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127B1 - 고속단정 - Google Patents

고속단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127B1
KR100540127B1 KR1020050054651A KR20050054651A KR100540127B1 KR 100540127 B1 KR100540127 B1 KR 100540127B1 KR 1020050054651 A KR1020050054651 A KR 1020050054651A KR 20050054651 A KR20050054651 A KR 20050054651A KR 100540127 B1 KR100540127 B1 KR 10054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hull
high speed
tub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훈
김종백
Original Assignee
한일뉴즈주식회사
김종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뉴즈주식회사, 김종백 filed Critical 한일뉴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단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체부의 상부에 장착 결합되는 데크부의 양측단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기관실과 조종콘솔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관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절곡부를 형성시켜 기관실과 조종콘솔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며, 선체부 내에 형성된 보강판상에 다수의 환기구멍을 형성하고, 튜브를 데크부에 결합시킬때 3개의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쉴드부재에 3점 연결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고속단정의 전체적인 해수침입 차단효과가 향상되고, 튜브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고속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튜브의 떨림을 최소화하여 고속단정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대상물의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구조적 강도를 향상하고, 선체 내부에 발생된 가스, 유증기 등을 자연 환기시켜 내부 결로 현상 및 폭발위험을 억제함과 동시에 승조원의 이동환경에 대한 제한을 해소하면서 배관 및 배선 라인의 파손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선체부의 저면부에 다단의 단차부(스텝)를 형성하여 항해중 해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여 고속단정의 주행성능과 선회성능이 향상시키는 고속단정에 관한 것이다.
고속단정, 데크부, 작업구멍, 선체부, 튜브, 쉴드부재, 환기구멍,

Description

고속단정{Rigid inflatable boat}
도 1은 본 발명의 고속단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데크부와 선체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체부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볼트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튜브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목적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데크부, 2: 선체부,
3: 튜브, 4: 기관실,
5: 조종콘솔, 11: 작업구멍,
12: 절곡부, 13: 보강재,
14: 배선관, 15: 상향절곡부,
21: 가로보강판, 22: 세로보강판,
23: 수평단, 24: 수직편,
25: 결합봉, 27: 선수부,
30: 환기입구, 31: 환기구멍,
32: 환기배출관, 33: 결합볼트,
34: 고정대상물, 35: 커버,
36: 접합물, 37: 쉴드부재,
38: 결합가이드구멍, 39: 결합봉,
42: 다목적구조물,
본 발명은 고속단정(RIB; Rigid Inflatable Boa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속단정의 전체적인 해수침입 차단효과가 향상되고, 튜브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고속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튜브의 떨림을 최소화하여 고속단정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대상물의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구조적 강도를 향상하고, 선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 유증기 등이 자연 환기되어 내부 결로현상 및 폭발위험을 억제하고, 아울러 승조원의 이동환경에 대한 제한을 해소하면서 배관 및 배선 라인의 파손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고속단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레저용이나 각종 해난사고의 발생시 긴급 인명구조 및 긴급 인원 및 물자수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속단정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재질로써 견고하며 가볍게 제작된 선체의 상부 전방으로 로프가 결합되는 비트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후방에는 추진기설치대가 돌출 형성되고, 선체의 중앙부분에는 각종계기와 조종핸들 및 변속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조종콘솔이 형성되며, 선체의 상부 외측에는 부가부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튜브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속단정은 선체에 고정되는 대부분의 구조물이 볼트로서 선체에 관통되게 결합된 것이어서 고속주행시 해수가 선체 내부로 쉽게 침입하게 되어 내부 구조물이 쉽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약해지게 되고, 튜브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고속주행시 또는 약한 충격에 의해 튜브가 쉽게 탈거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튜브가 2연식 슬라이드 방식으로 그 고정이 이루어져 있는 바, 선체 진동이 튜브로 전달될 때 튜브의 떨림현상이 과다해지면서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아울러 종래의 튜브는 합폭선이 선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관계로 튜브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튜브의 손상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별도의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선체내부에 발생하게되는 유증기 등과 같은 가스를 원활히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여 폭발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은 물론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내부구조물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관 및 배선로를 데크상부에 돌출시켜 설치하거나, 집중식으로 한 곳에 한꺼번에 통하도록 설치하는데, 상기와 같이 데크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돌출물에 승조원의 이동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고, 집중식인 경우에는 많은 배선 및 배관으로 인해 정비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배선 및 배관 라인의 손상시 발화 위험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부의 상부에 장착 결합되는 데크부의 양측단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기관실과 조종콘솔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관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절곡부를 형성시켜 기관실과 조종콘솔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며, 선체부 내에 형성된 보강판상에 다수의 환기구멍을 형성하고, 튜브를 데크부에 결합시킬때 3개의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쉴드부재에 3점 연결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고속단정의 전체적인 해수 침입 차단효과가 향상되고, 튜브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선체의 접촉면으로 튜브의 합폭선이 위치하도록 하여 고속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튜브의 떨림을 최소화하면서 튜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대상물의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구조적 강도를 향상하고, 선체 내부에 발생된 가스, 유증기 등이 자연 환기되어 내부 결로현상 및 폭발위험을 억제함과 동시에 승조원의 이동환경에 대한 제한을 해소하면서 배관 및 배선 라인의 파손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선체부의 저면부에 다단의 단차부(스텝)를 형성하여 항해중 해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여 고속단정의 주행성능과 선회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고속단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항에 의하여,
선체부의 상부에 데크부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부가부력 발생을 위한 튜브가 결합되는 고속단정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선체부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개의 가로보강판과 세로보강판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며,
상기 보강판의 상측 단부와 데크부의 저면에 선체 및 데크와 동일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접합시켜 결합 강도가 보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항에 의하여,
데크부의 후미에 형성된 기관실과 중간부분에 형성된 조종콘솔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배선관을 데크부의 저면 직하방에 배치하되, 상기 배선관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 절곡부를 형성하여 기관실과 조종콘솔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해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항에 의하여,
상기 가로보강판과 세로보강판상에 각각 복수개의 환기구멍을 형성하고, 기관실의 상부에는 환기입구를, 데크부의 선수측에는 환기배출관을 각각 형성하여 주행시 환기입구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수의 환기구멍을 통해 환기배출관으로 배출되는 환기작용에 의해 선체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항에 의하여,
상기 데크부상에 소정의 고정대상물을 고정시킬때, 고정대상물과 데크부를 관통하여 결합볼트를 결합하고, 데크부의 저면으로는 결합볼트의 나사부를 감싸도록 커버를 씌우며, 상기 커버의 외곽으로 별도의 접합물을 도포하여 해수침입을 차단하는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항에 의하여,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절곡부를 하향 절곡 형성하고, 선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곡부와 맞대어지기 위한 수직편을 상향 돌출 형성하며, 그 내측공간부에 목재로 이루어진 결합봉을 내재시켜 외부에서 볼트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항에 의하여,
상기 수직편의 내측으로 일정길이의 수평단을 연장 형성시켜 주행시 바닷물이 상측으로 튈때 수평단에 부딪히면서 수평상으로 퍼지도록 하여 선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바닷물의 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항에 의하여,
데크부와 선체부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속단정의 선수부 끝단이 뾰족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항에 의하여,
상기 데크부의 상측으로 3개의 결합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쉴드부재를 결합하고, 데크부에 고정 결합되는 튜브에 3개의 결합봉을 연결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결합봉을 결합가이드구멍에 끼움으로서 튜브가 데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청구항 9항에 의하여,
상기 데크부의 상부에 다수의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소정의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계류비트, 발판, 릴리즈 후크 등의 장착이 용이한 다목적 구조물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0항에 의하여,
상기 선체부의 저면부에 복수개의 단차부를 형성하여 해수 마찰저항이 감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의 배수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속단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체부(2)의 상측으로 데크부(1)를 결합하고, 그 데크부(1)의 가장자리에 부가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튜브(3)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데크부(1)의 후미측에는 기관실(4)이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고속단정의 운전제어를 위한 조종콘솔(5)이 형성된다.
상기한 데크부(1)는 도 2와같이 선체부(2)의 상측에 결합하는데, 상기 데크부(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데크부(1)를 선체부(2)의 상부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선체부(2)내에 마련된 보강판(22)과 데크부(1)의 저면이 연결시 그 연결부위에 대한 강도 보강이 필요로 하여 보강재(13)를 접합시킬 때 그 접합작업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작업구멍(11)을 관통 형성한다.
상기 선체부(2)의 내부에는 다수의 가로보강판(21)과 세로보강판(22)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며, 상기 보강판(21,22)의 상측 단부를 데크부(1)의 저면에 접합 결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크부(1)를 선체부(2)의 상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보강판(22)과 데크부(1)의 저면 연결부위에 별도의 보강재(13)를 접합시켜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즉, 데크부(1)를 선체부(2)의 상부에 안착 결합시킨 상태에서 데크부(1)에 구비된 작업구멍(11)을 통해 선체부(2)의 외부에서 보강판(21,22)의 상측 단부와 데크부(1)의 저면 연결부위에 데크부(1) 및 선체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13)를 맞대어 접착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데크부(1)와 선체부(2)의 결합은 상기 데크부(1)의 가장자리에 절곡부(12)를 하향 절곡 형성하고, 선체부(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곡부(12)와 맞대어지기 위한 수직편(24)을 상향 돌출 형성하며, 그 내측공간부에 목재로 이루어진 결합봉(25)을 내재시켜 외부에서 볼트(26)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수직편(24)의 내측으로 일정길이의 수평단(23)을 연장 형성시켜 주행시 바닷물이 상측으로 튈때 수평단(23)에 부딪히면서 수평상으로 퍼지도록 하여 선체부(2) 내부로 유입되는 바닷물의 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수가 튜브(3)에 닿는 면적을 줄여 상기 튜브(3)의 마모현상을 감소시키면서 신체의 감속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튜브(3)의 접착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데크부(1)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배선관(14)이 배치되는데, 상기 배선관(14)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절곡부(15)를 각각 형성시켜 상기 상향절곡부(15) 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관실(4) 및 조종콘솔(5)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므로서, 주행중 바닷물이 상기 배선관(14)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통해 배선관(14) 내부에 배선된 전선이 침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기관실(4) 및 조정콘솔(5)의 작동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관실(4)의 상부에 외부 공기가 선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기입구(30)를 형성하고, 상기 데크부(1)의 선수부에는 별도의 환기배출관(32)을 형성하며, 선체부(2)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가로보강판(21)과 세로보강판(22)상에 별도의 환기구멍(31)을 형성하므로서, 고속단정의 주행시 외부공기가 환기입구(30)로 유입된 후 환기구멍(31)을 통해 순환하여 환기배출관(32)으로 배출됨에 따라 선체부(2) 내에 존재하는 유증기 등과 같은 가스가 자연 배출되어 내부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스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폭발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데크부(1)의 상부에는 다수의 구조물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을 고정설치하고자 할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대상물(34)과 데크부(1)를 관통하여 선체 측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볼트(33)를 결합하고, 데크부(1)의 저면으로는 결합볼트(33)의 나사부를 감싸도록 커버(35)를 씌우며, 상기 커버(35)의 외곽으로 별도의 접합물(36)을 도포하여 해수 침입을 차단하는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고속단정의 고속주행시 내,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선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속단정의 선수부(27)는 뾰족한 형상이 아닌 평평하게 형성하여 고속단정을 안정되게 전방으로 접안시킬 수 있고, 충돌시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손위험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체부(2)의 저면부에 복수개의 단차부(51)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해수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고속단정의 주행성능과 선회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튜브(3)를 데크부(1)에 결합 고정시킬때에는 도 7과같이 데크부(1)의 상부에 각각 3개의 결합가이드구멍(38)이 형성된 쉴드부재(37)를 결합하고, 튜브(3)상에 상기 결합가이드구멍(38)에 끼워지기 위한 3개의 결합봉(25)을 연결 형성하므로서, 각각의 결합봉(25)을 결합가이드구멍(38)에 끼워 고정하므로서 튜브(3)를 3연식 슬라이드방식으로 고정설치하여 고속으로 운행하는 선박의 선체진동 및 충격발생시 튜브의 떨림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속단정의 선수부위에는 도 8과같은 다목적구조물(42)을 설치하는데, 상기 다목적구조물(42)은 여러개의 지지다리(41)에 의해 데크부(1)상에 결합 고정되고, 그 일단에는 총기류등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4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구조물(42)은 계류비트, 발판, 릴리즈 후크등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면서, 하나의 구조물에 총기거취대, 계류비트, 발판, 릴리즈 후크를 모두 설치(또는 고정)하여 선체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아울러 단순 지지형인 종래의 총기거취대보다 다중지지형의 다목적 구조물(42)을 통해 선수부에 별도의 하중보강물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그 선수부의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고속단정의 선수부와 후미에 대한 무게중심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고속단정의 선체에 대한 전반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선체부의 상부에 장착 결합되는 데크부의 양측단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작업구멍을 형성한 후 기관실과 조종콘솔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관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절곡부를 형성시켜 기관실과 조종콘솔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은 물론, 선체부 내에 형성된 보강판상에 다수의 환기구멍을 형성하여, 고속단정의 전체적인 해수침입 차단효과를 향상시키면서 결합대상물의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아울러 선체 내부에 발생된 가스, 유증기 등이 자연 환기되어 내부 결로현상 및 폭발위험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조원의 이동환경에 대한 제한을 해소하면서 배관 및 배선 라인의 파손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를 데크부에 결합시킬때 3개의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쉴드부재에 3점 연결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므로서, 튜브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고속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튜브의 떨림을 최소화하여 고속단정이 안정적으로 주행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부의 저면부에 다단의 단차부(스텝)를 형성하여 항해중 해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여 고속단정의 주행성능과 선회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선체부의 상부에 데크부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부가부력 발생을 위한 튜브가 결합되는 고속단정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선체부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개의 가로보강판과 세로보강판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며,
    상기 보강판의 상측 단부와 데크부의 저면에 선체 및 데크와 동일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접합시켜 결합 강도가 보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2. 제 1 항에 있어서,
    데크부의 후미에 형성된 기관실과 중간부분에 형성된 조종콘솔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배선관을 데크부의 저면 직하방에 배치하되, 상기 배선관의 양측 끝단부에 상향절곡부를 형성하여 기관실과 조종콘솔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해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판과 세로보강판상에 각각 복수개의 환기구멍을 형성하고, 기관실의 상부에는 환기입구를, 데크부의 선수측에는 환기배출관을 각각 형성하여 주행시 환기입구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수의 환기구멍을 통해 환기배출관으로 배출되는 환기작용에 의해 선체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상에 소정의 고정대상물을 고정시킬때, 고정대상물과 데크부를 관통하여 결합볼트를 결합하고, 데크부의 저면으로는 결합볼트의 나사부를 감싸도록 커버를 씌우며, 상기 커버의 외곽으로 별도의 접합물을 도포하여 해수침입을 차단하는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가장자리에 절곡부를 하향 절곡 형성하고, 선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곡부와 맞대어지기 위한 수직편을 상향 돌출 형성하며, 그 내측공간부에 목재로 이루어진 결합봉을 내재시켜 외부에서 볼트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의 내측으로 일정길이의 수평단을 연장 형성시켜 주행시 바닷물이 상측으로 튈때 수평단에 부딪히면서 수평상으로 퍼지도록 하여 선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바닷물의 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7. 제 1 항에 있어서,
    데크부와 선체부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속단정의 선수부 끝단이 뾰족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상측으로 3개의 결합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쉴드부재를 결합하고, 데크부에 고정 결합되는 튜브에 3개의 결합봉을 연결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결합봉을 결합가이드구멍에 끼움으로서 튜브가 데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상부에 다수의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소정의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계류비트, 발판, 릴리즈 후크 등의 장착이 용이한 다목적구조물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의 저면부에 복수개의 단차부를 형성하여 해수 마찰저항이 감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
KR1020050054651A 2005-06-23 2005-06-23 고속단정 KR10054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51A KR100540127B1 (ko) 2005-06-23 2005-06-23 고속단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51A KR100540127B1 (ko) 2005-06-23 2005-06-23 고속단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891U Division KR200401634Y1 (ko) 2005-07-18 2005-07-18 고속단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127B1 true KR100540127B1 (ko) 2006-01-10

Family

ID=3717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651A KR100540127B1 (ko) 2005-06-23 2005-06-23 고속단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1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55Y1 (ko) * 2007-05-03 2009-07-23 신현구 모터 보트
KR101885201B1 (ko) 2018-03-28 2018-08-03 디텍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KR101984488B1 (ko) * 2018-11-22 2019-05-31 김진영 데크 교체가 가능한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55Y1 (ko) * 2007-05-03 2009-07-23 신현구 모터 보트
KR101885201B1 (ko) 2018-03-28 2018-08-03 디텍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KR101984488B1 (ko) * 2018-11-22 2019-05-31 김진영 데크 교체가 가능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4467B1 (en) frame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540127B1 (ko) 고속단정
CN1680168A (zh) 船舶的舱底门海水流入孔挡板
JP2007320427A (ja) 自動二輪車のシュラウド取付構造
JPH08133187A (ja) 小型船舶のエンジンの排気構造
JP3618844B2 (ja) 水上走行船
CN104870302A (zh) 骑乘式车辆
JPH07187080A (ja) ジェットポンプ取付け装置
KR200401634Y1 (ko) 고속단정
JP3980445B2 (ja) 小型走行船
JP6769588B2 (ja) 船舶
JPS6118590A (ja) 小型舟艇の沈没防止装置
US6761601B2 (en) Personal watercraft
JP4301284B2 (ja) 車両のカウルトップ排水構造
JP2003137175A (ja) 小型艇の電装品取付構造
US20090229691A1 (en) Mount structure of two-way valve for fuel tank of small boat
JPH01148695A (ja) 船舶推進機のアイドル音低減装置
JP4720482B2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カバー
JP2859148B2 (ja) ウォーターバラスト付きボート
JP5631039B2 (ja) プロペラ起振力低減装置
US6435119B1 (en) Watercraft ventilation system
JP5882657B2 (ja) エンジン
WO2016147102A2 (en) Modular construction for boats
US7052343B2 (en) Personal watercraft
JP2005104187A (ja) タンカーのダ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