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97A - 공기주입식 카약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카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97A
KR20210130097A KR1020210029915A KR20210029915A KR20210130097A KR 20210130097 A KR20210130097 A KR 20210130097A KR 1020210029915 A KR1020210029915 A KR 1020210029915A KR 20210029915 A KR20210029915 A KR 20210029915A KR 20210130097 A KR20210130097 A KR 2021013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tube
tube
attached
tap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764B1 (ko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PCT/KR2021/0047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15738A1/ko
Publication of KR2021013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2Inflatable; having infla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본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외측과 하부테이프(3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40)와, 상기 하부테이프(30)와 측면튜브(20)의 하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하면과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6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내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밀봉테이프(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카약{AN INFLATABLE KAYAK}
본 발명은 낚시 등의 레저 활동에 사용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약은 선수와 선미가 뾰족하고 1개 이상의 노로 움직이는 경량의 소형 선박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레저 스포츠로서 카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약은 대개 1인승 또는 2인승이고 여름에 바다 수렵에 쓰이는 것으로, 길이 7m, 너비 50cm 정도로 선체의 뼈대는 나무로 만들어지며, 뼈대에 털을 없앤 바다표범 가죽을 붙여서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것이다.
카약의 조종자는 방수 재킷을 입고 배의 가운데에 있는 동그란 구멍 속에 발을 뻗고 하반신을 파묻듯이 앉아서 노를 움직여 카약을 이동시킨다. 카약의 선체는 매우 가벼워 혼자 들고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고, 배의 속도가 빠르고 중심이 낮아 높은 파도에도 잘 견디며 전복되더라도 노를 움직여 원상으로 돌릴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의 일예를 도 18과 도 19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제1 밀봉테이프(101)가 부착되는 바닥튜브(100)와, 상기 바닥튜브(10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제2 밀봉테이프(201)가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0)와, 상기 제1 밀봉테이프(101)와 제2 밀봉테이프(201)를 연결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0)와 측면튜브(200)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부착테이프(300)를 포함한다.
도 19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의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도 15의 구조도와 같이 바닥튜브와 측면튜브가 수평판 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면과 하면이 경사지면서 매끄러운 외면을 가지는 일반적인 카약의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심미감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부착테이프로 상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를 부착할 때 상기 본체뷰트와 측면튜브 및 측면부착테이프 사이에 빈 공간(A)이 형성되는데, 이런 빈 공간에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면서 접착 부위의 손상을 유발하여 보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577279호 "공기주입식 카약"(2015.12.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튜브의 하면에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바닥튜브가 고형체의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경사진 하면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 하면과 상기 제1 경사부착부의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내측 하면과 상기 바닥튜브의 외측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개방된 양 내측을 커버하면서 밀봉하도록 대칭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밀봉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하부테이프는, 상기 제1 경사부착부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측면튜브의 하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 브이테이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 절곡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상부테이프는, 상기 제1 절곡부착부의 하면에 맞닿아 부착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착부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절곡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와,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 양측으로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단보다 내측에 구비되고,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으로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내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상부테이프는, 그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양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와; 상기 하부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제2 브이테이프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제2 브이테이프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하면이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제2 브이테이프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상면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외면을 형성할 수 있어 심미감과 상품성이 향상되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고, 그에 따라 접착 부위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장수명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튜브의 하면에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그에 따라 카약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면서 사용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바닥튜브가 고형체의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경사진 하면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분해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18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외측과 하부테이프(3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40)와, 상기 하부테이프(30)와 측면튜브(20)의 하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하면과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6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내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밀봉테이프(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튜브(10)는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기 바닥튜브(10)는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바닥튜브(1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튜브(1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닥튜브(1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
상기 측면튜브(2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양측면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측면튜브(20)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기 측면튜브(20)는 상기 바닥튜브(1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21)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21)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측면튜브(2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면튜브(2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하부테이프(3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31)가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튜브(20)에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면부착부(31)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 하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부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는 그 상면으로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의 하면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그 하면으로 상기 상부테이프(40)의 하단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테이프(30)는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측면튜브(20)의 하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 절곡부착부(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절곡부착부(33)는 상기 측면튜브(20)와 상부테이프(40) 및 제1 브이테이프(50)가 상기 하부테이프(30)에 보다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테이프(4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4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외측면을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테이프(30)에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부착부(41)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양 외측 상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부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는 그 상면으로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하면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테이프(40)는 상기 제1 절곡부착부(33)의 하면에 맞닿아 부착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절곡부착부(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절곡부착부(43)는 상기 제1 절곡부착부(33)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테이프(40)가 하부테이프(30)에 보다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 하면과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와 상기 하부테이프(30)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브이테이프(6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내측 하면과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봉테이프(7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내측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내측을 커버하면서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6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그 외면이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외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이 향상되면서 강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81)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는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8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오목부(83)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위이고, 상기 직선볼록부(84)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8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그 외면이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외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바닥튜브(10)도 상기 직선부(80)에 하부로 볼록하게 경사진 구조를 가져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2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형태나 크기, 직진성의 정도 또는 강성의 정도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a)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a)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a)와, 상기 측면튜브(20a)의 개방된 양 외측과 하부테이프(30a)에 부착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40a)와, 외측의 상기 상부테이프(40a)와 바닥튜브(10a)의 상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a)와, 내측의 상기 상부테이프(40a)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60a)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튜브(10a)는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튜브(10a)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기 바닥튜브(10a)는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a)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11a)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바닥튜브(10a)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튜브(10a)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측면튜브(20a)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 양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양측단보다 내측에 하면이 부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며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양측면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측면튜브(20a)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기 측면튜브(20a)는 상기 바닥튜브(10a)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21a)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21a)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측면튜브(20a)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면튜브(2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하부테이프(30a)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31a)가 형성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32a)가 형성되고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면부착부(31a)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양측 하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부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a)는 그 하면이 상기 상부테이프(40a)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테이프(40a)와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테이프(40a)는 상기 측면튜브(20a)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a)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a)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42a)가 형성되고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a)의 개방된 양 외측면을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테이프(30a)와 제1 브이테이프(50a) 및 제2 브이테이프(60a)가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부착부(41a)는 상기 측면튜브(20a)의 양 외측 상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측면튜브(20a)의 상부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a)는 그 하면으로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a)와 제2 브이테이프(60a)의 상면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테이프(40a)는 그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착부(43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착부(43a)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테이프(40a)가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a)는 상기 측면튜브(20a)의 외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20a)의 외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a)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a)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튜브(10a)와 외측의 상기 상부테이프(40a)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브이테이프(60a)는 상기 측면튜브(20a)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20a)의 내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a)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a)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튜브(10a)와 내측의 상기 상부테이프(40a)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형성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직진성이 향상되면서 강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81)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는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8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오목부(83)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위이고, 상기 직선볼록부(84)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a)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13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a)와 측면튜브(20a)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측면튜브(20a)의 상면이 라운드지게 구비되어 그 외면이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외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바닥튜브(10a)도 상기 직선부(80)에 하부로 볼록하게 경사진 구조를 가져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b)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b)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 외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b)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70b)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과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 및 제2 브이테이프(70b)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면시트(90b)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튜브(10b)는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튜브(10b)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기 바닥튜브(10b)는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b)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11b)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바닥튜브(10b)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튜브(10b)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하부테이프(30b)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b)의 양단에 부착되며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면서 상기 바닥튜브(10b)의 개방된 양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는 상기 하부테이프(30b)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이자 형태의 일측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의 타측이 상기 상면시트(90b)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과 상기 상면시트(90b)의 하면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브이테이프(70b)는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이자 형태의 일측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의 타측이 상기 상면시트(90b)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과 상기 상면시트(90b)의 하면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는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면시트(90b)가 부착되지 않은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면시트(90b)는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하면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14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b)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상면시트(90b)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 및 제2 브이테이프(70b)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빈 공간이 공기튜브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b)의 양측을 하부측으로 볼록하게 하여 카약의 전복을 극소화시키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형성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직진성이 향상되면서 강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81)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는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8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오목부(83)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위이고, 상기 직선볼록부(84)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b)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13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b)와 그 상면 양측의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이 하부로 볼록해져 전복이 극소화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동시에 상기 바닥튜브(10b)도 상기 직선부(80)에 하부로 볼록하게 경사진 구조를 가져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직진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바닥튜브
11 : 형태유지라인
20 : 측면튜브
21 : 형태유지라인
30 : 하부테이프
31 : 하면부착부 32 : 제1 경사부착부
33 : 제1 절곡부착부
40 : 상부테이프
41 : 상면부착부 42 : 제2 경사부착부
43 : 제2 절곡부착부
50 : 제1 브이테이프
60 : 제2 브이테이프
70 : 밀봉테이프
80 : 직선부
81 : 접힘부 82 : 제3 브이테이프
83 : 직선오목부 84 : 직선볼록부

Claims (16)

  1.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31)가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32)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42)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 하면과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내측 하면과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상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6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 내측을 커버하면서 밀봉하도록 대칭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밀봉테이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테이프(30)는,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측면튜브(20)의 하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 절곡부착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이프(40)는,
    상기 제1 절곡부착부(33)의 하면에 맞닿아 부착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의 상단에 기억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절곡부착부(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8.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10a)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 양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양측단보다 내측에 하면이 부착되고,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a)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에 하면부착부(31a)가 형성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착부(3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a)와;
    상기 측면튜브(20a)의 개방된 양 외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a)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착부(32a)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착부(4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테이프(40a)와;
    상기 측면튜브(20a)의 외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20a)의 외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a)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a)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a)와;
    상기 측면튜브(20a)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과 상기 측면튜브(20a)의 내측에 있는 상기 제2 경사부착부(42a)의 하면 사이에 외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a)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6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이프(40a)는,
    그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착부(4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a)와 측면튜브(20a)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a)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a)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a)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3. 양측이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10b)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b)의 양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테이프(30b)와;
    상기 하부테이프(30b)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50b)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70b)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상면에 하면이 부착되고, 하면이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브이테이프(50b)와 제2 브이테이프(7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상면시트(9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b)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b)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b)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b)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KR1020210029915A 2020-04-21 2021-03-08 공기주입식 카약 KR10239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4702 WO2021215738A1 (ko) 2020-04-21 2021-04-14 공기주입식 카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42 2020-04-21
KR20200048042 202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97A true KR20210130097A (ko) 2021-10-29
KR102390764B1 KR102390764B1 (ko) 2022-04-26

Family

ID=7823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15A KR102390764B1 (ko) 2020-04-21 2021-03-08 공기주입식 카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0764B1 (ko)
WO (1) WO2021215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273A (ko) * 2022-08-18 2024-02-27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7580A (ko) * 2013-07-11 2015-01-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13283A (ko) * 2014-03-27 2015-10-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150133923A (ko) * 2014-05-20 2015-12-01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KR101577279B1 (ko) 2014-03-27 2015-12-29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5040B1 (fr) * 1999-06-21 2002-01-04 Zodiac Int Embarcation pneumatique a quille gonflable
US7861662B2 (en) * 2007-09-21 2011-01-04 Walker Bay Boats, Inc. Inflatable kayak type boat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100006896A (ko) * 2008-07-10 2010-01-22 주식회사 스타마린 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7580A (ko) * 2013-07-11 2015-01-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13283A (ko) * 2014-03-27 2015-10-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79B1 (ko) 2014-03-27 2015-12-29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150133923A (ko) * 2014-05-20 2015-12-01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273A (ko) * 2022-08-18 2024-02-27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764B1 (ko) 2022-04-26
WO2021215738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9103C (fi) Uppouma- ja monirunkolaiva, jossa rajoitettu poikittainen oikaisuvääntömomentti ja pienempi kulkuvastus
US6112692A (en) Dual hull kayak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7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7461612B1 (en) Dual hull kayak
US4660490A (en) Recreational semi-displacement hull watercraft
US5231949A (en) Dihedral tunnel boat hull
US20180327059A1 (en) Fishing kayak
KR102390764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20050160960A1 (en) Levitation and stabilizing hull system
US20190152562A1 (en) Boat pontoon
US5649498A (en) Dual-hulled kayak
US4538538A (en) Stabilizing apparatus for a craft
US6394020B1 (en) Transparent kayak/canoe hull
US7337735B2 (en) Hybridhull boat system
US11597474B2 (en) Full beam superstructure lower deck
US20140150705A1 (en) Inflatable hull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n inflatable boat hull
KR10266533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393541B1 (ko) 주행 성능이 향상된 보트
US7677190B2 (en) Slotted hulls for boats
KR10208118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WO2001092096A1 (en) Sailboat for sailing in shallow water
US9242706B2 (en) Dual keel kayak
US3016861A (en) Catamarans
CA2934821C (en) Fishing kaya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