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95Y1 - 보온불판 - Google Patents

보온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95Y1
KR200449795Y1 KR2020100005487U KR20100005487U KR200449795Y1 KR 200449795 Y1 KR200449795 Y1 KR 200449795Y1 KR 2020100005487 U KR2020100005487 U KR 2020100005487U KR 20100005487 U KR20100005487 U KR 20100005487U KR 200449795 Y1 KR200449795 Y1 KR 200449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ortion
plate
meat
steam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송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호 filed Critical 송준호
Priority to KR2020100005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기구를 통하여 불판의 중앙부를 직접 가열함과 동시에, 증기를 이용하여 불판의 가장자리를 간접 가열하여서 직접 가열 방식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병행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을 한 곳으로 동시에 모을 수 있는 한편, 직접 가열을 할 때는, 열을 제한적으로 불판의 중앙부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고기가 늘어 붙지 아니하게 하고, 간접 가열을 할 때는, 증기를 가운데로 모은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한 곳으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불판 가장자리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고기를 직접 가열 또는 간접 가열로 선택적으로 구울 수 있으며,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굽거나, 구워진 고기를 보온할 수 있는 보온불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징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는 가열기구에 직접 접촉하여 직접 가열하고, 상부몸체(200)은 증기를 이용하여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300)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며, 상기 상부몸체(200)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300)이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를 덮어주며, 상기 중앙부(230)의 테두리에 기름가이드(240)를 형성함으로써, 직접 가열 방식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병행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을 상기 기름가이드(240)로 동시에 모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보온불판 {a roaster which are kept hot}
본 고안은 보온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기구를 통하여 불판의 중앙부를 직접 가열함과 동시에, 증기를 이용하여 불판의 가장자리를 간접 가열하여서 직접 가열 방식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병행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을 한 곳으로 동시에 모을 수 있는 한편, 직접 가열을 할 때는, 열을 제한적으로 불판의 중앙부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고기가 늘어 붙지 아니하게 하고, 간접 가열을 할 때는, 증기를 가운데로 모은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한 곳으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불판 가장자리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고기를 직접 가열 또는 간접 가열로 선택적으로 구울 수 있으며,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굽거나, 구워진 고기를 보온할 수 있는 보온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불판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불판과, 통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불판으로 나뉘는데, 통공이 형성된 불판의 경우에는 통공을 통하여 열기가 올라와 고기를 직접 가열하여서 익혔으며, 통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불판의 경우에도 열기가 불판을 직접가열하여서 불판 위에 놓여진 고기를 익혔다.
상기와 같은 불판의 경우는 열원이 고기에 직접 전달되거나, 불판으로 직접 전달되어 그 열에 의해 고기를 단시간 내에 구울 수 있게 되지만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여 고기가 눌어붙거나 불판이 탄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 압출한 스텐레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하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 결합시키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기름 또는 물 등의 충진부재를 충진하여 충진부재에 축열된 열에 의해 상부판을 가열하여 고기를 태우지 아니하고 간접가열을 통하여 고기를 굽는 불판(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666호)이 고안되었으나, 축열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서 고기를 굽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불판에 전달되는 열이 균등하게 전달되지 아니하여서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굽거나 보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999-0038666, U, 1999.10.25. KR, 10-0818931, B, 2008.03.27. KR, 10-2008-0024501, A, 2008.03.18.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기구를 통하여 불판의 중앙부를 직접 가열함과 동시에, 증기를 이용하여 불판의 가장자리를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직접 가열 방식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병행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을 한 곳으로 동시에 모을 수 있는 보온불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직접 가열을 할 때, 열이 제한적으로 불판의 중앙부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고기가 늘어 붙지 아니하는 보온불판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접 가열을 할 때, 증기를 가운데로 모은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한 곳으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불판의 가장자리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굽거나, 구워진 고기를 보온할 수 있는 보온불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특징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본 고안은, 직접 가열하여 고기를 굽거나, 증기로 간접 가열하여 구워진 고기의 온도를 유지하는 보온불판에 있어서, 냄비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120)를 상부로 돌출시켜서 상기 중앙부(120)의 저면측을 하부가 개구된 빈 공간으로 남겨두고, 상기 중앙부(120)를 제외한 가장자리는 물을 담는 물수용부(130)로 하며, 상부 테두리를 외주 방향으로 절곡하여 단턱(102)을 조성하고, 증기배출구(140)와 기름배출구(150)를 측면에 관통형성한 하부몸체(100)와; 중앙부(230)를 관통시킨 판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으로부터 중앙부(230)를 향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주연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2)에 걸치고 내주연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 테두리에 걸치게 안착되며, 중앙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골 형태의 기름가이드(240)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상기 기름가이드(240)와 연통되는 기름배출관(270)이 부착되는 상부몸체(200)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되 상면에 손잡이(3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를 덮도록 마련되는 구이판(300)과; 상면에 손잡이(4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200)를 덮도록 마련되는 뚜껑(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 상면에는, 전면에 걸쳐서 고르게 분산 배치되어 돌출조성되는 복수의 돌기(124)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되 중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돌출되게 조성되는 복수의 장돌기(122)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124) 및 복수의 장돌기(122)의 상면을 상기 구이판(300)의 저면에 닿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는 등각으로 방사상에 배치된 복수의 격벽(260)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증기배출관(250)이 중앙부(230)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부착되며,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 상면에는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나란하게 돌출 조성되는 고정장돌기(122-1)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상기 고정장돌기(122-1)의 사이에 배출관고정홈(126)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몸체(200)의 증기배출관(250)이 일단을 상기 배출관고정홈(126)에 걸치지게 하고 타단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증기배출구(140)에 걸쳐지게 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260)은 상기 복수의 장돌기(112)의 연장선에 맞춰져 상기 하부몸체(100)의 물수용부(130)에 끼워지되, 상기 물수용부(130)의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서 상기 물수용부(130)의 상부 공간을 칸막이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는 가열기구에 직접 접촉하여 직접 가열하고, 상부몸체(200)은 증기를 이용하여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300)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며, 상기 상부몸체(200)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300)이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를 덮어주며, 상기 중앙부(230)의 테두리에 기름가이드(240)를 형성함으로써, 직접 가열 방식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병행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을 상기 기름가이드(240)로 동시에 모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에 복수의 돌기(114)를 돌출형성하고, 구이판(300)의 하부를 상기 복수의 돌기(114)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구이판(300)에 열이 제한적으로 전도되도록 하여서 상기 구이판(300)이 과도하게 달궈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하부몸체(100)의 일측에는 증기배출구(140)를 관통형성하고, 중앙부(120)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장돌기(112)를 돌출형성하고, 상부몸체(20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격벽(260)을 상기 복수의 장돌기(112)의 연장선에 배치되게 하되, 한 쌍의 장돌기(112)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배출관고정홈(116)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몸체(200)의 하부에 상기 하부몸체(100)의 증기배출구(140)와 연통되는 증기배출관(250)을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돌출형성하여, 증기를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로 모이게 한 다음, 상기 증기배출관(250)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200)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굽거나, 구워진 고기를 장시간 동안 보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하부몸체(1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및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사용실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하부몸체(1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및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불판의 사용실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온불판은, 중앙부(120)가 돌출형성되고, 물수용부(13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며, 측면에 증기배출구(140)가 관통형성되고, 양측면에 손잡이(110)가 구비되는 하부몸체(100)와, 중앙부(230)가 개구되고, 이탈방지가이드(22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00) 상부에 안착되고, 기름가이드(240)와 기름배출관(270)이 구비되는 상부몸체(200)와,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를 덮어주는 구이판(300)과, 상기 상부몸체(200)를 덮어주는 뚜껑(400)을 포함하여 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 상면에는 복수의 장돌기(122)와 복수의 돌기(1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는 증기배출관(250)이 부착되고, 복수의 격벽(260)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는 등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 중에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나란하게 조성되는 고정장돌기(122-1)가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는 배출관고정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260)은 상기 장돌기(122)의 연장선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관(250)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구(140)에 걸쳐지고, 상기 돌기(124)는 상기 구이판(300)의 저면과 접촉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원형의 냄비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120)는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는 비어 있으며, 하부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이다. 물수용부(130)는 상기 중앙부(120)의 하단 테두리에서 수평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앙부(12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의 넓은 요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부(120)와 상기 물수용부(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0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부(120)는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상기 중앙부(120)의 저면은 가열기구과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물수용부(130)에는 열전달매체인 물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120)는 적어도 하부몸체(100)의 전체높이에 대하여 절반 이상 높이까지 돌출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중앙부(120)의 상면에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장돌기(122)가 중앙부(120)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증기가 상기 중앙부(120)의 중심으로 모이도록 안내하여 준다. 이때,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는 상기 중앙부(120)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돌출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는 중앙부(120)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거리만큼 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중앙부(120)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외곽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증기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증기가 상기 중앙부(120)의 중심부에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는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의 공간을 균등하게 구획하도록 등각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증기가 균등하게 상기 중앙부(120)에 모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부(120)의 상면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돌기(114)가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분산되어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돌기(114)의 상면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의 장돌기(122) 중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일정 간격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장돌기(12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상기 고정장돌기(122-1)의 사이에는 배출관고정홈(126)이 조성된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상기 고정장돌기(122-1)의 간격은 상기 상부몸체(200)의 하부에 부착된 증기배출관(25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고정홈(116)에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증기배출관(25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0)의 측면에는 관통구(140)가 관통형성되어 증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140)는 외부로 연통되는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100)의 측면에는 기름배출구(150)가 관통형성되어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0)는 상기 상부몸체(200)과 결합되기 위해 상부몸체(200)가 안착되는 이탈방지턱(102)이 상단부 내주연에 마련되고, 외주연의 양측에는 손잡이(110)가 구비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00)의 외주연 양측 손잡이(110)가 구비된 방향과 교차되는 양측으로 상기 상부몸체(200)의 손잡이(210)가 거치될 수 있는 손잡이거치홈(104)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몸체(200)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부(230)가 개구되고,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앙부(230)를 향하여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외주연에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2)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이탈방지가이드(22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2)에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200) 중앙부(230)의 테두리에는 골 형상의 기름가이드(2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면에는, 상기 기름가이드(240)로 기름을 유도하기 위해 중심부터 가장자리까지 방사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연장형성되고 일정폭과 홈으로 이루어진 기름배출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가이드(240)에는 기름배출구멍(27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는 상기 기름배출구멍(272)과 연통되는 관형상의 기름배출관(270)이 상기 기름가이드(240) 저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상부몸체(200)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지게 부착되되,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는 통공이 형성된 증기배출관(250)이 상기 중앙부(230)의 하부에서 가장자리까지 이어지게 부착되고, 복수의 격벽(260)이 상기 상부몸체(20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중앙부(230)는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에 맞는 형상의 크기만큼 개구되며, 상기 상부몸체(200)가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중앙부(230)의 테두리가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의 테두리에 걸쳐진다.
상기 증기배출관(250)은 상부몸체(200)가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전술한 배출관고정홈(126)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판(200)의 증기배출구(140)에 거치되어 상기 증기배출구(140)와 연통된다. 이로써,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 상면에 모인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관(250)을 통과하여, 상기 증기배출구(140)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260)은 상기 하부몸체(100) 물수용부(13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나, 상기 하부몸체(100) 물수용부(130)의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돌출된다. 즉, 상기 격벽(260)은 상기 물수용부(130)의 높이 전체를 막아주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막아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수용부(130)에 물이 채워졌을 때, 고르게 분산된다.
이때, 상기 격벽(260)의 높이는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의 높이에 절반정도에 해당하는 길이가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260)은 전술한 중앙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장돌기(122)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장선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장돌기(112)와 복수의 격벽(260)이 각각 이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200)의 외주연 양측에는 이탈방지가이드(220)에서 연장되는 손잡이(21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10)는 상기 하부몸체(100)의 손잡이(110)와 겹쳐지지 않도록 다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이판(300)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 원판 형상으로 테두리가 상기 상부몸체(200) 중앙부(230)의 테두리에 걸쳐져 상기 중앙부(230)을 덮어준다. 이때, 상기 구이판(300)은 만곡된 형상이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기름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테두리가 상기 상부몸체(200) 중앙부(230)의 테두리와 이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중앙부(230)의 테두리에 형성된 기름가이드(240)에 기름이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300)의 상면에는 손잡이(310)가 장착되어 구이판(300)이 탄화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310)를 이용하여 상기 구이판(300)을 이동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이판(300)은 상기 상부몸체(200) 중앙부(230)의 테두리에 걸쳐졌을 때, 상기 구이판(300)의 저면은 전술한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에 조성된 복수의 돌기(114)의 상면과 접촉되어 열을 전도 받는다.
이로써, 상기 구이판(300)은 상기 복수의 돌기(114)를 통하여 열을 전도 받기 때문에 제한된 열을 전도 받게 된다.
상기 뚜겅(400)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 원판 형상으로 상기 상부몸체(200)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상기 상부몸체(200)를 덮어주는 것으로, 유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손잡이(410)가 장착되어 음식물이 익을 때 상부몸체(200)에 덮어놓아 기름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식지 않게 하여 장시간 보온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100)의 물수용부(130)에 적당량의 물을 넣은 후 상부몸체(200)와 구이판(300) 및 뚜껑(400)을 차례로 덮어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에 올려놓으면 상기 물수용부(130)의 물이 데워져 증기가 발생되어, 상기 증기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가장자리를 간접가열 해주는 한편, 상기 증기는 상기 상부몸체(200)가 격벽(260)으로 사방이 막혀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부(120)의 상부에 조성된 장돌기(122)는 상기 증기의 흐름을 상기 중앙부(120)의 중심으로 유도하여 준다. 또한, 상기 증기는 가운데로 모여진 후에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 부착된 증기배출관(25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부(120)는 가열기구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고, 열은 중앙부(120)의 상부에 조성된 복수의 돌기(124)에 전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124)에 전도된 열은 다시 상기 복수의 돌기(124)에 접촉되어 있는 구이판(300)에 전도된다. 따라서, 열이 곧바로 상기 구이판(300)으로 전도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돌기(124)에 의하여 제한된 열이 상기 구이판(300)으로 전도된다.
이때, 상기 구이판(300)의 온도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가장자리보다 높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기를 빨리 굽기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구이판(300)에 고기를 올려 구울 수 있고, 고기를 천천히 굽기를 원하거나, 다 구운 고기를 보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상부몸체(200)의 가장자리에 고기를 올려놓으면 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300)에서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 테두리에 형성된 기름가이드(240)에 모이게 되며, 상기 기름가이드(240)에 형성된 기름배출구멍(272)을 통하여, 기름배출관(27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아울러, 구이판(300)이 탄화되어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뚜겅(400)을 열고, 상기 구이판(300)의 상부에 조성된 손잡이(310)를 이용해서 사용한 구이판(300)을 다른 구이판(30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하부몸체
120 : 중앙부
122 : 장돌기 122-1 : 고정장돌기 124 : 돌기
126 : 배출관고정홈
130 : 물수용부 140 : 증기배출구 150 : 기름배출구
200 : 상부몸체
220 : 이탈방지가이드 230 : 중앙부 240 : 기름가이드
250 : 증기배출관 260 : 격벽 270 : 기름배출관
300 : 구이판
400 : 뚜껑

Claims (3)

  1. 직접 가열하여 고기를 굽거나, 증기로 간접 가열하여 구워진 고기의 온도를 유지하는 보온불판에 있어서,
    냄비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120)를 상부로 돌출시켜서 상기 중앙부(120)의 저면측을 하부가 개구된 빈 공간으로 남겨두고, 상기 중앙부(120)를 제외한 가장자리는 물을 담는 물수용부(130)로 하며, 상부 테두리를 외주 방향으로 절곡하여 단턱(102)을 조성하고, 증기배출구(140)와 기름배출구(150)를 측면에 관통형성한 하부몸체(100)와;
    중앙부(230)를 관통시킨 판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으로부터 중앙부(230)를 향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주연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2)에 걸치고 내주연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 테두리에 걸치게 안착되며, 중앙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골 형태의 기름가이드(240)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상기 기름가이드(240)와 연통되는 기름배출관(270)이 부착되는 상부몸체(200)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되 상면에 손잡이(3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200)의 중앙부(230)를 덮도록 마련되는 구이판(300)과;
    상면에 손잡이(4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200)를 덮도록 마련되는 뚜껑(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앙부(120) 상면에는, 전면에 걸쳐서 고르게 분산 배치되어 돌출조성되는 복수의 돌기(124)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되 중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돌출되게 조성되는 복수의 장돌기(122)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124) 및 복수의 장돌기(122)의 상면을 상기 구이판(300)의 저면에 닿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불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0)의 저면에는 등각으로 방사상에 배치된 복수의 격벽(260)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증기배출관(250)이 중앙부(230)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부착되며,
    상기 하부몸체(100) 중앙부(120) 상면에는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나란하게 돌출 조성되는 고정장돌기(122-1)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장돌기(122)와 상기 고정장돌기(122-1)의 사이에 배출관고정홈(126)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몸체(200)의 증기배출관(250)이 일단을 상기 배출관고정홈(126)에 걸치지게 하고 타단을 상기 하부몸체(100)의 증기배출구(140)에 걸쳐지게 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260)은 상기 복수의 장돌기(112)의 연장선에 맞춰져 상기 하부몸체(100)의 물수용부(130)에 끼워지되, 상기 물수용부(130)의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서 상기 물수용부(130)의 상부 공간을 칸막이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불판.
KR2020100005487U 2010-05-26 2010-05-26 보온불판 KR200449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487U KR200449795Y1 (ko) 2010-05-26 2010-05-26 보온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487U KR200449795Y1 (ko) 2010-05-26 2010-05-26 보온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95Y1 true KR200449795Y1 (ko) 2010-08-13

Family

ID=4424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487U KR200449795Y1 (ko) 2010-05-26 2010-05-26 보온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59Y1 (ko) 2013-02-04 2013-04-03 임경석 눌지 않는 불판
WO2017023025A1 (ko) * 2015-07-31 2017-02-09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04Y1 (ko) 2000-05-18 2001-02-15 손계원 육류 구이판
KR20010093888A (ko) * 2000-04-01 2001-10-31 이원명 고기 조리판
KR20020012904A (ko) * 2000-08-09 2002-02-20 박종섭 센스 앰프 구동 신호 발생기
KR100925979B1 (ko) 2009-01-21 2009-11-10 임기복 구이기
KR100931277B1 (ko) 2009-07-14 2009-12-09 서선자 직화 오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888A (ko) * 2000-04-01 2001-10-31 이원명 고기 조리판
KR200212904Y1 (ko) 2000-05-18 2001-02-15 손계원 육류 구이판
KR20020012904A (ko) * 2000-08-09 2002-02-20 박종섭 센스 앰프 구동 신호 발생기
KR100925979B1 (ko) 2009-01-21 2009-11-10 임기복 구이기
KR100931277B1 (ko) 2009-07-14 2009-12-09 서선자 직화 오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59Y1 (ko) 2013-02-04 2013-04-03 임경석 눌지 않는 불판
WO2017023025A1 (ko) * 2015-07-31 2017-02-09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318B2 (en) Multi-purpose stovetop grilling and cooking device
AU2015305920B2 (en) High performance electric grill, method, and heat radiating module
CN103690065A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CN203424828U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CN102438491B (zh) 用于烹制食品所用容器的经改进的有孔盖
KR20120005488U (ko)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101078690B1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200449795Y1 (ko) 보온불판
KR101428463B1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JP5460459B2 (ja) 炊飯器
JP2009285231A (ja) 炊飯器
KR101218026B1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0477707Y1 (ko) 구이용 불판
EP1444938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461125Y1 (ko) 구이용 석쇠
JP2015221118A (ja) 炊飯器
CN209404516U (zh) 烤盘组件和烹饪装置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JP3227791U (ja) 食品保温器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CN209547810U (zh) 双热源烧烤炉
KR200467530Y1 (ko) 숯불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