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279B1 - 공기주입식 카약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카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279B1
KR101577279B1 KR1020140036106A KR20140036106A KR101577279B1 KR 101577279 B1 KR101577279 B1 KR 101577279B1 KR 1020140036106 A KR1020140036106 A KR 1020140036106A KR 20140036106 A KR20140036106 A KR 20140036106A KR 101577279 B1 KR101577279 B1 KR 10157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ide tube
kayak
rear en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284A (ko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14003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279B1/ko
Priority to EP14887101.5A priority patent/EP3124373A4/en
Priority to PCT/KR2014/011228 priority patent/WO2015147406A1/ko
Publication of KR2015011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2Inflatable; having infla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조립이 불필요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공기주입만으로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공기를 뺀 후에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수납하거나 운송하는데 편리해지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본 카약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며,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부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측면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외부접착시트와;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의 뾰쪽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선단형태유지부와;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의 뾰족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후단형태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카약{INFLATABLE KAYAK}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립이 불필요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공기주입만으로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공기를 뺀 후에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수납하거나 운송하는데 편리해지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약은 선수와 선미가 뾰족하고 1개 이상의 노로 움직이는 경량의 소형 선박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레저 스포츠로서 카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약은 대개 1인승 또는 2인승이고 여름에 바다 수렵에 쓰이는 것으로, 길이 7m, 너비 50cm 정도로 선체의 뼈대는 나무로 만들어지며, 뼈대에 털을 없앤 바다표범 가죽을 붙여서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것이다.
카약의 조종자는 방수 재킷을 입고 배의 가운데에 있는 동그란 구멍 속에 발을 뻗고 하반신을 파묻듯이 앉아서 노를 움직여 카약을 이동시킨다. 카약의 선체는 매우 가벼워 혼자 들고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고, 배의 속도가 빠르고 중심이 낮아 높은 파도에도 잘 견디며 전복되더라도 노를 움직여 원상으로 돌릴 수 있다.
최근에는 공기주입식의 카약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기주입식 카약의 일예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100)은 튜브형 선체(110), 프레임(120), 선수 프레임 고정부(130), 선미 프레임 고정부(140), 프레임 걸이(150) 및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 선체(110)는 공기가 주입되면 복수 개로 구획된 공기 수용부들(111)이 팽창하여 탑승자 공간(101)이 선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튜브형 선체(110)의 공기 수용부들(111) 사이에는 튜브형 선체(110)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는 프레임(120)들이 위치한다. 또한, 선체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 수용부들(111) 중 최상부에 위치한 공기 수용부들의 외면에 프레임(120)들이 전후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120)들에 의해 튜브형 선체(110)가 파도에 의해 상하로 변형되는 것이 완화되며, 튜브형 선체(110)의 양단이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 튜브형 선체(110)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수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튜브형 선체(110)의 횡단면이 "V"자 형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면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60)는 카약(100)의 좌우 방향 변형을 방지하고, 전후/상하 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160)는 복수의 프레임 걸이(150)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튜브형 선체(110)의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한다.
상기 카약(100)은 수납시에 선미 프레임 고정부(140)를 개방하고, 선수 프레임 고정부(130)로부터 프레임(120)들을 빼내고, 플레이트(160)를 제거한 후, 튜브형 선체(110)의 공기를 빼내어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카약은 다수의 프레임이 선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카약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까다롭고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 선수 프레임 고정부, 선미 프레임 고정부 및 플레이트가 금속재나 합성수지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 및 수납하거나 운송하는데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42259호 "인플래터블 카약"(2011. 06. 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립이 불필요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공기주입만으로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공기를 뺀 후에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수납하거나 운송하는데 편리해지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단형태유지부와 후단형태유지부를 통해 카약의 선단과 후단에서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구를 통해 카약의 내부의 배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며,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부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측면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외부접착시트와;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의 뾰쪽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선단형태유지부와;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의 뾰족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후단형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선단형태유지부는,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전방돌출부재와, 상기 전방돌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선단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전방돌출부재는,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방돌출부재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선단 라운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는, 상기 전방돌출부재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의 선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단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후단형태유지부는,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후방돌출부재와, 상기 후방돌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후단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후방돌출부재는,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후방돌출부재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후단 라운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는, 상기 후방돌출부재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의 후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단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선단상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의 후단 상면에 부착되는 후단상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튜브에서 외부로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의 후방 하면에 구비되는 스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조립이 불필요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공기주입만으로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공기를 뺀 후에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수납하거나 운송하는데 편리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형태유지부와 후단형태유지부를 통해 카약의 선단과 후단에서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카약의 전진 및 후진 시에 힘이 적게 들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를 통해 카약의 내부의 배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선단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후단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바닥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따른 C-C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카약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선단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후단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바닥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따른 C-C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부접착시트(3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선단형태유지부(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형태유지부(5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선단상면커버(6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상면에 부착되는 후단상면커버(70)와, 상기 외부접착시트(30)에 설치되는 배수구(8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튜브(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평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선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튜브(10)는 공기주입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튜브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형태유지라인(S)은 다수개가 상기 바닥튜브(10)의 내측으로 평편한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튜브(1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상기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된 시트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단돌출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돌출부(11)는 상기 선단형태유지부(40)에 형성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전방돌출부재(41)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돌출부재(41)에 대한 결합력과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단돌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돌출부(12)는 상기 후단형태유지부(50)에 형성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후방돌출부재(51)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후방돌출부재(51)에 대한 결합력과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튜브(2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부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선체 양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튜브(10)와 함께 유자형의 선체를 형성하면서 본 카약의 선단과 후단이 대략 뾰쪽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측면튜브(20)는 공기주입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튜브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간지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의해 형성되는 선체는 상기와 같이 내부에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간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양단이 상호 부착되기 때문에 대략 V자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그 전방과 후방이 뾰쪽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의해 형성되는 선체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후방이 뾰쪽하고 이를 유지함으로써,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통상의 카약보다 속도가 최소한 2배 이상 상승된다.
상기 외부접착시트(3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의 외측으로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를 상호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형태유지부(4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의 뾰쪽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선단형태유지부(4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전방돌출부재(41)와, 상기 전방돌출부재(41)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되는 선단고정커버(42)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돌출부재(41)는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전진시에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선단으로 물살을 갈라서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돌출부재(41)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써,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선단돌출부(11)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선단고정커버(42)는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선단의 뾰쪽한 부분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선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선단으로 상기 전방돌출부재(4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고정커버(42)에 의해 상기 전방돌출부재(41)가 고정되면 상기 전방돌출부재(41)의 하단 후방으로 상기 선단고정커버(42)에 의해 빈 공간(P)이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선단고정커버(42)가 상기 전방돌출부재(41)를 지나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전방돌출부재(41)는 상기 전방돌출부재(41)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선단 라운드턱(41a)을 포함한다. 상기 선단 라운드턱(41a)은 상기 전방돌출부재(41)의 상단이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돌출부재(41)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하면에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단형태유지부(5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의 뾰족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후단형태유지부(5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후방돌출부재(51)와, 상기 후방돌출부재(51)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되는 후단고정커버(52)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돌출부재(51)는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후진시에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후단으로 물살을 갈라서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후방돌출부재(51)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써,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방돌출부재(4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단돌출부(12)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후단고정커버(52)는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후단의 뾰쪽한 부분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후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와 바닥튜브(10)의 후단으로 상기 후방돌출부재(5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단고정커버(52)에 의해 상기 후방돌출부재(51)가 고정되면 상기 후방돌출부재(51)의 하단 후방으로 상기 후단고정커버(52)에 의해 빈 공간(P)이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후단고정커버(52)가 상기 후방돌출부재(51)를 지나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후방돌출부재(51)는 상기 후방돌출부재(51)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후단 라운드턱(51a)을 포함한다. 상기 후단 라운드턱(51a)은 상기 후방돌출부재(51)의 상단이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후방돌출부재(51)가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하면에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상면커버(6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상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단상면커버(7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선단상면커버(60)와 마찬가지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상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구(80)는 상기 바닥튜브(30)에 설치되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으로 본 카약의 내부에 고인 물이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수구(80)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필요시에 개방하여 배수할 수 있는 공지의 개폐수단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방 하면에 구비되는 스케그(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케그(9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방 하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꼬리 날개 모양의 방향 안정판으로써,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의해 형성되는 선체가 비뚤어지게 가는 것을 막고 직진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바닥튜브
11 : 선단돌출부 12 : 후단돌출부
20 : 측면튜브
30 : 외부접착시트
40 : 선단형태유지부
41 : 전방돌출부재 41a : 선단 라운드턱
42 : 선단고정커버
50 : 후단형태유지부
51 : 후방돌출부재 51a : 후단 라운드턱
52 : 후단고정커버
60 : 선단상면커버
70 : 후단상면커버
80 : 배수구
90 : 스케그

Claims (11)

  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며,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부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과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외부접착시트(3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의 뾰쪽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선단형태유지부(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의 뾰족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후단형태유지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형태유지부(4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전방돌출부재(41)와,
    상기 전방돌출부재(41)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되는 선단고정커버(4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돌출부재(41)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방돌출부재(41)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선단 라운드턱(41a)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튜브(10)는,
    상기 전방돌출부재(41)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단돌출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형태유지부(5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후방을 향해 뾰쪽하게 형성되는 후방돌출부재(51)와,
    상기 후방돌출부재(51)를 둘러싸면서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과 상기 외부접착시트(30)의 하면에 부착되는 후단고정커버(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돌출부재(51)는,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후방돌출부재(51)의 상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후단 라운드턱(5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는,
    상기 후방돌출부재(51)의 내측에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단이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단돌출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선단상면커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20)의 후단 상면에 부착되는 후단상면커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튜브(10)에서 외부로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방 하면에 구비되는 스케그(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KR1020140036106A 2014-03-27 2014-03-27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06A KR101577279B1 (ko) 2014-03-27 2014-03-27 공기주입식 카약
EP14887101.5A EP3124373A4 (en) 2014-03-27 2014-11-21 Inflatable kayak
PCT/KR2014/011228 WO2015147406A1 (ko) 2014-03-27 2014-11-21 공기주입식 카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06A KR101577279B1 (ko) 2014-03-27 2014-03-27 공기주입식 카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284A KR20150113284A (ko) 2015-10-08
KR101577279B1 true KR101577279B1 (ko) 2015-12-29

Family

ID=5419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106A KR101577279B1 (ko) 2014-03-27 2014-03-27 공기주입식 카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24373A4 (ko)
KR (1) KR101577279B1 (ko)
WO (1) WO201514740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56A (ko) 2018-01-31 2019-08-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190123862A (ko) 2018-04-25 2019-11-04 김병주 공기주입식 카약
KR20210130097A (ko) 2020-04-21 2021-10-29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220089753A (ko)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동 카약
EP4324733A1 (en) 2022-08-18 2024-02-21 Woosung I.B Co., Ltd Inflatable kaya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6621B1 (de) 2017-09-15 2019-10-09 Out-Trade GmbH Faltbares wasserfahrzeug
CN210437356U (zh) 2019-02-01 2020-05-01 上海吉龙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双独立安全气室结构的站立式划水板
CN111547195A (zh) * 2020-06-10 2020-08-18 吉龙塑胶制品江苏有限公司 一种充气独木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941A1 (en) * 2007-08-01 2009-02-05 Czarnowski James T Inflatable mirage kayak
KR101274579B1 (ko) * 2012-12-07 2013-06-1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85525U (en) * 2005-09-23 2006-01-11 Shan Shin Rubber Corp Improved structure of cushion boat
US7721670B2 (en) * 2006-10-30 2010-05-25 David Weber Kayak having deck fairing
US8316788B2 (en) * 2009-07-21 2012-11-27 Anton Michael Willis Collapsible kayak
US8413600B2 (en) * 2009-12-30 2013-04-09 Alex R. Kaye and Frances Kaye Trust Collapsible boat with inflatable members
KR101190493B1 (ko) * 2010-02-24 2012-10-12 이상권 다기능 에어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941A1 (en) * 2007-08-01 2009-02-05 Czarnowski James T Inflatable mirage kayak
KR101274579B1 (ko) * 2012-12-07 2013-06-1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56A (ko) 2018-01-31 2019-08-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190123862A (ko) 2018-04-25 2019-11-04 김병주 공기주입식 카약
KR20210130097A (ko) 2020-04-21 2021-10-29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220089753A (ko)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동 카약
EP4324733A1 (en) 2022-08-18 2024-02-21 Woosung I.B Co., Ltd Inflatable kayak
KR20240025273A (ko) 2022-08-18 2024-02-27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2665330B1 (ko) 2022-08-18 2024-05-10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7406A1 (ko) 2015-10-01
EP3124373A4 (en) 2017-11-22
EP3124373A1 (en) 2017-02-01
KR20150113284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7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6257261B1 (en) Canopy top with equipment rack
US8757185B1 (en) Bimini tops for watercrafts
US7530321B2 (en) Frameless pontoon boat
US7240634B1 (en) Foldable rigid frame attachment system for portable inflatable pontoon boats
US7017747B2 (en) Protective inflatable surfboard covering device
US2698447A (en) Inflatable outboard motor boat
US2848725A (en) Safety attachment for boats
US20140070055A1 (en) Control sail for a kite
US6386932B1 (en) Inflatable boat
US1622508A (en) Boat
US3058127A (en) Inflatable life-saving dinghies
KR101274579B1 (ko)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77276B1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KR102390764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4750448A (en) Semi-rigid pneumatic boat
CN209290627U (zh) 一种充气独木舟
US5979351A (en) Towable recreational water sled
US4998494A (en) Device for enhancing the buoyancy of sailboards and the like
CN112368204A (zh) 皮划艇式充气艇
US9688357B1 (en) Foldable boat
KR10208118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266533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9656726B2 (en) Inflatable craft having V-shaped hull and fl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