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37B1 -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37B1
KR101905537B1 KR1020160152112A KR20160152112A KR101905537B1 KR 101905537 B1 KR101905537 B1 KR 101905537B1 KR 1020160152112 A KR1020160152112 A KR 1020160152112A KR 20160152112 A KR20160152112 A KR 20160152112A KR 101905537 B1 KR101905537 B1 KR 10190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main body
body ca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309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은종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종산업 filed Critical (주)은종산업
Priority to KR102016015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2 창문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2 창문에 대응하는 제1, 2 레일이 돌출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창문틀 프레임;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폭이 가변되며, 상기 제1 레일을 왕복하는 제1 창문과 상기 제2 레일을 왕복하는 제2 창문에 접촉되어 방풍 및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 가변 유닛; 및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에서 승강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 버튼에 의하여 상기 창문틀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풍을 막아 단열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신선한 외기의 소통을 통한 환기 성능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ASSEMBLY OF WINDOWS AND DOORS WITH WIND-BRAKE AND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풍을 막아 단열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신선한 외기의 소통을 통한 환기 성능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통상 빛을 통과시키는 채광기능과 함께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등 대부분의 건물에는 시야 확보 및 환기 등을 이유로 창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창문은 실내 공간에 대한 열손실을 크게 발생시켜 냉난방 비용의 상당한 손실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소음으로 인한 피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창틀과 창문틀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열 손실이 크게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2946호의 "창문 방풍 장치"(이하 '선행1')와 등록실용 제20-0433047호의 "창문용 환기장치"(이하 '선행2')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1은 방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창문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공기 유출입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선행2는 환기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임본체에 밀폐구와 개폐구에 의하여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1은 방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불필요한 부품 갯수가 많으며, 조립 및 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설치 및 시공에 따른 비효율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2는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밀폐구나 개폐구는 물론, 이러한 밀폐구나 개폐구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본체의 형상에 굴곡이 형성되어 성형을 위한 금형 설계가 매우 복잡해지며, 굴곡진 형상 주위로 성형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다분하였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2946호 등록실용 제20-04330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외풍을 막아 단열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신선한 외기의 소통을 통한 환기 성능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창문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창문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돌출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창문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창문이 왕복하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하 '제1 레일')과 이웃한 가이드 레일(이하 '제2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폭이 가변되며, 상기 복수의 창문중 상기 제1 레일을 왕복하는 하나의 창문(이하 '제1 창문')과 상기 제1 창문과 이웃한 상기 제2 레일을 왕복하는 창문(이하 '제2 창문')에 접촉되어 방풍 및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 가변 유닛; 및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에서 승강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 버튼에 의하여 상기 창문틀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 가변 유닛은,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바와, 상기 본체 바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실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창문의 실내측 면과 상기 실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창문의 실외측 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되며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와, 상기 본체 바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 바의 폭을 가변시키는 폭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 바는, 상기 씰링부의 일부가 장착되는 상면과, 상기 씰링부의 나머지가 장착되는 상부 양측면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수용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리브는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과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본체 바의 상면에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함몰된 제1 장착홈에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트윈 개스킷과, 상기 본체 바의 상부 양측면에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각각 함몰된 제2 장착홈을 따라 고정되는 모헤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본체 바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변 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변 리브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밀착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 및 함몰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조절 톱니와, 상기 한 쌍의 가변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조절 톱니와 맞물리며, 상기 조절 톱니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 톱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유닛은,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절개되어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메인 장착 슬롯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외측 면에 장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개폐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탈착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장착 슬롯의 내측면과 탈착되는 탈착 교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외측 면에 관통된 보조 장착 슬롯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1 하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1 상부 후크 리브와, 상기 보조 장착 슬롯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1 상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1 하부 후크 리브와, 상기 제1 상부 후크 리브 및 상기 제1 하부 후크 리브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며,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제1 프레임을 구비하고, 내부에 메쉬망을 구비한 외기 유입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2 하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2 상부 후크 리브와,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2 상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2 하부 후크 리브와, 상기 제2 상부 후크 리브 및 상기 제2 하부 후크 리브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왕복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진 복수의 연통 슬롯이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한 개폐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절 슬롯과, 상기 개폐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조절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편과 일체로 왕복 가능한 조절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편이 상기 조절 슬롯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까지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연통 슬롯이 상기 실내측 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실내측과 상기 실외측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조절편이 상기 조절 슬롯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연통 슬롯의 면적 일부 또는 전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실내측과 상기 실외측의 연통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 교체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탈착 버튼이 왕복 가능한 스위칭 슬롯과, 상기 탈착 버튼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위칭 슬롯의 상, 하 양단부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탈착봉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봉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메인 장착 슬롯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창문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 교체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하면에 관통되어 상기 탈착봉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하부 탈착홀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탈착홀이 고정되는 체결봉과, 상기 탈착봉의 상부측이 노출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에 관통되어 상기 하부 탈착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연통홀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함몰되어 상기 탈착봉과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하부 탈착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상부 탈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봉는 상기 창문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본체 케이싱의 힌지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방풍 및 환기 성능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레일 폭을 가진 창문틀 프레임에 적용이 가능한 기밀 가변 유닛과 함께, 기존의 창문틀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한 환기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 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거나 굴곡진 부분 등이 없어 금형 설계에 따른 비용 절감과 제조상의 편의까지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갯수를 줄여 원자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 개념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 프레임(100)에 기밀 가변 유닛(200)과 환기 유닛(300)이 구비되어 방풍 및 환기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창문틀 프레임(100)은 복수의 창문(400)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의 창문(400)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돌출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창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밀 가변 유닛(200)은 복수의 창문(400)이 왕복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하 '제1 레일(110)')과 이웃한 가이드 레일(이하 '제2 레일(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방풍 기능을 수행하여 단열 성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기밀 가변 유닛(200)은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의 거리(w)에 대응되게 폭이 가변되며, 복수의 창문(400)중 제1 레일(110)을 왕복하는 하나의 창문(400)(이하 '제1 창문(410)')과 제1 창문(410)과 이웃한 제2 레일(120)을 왕복하는 창문(400)(이하 '제2 창문(420)')에 접촉됨으로써, 방풍 및 기밀 성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환기 유닛(300)은 창문틀 프레임(100)의 실외측(u)으로부터 실내측(i)으로의 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창문틀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측(i)에서 승강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 버튼(301)에 의하여 창문틀 프레임(1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풍 및 환기 성능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레일 폭, 즉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의 거리(w)를 가진 창문틀 프레임(100)에 적용이 가능한 기밀 가변 유닛(200)과 함께, 기존의 창문틀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한 환기 유닛(300)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 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거나 굴곡진 부분 등이 없어 금형 설계에 따른 비용 절감과 제조상의 편의까지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갯수를 줄여 원자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기밀 가변 유닛(200)은, 창문틀 프레임(100)의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바(210)에 씰링부(220)와 폭 가변부(23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씰링부(220)는 본체 바(2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실외측(u)에 배치되는 제1 창문(410)의 실내측(i) 면과 실내측(i)에 배치되는 제2 창문(420)의 실외측(u) 면에 접촉되거나,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되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폭 가변부(230)는 본체 바(210)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의 거리(w)에 대응되게 본체 바(210)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양한 폭을 가진 창문틀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바(210)는, 씰링부(220)의 일부가 장착되는 상면과, 씰링부(220)의 나머지가 장착되는 상부 양측면과, 창문틀 프레임(100)의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의 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구비한 바디(211)와, 바디(211)의 상부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 리브(21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수용 리브(212)는, 바디(211)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창문(410) 및 제2 창문(420)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폭 가변부(230)는 수용 리브(212)의 상면 및 하면과 탈착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 리브(212)가 바디(211)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실내측(i)을 향하여 바디(211)의 일측면으로부터만 돌출되도록 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씰링부(220)는, 본체 바(210)의 상면에 제1 창문(410) 및 제2 창문(420)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함몰된 제1 장착홈(213)에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트윈 개스킷(221)과, 본체 바(210)의 상부 양측면에 제1 창문(410) 및 제2 창문(420)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각각 함몰된 제2 장착홈(214, 214)을 따라 고정되는 모헤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윈 개스킷(221)은, 제1 장착홈(213)에 안착되어 하단부를 형성하는 안착편(223)과, 제1, 2 밀착편(224a, 224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밀착편(224a)은 안착편(223)의 상면으로부터 제1 장착홈(213)을 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1 창문(410)의 실내측(i) 면에 접촉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2 밀착편(224b)은 안착편(223)의 상면으로부터 제1 장착홈(213)을 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 창문(420)의 실외측(u) 면에 접촉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것이다.
전술한 트윈 개스킷(221)은, 형상 변형 및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열성, 내화학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한편, 폭 가변부(230)는, 본체 바(210)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수용 리브(212)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변 리브(231, 231)와, 한 쌍의 가변 리브(231, 231)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밀착 연결 리브(23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밀착 연결 리브(232)는, 제1 레일(110) 또는 제2 레일(1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폭 가변부(230)는, 전술한 한 쌍의 가변 리브(231, 231)와 수용 리브(212)의 상호 결합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2와 같이 수용 리브(212)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레일(110) 또는 제2 레일(120)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 및 함몰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조절 톱니(233, 233)와, 걸림 톱니(234, 23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 톱니(234, 234)는 한 쌍의 가변 리브(231, 231)의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조절 톱니(233, 233)와 맞물리며, 조절 톱니(233, 233)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환기 유닛(30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창문틀 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절개되어 실외측(u)과 실내측(i)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메인 장착 슬롯(101)에 탈착 결합되며, 실외측(u)과 실내측(i)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302)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 케이싱(310)에, 유입부(320)와 개폐부(330) 및 탈착 교체부(34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32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 케이싱(310)의 실외측(u) 면에 장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것이다.
개폐부(3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 케이싱(310)의 실내측(i) 면에 장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것이다.
탈착 교체부(34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탈착 버튼(301)과 연결되며, 메인 장착 슬롯(101)의 내측면과 탈착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부(320)는, 본체 케이싱(310)의 실외측(u) 면에 관통된 보조 장착 슬롯(310a)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1 하부 걸림편(321k)을 구비한 제1 상부 후크 리브(3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320)는, 보조 장착 슬롯(310a)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1 상부 걸림편(322k)을 구비한 제1 하부 후크 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320)는, 제1 상부 후크 리브(321) 및 제1 하부 후크 리브(322)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며,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제1 프레임(323a)을 구비하고, 내부에 메쉬망(323m)을 구비한 외기 유입 스트레이너(3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개폐부(330)는, 본체 케이싱(310)의 실내측(i) 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330)는,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 상부측에 배치되며, 본체 케이싱(310)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2 하부 걸림편(332k)을 구비한 제2 상부 후크 리브(3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330)는,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 하부측에 배치되며, 본체 케이싱(310)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2 상부 걸림편(333k)을 구비한 제2 하부 후크 리브(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30)는, 제2 상부 후크 리브(332) 및 제2 하부 후크 리브(333)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왕복 가능하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과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진 복수의 연통 슬롯(334s)이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제2 프레임(334a)을 구비한 개폐편(3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330)는,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케이싱(310)의 실내측(i) 면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절 슬롯(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30)는, 개폐편(334)으로부터 돌출되어 조절 슬롯(3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폐편(334)과 일체로 왕복 가능한 조절편(33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절편(336)이 도 4(a)와 같이 조절 슬롯(335)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되면,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과 연통 슬롯(334s)의 면적 일부 또는 전부가 겹쳐지면서 실내측(i)과 실외측(u)의 연통이 허용됨으로써, 환기가 허용될 것이다.
또한, 조절편(336)이 도 4(b)와 같이 조절 슬롯(335)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까지 이동되면,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331)과 연통 슬롯(334s)이 실내측(i) 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면서 실내측(i)과 실외측(u)의 연통이 차단됨으로써, 환기가 차단될 것이다.
한편, 탈착 교체부(340)는,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탈착 버튼(301)이 왕복 가능한 스위칭 슬롯(34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 교체부(340)는, 탈착 버튼(30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스위칭 슬롯(341)의 상, 하 양단부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연결편(3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 교체부(340)는, 연결편(34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싱(310)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탈착봉(3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착 교체부(340)는, 본체 케이싱(3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탈착봉(343)의 하부를 수용하고, 탈착봉(343)의 상단부가 본체 케이싱(31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지지 어셈블리(3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싱(310)은 메인 장착 슬롯(101)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싱(31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 탈착봉(343)의 상단부에 의하여 창문틀 프레임(100)에 고정될 것이다.
또한, 본체 케이싱(310)은 탈착 버튼(301)을 도 2의 하측으로 내린 상태에서, 본체 케이싱(310)의 상면 내측으로 탈착봉(343)이 수납되면, 창문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외기 유입 스트레이너(323) 및 본체 케이싱(310) 등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각종 부품을 교체하는 등의 점검 및 수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전술한 탈착 버튼(301)의 조작으로 본체 케이싱(310)을 용이하게 창문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지지 어셈블리(345)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 케이싱(310)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탈착봉(343)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 케이스(345c)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345)는, 수용 케이스(345c)의 개방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탈착봉(343)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걸림 플랜지(345f)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345)는, 탈착봉(34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탈착봉(343)과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 케이스(345c)의 내부에 배치되고, 탈착봉(343)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상부 지지 시트(345h)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345)는, 수용 케이스(345c)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지지되고, 상부 지지 시트(345h)에 상단부가 지지되어 탈착봉(343)을 본체 케이싱(310)의 상면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스프링(345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탈착 교체부(340)는, 본체 케이싱(310)의 하면에 관통되어 탈착봉(343)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하부 탈착홀(346)과, 창문틀 프레임(100)의 하부 내측에 돌출되어 하부 탈착홀(346)이 고정되는 체결봉(349)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탈착 교체부(340)는, 탈착봉(343)의 상부측이 노출되게 본체 케이싱(310)의 상면에 관통되어 하부 탈착홀(346)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연통홀(34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탈착 교체부(340)는, 창문틀 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함몰되어 탈착봉(343)과 연통홀(347) 및 하부 탈착홀(346)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탈착봉(343)의 상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상부 탈착홈(348)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풍을 막아 단열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신선한 외기의 소통을 통한 환기 성능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창문틀 프레임
101...메인 장착 슬롯
110...제1 레일
120...제2 레일
200...기밀 가변 유닛
210...본체 바
211...바디
212...수용 리브
213...제1 장착홈
214, 214...제2 장착홈
220...씰링부
221...트윈 개스킷
222...모헤어
223...안착편
224a...제1 밀착편
224b...제2 밀착편
230...폭 가변부
231, 231...가변 리브
232...밀착 연결 리브
233, 233...조절 톱니
234, 234...걸림 톱니
300...환기 유닛
301...탈착 버튼
302...연통 공간
310...본체 케이싱
310a...보조 장착 슬롯
320...유입부
321...제1 상부 후크 리브
321k...제1 하부 걸림편
322...제1 하부 후크 리브
322k...제1 상부 걸림편
323...외기 유입 스트레이너
323a...제1 프레임
323m...메쉬망
330...개폐부
331...유입 허용 슬롯
332...제2 상부 후크 리브
332k...제2 하부 걸림편
333...제2 하부 후크 리브
333k...제2 상부 걸림편
334...개폐편
334a...제2 프레임
334s...연통 슬롯
335...조절 슬롯
336...조절편
340...탈착 교체부
341...스위칭 슬롯
342...연결편
343...탈착봉
345...지지 어셈블리
345c...수용 케이스
345h...상부 지지 시트
345f...걸림 플랜지
345s...코일 스프링
346...하부 탈착홀
347...연통홀
348...상부 탈착홈
349...체결봉
400...창문
410...제1 창문
420...제2 창문
i...실내측
u...실외측
w...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의 거리

Claims (12)

  1. 복수의 창문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창문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돌출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창문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창문이 왕복하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하 '제1 레일')과 이웃한 가이드 레일(이하 '제2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폭이 가변되며, 상기 복수의 창문중 상기 제1 레일을 왕복하는 하나의 창문(이하 '제1 창문')과 상기 제1 창문과 이웃한 상기 제2 레일을 왕복하는 창문(이하 '제2 창문')에 접촉되어 방풍 및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 가변 유닛; 및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에서 승강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 버튼에 의하여 상기 창문틀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절개되어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메인 장착 슬롯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외측 면에 장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개폐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탈착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장착 슬롯의 내측면과 탈착되는 탈착 교체부를 포함하는 환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탈착 교체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탈착 버튼이 왕복 가능한 스위칭 슬롯과,
    상기 탈착 버튼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위칭 슬롯의 상, 하 양단부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탈착봉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봉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봉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탈착봉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걸림 플랜지와,
    상기 탈착봉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탈착봉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착봉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상부 지지 시트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 지지 시트에 상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탈착봉을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메인 장착 슬롯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창문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변 유닛은,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바와,
    상기 본체 바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실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창문의 실내측 면과 상기 실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창문의 실외측 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되며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와,
    상기 본체 바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 바의 폭을 가변시키는 폭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는,
    상기 씰링부의 일부가 장착되는 상면과, 상기 씰링부의 나머지가 장착되는 상부 양측면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의 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수용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리브는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과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본체 바의 상면에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함몰된 제1 장착홈에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트윈 개스킷과,
    상기 본체 바의 상부 양측면에 상기 제1 창문 및 상기 제2 창문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각각 함몰된 제2 장착홈을 따라 고정되는 모헤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본체 바의 양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는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변 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변 리브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밀착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폭 가변부는,
    상기 수용 리브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 및 함몰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조절 톱니와,
    상기 한 쌍의 가변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조절 톱니와 맞물리며, 상기 조절 톱니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 톱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외측 면에 관통된 보조 장착 슬롯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1 하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1 상부 후크 리브와,
    상기 보조 장착 슬롯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1 상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1 하부 후크 리브와,
    상기 제1 상부 후크 리브 및 상기 제1 하부 후크 리브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며,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제1 프레임을 구비하고, 내부에 메쉬망을 구비한 외기 유입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제2 하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2 상부 후크 리브와,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제2 상부 걸림편을 구비한 제2 하부 후크 리브와,
    상기 제2 상부 후크 리브 및 상기 제2 하부 후크 리브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왕복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진 복수의 연통 슬롯이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한 개폐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기 실내측 면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절 슬롯과,
    상기 개폐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조절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편과 일체로 왕복 가능한 조절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편이 상기 조절 슬롯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까지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연통 슬롯이 상기 실내측 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실내측과 상기 실외측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조절편이 상기 조절 슬롯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유입 허용 슬롯과 상기 연통 슬롯의 면적 일부 또는 전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실내측과 상기 실외측의 연통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 교체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하면에 관통되어 상기 탈착봉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하부 탈착홀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탈착홀이 고정되는 체결봉과,
    상기 탈착봉의 상부측이 노출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면에 관통되어 상기 하부 탈착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연통홀과,
    상기 창문틀 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함몰되어 상기 탈착봉과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하부 탈착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탈착봉의 상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상부 탈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봉는 상기 창문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본체 케이싱의 힌지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1020160152112A 2016-11-15 2016-11-15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10190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12A KR101905537B1 (ko) 2016-11-15 2016-11-15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12A KR101905537B1 (ko) 2016-11-15 2016-11-15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9A KR20180054309A (ko) 2018-05-24
KR101905537B1 true KR101905537B1 (ko) 2018-10-08

Family

ID=622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112A KR101905537B1 (ko) 2016-11-15 2016-11-15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3992C1 (ru) * 2019-07-16 2020-02-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битек"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098Y1 (ko) * 2004-01-30 2004-05-12 노재용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200462946Y1 (ko) * 2012-04-13 2012-10-11 정의국 창문 방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18Y2 (ja) * 1991-08-15 1996-09-1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浴室ドア
KR100459842B1 (ko) * 2001-06-30 2004-12-03 박준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16286A (ko) * 2005-05-09 2006-11-15 박무상 폭 조절기능을 갖는 누수 방지 프레임
KR100754926B1 (ko) * 2005-08-16 2007-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환기장치
KR20090058784A (ko) * 2007-12-05 2009-06-10 정도갑 방문형 통풍장치
KR101427053B1 (ko) * 2013-12-13 2014-08-05 정영선 창호용 방풍 방음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098Y1 (ko) * 2004-01-30 2004-05-12 노재용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200462946Y1 (ko) * 2012-04-13 2012-10-11 정의국 창문 방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3992C1 (ru) * 2019-07-16 2020-02-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битек"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9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2176B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sliding window
KR101612679B1 (ko) 개량형 창호용 방풍구
KR101868900B1 (ko) 다기능 창호 어셈블리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905537B1 (ko) 방풍 및 환기 기능을 구비한 창호 어셈블리
KR101442040B1 (ko) 창호용 풍지부재
JP5822645B2 (ja) 窓枠用排水弁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窓枠の排水構造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KR101759032B1 (ko) 미닫이 창호용 부착 설치형 외기 차단용구
KR20190002823A (ko)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CN211230130U (zh) 一种钣金百叶窗
JP6422719B2 (ja) 換気装置付き建具
KR200489546Y1 (ko)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100969495B1 (ko) 시스템 창호의 기밀 유지구조
JP2016075136A (ja) 建具
JP5733762B2 (ja) 換気框および建具
KR101756175B1 (ko) 창호 일체형 자연환기 장치
JP3933598B2 (ja) 換気装置付き窓
CN105756486B (zh) 增腔保温型门窗扇
JP3340909B2 (ja) 窓枠用換気装置
KR101236979B1 (ko)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CN211874342U (zh) 门栏
EP2157272A2 (en) Frame for a window, door or the like
CN219754411U (zh) 用于门窗的单向通风模块及门窗
KR200335426Y1 (ko) 환기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