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579B1 -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579B1
KR101274579B1 KR1020120142008A KR20120142008A KR101274579B1 KR 101274579 B1 KR101274579 B1 KR 101274579B1 KR 1020120142008 A KR1020120142008 A KR 1020120142008A KR 20120142008 A KR20120142008 A KR 20120142008A KR 101274579 B1 KR101274579 B1 KR 10127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cover
tube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12014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2Inflatable; having infla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를 적용하면서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도록 하면서 보트 자체의 추진력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기 주입식 보트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며, 양단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삽입홈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뾰쪽한 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커버와, 상기 바닥커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둘러싸는 선단커버와, 상기 바닥커버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둘러싸는 후단커버를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INFLATABLE B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를 적용하면서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도록 하면서 보트 자체의 추진력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약과 같은 수상 스포츠 활동을 위한 수상 기구는 강이나 호수와 같이 물의 흐름이 거의 없거나 또는 약한 흐름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상 기구는 통상적으로 나무, 가죽, 플라스틱, 탄소섬유 및 특수섬유 소재를 사용하고 제작하고 있으며, 이런 수상 기구의 일종인 카약을 도 11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약은 다수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부 골조(A)와, 상기 내부 골조(A)의 외부를 둘러싸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B)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수상 기구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 개인이 관리 취급하기 어렵고, 특히 호수나 바다 등으로 운반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내부 골조와 커버가 분해되고, 내부 골조 자체로 다수의 프레임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형태의 카약이 제안되어 내부 골조 자체의 분해에 의해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편리해진 반면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프레임을 분해하거나 조립해야 함으로 내부 골조 자체의 분해 및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무 재질의 공기튜브를 사용하여 카약 등의 수상 기구를 제작하고 있고, 공기튜브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보트의 형태를 가지게 되고, 공기의 배출에 의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형태가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상당히 좋아진다.
그러나, 공기튜브를 사용하여 수상기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튜브 자체의 고유특성에 의해 평탄성을 가지기 어려워, 카약과 같이 특유의 형상을 가지는 수상기구는 그 본래의 특유 형상을 재현하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5333호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의 구성을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주입식 보트는 본체(1)의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부력에 의해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본체(1)의 상면 및 하면이 곡면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본체(1)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4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는 탑승공간(10)이 형성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상부시트(20)와, 상기 상부시트(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트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시트(30)와, 상기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의 외측 둘레 및 탑승공간(10)의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측면시트(50a)(50b)와, 상기 탑승공간(10)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바닥판(60)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유지라인(40)은 양단이 상기 상부시트(20) 및 하부시트(3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기 주입식 보트는 공기의 주입에 따라 상기 형태유지라인에 의해 보트 자체가 평탄하게 형성되지만, 보트의 선단과 후단이 공기 튜브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다시 말해서, 보트 자체가 공기 튜브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트의 앞쪽과 뒤쪽을 카약과 같이 뾰쪽한 형태로 제작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보트의 선단과 후단이 뾰쪽한 형태를 갖지 못함으로써, 보트 자체가 물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수면에 대한 보트의 추진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는 보트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골조 조립식 카약과 같은 수상기구의 조립 및 분해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보트에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를 적용하되,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면서 그 추진력이 향상되는, 즉 종래의 카약과 공기튜브 보트의 단점을 해소하고 그 장점을 적절히 살린 보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5333호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의 제조방법"(2008. 02. 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조 조립식 카약과 같은 수상기구의 조립 및 분해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를 적용하면서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도록 하고 보트 자체의 추진력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를 세 개의 공기튜브로 형성하여 보트의 측벽의 형성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보트의 사용 중 공기튜브가 터지는 경우에 보트 자체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와 본체의 양단의 외측면 사이가 매끄럽게 연결되어 보트의 사용 시에 물에 의한 저항이 더욱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를 분해 가능하게 구비하여 보트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하면서 분해 후에 보트 자체의 보관이나 운반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며, 양단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삽입홈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뾰쪽한 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커버와, 상기 바닥커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둘러싸는 선단커버와, 상기 바닥커버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둘러싸는 후단커버를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튜브와, 상기 삽입홈의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의 일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벽튜브와, 상기 삽입홈의 타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의 타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측벽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제1 측벽튜브는, 그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튜브는, 상기 제1 측벽튜브의 절곡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측벽튜브의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에 상하 연통되게 형성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커버에 설치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본체는, 상기 선단커버와 후단커버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단커버와 후단커버의 하부로 상기 제1 측벽튜브와 제2 측벽튜브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턱과, 상기 밀착판의 외면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뾰쪽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돌출부재의 하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밀착판과 돌출부재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지지봉은, 그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판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상기 밀착판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후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한 쌍으로 부착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선단커버와 후단커버의 상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커버와 후단커버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지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에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이 결합된 공간지를 재단하고 상기 재단된 공간지의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부착하여 양단과 상부가 개방되는 공기 튜브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본체 준비 단계와; 상기 본체에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부를 준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조립하는 프레임부 조립 단계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바닥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바닥커버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서 상기 본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커버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의 상기 본체 준비 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바닥과 양측벽을 형성하도록 세 개의 공기튜브가 상호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의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이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형태로 공간지를 재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공간지의 상부시트의 형태유지라인이 절단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절단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외면에 폐쇄지를 밀봉되게 부착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개방된 측면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부착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를 적용하여 골조 조립식 카약과 같은 수상기구의 조립 및 분해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며, 보트 자체의 추진력이 현저히 향상되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세 개의 공기튜브로 형성하여 보트의 측벽의 형성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보트의 사용 중 공기튜브가 터지는 경우에 보트 자체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본체의 양단의 외측면 사이가 매끄럽게 연결되어 보트의 사용 시에 물에 의한 저항이 더욱 저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를 분해 가능하게 구비하여 보트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지고, 분해 후에 보트 자체의 보관이나 이송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관리 및 취급상의 간편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C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 11은 종래의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은 종래의 공기 주입식 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종래의 공기 주입식 보트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따른 종래의 공기 주입식 보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C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조립되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단에 각각 삽입홈(G)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부(200)가 조립되는 부위를 제공하고 공기의 주입으로 물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형태유지라인(S)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본체(10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10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10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된 것을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100)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형태유지라인(S)이 부차된 상기 공간지를 재단한 후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측면 둘레로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접착제로 부착하여 중공된 튜브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G)은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200)가 조립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삽입홈(G)은 상기 프레임부(200)의 조립이 원활하면서 상기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100)의 양단에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삽입홈(G)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튜브(101)와, 상기 삽입홈(G)의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일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벽튜브(102)와, 상기 삽입홈(G)의 타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타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측벽튜브(103)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튜브(101)는 상기 삽입홈(G)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기튜브로 형성되어 본 보트의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측벽튜브(102)는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기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G)의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일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측벽튜브(103)는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마찬가지로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기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G)의 타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타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튜브(101)와 제1 측벽튜브(102) 및 제2 측벽튜브(103)를 통해 세 개의 별개의 공기튜브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각각 내부에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짐으로써, 양단이 개방된 일정한 형태의 공기튜브형 선체를 형성한다.
상기 바닥튜브(101)와 제1 측벽튜브(102) 및 제2 측벽튜브(103)는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호수나 강 또는 바다 등의 수면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바닥튜브(101)와 제1 측벽튜브(102) 및 제2 측벽튜브(103) 중의 어느 하나가 터질 때도 터지지 않은 다른 것들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측벽튜브(102)는 그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튜브(103)는 상기 제1 측벽튜브(102)의 절곡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측벽튜브(103)의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의 양단과 이에 조립되는 상기 프레임부(200) 사이에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여 물에 의한 저항이 보다 저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는 그 양단이 평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에 상기 커버부(30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300)의 경사진 외면에서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의 외면을 따라 경사면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튜브(101)의 양측에 상하 연통되게 형성되는 설치홈(1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홈(104)은 상기 커버부(300)에 설치되는 하기하는 배수구(304)가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내부로 들어온 물이 상기 커버부(300)의 상면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커버부(300)의 하부로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1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5)는 상기 본체(100)의 선단 상면으로 커버되는 상기 커버부(300)를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 팽팽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지지대(105)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그 양단에 각각 한 쌍으로 부착되는 걸이부재(1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재(106)는 상기 프레임부(200)로 구성된 하기하는 후크(206)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본체(100)에 상기 프레임부(20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튜브(101)의 하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107)은 상기 바닥튜브(101)의 하면을 통상적인 선체의 하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바닥튜브(101)의 하면에 대한 물의 저항을 보다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삽입홈(G)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뾰쪽한 형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삽입홈(G)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판(201)과, 상기 밀착판(201)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G)에 끼워지는 삽입턱(202)과,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뾰쪽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재(203)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판(201)은 상기 삽입턱(202)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돌출부재(203)가 상기 본체(100)의 단부에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턱(202)은 상기 본체(100)의 상기 삽입홈(G)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상기 밀착판(201)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재(203)는 그 선단이 뾰쪽하고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진 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300)가 둘러싸일 때 상기 본체(100)의 양단이 뾰쪽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돌출부재(203)는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밀착판(201)에서 분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300)에 의해 둘러싸여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204)과, 상기 밀착판(201)과 돌출부재(203)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20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에서 상기 돌출부재(203)의 하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에 상기 돌출부재(203)의 하단이 끼워져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봉(205)은 상기 밀착판(201)과 상기 돌출부재(203)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돌출부재(203)가 상기 밀착판(201)에 대해 견고히 지지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봉(20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한 개 및 양측면에 각각 두 개씩 총 5개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상기 지지봉(20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지지봉(205)은 그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20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판(20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지지봉(205)이 상기 돌출부재(203)에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밀착판(201)에 대해 분리 가능함으로써,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100)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지지봉(205)과 돌출부재(203)를 상기 밀착판(201)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응하여 상기 밀착판(201)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2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20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의 양단에 한 쌍씩 부착되는 상기 걸이부재(106)에 대응하여 상기 밀착판(201)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재(106)에 끼워져 상기 밀착판(201)이 상기 본체(100)에 걸려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커버(301)와, 상기 바닥커버(30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는 선단커버(302)와, 상기 바닥커버(301)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는 후단커버(3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유연하면서 불투수성의 원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상기 프레임부(200)를 밀착되게 둘러싸면서 상기 프레임부(200)가 조립된 상기 본체(100)의 양단을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커버(301)는 상기 선단커버(302)와 상기 후단커버(303)를 연결시켜 상기 선단커버(302)와 상기 후단커버(303)가 상기 프레임부(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선단커버(302)와 상기 후단커버(303)를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커버(302)는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 조립되는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서 상기 본체(100)의 선단이 뾰쪽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단커버(303)는 상기 선단커버(302)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조립되는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서 상기 본체(100)의 후단이 뾰쪽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설치홈(104)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커버(301)에 설치되는 배수구(3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304)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된 경우에 유입된 물을 상기 바닥커버(301)를 관통하여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수구(3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1)를 관통하는 상기 설치홈(104)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커버(301)에 형성된 통공의 상면에 부착되는 관형 부재(304a)와 상기 관형 부재(104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관형 부재(304a)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키는 캡(104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지퍼(3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퍼(305)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상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지퍼(305)를 통해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내부로 상기 프레임부(200)의 조립 및 분해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퍼(305)는 사용자가 이를 개방하여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내부로 상기 프레임부(200)의 부품을 손쉽게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공기 주입식 보트는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본체(100)를 적용하면서 보트의 앞과 뒤가 뾰쪽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도록 하면서 보트 자체의 추진력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은 본체를 준비하는 본체 준비 단계(S10)와, 상기 본체에 프레임부를 조립하는 프레임부 조립 단계(S20)와, 상기 프레임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커버 결합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준비 단계(S10)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에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이 결합된 공간지를 재단하고 상기 재단된 공간지의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부착하여 양단과 상부가 개방되는 공기 튜브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수면에 부유되는 공기튜브 형태이며 상기 공간지로 형성된 상기 본체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본체 준비 단계(S10)에서, 상기 본체는 바닥과 양측벽을 형성하도록 세 개의 공기튜브가 상호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본체가 개별적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세 개의 공기튜브로 형성되어 수면에서 사용시에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 준비 단계(S10)에서,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물에 대한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이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공간지를 재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공간지의 상부시트에 길이방향의 절단부위를 형성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절단부위를 폐쇄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측면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과정은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형태로 공간지를 재단하는 과정이다(도 9의 (a) 참조). 상기 제1 과정은 상기 본체의 바닥튜브의 형태로 선단과 후단이 대략 뾰족하며 길게 상기 공간지를 재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공간지의 상부시트의 형태유지라인이 절단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과정이다(도 9의 (b) 참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시트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완전히 절단되어 길이방향의 절단부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과정에 의해 상기 상부시트의 중앙을 따라 형태유지라인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상기 측면시트에 의해 밀봉된 후에, 즉 제4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브이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제2 과정에서 절단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외면에 폐쇄지를 밀봉되게 부착하는 과정이다(도 10의 (c) 참조).
상기 제2 과정과 제3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시트에 길이방향의 절단부위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단부위가 상기 폐쇄지에 의해 폐쇄된 후에, 상기 제4 과정을 거쳐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상기 측면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밀봉되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 즉 바닥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형태유지라인이 절단된 상기 절단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이 브이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개방된 측면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접착제로 부착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튜브의 제조를 완성하는 과정이다(도 10의 (d) 참조).
상기 프레임부 조립 단계(S20)는 상기 본체에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부를 준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기 본체의 양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뾰쪽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 결합 단계(S30)는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바닥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바닥커버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서 상기 본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기 커버와 바닥커버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에 견고히 고정하고 상기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여 본 보트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용어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트에 사용되는 용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에 사용되는 용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본체
S : 형태유지라인 G : 삽입홈
101 : 바닥튜브 102 : 제1 측벽튜브
103 : 제2 측벽튜브 104 : 설치홈
105 : 지지대 106 : 걸이부재
107 : 경사면
200 : 프레임부
201 : 밀착판 202 : 삽입턱
203 : 돌출부재 204 : 지지턱
205 : 지지봉 206 : 후크
300 : 커버부
301 : 바닥커버 302 : 선단커버
303 : 후단커버 304 : 배수구
305 : 지퍼

Claims (14)

  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단에 각각 삽입홈(G)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삽입홈(G)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뾰쪽한 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커버(301)와, 상기 바닥커버(30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는 선단커버(302)와, 상기 바닥커버(301)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200)를 둘러싸는 후단커버(303)를 가지는 커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삽입홈(G)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밀착판(201)과,
    상기 밀착판(201)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G)에 끼워지는 삽입턱(202)과,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뾰쪽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재(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삽입홈(G)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튜브(101)와,
    상기 삽입홈(G)의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일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벽튜브(102)와,
    상기 삽입홈(G)의 타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튜브(101)의 타측면을 따라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측벽튜브(1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튜브(102)는, 그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튜브(103)는, 상기 제1 측벽튜브(102)의 절곡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측벽튜브(103)의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튜브(101)의 양측에 상하 연통되게 형성되는 설치홈(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설치홈(104)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커버(301)에 설치되는 배수구(3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하부로 상기 제1 측벽튜브(102)와 제2 측벽튜브(103)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튜브(101)의 하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돌출부재(203)의 하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201)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204)과,
    상기 밀착판(201)과 돌출부재(203)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20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5)은,
    그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20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판(20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응하여 상기 밀착판(201)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20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후크(206)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한 쌍으로 부착되는 걸이부재(1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상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커버(302)와 후단커버(303)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지퍼(3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12.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에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이 결합된 공간지를 재단하고 상기 재단된 공간지의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부착하여 양단과 상부가 개방되는 공기 튜브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본체 준비 단계(S10)와;
    상기 본체에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부를 준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조립하는 프레임부 조립 단계(S20)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바닥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바닥커버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끼워서 상기 본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커버 결합 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준비 단계(S10)에서, 상기 본체는 바닥과 양측벽을 형성하도록 세 개의 공기튜브가 상호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하면이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외측을 향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형태로 공간지를 재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공간지의 상부시트의 형태유지라인이 절단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절단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외면에 폐쇄지를 밀봉되게 부착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개방된 측면 둘레를 측면시트로 밀봉되게 부착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보트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42008A 2012-12-07 2012-12-07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08A KR101274579B1 (ko) 2012-12-07 2012-12-07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08A KR101274579B1 (ko) 2012-12-07 2012-12-07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579B1 true KR101274579B1 (ko) 2013-06-13

Family

ID=4886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08A KR101274579B1 (ko) 2012-12-07 2012-12-07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5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284A (ko) * 2014-03-27 2015-10-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80B1 (ko) 2014-03-27 2015-12-15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200479824Y1 (ko) 2015-11-24 2016-03-10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적재가 편리한 분해 조립형 수상보드
KR20190092756A (ko) * 2018-01-31 2019-08-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FR3080834A1 (fr) * 2018-05-07 2019-11-08 Decathlon Embarcation gonflable de type kaya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876A (ja) * 1994-01-13 1995-08-08 Rand Works:Kk 折り畳み式カヌー
JPH0742742U (ja) * 1993-12-30 1995-08-11 達夫 深尾 ファルトボート船体
KR100805333B1 (ko) * 2007-10-29 2008-02-20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42U (ja) * 1993-12-30 1995-08-11 達夫 深尾 ファルトボート船体
JPH07205876A (ja) * 1994-01-13 1995-08-08 Rand Works:Kk 折り畳み式カヌー
KR100805333B1 (ko) * 2007-10-29 2008-02-20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284A (ko) * 2014-03-27 2015-10-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80B1 (ko) 2014-03-27 2015-12-15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79B1 (ko) * 2014-03-27 2015-12-29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EP3124373A4 (en) * 2014-03-27 2017-11-22 Woosung I.B. Co. Ltd. Inflatable kayak
KR200479824Y1 (ko) 2015-11-24 2016-03-10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적재가 편리한 분해 조립형 수상보드
KR20190092756A (ko) * 2018-01-31 2019-08-08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KR102019821B1 (ko) * 2018-01-31 2019-09-10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카약
FR3080834A1 (fr) * 2018-05-07 2019-11-08 Decathlon Embarcation gonflable de type kayak
WO2019215409A1 (fr) * 2018-05-07 2019-11-14 Decathlon Embarcation gonflable de type kayak
CN112368204A (zh) * 2018-05-07 2021-02-12 戴卡特隆有限公司 皮划艇式充气艇
US11584486B2 (en) * 2018-05-07 2023-02-21 Decathlon Kayak type inflatable watercraft
CN112368204B (zh) * 2018-05-07 2023-10-27 戴卡特隆有限公司 皮划艇式充气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579B1 (ko)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30321B2 (en) Frameless pontoon boat
CA2165924C (en) Flexible tube floatation sling
KR10157727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9808072B2 (en) Kayak backpack
US3931655A (en) Inflatable boat
US3956785A (en) Multipurpose boat, steering and maneuvering device therefor, and cleat device
KR20150133923A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CN203142974U (zh) 一种组合式钓鱼船
KR101274578B1 (ko) 공기주입식 보트
US5645010A (en) Device for a box
FR2913662A1 (fr) Dispositif de cabine amovible pour bateau.
JP3166415U (ja) 複合ボート
CN210432651U (zh) 单体贝类多袋浮沉式水产养殖架
CN208030001U (zh) 一种便携式新型活鱼充氧装运袋
KR101259389B1 (ko) 수상운송장치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RU98732U1 (ru) Надувная моторная лодка для отдыха
CN211211030U (zh) 鱼类水产品用的保鲜设备
WO2023193199A1 (zh) 一种四气囊充气船
FR2953189A1 (fr) Abri flottant gonflable.
KR10266533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114958B1 (ko)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KR102142864B1 (ko) 고무튜브가 구비된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