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39Y1 -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39Y1
KR200447739Y1 KR2020080003618U KR20080003618U KR200447739Y1 KR 200447739 Y1 KR200447739 Y1 KR 200447739Y1 KR 2020080003618 U KR2020080003618 U KR 2020080003618U KR 20080003618 U KR20080003618 U KR 20080003618U KR 200447739 Y1 KR200447739 Y1 KR 200447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 liner
liner
guide ba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594U (ko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유에스엠 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스엠 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에스엠 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3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10/00Codes relating to different types of disinteg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라이너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편마모 현상을 본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면가공 장치로서 상기 롤라이너의 표면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고안은 롤라이너(100) 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크러셔의 양측 본체(110)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부재(20)가 결합된 양측의 지지블럭(10,10a)과; 상기 지지블럭과 조립하여 상기 롤라이너(10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14)와; 상기 지지블럭(10a)의 일측에 장착된 구동모터(12)에 의해 가이드바를 따라 작동하는 공구대(16)와; 상기 공구대에 장착된 절삭공구(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80003618
롤라이너, 지지블럭, 가이드바, 공구대, 절삭공구.

Description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URFACE OF ROLL LINER}
본 고안은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라이너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편마모 현상을 본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면가공 장치로서 상기 롤라이너의 표면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라이너는 하나 또는 한 쌍의 롤러(드럼, 이하 '롤라이너'라 통칭 함)를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하고 적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구동하도록 한 것으로, 시멘트 및 건축용 골재를 파쇄하거나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원재료를 보다 작은 부피로 파쇄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며, 압연롤러 등도 이에 해당된다.
예컨대, 상기 롤라이너의 장치 중에 대표적인 롤크러셔는 건축 폐기물인 폐 골재들을 소정의 부피로 파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번호 제: 482510호의 명칭: '유압식 롤 크러셔'가 이미 공지된 바 있으며, 간략하게는 '유압식 롤 라이너에 있어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상에서 대칭으로 회전하면서 폐골재를 파쇄하는 한 쌍의 롤 라이너가 상하로 가지런하게 설치하여 있는 제 1롤라이너 및 제 2롤라이너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선행기술은 상기의 롤크러셔는 폐골재를 파쇄함에 있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롤라이너의 일부분 예컨대, 중간 또는 양측부가 불규칙하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밀도가 저하되고 롤라이너 간의 간격이 불규칙하여 롤라이너를 거쳐 파쇄되는 폐골재의 크기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불규칙하게 마모된 롤라이너는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하는 반면, 막중한 중량과 부피를 가지는 롤라이너를 움직이기가 난해함은 물론 부득이하게 롤라이너를 분리하여 가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는, 상기의 롤라이너를 수리 및 보수하고자, 롤크러셔 본체로부터 분해하고 선반 등의 공작기계로 운반하여 표면을 절삭가공한 후 다시 조립 장착하였으나, 이를 위해 지게차,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거나, 주변의 유압호스 및 유압장치, 베어링, 등의 여러 부품을 분해해야 하는 등,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이에 따른 막대한 부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라이너의 불규칙한 표면 즉, 오목한 부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육성하여 다시 가공하였으나, 이 또한 정밀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롤라이너를 보수하는 동안에는 롤크러셔를 운행할 수 없음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체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등 작업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롤라이너(100) 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크러셔의 양측 본체(110)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부재(20)가 결합된 양측의 지지블럭(10,10a)과; 상기 지지블럭과 조립하여 상기 롤라이너(10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14)와; 상기 지지블럭(10a)의 일측에 장착된 구동모터(12)에 의해 가이드바를 따라 작동하는 공구대(16)와; 상기 공구대에 장착된 절삭공구(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통해 롤라이너의 불규칙한 표면을 균일하게 정밀하게 절삭가공할 수 있는 편리성과, 탈/부착 및 설치, 운반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막대한 중량과 부피를 가지는 롤러이너를 크러셔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본 고안의 면가공 장치를 간편하게 부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롤라이너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따라 절삭공구가 주행하면서 신속하게 가공이 이루어지는 장점과, 이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고안은 롤크러셔를 통한 폐골재의 생산을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신속하게 롤라이너의 가공이 가능함으로, 상기 롤라이너는 물론 롤크러셔를 최적의 상태로 지속적인 유지관리할 수 있는 이점과, 폐골재의 일률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는, 롤라이너(100)의 탈부착식 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라이너(100)의 양측 본체(110)에 자력에 의해 부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자석부재(20)가 결합된 지지블럭(10,10a)과; 상기 지지블럭(10a)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와; 상기 지지블럭(10,10a)과 양측부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라이너(100)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블럭(10a)을 통해 기어방식으로 조립되며,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바(14)와; 상기 가이드바(14)에 끼워지면서 나사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4)의 축방향으로 작동되는 공구대(16)와; 상기 공구대(16)에 장착되어 롤라이너(100)의 표면을 가공하는 절삭공구(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평면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는 자석부재(20)를 가지는 지지블럭(10,10a)과, 상기 지지블럭(10,10a)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와, 상기 지지블럭(10,10a)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14)와, 상기 가이드바(14)에 설치된 공구대(1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럭(10,10a)은 상기 가이드바(14)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결합된 자석부재(20)에 의해 상기 롤라이너(100)의 양측 본체(110)에 자력에 의해 부착 또는 역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석부재(2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본체(110)와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하도록 자력선의 온(ON)/오프(OFF)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마그넷(전자자석)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본체(110)는 자력에 의해 자석부재(20)가 부착되는 철 등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바(14)는 양측부가 상기 지지블럭(10,10a)과 결합하여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절삭공구(T)를 가지는 공구대(16)가 설치된다. 상기 절삭공구(T)는 롤라이너의 중심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롤라이너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롤라이너(100)의 가공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2)는 지지블럭(10a)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력에 의해 가이드바(14)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구대(16)를 좌/우 축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2)의 모터축이 가이드바(14)와 기어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의 지지블럭(10a)이 기어박스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공구대(16)가 직선으로 동작하도록 하고자, 상기 가이드바(14)에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공구대(16)에 끼워지면서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공구대(16)가 축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작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는, 상기 지지블럭(10,10a)이 자력부재(20)에 의해 본체(110)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면 가이드바(14)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공구대(16)가 가이드바를 따라서 일측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구대(16)의 절삭공구(T)가 상기 롤라이너(100)의 불규칙한 마모면(102)을 가공하여 표면이 균일한 가공면(104)으로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롤라이너(100)는 롤크러셔(1)의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14)가 롤라이너의 중심선과 편차가 발생시 롤라이너의 가공면(104)이 테이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블럭(10,10a)에는 가이드바(14)가 롤라이너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블럭(10,10a)은 가이드바(14)의 양측부와 본체(11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롤라이너(100)의 중심선과 가이드바(14)가 수평으로 나란하도록 편차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롤라이너(100)의 가공면이 일정하게 가공됨은 물론 동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공구대(16)가 가이드바(14)를 따라 좌/우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2)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서버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지지블럭(10a)에는 가이드바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변속수단 및 상기 가이드바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의 미설명 부호 '15'번은 '보조가이드'로서, 상기 가이드바(14)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구대(16)의 직선운동이 원활하도록 보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며, 치환,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를 평면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Claims (1)

  1. 롤라이너(100)의 탈부착식 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라이너(100)의 양측 본체(110)에 자력에 의해 부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자석부재(20)가 결합된 지지블럭(10,10a)과;
    상기 지지블럭(10a)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와;
    상기 지지블럭(10,10a)과 양측부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라이너(100)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블럭(10a)을 통해 기어방식으로 조립되며,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바(14)와;
    상기 가이드바(14)에 끼워지면서 나사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4)의 축방향으로 작동되는 공구대(16)와;
    상기 공구대(16)에 장착되어 롤라이너(100)의 표면을 가공하는 절삭공구(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KR2020080003618U 2008-03-20 2008-03-20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KR200447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8U KR200447739Y1 (ko) 2008-03-20 2008-03-20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8U KR200447739Y1 (ko) 2008-03-20 2008-03-20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94U KR20090009594U (ko) 2009-09-24
KR200447739Y1 true KR200447739Y1 (ko) 2010-02-12

Family

ID=4153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18U KR200447739Y1 (ko) 2008-03-20 2008-03-20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69B1 (ko) 2009-06-26 2012-05-10 서동우 금속 구조물용 컷팅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3291B (zh) * 2019-11-07 2021-03-16 深圳市腾信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废料分离结构及其分离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5B2 (ja) * 1990-10-17 1995-01-25 三興機械株式会社 ローラー研磨装置
KR20010026343A (ko) * 1999-09-06 2001-04-06 김진웅 압연용 롤의 자동연마장치
JP2005230915A (ja) * 2000-02-17 2005-09-0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ロール研磨装置
JP2007268630A (ja) * 2006-03-30 2007-10-18 Fujifilm Corp ロール研磨装置およびロール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5B2 (ja) * 1990-10-17 1995-01-25 三興機械株式会社 ローラー研磨装置
KR20010026343A (ko) * 1999-09-06 2001-04-06 김진웅 압연용 롤의 자동연마장치
JP2005230915A (ja) * 2000-02-17 2005-09-0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ロール研磨装置
JP2007268630A (ja) * 2006-03-30 2007-10-18 Fujifilm Corp ロール研磨装置およびロール研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69B1 (ko) 2009-06-26 2012-05-10 서동우 금속 구조물용 컷팅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94U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84686Y (zh) 破碎机四光辊表面在线修复的磨、车削装置
JPH10513520A (ja) 道路作業用機械
JP2011020039A (ja) 廃コンクリート破砕装置
WO2012074595A1 (en) Quick exchange for a milling drum assembly
KR200447739Y1 (ko) 탈부착식 롤라이너의 면가공 장치
CN103394706A (zh) 对辊免拆卸修复车削机
US7588206B2 (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7617469B (zh) 合金辊压机辊套、工装及制造工艺
CN104338577B (zh) 新型制砂机
CN101332577A (zh) 全自动石板材磨边设备
CN203418120U (zh) 对辊免拆卸修复车削机
US20100276565A1 (en) Method of producing a frame unit
CN212858517U (zh) 一种自动调直剪切机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US20210023660A1 (en) Apparatus for repairing wheel tread with material increase
CN2754766Y (zh) 钢板倒棱机
KR100422786B1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CN202356721U (zh) 移动式铁渣切割机
US3478407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disc-like members
CN202010817U (zh) 轮线耦合式剪切机
JP5249235B2 (ja) 竪型衝撃式破砕機
CN117798796A (zh) 一种钢结构件加工用砂轮切割机及其方法
CN214136198U (zh) —种用于建筑材料加工的加工装置
CN219852450U (zh) 一种高度可调式板坯去毛刺机
KR100589936B1 (ko) 압출식 폐고무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