고, 이와 반대로 수압 및 토출량이 적은 경우에는 플런저(18)이동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하우징(16)의 배출구(17)를 통과하는 유체량이 증가된다. 즉 수압 및 토출량의 많고 적음에 무관하게 수도기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량이 동일하므로 많은 량의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유량조절구(12)를 통과한 후 포말기(13)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며, 이때 본체(14) 하단에 장착된 걸름망(24)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는 수도꼭지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주방용, 샤워기용, 세면기용, 일반 수도기기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탄설된 유량조절구에 의해 유체의 토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고층 건물의 저층에서 발생되는 필요이상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물 낭비로 인한 엄청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의 크기 및 수도관 내부의 수압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유량조절구에 의해 토출량이 조절되므로, 각 가정의 수도기기에 맞는 유량 조절장치를 따로따로 장착하는 작업에 따른 인건비, 작업시간 및 물류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장착되고,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압력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토출구를 통과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구;
    상기 유량조절구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절구를 통과하는 유체를 정류시키며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 및
    상기 포말기를 수용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유량조절구를 상기 수도기기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구는,
    투입구가 형성된 캡;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캡 내부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캡의 투입구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플랜지를 상기 캡 상단에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 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플랜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하방으로 콘형상의 조절구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KR2020050032657U 2005-11-18 2005-11-18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KR200407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57U KR200407765Y1 (ko) 2005-11-18 2005-11-18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CNU2005201426544U CN2900636Y (zh) 2005-11-18 2005-12-06 利用水压自动调节自来水出水量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57U KR200407765Y1 (ko) 2005-11-18 2005-11-18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765Y1 true KR200407765Y1 (ko) 2006-02-03

Family

ID=3808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57U KR200407765Y1 (ko) 2005-11-18 2005-11-18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7765Y1 (ko)
CN (1) CN2900636Y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66B1 (ko) * 2007-05-11 2008-07-25 유통희 수도의 절수장치
KR101135466B1 (ko) 2010-02-11 2012-04-09 대류산업 주식회사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KR200472533Y1 (ko) 2014-02-04 2014-05-07 김정자 토출량 조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6524A1 (zh) * 2011-02-28 2012-09-07 佛山市顺德区洛基特五金水暖器材有限公司 利用水压水流实现排水器存排水开闭功能的方法及装置
CN102168451A (zh) * 2011-02-28 2011-08-31 何堂光 利用水压水流实现排水器存排水开闭功能的方法及装置
CN102839719B (zh) * 2012-09-17 2014-08-20 福建欧联卫浴有限公司 一种节水装置
CN108274677A (zh) * 2018-02-13 2018-07-13 烟台裕华液力机械有限公司 一种快速换模装置及带有快速换模装置的泡沫成型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66B1 (ko) * 2007-05-11 2008-07-25 유통희 수도의 절수장치
KR101135466B1 (ko) 2010-02-11 2012-04-09 대류산업 주식회사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KR200472533Y1 (ko) 2014-02-04 2014-05-07 김정자 토출량 조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900636Y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765Y1 (ko)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자동 조절장치
US8485220B2 (en) Automatic flow regulator valve
US6681418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US3536294A (en) Foot-operated control valve attachment device for water faucets
US20060118171A1 (en) Modular air gap device and faucet including same
CA2498853C (en) Universal kinetic diverting spout post assembly
US5295654A (en) Metering valve
US8069877B2 (en) Pressure compensating flush valve with self-cleaning piston
EP3044382B1 (en) Syphon assembly
US20050098650A1 (en) Water fountain attachment for a faucet
US6871835B2 (en) Flow control valve with automatic shutoff capability
US6668393B1 (en) Height adjustable diverter spout assembly
KR10120814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KR20200093393A (ko) 수위조절장치
CA2762879C (en) Flow-through trap primer valve assembly
KR101135466B1 (ko)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KR100799457B1 (ko) 절수장치가 내설되는 벽 샤워기
US6612540B2 (en) Retrofit for mechanical combination plumbing fixture
US4723570A (en) Water Faucet
KR200472733Y1 (ko)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
KR200147875Y1 (ko) 절수형 밸브
KR200219467Y1 (ko)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조절장치
KR101223160B1 (ko) 압력변화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 수도꼭지
KR100349439B1 (ko) 수압을 이용한 수돗물 토출량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H04496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