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98Y1 -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 Google Patents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98Y1
KR200350098Y1 KR20-2004-0002281U KR20040002281U KR200350098Y1 KR 200350098 Y1 KR200350098 Y1 KR 200350098Y1 KR 20040002281 U KR20040002281 U KR 20040002281U KR 200350098 Y1 KR200350098 Y1 KR 200350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ir
bracket
window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용
Original Assignee
노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용 filed Critical 노재용
Priority to KR20-2004-000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실외에서 적절한 양의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어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중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정 크기를 갖는 창틀의 소정 부위에 대략 사각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브라켓트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에는 공기 통풍로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수직 방향으로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소정 간격 이격설치되며 실내측의 단면부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량조절부재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는 그 상부면에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각각의 관통흘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단면부에도 상기 통풍 브라켓트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Window frame strcuture having a ventilation and air cleanness function}
본 고안은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과 함께 그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다가구 주택과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에는 자연채광기능과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는 기능 및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는 창문(베란다 창 등 포함)이 설치된다.
그와 같은 창문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일련의 개폐동작을 통해 창문을 일정량 정도 개방시켜 실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데, 통상 상기 창문에는 창문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가 장착되어 그러한 잠금장치의 해제를 통해 창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환기 기능을 행하기 위하여 창문을 개방할 때 그 창문을 여는 간격에 따라 통풍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창문 전체가 개방되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는 통풍량을 조절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침입자의 무단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없었고, 뿐만 아니라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실내가 타인에 의해 완전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가 어려웠으며, 그러한 점 때문에 창문에 별도의 브라인드 등을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물론 별도의 브라인드를 장착하면 환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없다.
그리고, 근래들어 실내의 냉방 및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을 닫아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 경우 실내 공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배출을 위한 환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 창문을 통한 환기 행위에서는 창문 등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냉난방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창문을 일정 시간마다 개폐시키기 위한 동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문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창문틀의 소정 부위에 착탈식으로 통풍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실외에서 적절한 공기양이 유입되도록 하여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도록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통풍 브라켓트에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를 장착하여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려내는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구조는, 일정 크기를 갖는 창틀의 소정 부위에 대략 사각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브라켓트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에는 공기 통풍로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수직 방향으로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소정 간격 이격설치되며 실내측의 단면부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량조절부재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는 그 상부면에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각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단면부에도 상기 통풍 브라켓트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 자체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창문 구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3a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C-C 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D-D선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E-E선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도,
도 5c는 도 5a의 F-F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틀, 20 : 브라켓트 결합부,
30 : 통풍 브라켓트, 32 : 본체부,
32a: 가이드홈, 32b,32c : 관통홀,
33 : 공기통풍로, 34 : 공기량 조절부재,
36 : 에어필터 부재, 38 : 방충망.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는
도 1은 본 고안의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창문 구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3a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2)이 개재되는 창틀(10)의 소정 부위에 일정 크기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30)가 장착되며, 그 통풍 브라켓트(30)의 크기 및 창틀(10)에 장착되는 위치는 창틀(10)의 크기 및 창틀(10)이 장착되는 실내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통풍 브라켓트(30)는 상기 창틀(10)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중공부로 이루어진 브라켓트 결합부(20)에 끼움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통풍 브라켓트(30)는 공기 통풍로(33)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32)와 그 공기 통풍로(33)를 통해 실외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 해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38)이 설치되며, 그 방충망(38)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문을 걸려내기 위한 에어필터부재(36)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필터부재(36)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32)의 단부에는 상기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량조절부재(34)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32)는 그 상측면에 상기 방충망(38)과 에어필터부재(36)가 상측방향에서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32c, 32b)이 각각 형성되고, 단부에도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홈(32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방충망(38)과 에어필터부재(36)는 상기 본체부(32)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세척 등을 위하여 착탈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 하고 있지만 상기 통풍 브라켓트(30)가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20)에 끼움 고정될 때 상기 창틀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20)의 내측면부에는 표면 접촉력이 높은 탄성재질의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외부 공기의 환기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풍 브라켓트(30)의 공기량조절부재(34)를 완전하게 밀폐시켜 놓아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그러나, 외부 공기의 환기를 하고자 할 때에는 창틀(10)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창틀(10)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있는 통풍 브라켓트(30)의 공기량조절부재(34)를 가이드홈(32a)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적당량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가 이동되어 개방된 부위만큼 공기통풍로(33)가 외부측과 관통되고, 상기 공기 통풍로(33)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풍 브라켓트(30)에는 방충망(38)과 에어필터부재(36)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부터 모기,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아울러 에어필터부재(36)로 인하여 상기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나 불순물 등이 제거되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 공기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통풍 브라켓트(30)가 창틀(10)에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되면 상기방충망(38)이나 에어필터부재(36)에 불순물 등이 적층되어 원래 기능을 제공받을수 없게 되는데, 그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통풍브라켓트(30)을 브라켓트 결합부(20)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통풍브라켓트(30)의 본체부(32)로부터 방충망(38)과 에어필터부재(36)를 분리시켜 손쉽게 세척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통풍 브라켓트(30)가 손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창틀(10)만을 분리시켜 일정 방향으로 그 창틀(10)을 세운 다음, 공기량조절부재(34)를 제거한 후 수돗물과 같은 일련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통풍로(33)로 분사시켜 방충망(38)과 에어 필터부재(36)를 세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방충망(38)과 에어필터부재(36)를 각각의 관통홀(32c,32b)에 끼워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어 다시 결합시킨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D-D선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E-E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이후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는 통풍브라켓트(30)가 브라켓트 결합부(20)에 장착되어 걸림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통풍브라켓트(30)의 양 측면부에는 일정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절개부위를 갖는 탄성편(40)과 그 탄성편의 소정 부위에 걸림돌기(40a)가 형성되고, 상기 통풍브라켓트(30)가 브랏켓트 결합부(20)에 정확하게 장착되었을 때상기 걸림돌기(40a)와 대응되는 브라켓트 결합부(20)의 내부 측면부에 걸림홈(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0a)와 걸림홈(42)은 상기 통풍브라켓트(30)가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때 실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실내측에서 밀었을때는 외부로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걸림돌기(40a)에 실외측의 일방향으로만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42)에도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제공하여, 실내에서 밀었을때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실외로 이탈되도록 하고 반대로 실외에서 밀었을때는 실내로 빠지지 않게 된다.
그와 같은 걸림돌기(40a)와 걸림홈(42)이 형성되면 상기 통풍브라켓트(30)를 브라켓트 결합부(20)에 장착시켰을때 그 통풍브라켓트(3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통풍브라켓트(30)를 브라켓트 결합부(20)에 끼울때에는 상기 걸림돌기(40a)가 형성된 탄성편(40)에 절개부위로 인하여 탄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실내측에서 브라켓트 결합부(20)에 통풍 브라켓트(30)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탄성편(40)이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끼움 고정식으로 삽입되고, 이후 상기 걸림돌기(40a)가 걸림홈(42)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편(4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편(40)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0a)가 걸림홈(42)로부터 쉽게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통풍브라켓트(30)를 브라켓트 결합부(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도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높이의 공기 통풍로(33)를 조절하여 환기시키도록 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도, 도 5c는 도 5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브라켓트(30)가 장착되는 창틀(10)의 가장자리부분에 내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52a)이 형성된 절개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52)에 끼워져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이송부재(50)가 장착되어, 상기 통풍 브라켓트(30)의 공기량조절부재(34) 단면에 접촉된다.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재(50)는 상기 가이드홈(52a)에 끼워져서 이동되도록 가이드부(50b)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측방향에는 그 슬라이딩 이송부재(50)를 손쉽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철면을 가지는 누름이송부(50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이송부(50a)는 상기 가이드부(50b)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어 일 부분이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의 단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재(50)는 평상시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 단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방향, 예컨대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공기량조절부재(34)와의 접촉이 해제되기때문에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재(50)는 상기 공기량조절부재(34)의 단면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상기 통풍 브라켓트(30)를 밀게 되더라도 창틀(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절부재(34)를 이동시켜 적절한 공기통풍로(33)를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량 조절부재(34)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브라켓트(30)의 하단부에 일정 깊이의 홈부(66)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어 브라켓트 결합부(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요입부(64)는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로서 상기 요입부(64)에 삽입되는 걸림부재(60)의 몸체(60a)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60b)가 창틀(10) 외부에 돌출되어 상기 요입부(64)의 절개부(64a)를 통해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64a)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60b)가 고정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60)는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하부의 돌기부(60c)에 탄성스프링(62)이 끼움고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62)과 함께 상기 요입부(64)에 장착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60b)가 탄성스프링(62)의 탄력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올라간 상태에서는 상기 통풍 브라켓트(30)의 홈부(66)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통풍 브라켓트(30)는 실외 또는 실내에서 창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이후, 세척을 위하여 창틀(10)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60b)를 절개부(64a)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송시켜 절곡 형성부위(64b)에끼워 고정시키면 상기 걸림부재(60)는 홈부(66)에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풍 브라켓트(30)는 브라켓트 결합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충망(38) 및 에어필터부재(36)를 본체부(32)로부터 분리시켜 손쉽게 세척하거나, 새로운 방충망 및 에어필터부재로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실시예와 제 4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와 같이 통풍브라켓트(30)가 브라켓트 결합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량조절부재(34)를 조절하여 공기통풍로(33)를 적절하게 개방시키게 되면, 그 공기통풍로(33)를 따라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환기를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필터부재(36)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방충망(38)에 의해 해충 등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에 따르면, 창문틀의 소정 부위에 통풍 브라켓트를 장착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공기 통풍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종래 창문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시스템에 비하여 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뿐 아니라 창문틀만의 교체로 인하여 손쉽게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 브라켓트에는 공기량 조절부재뿐 아니라,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개재되어 환기시킬때에도 외부로부터 해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는 상기 통풍 브라켓트로부터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따라 오염되어 있는 경우 세척이 가능하며 새 방충망과 에어필터의 교환이 간단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일정 크기를 갖는 창틀의 소정 부위에 대략 사각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브라켓트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에는 공기 통풍로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의 수직 방향으로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소정 간격 이격설치되며 실내측의 단면부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량조절부재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는 그 상부면에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각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단면부에도 상기 통풍 브라켓트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방충망과 에어필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갖는 통풍 브라켓트 자체를 교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브라켓트의 양 측면부에는 일정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절개부위를갖는 탄성편과 그 탄성편의 소정 부위에 일방향으로만 경사면이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의 측면에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걸림면을 갖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브라켓트가 장착되는 창틀의 가장자리부분에 내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서 이동되도록 가이드부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수평 이동시에 상기 통풍 브라켓트의 공기량조절부재의 단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부면에 요철부를 가지는 누름이송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브라켓트의 하단부에 일정 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의 하면 부위에 일부분이 절개되고 그 절개부분의 마지막 부분이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의 절개부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몸체 측면부에 들출부가 형성되는 걸림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에는 탄성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통풍 브라켓트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브라켓트 결합부로부터 상기 통풍 브라켓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20-2004-0002281U 2004-01-30 2004-01-30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200350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281U KR200350098Y1 (ko) 2004-01-30 2004-01-30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281U KR200350098Y1 (ko) 2004-01-30 2004-01-30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928A Division KR20050078248A (ko) 2005-04-27 2005-04-27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98Y1 true KR200350098Y1 (ko) 2004-05-12

Family

ID=4942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281U KR200350098Y1 (ko) 2004-01-30 2004-01-30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9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87B1 (ko) 2004-07-01 2006-05-23 김기현 환기 유니트
KR100682412B1 (ko) * 2005-02-02 2007-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공기 정화용 필터기능이 부가된 창문틈새 차단부재
KR101329302B1 (ko) * 2011-04-15 2013-11-13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한백 창틀의 통풍장치
KR20180054309A (ko) * 2016-11-15 2018-05-24 (주)은종산업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20180067465A (ko) * 2018-02-19 2018-06-20 주식회사 쎄번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WO2019194333A1 (ko) * 2018-04-05 2019-10-10 (주)화이컴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2631186B1 (ko) * 2023-10-26 2024-01-31 (주)모감공간 돈사 입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87B1 (ko) 2004-07-01 2006-05-23 김기현 환기 유니트
KR100682412B1 (ko) * 2005-02-02 2007-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공기 정화용 필터기능이 부가된 창문틈새 차단부재
KR101329302B1 (ko) * 2011-04-15 2013-11-13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한백 창틀의 통풍장치
KR20180054309A (ko) * 2016-11-15 2018-05-24 (주)은종산업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101905537B1 (ko) * 2016-11-15 2018-10-08 (주)은종산업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20180067465A (ko) * 2018-02-19 2018-06-20 주식회사 쎄번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1947018B1 (ko) * 2018-02-19 2019-02-12 (주)화이컴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WO2019194333A1 (ko) * 2018-04-05 2019-10-10 (주)화이컴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2631186B1 (ko) * 2023-10-26 2024-01-31 (주)모감공간 돈사 입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8248A (ko)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101599005B1 (ko) 창문의 미세먼지유입 방지장치
KR10075492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0898490B1 (ko) 방수 및 통기성을 구비한 창문 구조
KR20190012094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0350098Y1 (ko)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KR101114889B1 (ko)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KR20090046344A (ko) 방충망이 구비된 시스템 루버
KR101971168B1 (ko)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JP2010150875A (ja) 建具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KR20090010339U (ko) 창문용 통풍장치
KR20120064536A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JP2010121274A (ja) 防雨ルーバー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JP2018159209A (ja) 換気装置及び建具
KR200478424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2017120B1 (ko) 공기통로가 구비된 전실용 중문
KR200379970Y1 (ko) 창호용 수동식 환기유니트
KR200216482Y1 (ko)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JP2008180484A (ja) 空気調和機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