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34B1 -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34B1
KR102039834B1 KR1020180109967A KR20180109967A KR102039834B1 KR 102039834 B1 KR102039834 B1 KR 102039834B1 KR 1020180109967 A KR1020180109967 A KR 1020180109967A KR 20180109967 A KR20180109967 A KR 20180109967A KR 102039834 B1 KR102039834 B1 KR 10203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frame
window
oper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운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주식회사
이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주식회사, 이용운 filed Critical 현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호용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타공 하지 않고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무타공 방식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환기량을 조절하는 부분이 다단으로 정밀제어가 가능하고 조절이 간편한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 엔드캡이 조립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필터가 내장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풍그릴과, 상기 엔드캡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를 작동하는 환기개폐부재를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부는; 상부에 창틀고정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하부에 유리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엔드캡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간격에 의해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개폐부재는; 작동함체의 내부에 다단작동면이 형성되고 다단작동면에 작동레버의 선단 작동체가 다단 접촉되어 회전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환기조절구를 다단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Non-perforate type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본 발명은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호용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타공 하지 않고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무타공 방식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환기량을 조절하는 부분이 다단으로 정밀제어가 가능하고 조절이 간편한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는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공기가 오염되고 이렇게 오염된 공기속의 각종 먼지, 미생물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러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또 실내 건축재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 등은 두통, 기침, 가려움증 등의 질병을 유발시킨다.
이를 감안하여 실내와 외부를 통풍시켜 공기를 자주 환기함으로써, 실내에 각종 오염물질들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창문을 통해 환기를 하되 창문의 역할은 주로 빛을 받아들이는 채광역할과 창문을 여닫음으로써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창문의 경우에는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는 경우에 강한 바람이 유입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 창문의 경우에는 단순히 외부 공기가 내부로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매연이 함유된 공기가 실내로 바로 유입되므로, 환기 자체의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더 심할 경우에는 실내공기보다 더 나쁜 외부공기가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창호용 환기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창호용 환기장치는 창문의 규격에 맞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만약, 창호용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길이가 규격에 맞기 않을 경우 프레임을 다시 제작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창호용 환기장치의 프레임은 규격에 맞게 안쪽과 바깥쪽에 형성된 공기통로가 미리 타공된 상태로 준비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프레임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다른 길이의 프레임을 새롭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게 맞는 형태로 가공제작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시공사의 비용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현장대응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뒷받침될만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754926호, 등록특허 제10-1350352호, 등록특허 제10-1393572호, 등록특허 제10-1111171호, 등록특허 제10-0814449호를 포함한 어려 선행기술들은 창호용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공기통로가 타공에 의해서 미리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창호용 환기장치는 단순히 열림과 닫힘으로만 작동하는 개폐장치로 환기가 이루어지는데, 환기량을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환기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환기장치를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14889호(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에는 엔드캡에 형성되는 축홀부와, 상기 축홀부에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회전단속부와, 개폐플랩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홀부를 통해 회전단속부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단축레버로 연결되고 창문틀을 따라 설치되는 장축레버부를 포함하는 개폐조절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회전축부의 다단홈과 회전단속부의 돌기가 맞물리는 구조에 있어서, 상호간의 벌어짐이나 오므려짐과 같은 탄성작용이 거의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여서 강한 힘으로 단축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과 맞물리는 부분의 마모현상이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축레버가 회전축부의 조립홈 내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단축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가 곧바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축레버의 동력이 회전축부의 회전으로 전달되기 위한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딜레이는 사용자의 조작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단축레버의 결합부분에 유격이 발생할 경우 작동에 따른 직관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단축레버의 개폐구간을 회전제한홈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 역시, 단축레버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제한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부의 핀돌기가 먼저 접촉되고 회전축부의 회전이 멈춘다음 단축레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여서 단축레버의 작동부하가 가중되고 파손을 유발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창호용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조립함에 있어서, 프레임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타공하는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무타공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환기량을 조절하는 한기개폐부재의 개폐가 다단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환기량을 조절하고자 한 기술의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 엔드캡이 조립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필터가 내장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풍그릴과, 상기 엔드캡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를 작동하는 환기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는; 상부에 창틀고정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하부에 유리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엔드캡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간격에 의해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개폐부재는; 작동함체의 내부에 다단작동면이 형성되고 다단작동면에 작동레버의 선단 작동체가 다단 접촉되어 회전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환기조절구를 다단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캡은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내측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일부를 지지해주는 결합가이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캡은; 환기개폐부재의 작동함체가 매립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부의 측벽에 작동핀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작동함체를 장착홈부에 삽입하고 작동핀 안내구멍 방향으로 측부 이송하여 회전작동핀이 엔드캡의 측부로 돌출되게 작동함체를 장착하며, 회전작동핀은 환기조절구의 접속구멍에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개폐부재는; 엔드캡에 장착되고 작동레버가 설치되는 작동함체와, 상기 작동함체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함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작동레버를 따라 회전되게 하는 회전작동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함체는; 전면부에 볼트구멍을 가진 받침커버가 형성되어 엔드캡에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작동함체의 작동공간부는 측면 및 저면이 원둘레면으로 이어지고 원둘레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걸림돌부가 형성된 다단작동면이 구비되고, 작동함체의 작동공간부 중앙 양측부에 축부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작동핀의 작동축이 관통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핀은 회전원판의 일측면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전원판의 타측면 중앙에 삽입홈을 가진 작동축이 형성되어 작동레버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독립된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에서는 프레임부의 설치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충분한 길이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준비한 다음 현장에서 설치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조립하는 형태가 되어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가 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설치간격만큼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부의 설치구간에 대하여 환기량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기개폐부재는 다단계로 환기조절구를 개방하여 환기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고 개폐 작동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에서 환기조절구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조절구가 다단계로 움직이는 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드캡과 프레임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엔드캡에서 환기개폐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개폐부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에서 환기개폐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환기개폐부재가 다단계로 작동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 실시예의 설치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0)는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창호에 있는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자연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환기의 개폐뿐만 아니라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통로(11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 엔드캡(130)이 조립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113)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115)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필터(121)가 내장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풍그릴(120)과, 상기 엔드캡(130)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115)를 작동하는 환기개폐부재(140)를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110)에 형성된 공기통로(113)가 무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있다. 즉, 종래의 창호용 환기장치(100) 프레임은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분을 별도의 기계적 가공에 의해 타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왔다. 따라서, 시공자는 미리 타공된 상태의 프레임을 준비하여 현장에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의 길이가 현장의 설치규격과 다를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는 상부에 창틀고정부(111-1)가 형성된 상부프레임(111)과, 하부에 유리고정부(112-1)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12);으로 각각 분할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은 각각 나사구멍(111-2),(112-2)이 형성되어 엔드캡(130)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결합간격에 의해서 공기통로(113)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113)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115)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조절구(115)의 하단부가 내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공기통로(113) 폐쇄시 환기조절구(115)의 하단부와 접하는 하부프레임(112)의 선단은 외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113)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환기조절구(115)의 하단부는 하부프레임(112)의 선단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간 위치에서 접하고 있다.

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으로 독립된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에서는 프레임부(110)의 설치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한 길이의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을 준비한 다음 현장에서 설치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113)는 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설치간격만큼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중단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부(110)의 설치구간에 대하여 환기량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창호용 환기장치(100) 프레임은 타공된 부분에서 공기가 통하는 반면 타공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타공되지 않은 부분은 반드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된 부분에 대해서는 공기의 흐름이 막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엔드캡(130)은 도 4 또는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결합되는 내측에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일부를 지지해주는 결합가이드(13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133)는 프레임부(110)와 엔드캡(1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0)는 환기개폐부재(140)의 환기량 조절이 다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환기개폐부재(140)는; 작동함체(150)의 내부에 다단작동면(154)이 형성되고 다단작동면(154)에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다단 접촉되어 회전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엔드캡(130)은; 환기개폐부재(140)의 작동함체(150)가 매립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홈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부(131)의 측벽에 작동핀 안내구멍(132)이 형성되어 작동함체(150)를 장착홈부(131)에 삽입하고 작동핀 안내구멍(132) 방향으로 측부 이송하여 회전작동핀(170)이 엔드캡(130)의 측부로 돌출되게 작동함체(150)를 장착하며, 회전작동핀(170)은 환기조절구(115)의 접속구멍(115')에 접속되도록 한 구성으로 환기조절구(1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개폐부재(140)는; 엔드캡(130)에 장착되고 작동레버(160)가 설치되는 작동함체(150)와, 상기 작동함체(150)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160)와, 상기 작동함체(150)의 측부에 설치되고 작동레버(160)를 따라 회전되게 하는 회전작동핀(1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동함체(150)는 전면부에 볼트구멍(152)을 가진 받침커버(151)가 형성되어 엔드캡(130)의 장착홈부(131)에 작동함체(150)를 삽입하고 이어서 작동함체(150)를 작동핀 안내구멍(132) 방향으로 측부 이송한 다음 볼트 결합으로 엔드캡(130)에 작동함체(150)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함체(150)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함체 내부에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설치될 수 있는 작동공간부(153)를 구비하되 작동공간부(153)는 측면 및 저면이 원둘레면으로 이어지고 원둘레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걸림돌부(155)가 형성된 다단작동면(154)이 구비되어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다단으로 접촉되어 회전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 중앙 양측부에 축부구멍(156)이 형성되어 회전작동핀(170)의 작동축(172)이 관통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단작동면(154)은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탄력성을 갖도록 구비되어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한 구성으로 다단작동면(154)의 걸림돌부(155) 사이에 위치하는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단계별 회전을 하게 될 때 다단작동면(154)의 탄력작용으로 회전 및 맞물림 접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작동면(154) 및 걸림돌부(155)는 도면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C " 자 형태로 이루어져 작동함체(150)의 후측벽에 중앙부분이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앙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와 하부는 각각 내/외측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형태여서 선단 작동체(161)와의 맞물림 동작이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맞물리는 부분의 마모와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는,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작동체(161)의 중앙에 삽입돌기(164)를 가진 작동축(172) 삽입구멍(163)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단작동면(154)에 접촉하는 걸림단턱(162)이 삼각형으로 외측 양단에 형성되고, 걸림단턱(162)과 삽입구멍(163)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단턱(162)이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에 구비된 다단작동면(154)에 안정적으로 접촉이 되며, 이러한 걸림돌부(155) 사이의 다단작동면(154)에 접촉되는 선단 작동체(161)가 다단으로 회전 작동된다.
즉, 상기 걸림단턱(162)은 단순히 돌기 형태로 돌출된 구조가 아니고 삼각형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형성된 구조여서, 선단 작동체(161)의 지지강성을 높이고 걸림단턱(162)이 맞물려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어 조절된 환기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작동핀(170)은 회전원판(171)의 일측면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전원판(171)의 타측면 중앙에 삽입홈(173)을 가진 작동축(172)이 형성되어 작동레버(160)의 삽입구멍(16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환기개폐부재(140)의 작동관계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7은 환기개폐부재(140)의 작동함체(150)를 엔드캡(130)의 장착홈부(131)에 장착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작동함체(150)의 전면부에 볼트구멍(152)을 가진 받침커버(151)가 형성되어 엔드캡(130)의 장착홈부(131)에 작동함체(150)를 삽입하고 이어서 작동함체(150)를 작동핀 안내구멍(132) 방향으로 측부 이송한 다음 볼트 결합으로 엔드캡(130)에 작동함체(150)의 장착한다.
이때,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는 측면 및 저면이 원둘레면으로 이어지고 원둘레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걸림돌부(155)가 형성된 다단작동면(154)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다단작동면(154)에는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 외측 양단에 형성된 걸림단턱(162)이 다단 접촉되는 구성에 의해 작동레버(160)가 다단으로 작동이 된다.
즉, 도 8 및 도 9과 같이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작동축(172)을 따라 회전하게 될 때 선단 작동체(161)의 걸림단턱(162)이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에 구비된 다단작동면(154)에 접촉되어 다단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작동축(172)의 회전원판(171) 일측면에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작동핀(170)과 연결된 환기조절구(115)를 도 3과 같이 다단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에 다단작동면(154)이 구비되어 있고 그 다단작동면(154)에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 양단에 구비된 걸림단턱(162)이 안정적으로 접촉됨과 아울러 작동레버(160)의 다단으로 작동시켜 환기조절구(115)를 다단계로 개방하는 수단에 의해 환기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부(11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통풍그릴(120)이 최대한 프레임부(110)에 밀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창문을 개방할 때 안쪽에 위치한 창틀(200)과 환기장치(100)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창틀(200)에 각각 환기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어 환기량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환기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상부프레임 111-1 : 창틀고정부
111-2 : 나사구멍 112 : 하부프레임
112-1 : 유리고정부 112-2 : 나사구멍
113 : 공기통로 115 : 환기조절구
115' : 접속구멍 120 : 통풍그릴
121 : 필터 130 : 엔드캡
131 : 장착홈부 132 : 안내구멍
133 : 결합가이드 140 : 환기개폐부재
150 : 작동함체 151 : 받침커버
152 : 볼트구멍 153 : 작동공간부
154 : 다단작동면 155 : 걸림돌부
156 : 축부구멍 160 : 작동레버
161 : 선단 작동체 162 : 걸림단턱
163 : 삽입구멍 164 : 삽입돌기
170 : 회전작동핀 171 : 회전원판
172 : 작동축 173 : 삽입홈
200 : 창틀 300 : 창유리

Claims (6)

  1.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100)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통로(11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 엔드캡(130)이 조립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113)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115)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필터(121)가 내장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풍그릴(120)과, 상기 엔드캡(130)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115)를 작동하는 환기개폐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부에 창틀고정부(111-1)가 형성된 상부프레임(111)과, 하부에 유리고정부(112-1)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12);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에는 각각 나사구멍(111-2),(112-2)이 형성되어 엔드캡(130)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분할 구성된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결합간격에 의해서 공기통로(113)가 프레임부(110) 설치구간 전체에 걸쳐 중단없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통로(113)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환기조절구(115)는 하단부가 내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공기통로(113) 폐쇄시 환기조절구(115)의 하단부와 접하는 하부프레임(112)의 선단은 외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통로(113)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환기조절구(115)의 하단부는 하부프레임(112)의 선단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간 위치에서 접하게 되며,
    상기 환기개폐부재(140)는; 엔드캡(130)에 장착되고 작동레버(160)가 설치되는 작동함체(150)와, 상기 작동함체(150)에 설치되어 환기조절구(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160)와, 상기 작동함체(150)의 측부에 설치되고 작동레버(160)를 따라 회전되게 하는 회전작동핀(170)으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함체(150)의 내부에 형성된 다단작동면(154)에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다단 접촉되어 환기조절구(115)를 다단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선단 작동체(161)는, 중앙에 삽입돌기(164)를 가진 작동축(172) 삽입구멍(163)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단작동면(154)에 접촉하는 걸림단턱(162)이 삼각형으로 외측 양단에 형성되고, 걸림단턱(162)과 삽입구멍(163)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작동핀(170)은 회전원판(171)의 일측면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전원판(171)의 타측면 중앙에 삽입홈(173)을 가진 작동축(172)이 형성되어 작동레버(160)의 삽입구멍(16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작동함체(150)는; 전면부에 볼트구멍(152)을 가진 받침커버(151)가 형성되어 엔드캡(130)에 장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함체(150)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작동레버(160)의 선단 작동체(161)가 설치될 수 있는 작동공간부(153)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공간부(153)에는 측면 및 저면이 원둘레면으로 이어지고 원둘레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걸림돌부(155)가 형성된 다단작동면(154)이 역" C " 자 형태로 이루어져 작동함체(150)의 후측벽에 중앙부분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작동함체(150)의 작동공간부(153) 중앙 양측부에 축부구멍(156)이 형성되어 회전작동핀(170)의 작동축(172)이 관통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130)은; 환기개폐부재(140)의 작동함체(150)가 매립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홈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부(131)의 측벽에 작동핀 안내구멍(132)이 형성되어 작동함체(150)를 장착홈부(131)에 삽입하고 작동핀 안내구멍(132) 방향으로 측부 이송하여 회전작동핀(170)이 엔드캡(130)의 측부로 돌출되게 작동함체(150)를 장착하며, 회전작동핀(170)은 환기조절구(115)의 접속구멍(115')에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09967A 2018-09-14 2018-09-14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KR10203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67A KR102039834B1 (ko) 2018-09-14 2018-09-14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67A KR102039834B1 (ko) 2018-09-14 2018-09-14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34B1 true KR102039834B1 (ko) 2019-11-04

Family

ID=6857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67A KR102039834B1 (ko) 2018-09-14 2018-09-14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70A (ko) * 2019-12-30 2021-07-09 타이톤코리아 (주) 조립구조의 엔드캡이 구비된 자연환기장치
KR20230023383A (ko) * 2021-08-10 2023-02-17 한건석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KR102616162B1 (ko) * 2023-04-04 2023-12-21 형제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결로방지용 환기장치와 이를 구비한 루버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010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환기장치
KR20100006024U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자연환기시스템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KR20110105505A (ko) * 2010-03-19 2011-09-27 이종철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KR20120068484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20068457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360504B1 (ko) * 2013-07-26 2014-02-13 이용운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010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환기장치
KR20100006024U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자연환기시스템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KR20110105505A (ko) * 2010-03-19 2011-09-27 이종철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KR20120068484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20068457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360504B1 (ko) * 2013-07-26 2014-02-13 이용운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환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70A (ko) * 2019-12-30 2021-07-09 타이톤코리아 (주) 조립구조의 엔드캡이 구비된 자연환기장치
KR102319104B1 (ko) * 2019-12-30 2021-10-29 (주)브라운테크세일즈 조립구조의 엔드캡이 구비된 자연환기장치
KR20230023383A (ko) * 2021-08-10 2023-02-17 한건석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KR102586808B1 (ko) * 2021-08-10 2023-10-11 한건석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KR102616162B1 (ko) * 2023-04-04 2023-12-21 형제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결로방지용 환기장치와 이를 구비한 루버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834B1 (ko)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JP4384225B2 (ja) 障子用換気装置
CN104818936A (zh) 密封装置
RU18124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101114889B1 (ko)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EP0343011B1 (en) Ventilated window/door structure
KR100508797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414327Y1 (ko) 디퓨저
KR101948877B1 (ko) 공기정화장치의 방화문 설치를 위한 화염 차단장치
AU2018271249B2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2087826B1 (ko)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10124933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258237Y1 (ko) 환기창
KR0185490B1 (ko) 창용환기홴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200385590Y1 (ko) 창문 자연환기 장치
JP3898282B2 (ja) 換気口
KR101716286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216482Y1 (ko)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KR100916848B1 (ko) 자연 환기장치
JPS621631Y2 (ko)
JP2005232745A (ja) 多角形窓用コーナー部品、コーナー部品を備えた多角形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6

Effective date: 201909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