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82Y1 -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482Y1 KR200216482Y1 KR2020000026675U KR20000026675U KR200216482Y1 KR 200216482 Y1 KR200216482 Y1 KR 200216482Y1 KR 2020000026675 U KR2020000026675 U KR 2020000026675U KR 20000026675 U KR20000026675 U KR 20000026675U KR 200216482 Y1 KR200216482 Y1 KR 2002164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ilation
- window frame
- ventilator
- hole
- hol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 환기 조절구를 설치하여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환기공을 커버하여 미관을 보완하고 공기청정제를 충진한 필터를 환기 조절구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며 환기 조절구의 작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오염된 실내공기의 환기및 외부공기를 청정제에 여과시켜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공기 순환구 커버용 덮개를 형성하여 건물의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환기레버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환기조절구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적인 구조를 가진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 환기 조절구를 설치하여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환기공을 커버하여 미관을 보완하고 공기청정제를 충진한 필터를 환기 조절구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며 환기 조절구의 작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는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환기공을 뚫고 이의 내부에 미세공을 다수개 뚫은 소공집합체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환기조절구를 좌우 작동이 가능하게 내설하여서 되는 구조이므로 환기공을 통한 환기의 효과는 있으나 일정간격으로 뚫은 환기공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어 보이게 됨에 따라 미관을 해치게 되고 환기공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어 내부의 환기조절구에 뚫은 소공집합체를 막거나 더럽히게 되므로 환기불량과 청결함을 주지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조절구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8-16634호에 안출된 바와 같이 환기조절구에 자석을 부착하고 전기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부착한 여닫이 조절구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환기조절구를 개폐하는 조작이 불편하고 용이하지 않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오염된 실내공기의 환기및 외부공기를 청정제에 여과시켜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공기 순환구 커버용 덮개를 형성하여 건물의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환기레버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환기조절구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적인 구조를 가진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 은 환기조절구를 작동시키는 레바의 설치구조 단면도
도 4 는 환기조절구에 부착된 필터의 내부 단면도
도 5 는 환기조절구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환기조절구의 개폐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환기공 2 : 창문 프레임 3,3' : 소공집합부
4 : 전면판 5 : 구멍 6 : 후면판
7 : 스페이스 8 : 환기조절구 9 : 삽지공
10 : 삽지돌봉 11 : 환기공 커버 12 : 필터
13 : 미세공 14,14' : 조절레바 15 : 고정판
16 : 사각공
환기공(1)(1')을 일정간격으로 내외면에 뚫은 창문 프레임(2)의 부에 소공집합부(3)(3')를 환기공(1)(1')과 동일간격으로 뚫은 전면판(4)과 환기공(1)(1')에 대응하는 구멍(5)을 뚫은 후면판(6)을 스페이서(7)에 의해 격설시킨 환기조절구(8)를 좌우로 슬라이딩되게 내설한 것에 있어서, 창문 프레임(2)의 전면 환기공(1) (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전면이 절개된 삽지공(9)을 돌설하여 이에 삽지공(9)에 계합되는 삽지돌봉(10)을 연설한 만곡형 환기공 커버(11)를 삽지돌봉(10)이 삽지공(9)에 계합되도록 환기공(1)(1')의 전면에 설치하고 환기조절구(8)의 스페이서 (7)에 형성시킨 내부 공간부에 황토 또는 숯 등의 흡습제나 방향제로 된 필터(12)를 수납하여 전면의 미세공(13)을 통해 발산케 하며, 창문 프레임(2)의 실내측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환기공(1)(1')에 한쌍의 조절레바(14)(14')를 내외면에 동시 작동되게 계합시킨 고정판(15)을 끼워 붙여 내측의 조절레바(14)를 환기조절구(8)의 일측에 뚫은 사각공(16)에 위치시키고 조절레바(14)의 회전시 내측의 조절레바 (14)가 사각공(16)의 세로면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창문 프레임(2)의 환기공(1)(1')으로 실내ㆍ외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2)의 내부에 소공집합부(3)(3')를 가진 전면판(4)및 구멍(5)이 뚫린 후면판(6)을 스페이서 (7)로 격설하여 된 환기조절구(8)을 슬라이딩 하여 후면판(6)의 구멍(5)과 환기공 (1)(1')이 서로 대향되면 창문 프레임(2)의 실내측 후면판(6) 구멍(5)과 외부측 환기공(1)(1')이 관통되어 창문이 열린상태와 같이 실내공기를 외부로 환기할 수 있고, 후면판(6)의 구멍(5)이 환기공(1)(1')과 일치하지 않으면 실내측 후면판(6) 구멍(5)과 외부측 환기공(1)(1')이 구멍(5)에 차단되어 창문이 닫힌상태와 같이 실내ㆍ외의 공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면판(4)와 후면판(6) 사이에 스페이서(7)을 삽입하여 서로 연동되게 하고, 후면판(6)의 구멍(5)에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며, 외부와 공기를 통하는 소공집합부(3)(3')를 전면판(4)에 형성한 것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다.
이와같이 창문 프레임(2)의 전면 환기공(1)(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전면이 절개되어 돌설된 삽지공(9)에 삽지돌봉(10)을 연설한 만곡형 환기커버(11)를 형성하여 계합하므로서 환기공(1)(1')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고, 건물의 미관을 아름답게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한 바와 같이 환기조절구(14)를 형성하는 전면판(4)과 후면판(6)을 격설하여 동시에 슬라이딩 하게 하는 스페이서(7)의 내부 공간부에 황토 또는 숯등의 흡습제나 방향제로 된 필터(12)를 수납하여 전면의 미세공(13)을 통해 실내,외 공기를 환기와 청정을 동시수행 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창문 프레임(2)의 실내측의 가장 외측 환기공(1)(1')에 내외면이 동시에 작동되는 조절레바(14)(14')가 계합된 고정판(15)을 끼워 붙여 실내측 조절레바(14)를 좌우로 이동할 때 환기조절구(14)의 사각공(16)에 부착된 내측 조절레바(14')가 동시 이동함에 따라 환기조절구(14)의 슬라이딩이 일어나 후면판(6)의 구멍(5)과 환기공(1)(1')의 일치여부에 따라 외부와의 환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창문 프레임(2)의 전면 상부에 환기공 커버(11)를 설치하고, 환기 조절구(8)의 스페이서(7) 내부에 필터(12)를 내장하며, 환기조절구(8)에 조절레바(14')를 부착하여 오염된 실내공기의 환기를 배출하고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실내로 유입되는 불순물로 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창틀외면의 미적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편한 조작으로 손쉽게 창문 프레임을 개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환기공(1)(1')을 일정간격으로 내외면에 뚫은 창문 프레임(2)의 내부에 소공집합부(3)(3')를 환기공(1)(1')과 동일간격으로 뚫은 전면판(4)과 환기공(1)(1')에 대응하는 구멍(5)을 뚫은 후면판(6)을 스페이서(7)에 의해 격설시킨 환기조절구(8)를 좌우로 슬라이딩되게 내설한 것에 있어서, 창문 프레임(2)의 전면 환기공(1) (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전면이 절개된 삽지공(9)에 계합되는 삽지돌봉(10)을 연설한 만곡형 환기공 커버(11)를 환기공(1)(1')의 전면에 설치하고 스페이서(7)의 내부 공간부에 황토 또는 숯등의 흡습제나 방향제로 된 필터(12)를 수납하여 전면의 미세공(13)을 통해 발산케 하며, 창문 프레임(2)의 실내측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환기공(1)(1')에 한쌍의 조절레바(14)(14')를 내외면에 동시 작동되게 계합시킨 고정판(15)을 끼워 붙여 내측의 조절레바(14)를 환기조절구(8)의 일측에 뚫은 사각공(16)에 위치시키고 조절레바(14)의 회전시 내측의 조절레바(14)가 사각공 (16)의 세로면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프레임 환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675U KR200216482Y1 (ko) | 2000-09-22 | 2000-09-22 |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675U KR200216482Y1 (ko) | 2000-09-22 | 2000-09-22 |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482Y1 true KR200216482Y1 (ko) | 2001-03-15 |
Family
ID=7305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6675U KR200216482Y1 (ko) | 2000-09-22 | 2000-09-22 |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482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3026B1 (ko) * | 2008-06-23 | 2008-12-11 |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기능성 도어. |
KR100896758B1 (ko) * | 2007-08-29 | 2009-05-11 | (주)지에스에이컨설턴트 | 창문틀 및 창틀형 환기장치 |
KR100917264B1 (ko) * | 2007-07-16 | 2009-09-16 | 주식회사 알서스 | 환기장치 |
KR101081767B1 (ko) | 2011-09-06 | 2011-11-09 | (주)풍림이엔지 | 목재 파쇄기의 목재 칩 배출장치 |
-
2000
- 2000-09-22 KR KR2020000026675U patent/KR2002164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264B1 (ko) * | 2007-07-16 | 2009-09-16 | 주식회사 알서스 | 환기장치 |
KR100896758B1 (ko) * | 2007-08-29 | 2009-05-11 | (주)지에스에이컨설턴트 | 창문틀 및 창틀형 환기장치 |
KR100873026B1 (ko) * | 2008-06-23 | 2008-12-11 |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기능성 도어. |
KR101081767B1 (ko) | 2011-09-06 | 2011-11-09 | (주)풍림이엔지 | 목재 파쇄기의 목재 칩 배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8368Y1 (ko) |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 |
KR101864160B1 (ko) |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 |
KR100814449B1 (ko) |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 |
US20060240763A1 (en) | Ventilator | |
KR20190025270A (ko) |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 |
KR101236750B1 (ko) |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 |
KR200216482Y1 (ko) |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 |
KR100980199B1 (ko) |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 |
JP4460887B2 (ja) | 自然換気装置 | |
KR101249337B1 (ko) |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 |
KR20080101154A (ko) | 건축물용 환기장치 | |
KR101971168B1 (ko) |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 |
KR200350098Y1 (ko) |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 |
KR200362408Y1 (ko) | 환기 유니트 | |
PL366562A1 (en) | Window with ventilating aperture | |
KR200418516Y1 (ko) | 건축물용 환기장치 | |
KR20210122745A (ko) | 창문형 공기청정기의 파티션 어셈블리 | |
KR200387062Y1 (ko) | 창짝의 환기구조 | |
JP4599981B2 (ja) |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並びに住宅構造 | |
KR100675621B1 (ko) |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 |
KR20090040656A (ko) | 통풍장치용 개폐구조체 | |
KR100763418B1 (ko) | 환기장치 | |
KR100598130B1 (ko) | 여과환기시스템 | |
JP2003074927A (ja) | 換気装置 | |
KR200385590Y1 (ko) | 창문 자연환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