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49Y1 -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49Y1
KR200446149Y1 KR2020080008929U KR20080008929U KR200446149Y1 KR 200446149 Y1 KR200446149 Y1 KR 200446149Y1 KR 2020080008929 U KR2020080008929 U KR 2020080008929U KR 20080008929 U KR20080008929 U KR 20080008929U KR 200446149 Y1 KR200446149 Y1 KR 200446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lease paper
protective sheet
fabric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찬
Original Assignee
(주)현대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케미칼 filed Critical (주)현대케미칼
Priority to KR2020080008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는 폴리에틸렌폼(1)의 일면에 폴리에틸렌부직포(2)를 열융착하여 형성되며 방수층에 접착되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의 폴리에틸렌폼(1)의 타면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부(20); 상기 이형지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부(30);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부(40)에 의해 건조된 이형지(4)와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키는 합지부(50);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하는 권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는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방수층 보호시트의 불량을 줄여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 보호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Sheet for Protecting Waterproof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이 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지하차도, 전력구, 공동구 개착실 터널 등의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건물의 지하 외벽면,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건물 옥상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내부에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를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종 방수재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층은 다른 건설시공작업이나 여러 가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시공된 방수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층의 상부에 방수층 보호시트를 접착 시공하게 된다.
방수층 보호시트의 일예로는 폴리에틸렌폼의 일면에 열을 가하여 폴리에틸렌부직포를 열융착시켜 보호시트원단을 제조하고 폴리에틸렌폼의 타면에 이형지를 접착시킨 형태가 있다.
상기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방법은 제조된 보호시트원단과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폴리에틸렌폼에 접착시켜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형지에 도포된 접착제가 폴리에틸렌폼에 전사되어 이형지 제거시 접착제가 폴리에틸렌폼에 남게 됨으로써 방수층 보호시트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형지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면적에 따라 전면접착방식과 부분접착방식으로 나뉜다.
전면접착방식은 보호시트원단과 폭이 동일한 이형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도포된 이형지를 폴리에틸렘폼에 부착되는 방식이고, 부분접착방식은 보호시트원단의 폭보다 좁은 이형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도포된 이형지를 폴리에틸렘폼에 부착되는 방식이다.
전면접착방식은 이형지가 보호시트원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이형지 일면에 접착제가 부착되게 되므로 방수층 보호시트 시공시 이형지의 부착력이 크게 되어 이형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이 부분접착방식이다.
부분접착방식을 채택하여 제조된 방수층 보호시트는 본 고안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67호(고안의 명칭: 방수층 보호시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방수층 보호시트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시트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폼의 일면에 열을 가하여 폴리에틸렌부직포를 열융착하고, 상기 폴리에틸렌부직포에 접착된 폴리에틸렌폼의 그 이면에 국부적으로 이형지를 부착하여 시트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층 보호시트는 국부적으로 이형지를 부착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국부적으로 부착된 이형지에 의해 이형지 제거시 전술한 전면접착방식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에 비해 부착력이 적어 방수층에 보호시트를 시공하기 용이하고, 시공이 간단하여 인건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면접착방식을 채택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는 이미 자동화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부분접착방식의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진행하거나 기존의 자동화설비로는 제조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이 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이 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는, 폴리에틸렌폼(1)의 일면에 폴리에틸렌부직포(2)를 열융착하여 형성되며 방수층에 접착되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의 폴리에틸렌폼(1)의 타면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부(20); 상기 이형지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부(30);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부(40)에 의해 건조된 이형지(4)와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키는 합지부(50);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하는 권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를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되, 이형지의 폭방향 양단부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a)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과 인접하며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로부터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형태의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이형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b)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롤러 직경보다 더 큰 환형 돌기부(32a)가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환형 돌기부(32a)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상기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의 띠형태로 접착제를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이형지(4)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b)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의 간격과 상응하는 위치에 롤러 직경보다 더 크고 롤러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방향 돌기부(32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지공급부(20)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를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위치로 공급하거나, 보호시트원단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는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방수층 보호시트의 불량을 줄여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 보호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폴리에틸렌폼 2: 폴리에틸렌부직포
3: 보호시트원단 4: 이형지
5: 접착제 6: 방수층 보호시트
10: 원단공급부 20: 이형지공급부
30: 접착제 도포부 31: 접착제 수용용기
31a, 31b: 접착제 공급채널 32: 접착제 도포롤러
32a: 환형 돌기부 32b: 축방향 돌기부
33: 지지롤러 40: 건조부
50: 합지부 60: 권취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제 도포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부(20);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부(30);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 건조된 이형지(4)와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키는 합지부(50);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하는 권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공급부(10)는 폴리에틸렌폼(1)의 일면에 폴리에틸렌부직포(2)를 열융착하여 형성되며 방수층에 접착되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시트원단(3)은 본 고안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67호(고안의 명칭: 방수층 보호시트)에 공지된 것으로 이형지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인 시트이다.
상기 이형지공급부(20)는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의 폴리에틸렌폼(1)의 타면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이형지공급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보호시트원단(3)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형지공급부(20)가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폭을 갖는 이형지를 띠의 개수와 동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형지(4)는 공지된 것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는 일면이 코팅되며 접착제의 보호 및 접착제의 전사를 위한 것이다.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4)를 보호시트원단(3)과 합지시키면 도포된 접착제가 폴리에틸렌폼(1)으로 전사되게 되며, 접착제가 전사된 상태에서 이형지(4)를 제거하면 폴리에틸렌폼(1)에 남아 있게 됨으로써 이 전사된 접착제에 의해 보호시트원단(3)을 방수층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상기 이형지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접착제를 길게 도포시키는 방법과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의 띠형태로 접착제를 도포시키는 방법이 있다.
먼저,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접착제를 길게 도포시키기 위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접착제를 길게 도포시키게 된다. 이때, 이형지(4)의 폭방향 양단부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띠형태로 길게 도포(즉, 2줄 이상의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기 위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의 일예로는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접착제 도포롤러(32) 및 지지롤러(33)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는 도 4에서와 같이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a)이 구비된다.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을 통해 접착제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며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이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므로 공급된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는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과 인접하며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로부터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롤러(33)는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며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4)를 상기 건조부(40)를 거쳐 상기 합지부(50)로 공급하게 된다.
도 4의 (a)는 보호시트원단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되어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a)에 의해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폭을 갖는 이형지가 공급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의 다른 예로는, 전술한 접착제 도포부(30) 일예의 구성에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접착제 도포롤러(32)의 구조가 다르다.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는 도 5에서와 같이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이형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b)이 구비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는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롤러 직경보다 더 큰 환형 돌기부(32a)가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환형 돌기부(32a)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킨다.
이때, 상기 환형 돌기부(32a)가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므로 공급된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의 환형 돌기부(32a)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환형 돌기부(32a)가 롤러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에 묻은 후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환형 돌기부(32a)만이 상기 이형지(4)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이형지(4)에는 돌기부(32a)와 형성된 위치에만 띠형태로 길게 도포되게 된다.
도 5의 (a)는 보호시트원단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되어 접착제가 띠형태로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5의 (b)는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의 환형 돌기부(32a)와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가 공급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접착제를 길게 도포시키기 위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의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이형지공급부(20)가 보호시트원단(3)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하거나 상기 이형지공급부(20)가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위치로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공급부(20)가 보호시트원단(3)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이형지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은 있으나,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분적으로 부착이 되도록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를 제조하게 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 및 접착제의 소요비용 절감 등의 장점만으로도 이러한 단점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공급부(20)가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위치로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분적으로 부착이 되도록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를 제조하게 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 및 접착제의 소요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짐은 물론이며, 이형지의 소요비용 절감 및 제거된 이형지 폐기물양의 절감의 장점도 갖게 된다. 이 경우에는 본 고안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67호(고안의 명칭: 방수층 보호시트)에 공지된 방수층 보호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의 띠형태로 접착제를 도포시기 위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전술한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접착제를 길게 도포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도포부(30)의 다른예에 기재된 구성에서 접착제 도포롤러(32)의 구조가 다르다.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의 간격과 상응하는 위치에 롤러 직경보다 더 크고 롤러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방향 돌기부(32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게 된다.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가 상기 띠의 간격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되면 공급된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의 축방향 돌기부(32b)에 의해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의 띠형태로 도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가 롤러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에 묻은 후에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만이 상기 이형지(4)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이형지(4)에는 축방향 돌기부(32b)가 형성된 위치에만 폭방향의 띠형태로 도포되게 된다. 이때, 접착제 도포롤러(32)의 직경 및 띠 사이의 간격 및 길이방향으로의 띠의 길이에 따라 축방향 돌기부(32b)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에 형성되는 축방향 돌기부(32b)의 개수가 정해지게 된다.
상기 건조부(40)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킨다.
상기 합지부(50)는 상기 건조부(40)에 의해 건조된 이형지(4)와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킨다.
상기 권취부(60)는 상기 합지부(50)에 의해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시킨다. 방수층 보호시트를 적당하게 권취하면 상기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방수층 보호시트를 폭방향으로 자르고 다시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를 재가동시켜 권취부(60)에 권취시키는 작업을 반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된 방수층 보호시트는 상기 에틸렌부직포가 접착된 면이 외부로 향하여 시공하여 철근이나 공구에 긁힘 등이 방지되어 보호시트가 찢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방수층 보호시트를 제작하게 되므로 접착제의 소요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형지 제거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이 간단하며 인건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이형지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소요되는 이형지를 절감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거된 이형지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수층에 부분적으로 접착가능한 방수층 보호시트를 자동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방수층 보호시트의 불량을 줄여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 보호시트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삭제
  2. 폴리에틸렌폼(1)의 일면에 폴리에틸렌부직포(2)를 열융착하여 형성되며 방수층에 접착되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의 폴리에틸렌폼(1)의 타면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부(20);
    상기 이형지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부(30);
    접착제(5)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부(40)에 의해 건조된 이형지(4)와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키는 합지부(50);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하는 권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를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띠형태로 길게 도포시키되, 이형지의 폭방향 양단부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내지 5개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a)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과 인접하며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a)로부터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이형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b)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롤러 직경보다 더 큰 환형 돌기부(32a)가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환형 돌기부(32a)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5. 폴리에틸렌폼(1)의 일면에 폴리에틸렌부직포(2)를 열융착하여 형성되며 방수층에 접착되어 방수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원단(3)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의 폴리에틸렌폼(1)의 타면에 접착될 이형지(4)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부(20);
    상기 이형지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이형지(4)의 일면에 접착제(5)를 부분적으로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부(30);
    접착제(5)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이형지(4)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부(40)에 의해 건조된 이형지(4)와 상기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보호시트원단(3)을 합지시키는 합지부(50);
    합지된 방수층 보호시트(6)를 권취하는 권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상기 이형지(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의 띠형태로 접착제를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30)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이형지(4)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접착제 공급채널(31b)이 구비된 접착제 수용용기(31)와,
    상기 접착제 수용용기(31)의 상기 접착제 공급채널(31b)과 인접하며 상기 띠의 간격과 상응하는 위치에 롤러 직경보다 더 크고 롤러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방향 돌기부(32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공급된 접착제를 상기 축방향 돌기부(32b)에 의해 상기 이형지(4)에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롤러(32)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32)와 맞물려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공급부(20)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30)에 의해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를 도포된 띠형태의 접착제와 상응하는 위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6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공급부(20)는 보호시트원단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형지(4)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KR2020080008929U 2008-07-04 2008-07-04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KR200446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29U KR200446149Y1 (ko) 2008-07-04 2008-07-04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29U KR200446149Y1 (ko) 2008-07-04 2008-07-04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49Y1 true KR200446149Y1 (ko) 2009-10-01

Family

ID=4164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29U KR200446149Y1 (ko) 2008-07-04 2008-07-04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21B1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유진폴리텍크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99Y1 (ko) * 2003-10-30 2004-02-11 김호근 보호시트 제조장치
KR20070103813A (ko) * 2006-04-20 2007-10-25 채수찬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99Y1 (ko) * 2003-10-30 2004-02-11 김호근 보호시트 제조장치
KR20070103813A (ko) * 2006-04-20 2007-10-25 채수찬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21B1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유진폴리텍크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142B1 (ko)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US8061098B2 (en) Roof/wall structure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BRPI0807407A2 (pt) Membrana de cobertura anterior à camada preparatória
KR101442455B1 (ko) 벨크로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2011202436A (ja) コンクリート用養生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CN106515183A (zh) 高分子自粘胶膜防水卷材加工设备
KR200446149Y1 (ko)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KR20070103813A (ko)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13071191A (zh) 一种聚乙烯丙纶复合防水卷材制备方法
KR101137804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US9662859B2 (en) Composite edge trimming tape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CN117684670B (zh) 一种防水卷材铺设施工方法及设备
KR101780673B1 (ko) 도막재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CA2598886C (en)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JP2004232286A (ja) 床材施工用両面粘着テープ、床材および床材施工方法
JP2017115351A (ja) 屋根下葺シート
JP3080664U (ja) 床面用保護シート
KR101202449B1 (ko)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사 방법
JP2009121055A (ja) 壁紙の施工方法
JP4399201B2 (ja) 貼布用シート及び貼布方法
JPWO2020129295A1 (ja) 防水工法及び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