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55Y1 - 모터 보트 - Google Patents

모터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55Y1
KR200445355Y1 KR20070007310U KR20070007310U KR200445355Y1 KR 200445355 Y1 KR200445355 Y1 KR 200445355Y1 KR 20070007310 U KR20070007310 U KR 20070007310U KR 20070007310 U KR20070007310 U KR 20070007310U KR 200445355 Y1 KR200445355 Y1 KR 200445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motor
boat
deck
motor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7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204U (ko
Inventor
신현구
Original Assignee
신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구 filed Critical 신현구
Priority to KR20070007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5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체 및 상기 선체 갑판 하단으로 바닥부재를 체결하여 그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 내측 상면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이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후단부에 모터장착부가 구비되는 레저용 모터보트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갑판 측면과 일체로 고정 연결되며 선체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中空) 상태의 반원형상을 이루되, 평면측은 선체 내측으로 향하고 라운드 되는 부분은 선체 외측으로 향하는 외통체를 이루고, 상면부로부터 측면으로 절곡된 측면부가 단면상 "ㄱ"자 형태를 갖으며 상기 측면부가 상기 외통체의 라운딩 되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재가 상기 외통체를 커버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선체 내부를 보다 넓게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활동하는데 보다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갑판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부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을 구비하여 보트의 바닥부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에 의해 보트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중심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장착부를 바닥부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선체를 보다 넓게 형성하는 동시에 모터 보트의 고속주행에 있어 더욱더 용이한 모터보트에 관한 것이다.
모터보트, 갑판, 모터장착부, 반원형

Description

모터 보트{The motor boat}
도 1은 본 고안인 모터 보트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모터 보트에 있어서 커버부재가 외통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모터 보트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모터 보트에 있어서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선체 110; 외통체
120; 커버부재 121; 상면부
122; 측면부 130; 갑판
200; 바닥부 210; 바닥부재
220; 공간부 230; 지지프레임
240; 횡간프레임 300; 모터장착부
310; 수용부
본 고안은 보트의 선체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체의 형상을 반원형으로 하여 선체 내부를 보다 넓게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활동하는데 보다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갑판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부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을 구비하여 보트의 바닥부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에 의해 보트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중심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장착부를 바닥부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선체를 보다 넓게 형성하는 동시에 모터 보트의 고속주행에 있어 더욱더 용이한 모터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보트는 내연기관으로 추진되는 소형선박으로 레저형, 구조정, 소방정, 순시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모터보트는 보통 속력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고려한 갖가지 선형이 채택되고 있다. 보통의 기동정에서는 선체의 무게와 같은 물을 배제하여, 전진할 때 물을 가르고 전진하는 배수정이지만, 고속의 경주정에서는 활주정을 채택하고 있다. 배가 달리기 시작하면 수압력 때문에 전저를 수상에 노출하고 후저는 수상에 접해서 활주한다. 배의 밑바닥은 평평하며 후부가 전부보다 낮고, 스텝(step)이라고 하는 단(段)을 붙여서 물의 저항을 줄임으로써 시속 100km 이상의 쾌속을 낸다.
이와 같은 모터보트의 외측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하여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어서, 선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부력을 유지하여 전복시에도 침몰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외측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모터보트는 원통형으로된 외측에 의해 선체의 내부가 협소하여 상용자가 활동하는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터보트의 외형을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모터보트의 속도를 최대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게 사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터보트는 선체의 하단부로 바닥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공간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공간부를 중공의 형태로 유지하면 모터보트의 부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바닥부를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없음은 물론, 고속으로 주행을 하는 모터보트의 특성상, 고속주행시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모터보트가 심하게 기울게 되고 심할 경우 모터보트가 전복되는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보트의 선체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체의 형상을 반원형으로 하여 선체 내부를 보다 넓게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활동하는데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모터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갑판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부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을 구비하여 모터보트의 바닥부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에 의해 보트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모터보트의 중심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장착부를 바닥부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선체를 보다 넓게 형성하는 동시에 모터 보트의 고속주행에 있어 더욱더 용이한 모터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체(100) 및 상기 선체(100) 갑판(130) 하단으로 바닥부재(210)를 체결하여 그 내측에 공간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210) 내측 상면에 다수의 지지프레임(230) 및 횡간프레임(240)이 결합되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40) 후단부에 모터장착부(300)가 구비되는 레저용 모터보트에 있어서,
상기 선체(100)의 갑판(100) 측면과 일체로 고정 연결되며 선체(100)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中空) 상태의 반원형상을 이루되, 평면측은 선체 내측으로 향하고 라운드 되는 부분은 선체 외측으로 향하는 외통체(110)를 이루고, 상면부(121)로부터 측면으로 절곡된 측면부(122)가 단면상 "ㄱ"자 형태를 갖으며 상기 측면부(122)가 상기 외통체(110)의 라운딩 되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재(120)가 상기 외통체(110)를 커버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모터 보트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모터 보트에 있어서 커버부재가 외통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모터 보트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모터 보트에 있어서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 도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원형의 외통체(110)의 외측으로 커버부재(120)가 체결되어 선체(100)의 외측을 형성하고, 바닥부(200)의 후단부에 모터장착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그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보트의 선체(1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체(110)를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갑판(130)이 구비되며 커버부재(120)가 상기 외통체(110)의 외측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외통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부(121)와, 상기 상면부(121)에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의 측면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122)는 외통체(110)의 외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체(100)의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체(11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모터보트의 부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이 일반적인 원통형이 아닌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선체(100)의 내부 면적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외통체(110)를 구비하여 모터보트를 보다 작게 제작하더라도 사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선체(10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넓게 제작할 수 있어 모터보트의 고속주행에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모터보트의 크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어 제작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바닥부(200)는 도 3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체(100) 내측에 형성된 갑판(130)의 저면으로 바닥부재(210)를 결합하여 공간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210)에 다수의 지지프레임(230) 및 횡간프레임(2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바닥부재(210)가 갑판(130)에 결합하면서 생성된 공간부(220)는 중공의 형태로 공기가 충진되어 모터보트의 부력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재(210)에 결합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230)은 모터보트 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간프레임(240)은 지지프레임(230)과 직각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지지프레임(230)과 횡간프레임(240)이 바둑판 형식으로 바닥부재(21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230)과 횡간프레임(240)을 바닥부재(210)에 다수 형성하여 모터보트의 바닥부(200)를 보다 견고하게 구비하게 되고, 동시에 다수의 지지프레임(230) 및 횡간프레임(240)에 의해 모터보트의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모터보트가 고속으로 주행을 하다 방향을 급격히 전환하게 되더라도 모터보트의 중심이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장착부(300)는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가 장착되는 수용부(3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바닥부(20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모터장착부(300)를 바닥부(200)의 후단부에 구비하여 결과적으로 모터가 모터보트에서 최대한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모터보트 선체(100)의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활동하는데 용이함은 물론, 모터가 최대한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모터보트의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터를 최대한 후단부에 위치하여 모터보트의 속도를 극대화하더라도 상기 바닥부재(210)에 다수 형성된 지지프레임(230) 및 횡간프레임(240)에 의해 모터보트의 흔들림이나 방향을 급격히 선회하더라도 모터보트의 중 심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보트의 선체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체의 형상을 반원형으로 하여 선체 내부를 보다 넓게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활동하는데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모터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갑판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부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을 구비하여 모터보트의 바닥부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및 횡간프레임에 의해 보트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모터보트의 중심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장착부를 바닥부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선체를 보다 넓게 형성하는 동시에 모터보트의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선체(100) 및 상기 선체(100) 갑판(130) 하단으로 바닥부재(210)를 체결하여 그 내측에 공간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210) 내측 상면에 다수의 지지프레임(230) 및 횡간프레임(240)이 결합되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40) 후단부에 모터장착부(300)가 구비되는 레저용 모터보트에 있어서,
    상기 선체(100)의 갑판(100) 측면과 일체로 고정 연결되며 선체(100)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中空) 상태의 반원형상을 이루되, 평면측은 선체 내측으로 향하고 라운드 되는 부분은 선체 외측으로 향하는 외통체(110)를 이루고, 상면부(121)로부터 측면으로 절곡된 측면부(122)가 단면상 "ㄱ"자 형태를 갖으며 상기 측면부(122)가 상기 외통체(110)의 라운딩 되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재(120)가 상기 외통체(110)를 커버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모터보트.
  2. 삭제
KR20070007310U 2007-05-03 2007-05-03 모터 보트 KR200445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7310U KR200445355Y1 (ko) 2007-05-03 2007-05-03 모터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7310U KR200445355Y1 (ko) 2007-05-03 2007-05-03 모터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04U KR20080005204U (ko) 2008-11-06
KR200445355Y1 true KR200445355Y1 (ko) 2009-07-23

Family

ID=4150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7310U KR200445355Y1 (ko) 2007-05-03 2007-05-03 모터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34A (ko) * 2012-04-24 2013-11-01 조현철 선수와 선체의 분리결합이 용이한 보트
CN110758636B (zh) * 2019-12-06 2024-01-26 青岛海舟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实心的波浪滑翔器专用船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345A (en) 1991-03-26 1993-11-16 Zodiac International Inflatable pneumatic boat with a non-flat rear board
KR200357277Y1 (ko) * 2004-04-08 2004-07-23 박정자 선체에 튜브가 고정된 보트
KR100540127B1 (ko) * 2005-06-23 2006-01-10 한일뉴즈주식회사 고속단정
KR100647130B1 (ko) 2006-05-19 2006-11-23 한일뉴즈주식회사 고속단정의 부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345A (en) 1991-03-26 1993-11-16 Zodiac International Inflatable pneumatic boat with a non-flat rear board
KR200357277Y1 (ko) * 2004-04-08 2004-07-23 박정자 선체에 튜브가 고정된 보트
KR100540127B1 (ko) * 2005-06-23 2006-01-10 한일뉴즈주식회사 고속단정
KR100647130B1 (ko) 2006-05-19 2006-11-23 한일뉴즈주식회사 고속단정의 부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04U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70883A (ja) 小型船舶の船体構造
JP2009208655A (ja) 小型船舶
US5911187A (en) Pontoon
KR200445355Y1 (ko) 모터 보트
JP3190753B2 (ja) 小型高速船
JPS6351915B2 (ko)
CN102556313B (zh) 可调式表面桨驱动系统及船艇
FI93624C (fi) Veneen tai aluksen runko-osa
US6477969B2 (en) Boat with center pontoon and separate motor mount
US10556643B2 (en) Boat pontoon
JP2011088524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CN101243247A (zh) 船舶推进发动机
US9796452B2 (en) Jet boat
US20140150705A1 (en) Inflatable hull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n inflatable boat hull
US11247759B2 (en) Sponson attachment for airboat
US7267590B1 (en) Recreational boat having twin electric trolling motors
RU102347U1 (ru) Надувная лодка
JP6477175B2 (ja) 船外機の操舵ハンドル取付構造
JPS62125990A (ja) 小型船舶
JP2006001503A (ja) 不転覆船
JP4716630B2 (ja) 小型船艇
JP4966688B2 (ja) 船外推進装置
CN101243248B (zh) 舷外发动机
RU65461U1 (ru) Надувной катамаран
RU2000100741A (ru) Надувная моторная ло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