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27Y1 - 선박용 방현재 - Google Patents

선박용 방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27Y1
KR200446227Y1 KR2020070017039U KR20070017039U KR200446227Y1 KR 200446227 Y1 KR200446227 Y1 KR 200446227Y1 KR 2020070017039 U KR2020070017039 U KR 2020070017039U KR 20070017039 U KR20070017039 U KR 20070017039U KR 200446227 Y1 KR200446227 Y1 KR 200446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ender
bow
fixed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64U (ko
Inventor
임성기
Original Assignee
(주)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고 filed Critical (주)보고
Priority to KR2020070017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2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이 항구에 접안시 선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장착되는 선박용 방현재에 있어서, 전면이 요철로 형성된 요철면의 반대면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내측곡면이 선수 하부에 밀착되되, 상기 요철면과 내측곡면 상단에 연장되며 갑판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부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갑판에 일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결합면에 고정되는 선수방현재와, 상기 선수방현재의 양 측면에서 선미까지 선박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되 외측면 도중에 볼트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수의 볼트홈이 형성된 측면방현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방현재는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돌출되어 고정되는 선수/측면방현재를 구비함으로써, 선박과 항구의 간격을 없애 별도의 시설물 없이도 승/하선시 승무원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였고, 접안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항구 또는 해상에서 타 선박들과의 충돌로부터 선박의 선수를 보호하고, 군/경의 순찰정이나 단속정에 장착하여 선박의 파손없이 단속대상 선박의 저지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방현재, 선박, 갑판, 튜브, 항구

Description

선박용 방현재 { FENDER FOR A SHIP }
본 고안은 항구에 접안시 선박의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선박용 방현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세부적으로는 선수/측면방현재를 각각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장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고, 항구에서 승무원과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방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박용 방현재는 항상 파도의 충격을 받으며 해상에서 운항중에 선박, 표류물 등의 충돌 또는 항구에 접안시 잦은 충돌로 인한 선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수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주로 고무튜브 또는 폐타이어 등이 사용된다.
도 1의 측면도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379585호)에 등록된 " 선박용 방현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부두(100)에 정박중인 선박(120)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선박(12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방현재(200)에 있어서, 상기 방현재(200)는 EVA수지를 링 형태로 발포 성형한 몸체(2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220)의 양측에는 상기 방현재(200)를 선박(120)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로프(280)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240,260)들이 관통 형성되고, 선박(120)에 상기 방현재(200)를 고정하도록 로프(280)를 걸 수 있는 체결핀(140)을 형성한 구성이다.
방현재(200)는 구멍(240,260)에 끼운 로프(280)를 체결핀(140)에 고정하여 선박(120)의 외측면 둘레에 일정간격 떨어져 고정됨으로써 외부 충돌로 인하여 선박(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근래 해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밀수와 밀항을 단속하는 군/경의 순찰정 또는 단속정과 같은 특수목적용 선박에 장착할 수 없었고 장착되더라도 선박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순찰정과 단속대상선박이 충돌시에는 선박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수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접안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항구에서는 선수가 파손될 수 있었으며, 항구와 선박에 발생되는 간격으로 인하여 승무원과 승객이 승/하선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특수목적용 선박 또는 일반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방현재를 각각 장착하여 접안시설이 없는 항구 또는 수상에서 타 선박과의 충돌시 선박을 보호할 수 있는 선박용 방현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승무원과 승객 승/하선시 항구와 선박의 간격이 벌어져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방현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선박이 항구에 접안시 선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장착되는 선박용 방현재에 있어서, 전면이 요철로 형성된 요철면의 반대면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내측곡면이 선수 하부에 밀착되되, 상기 요철면과 내측곡면 상단에 연장되며 갑판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부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갑판에 일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결합면에 고정되는 선수방현재와, 상기 선수방현재의 양 측면에서 선미까지 선박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되 외측면 도중에 볼트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수의 볼트홈이 형성된 측면방현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은 갑판에서 선수방현재의 수평움직임이 고정되도록 중앙에 직사각형의 홈으로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볼트가 삽입되어 결합면에 상부면이 고정되되 볼트의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볼트홈이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방현재는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돌출되어 고정되는 선수/측면방현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선박과 항구의 간격을 없애 별도의 시설물 없이도 승/하선시 승무원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 양측면에 고정된 측면방현재로 인하여 선박의 복원력이 증대되 며, 접안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항구 또는 해상에서 타 선박들과의 충돌로부터 선박의 선수를 보호하고, 군/경의 순찰정이나 단속정에 장착하여 선박의 파손없이 단속대상 선박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방현재에 대한 구성 및 사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시도이다.
본원 고안은 선박용 방현재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10)이 항구(30)에 접안시 또는 운항중에 가장 많은 파손이 발생되는 선수(12)와 측면(13)에 방현재(20)를 고정하여 선박(1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방현재(20)는 폐타이어 또는 고무 튜브 등과 같이 가운데 노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선박(10)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방현재(20)는 선박(10)을 항구(30)에 접안 후 승무원이나 승객이 승/하선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갑판(11)과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방현재(20)가 선박(10)의 외측을 향해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방현재(20)는 선수(11)에 고정되며 전면에 형성된 요철면(211)이 접안시 외부의 물체와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하며 갑판(11)에 고정되는 선수방현재(21)와, 상기 선수방현재(21)의 양 측면에서 선미까지 선박(10)의 측면(13)에 볼트(221)로 고정되되 외측면 도중에 볼트(221)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수의 볼트홈(222)이 형성된 측면방현재(22)로 구성된다.
특히, 방현재(20)는 충격흡수가 뛰어나고 선박(10)의 부력을 증가시키는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다.
선수방현재(21)는 전면에 형성된 요철면(211)의 반대면에 선수(12) 하부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내측곡면(212)이 도면과 같이 선수(12) 하부에 밀착된 후 볼트(212a)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요철면(211)과 내측곡면(212)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갑판(11)을 향해 절곡된 상부면(213)은 그 끝단에 형성된 볼트홈(213c)에 볼트(213b)가 삽입되어 갑판(11)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면(213)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홈(213c)은 볼트(213b)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에 일정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갑판(11)에서 승무원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갑판(11)에는 상부면(213)과 동일한 형상과 두께로 선수(12) 끝단에 홈으로 형성된 결합면(214)에 상부면(213)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면(213)은 직사각형의 홈으로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13a)이 결합면(214)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면(213)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면(213)은 결합면(214)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갑판(11)에 돌출되지 않으며 상부면(213)을 갑판(11)에 고정하는 볼트(213b)도 상부면(213) 끝단에 형성된 볼트홈(213c)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승무원의 갑판(11) 활동시 장애요인을 제거하여 해상에서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제거하였다.
측면방현재(22)는 하나의 몸체로 사출성형 되어 도면과 같이 선수방현재(21)의 양측면에서 선미까지 선박(10)의 측면(13)에 볼트(221)로 고정되어 선박(10)의 양측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물에 뜨려는 힘이 강한 고분자화합물을 사용하여 선박(10)의 부력을 향상시켰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면방현재(21,22)는 볼트(212a,213b,221)로 선박(10)에 고정됨으로써, 선수/측면방현재(21,22)를 장기간 사용하여 훼손이 되었을 때는 볼트(212a,213b,221)의 결합을 해제하여 선수/측면방현재(21,22)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현재(20)는 접안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곳이라도 선수(12) 전체를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된 선수방현재(21)와 측면(13)을 둘러싼 측면방현재(22)로 인하여 선박(10)의 파손 없이 항구(30)에 정박할 수가 있으며, 돌출된 방현재(20)의 구조로 인하여 선박(10)이 항구(30)에 밀착되면 별도의 시설물 없이 승무원 또는 승객이 승/하선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212a,213b,221)로 고정된 방현재(20)는 수시로 교체가 가능하며 접안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항구(30)뿐만이 아니라 해상에서 타 선박들과의 충돌시에도 선박(10)을 보호하고, 선박(10) 양 측면에 고정된 측면방현재(22)로 인하여 선박(10)의 복원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군/경의 순찰정이나 단속정에 장착하여 해상에서 밀수 또는 밀항을 시도하는 선박에 접근하여 충격을 가함으로써 이를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로서, 선수방현재(21)를 갑판(11)에 고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와 두께를 가진 홈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개조없이 일반 선박(10)도 선수(11)에 선수방현재(21)의 상부면(213) 과 내측곡면(212) 하단에 볼트(212a,213b)를 삽입하여 선수방현재(21)를 갑판(11)에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로서, 측면방현재(22a)는 하나의 몸체가 아닌 적당한 크기로 사출성형하여 선박(10)에 필요한 부위까지만 볼트(221a)로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현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선박 11 : 갑판
12 : 선수 13 : 측면
20 : 방현재 21 : 선수방현재
211 : 요철면 212 : 내측곡면
212a : 볼트 213 : 상부면
213a : 걸림턱 213b : 볼트
213c : 볼트공 22,22a : 측면방현재
221,221a : 볼트 222 : 볼트홈
30 : 항구 100 : 부두
120 : 선박 140 : 체결핀
200 : 방현재 220 : 몸체
280 : 로프

Claims (2)

  1. 선박이 항구에 접안시 선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선수와 측면에 장착되는 선박용 방현재에 있어서,
    전면이 요철로 형성된 요철면(211)의 반대면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내측곡면(212)이 선수(11) 하부에 밀착되되, 상기 요철면(211)과 내측곡면(212) 상단에 연장되며 갑판(11)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부면(213)이 동일한 형상으로 갑판(11)에 일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결합면(214)에 고정되는 선수방현재(21)와;
    상기 선수방현재(21)의 양 측면에서 선미까지 선박(10)의 측면(13)에 볼트(221)로 고정되되 외측면 도중에 볼트(221)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수의 볼트홈(222)이 형성된 측면방현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현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213)은 갑판(11)에서 선수방현재(21)의 수평움직임이 고정되도록 중앙에 직사각형의 홈으로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13a)과, 볼트(213b)가 삽입되어 결합면(214)에 상부면(213)이 고정되되 볼트(213b)의 머리가 수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볼트홈(213c)이 끝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현재.
KR2020070017039U 2007-10-22 2007-10-22 선박용 방현재 KR200446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39U KR200446227Y1 (ko) 2007-10-22 2007-10-22 선박용 방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39U KR200446227Y1 (ko) 2007-10-22 2007-10-22 선박용 방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64U KR20090003864U (ko) 2009-04-27
KR200446227Y1 true KR200446227Y1 (ko) 2009-10-09

Family

ID=4128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39U KR200446227Y1 (ko) 2007-10-22 2007-10-22 선박용 방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1640A (en) 1978-08-28 1980-03-06 Yamaha Motor Co Ltd Hull protective device for small ship
JPS55160691A (en) 1979-05-31 1980-12-13 Yamaha Motor Co Ltd Fitting structure of protector for body of small boat
JPS56160285A (en) 1980-05-12 1981-12-09 Yamaha Motor Co Ltd Bow construction of fiber reinforced plastic small ship
US6948440B2 (en) 2002-07-26 2005-09-27 Aschenbach Karl L Fender with leaf sp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1640A (en) 1978-08-28 1980-03-06 Yamaha Motor Co Ltd Hull protective device for small ship
JPS55160691A (en) 1979-05-31 1980-12-13 Yamaha Motor Co Ltd Fitting structure of protector for body of small boat
JPS56160285A (en) 1980-05-12 1981-12-09 Yamaha Motor Co Ltd Bow construction of fiber reinforced plastic small ship
US6948440B2 (en) 2002-07-26 2005-09-27 Aschenbach Karl L Fender with leaf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64U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9112B (zh) 高速高海况工作、救助两用艇
KR200446227Y1 (ko) 선박용 방현재
US11603174B2 (en) Boat launch and recovery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 of launching and recovering
BR112015003746B1 (pt) Plataforma semissubmersível que tem uma primeira extremidade e uma segunda extremidade
KR100649105B1 (ko) 항만 부두의 접안시설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방현재
ES2364507T3 (es) Sistema para fondear barcos y estructura para usar en el mismo.
US9896169B2 (en) Landing watercraft boat hull with push knees and side bumper assemblies
JP2006205841A (ja) 船舶
KR101351833B1 (ko) 대상선박 탑승이 용이한 이동식 사다리를 구비한 고속단정
RU156729U1 (ru) Противокатерное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KR101895372B1 (ko) 다목적 이동식 계류장치
US6904861B1 (en) Boat capture system
KR20130006819U (ko) 펜더 계류 시스템 및 펜더 계류 방법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CN103850178A (zh) 水上船撞的防护装置
CN110949609A (zh) 一种外置式救生艇上浪冲击的消波保护装置
CN211685538U (zh) 一种船用设备保护结构
KR200459892Y1 (ko) 단속선박
KR20140006383U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CN115056923B (zh) 一种渔船作业人员海岛登礁辅助装置
US6591773B1 (en) Protective fendering system for off-shore cargo transferring surface ships
CN219793838U (zh) 一种安全防护机构及港口码头
KR19990019062U (ko) 선박용 충돌 방호장치
KR20210125341A (ko) 교체 가능한 선박용 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