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912B1 -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 Google Patents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912B1
KR100880912B1 KR1020070086539A KR20070086539A KR100880912B1 KR 100880912 B1 KR100880912 B1 KR 100880912B1 KR 1020070086539 A KR1020070086539 A KR 1020070086539A KR 20070086539 A KR20070086539 A KR 20070086539A KR 100880912 B1 KR100880912 B1 KR 10088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unnel
cleaning
nozzl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Original Assignee
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 filed Critical 유진
Priority to KR102007008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독주택, 사무실 등에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으로 설치된 덕트(20)의 내부 청소를 위한 구성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20)의 상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되, 각각의 터널(21)에는 터널(21)을 연직하게 관통하는 소켓(22)이 매 터널(21)마다 1개씩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소켓(22)에는 분사홀(11)이 형성된 노즐(10)이 삽입되며, 관이음구(30)의 디퓨저(31)부분에는 각각의 터널(2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연질 튜브(33)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타입 또는 원호타입의 끼움구(32)가 형성된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인해, 환기를 위해 천정에 매립시킨 덕트(20)내의 오래된 먼지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신선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동안 청소 불능으로 인해 방치되었던 덕트(2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86539
덕트, 청소, 노즐, 터널

Description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The duct take shaped the tunnel clean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독주택, 사무실 등에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으로 설치된 덕트(20)의 내부 청소를 위한 구성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20)의 상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되, 각각의 터널(21)에는 터널(21)을 연직하게 관통하는 소켓(22)이 매 터널(21)마다 1개씩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소켓(22)에는 분사홀(11)이 형성된 노즐(10)이 삽입되며, 관이음구(30)의 디퓨저(31)부분에는 각각의 터널(2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연질 튜브(33)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타입 또는 원호타입의 끼움구(32)가 형성된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덕트(20)는 실내공기의 정화 내지 외부공기와의 순환공급을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가정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건물의 천정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외부공기의 공급을 담당하는 덕트(20)와 실내공기의 배출을 담당하는 덕트(20)가 양분되어 설치되며 이 2개의 덕트(20)는 외벽 근처에 설치된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천정에 매립되다 보니, 덕트(20)내부의 청소는 거의 불가능하여 환기수단으로 설치된 덕트(20)가 오히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부상됨에 따라 덕트(20)내부의 청소문제는 시급히 해결되야 하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덕트(20)내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압축공기를 덕트(20)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터널(21)에 공급하고, 공급된 압축공기는 노즐(10)에 의해 유로변경되어 덕트(20)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장시간 퇴적된 덕트(20)내의 먼지가 비산되도록 한 것이다. 이후 비산된 먼지를 디퓨저(31)(Diffuser)부분에서 펌프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덕트(20)내부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덕트(20)의 상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되, 각각의 터널(21)에는 터널(21)을 연직하게 관통하는 소켓(22)이 매 터널(21)마다 1개씩 소켓(22)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형성되고, 위 소켓(22)에는 분사홀(11)이 형성된 노즐(1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덕트(20)에는 디퓨저(31)가 장착된 관이음구(30)가 연결되고, 디퓨저(31)부분에는 각각의 터널(2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33)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구(32)가 장착되며, 상기 분사홀(11)의 출구에는 분사팁(12)이 장착된 구성이다.
본 발명으로 인해, 환기를 위해 천정에 매립시킨 덕트(20)내의 오래된 먼지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신선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동안 청소 불능으로 인해 방치되었던 덕트(2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3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덕트(20)의 상부에 덕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고, 각각의 터널(21)에는 터널(21)을 연직하게 관통하는 소켓(22)이 매 터널(21)마다 1개씩만 설치되되, 소켓(22)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지면의 제약상 3지점(A, B, C지점)에만 소켓(22)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덕트(20)의 길이가 길면 각각의 터널(21)마다 소켓(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덕트(20)의 길이가 짧으면 길이에 비례하여 소켓(22)의 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소켓(22)에는 도 2 또는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홀(11)이 관통 된 노즐(10)이 삽입되고, 관이음구(30)의 디퓨저(31)부분에는 각각의 터널(2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연질 튜브(33)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타입 또는 원호타입의 끼움구(32)가 장착된다.
상기 터널(21)과 노즐(10)을 통해 덕트(20)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흐름과 청소원리는 도 4, 5,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표시된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10)의 분사홀(11)에 대한 터널지점별 유로형태를 나타낸 대표 단면도이다.
도 4, 5를 통해 덕트(20)의 상부에는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고, 각 터널(21)은 연질 튜브(33)와 연결되며, 이 튜브(33)는 끼움구(32)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터널(21)에 연직하게 삽입되는 노즐(10)의 분사홀(11)에 대한 형상이 사선(斜線)방향으로 관통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압축공기가 외부에서 튜브(33)를 통해 공급되면 도 5에서와 같이 터널(21)을 따라 공급되다가 유로변경을 위한 분사홀(11)이 사선(斜線)방향으로 형성된 노즐(10)에서 분사홀(11)을 따라 덕트(20)내로 유입되며, 덕트(20)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장시간에 걸쳐 덕트(20)내부에 퇴적된 먼지를 비산시키게 된다. 이렇게 비산된 먼지를 덕트(20)의 디퓨저(31) 부분에서 펌프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덕트(20)내부의 먼지 청소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홀(11)의 출구에는 분사팁(12)이 장착됨으로써,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덕트(20)내부에 와류(渦流)성으로 분사됨에 따라, 더 넓은 지역으로 강한 압축성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각각의 터널(21)마다 1개만의 노즐(10)이 설치되되, 노즐(10)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설치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노즐(10)의 분사홀(11)에 대한 형태는 노즐(10)이 설치되는 터널(21) 지점별로 각각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개의 노즐(10)이 담당해야 하는 청소구간은 해당 노즐(10)부터 다음단계의 노즐(10)까지의 구간이므로, 덕트(20)상에 설치되는 노즐(10)의 위치가 덕트(20)의 중앙이든, 가장자리이든간에 분사홀(11)의 출구는 덕트(20)의 중심부를 향해 굽어지도록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표시한 A, B, C지점별 노즐(10)의 분사홀(11)에 대한 형태는 도 6의 하부단면도와 같이 각각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실내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설치된 가옥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분사홀에 대한 터널지점별 유로형태를 나타낸 대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즐
11 : 분사홀
12 : 분사팁
20 : 덕트
21 : 터널
22 : 소켓
30 : 관이음구
31 : 디퓨저(Diffuser)
32 : 끼움구
33 : 튜브
40 : 열교환기

Claims (4)

  1. 덕트(20)의 상부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터널(21)이 형성되되, 각각의 터널(21)에는 터널(21)을 연직하게 관통하는 소켓(22)이 매 터널(21)마다 1개씩 소켓(22)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22)에는 분사홀(11)이 형성된 노즐(1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덕트(20)에는 디퓨저(31)가 장착된 관이음구(30)가 연결되고, 디퓨저(31)부분에는 각각의 터널(2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33)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구(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분사홀(11)의 출구에는 분사팁(1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KR1020070086539A 2007-08-28 2007-08-28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KR10088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39A KR100880912B1 (ko) 2007-08-28 2007-08-28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39A KR100880912B1 (ko) 2007-08-28 2007-08-28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912B1 true KR100880912B1 (ko) 2009-02-04

Family

ID=4068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539A KR100880912B1 (ko) 2007-08-28 2007-08-28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86Y1 (ko) * 2016-03-28 2016-10-31 송광웅 환기구 장치
KR101762764B1 (ko) * 2015-06-2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 기능을 갖는 덕트 구조체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38U (ja) * 1993-05-28 1995-05-1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空調用ダクト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JP2004136148A (ja) 2002-10-15 2004-05-13 Fuji Photo Film Co Ltd 排ガス処理装置
KR100548990B1 (ko) 2005-11-26 2006-02-13 (주)정도엔지니어링 하수관거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38U (ja) * 1993-05-28 1995-05-1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空調用ダクト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JP2004136148A (ja) 2002-10-15 2004-05-13 Fuji Photo Film Co Ltd 排ガス処理装置
KR100548990B1 (ko) 2005-11-26 2006-02-13 (주)정도엔지니어링 하수관거 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764B1 (ko) * 2015-06-2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 기능을 갖는 덕트 구조체
KR200481686Y1 (ko) * 2016-03-28 2016-10-31 송광웅 환기구 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912B1 (ko)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
KR100880913B1 (ko) 덕트용 청소튜브
KR100725999B1 (ko)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JP2015034385A (ja) トンネル工事用換気吹出口器具
KR100981101B1 (ko) 에어커튼
MX2011000966A (es) Salida de aire de techo para instalaciones tecnicas de aire acondicionado.
JP5085791B1 (ja) 噴霧装置
JPH02233935A (ja) 給気排気兼用装置
FI122284B (fi) Ilmavirtauksen päätelaite
JP2008101861A (ja) 通気ダクト内設置フィルター装置
KR20070064907A (ko) 공기조화기
KR200460495Y1 (ko) 잔수 제거 장치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CN107801411A (zh) 排风机
KR100214754B1 (ko) 송풍장치
KR101801193B1 (ko) 천장부착형 공기 순환기
KR101762764B1 (ko) 청소 기능을 갖는 덕트 구조체
KR20090087260A (ko) 청소용 터널이 형성된 덕트의 관이음구 및 스피곳
US8262988B2 (en) Antigen supply device
KR20170001916U (ko) 건조 및 환기용 배풍기
CN207430587U (zh) 一种喷漆系统
KR200321706Y1 (ko) 오일펜스
KR102123292B1 (ko) 축사용 에어커튼장치
KR101236282B1 (ko)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US1737661A (en) Air diffuser for auditorium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