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01B1 -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5201B1 KR101885201B1 KR1020180035842A KR20180035842A KR101885201B1 KR 101885201 B1 KR101885201 B1 KR 101885201B1 KR 1020180035842 A KR1020180035842 A KR 1020180035842A KR 20180035842 A KR20180035842 A KR 20180035842A KR 101885201 B1 KR101885201 B1 KR 1018852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unit
- deck
- console
- h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02—Hand or other personal act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호환 변경 적용 가능하여 사용편의성 및 운항안정성이 증가되도록, 본 발명은 의장품의 적재 및 승조원의 탑승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선체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부가 구비되는 레일대차부; 상기 레일대차부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선체의 조종을 위한 조종조작부가 구비된 콘솔부; 및 상기 조종조작부와 상기 선체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케이블베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환 변경 적용 가능하여 사용편의성 및 운항안정성이 증가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수상 레저용이나 각종 해난사고의 발생시 긴급 인명구조 및 긴급 인원 및 물자수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은 고속 주행을 위해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견고하면서도 가볍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조종실에는 선박의 항해를 위한 자동 및 수동 조타장치, 위성항법장치, 전망정보시스템, 레이더시스템, 선내자동화시스템, 원격감시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콘솔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선박 건조시 IT 융합 장비들이 선박에 탑재됨에 따라 선박의 자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항해(Autopilot)와 무인화(One Man Bridge Operation)를 위한 선박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선박자동화의 가속은 선박을 운용하는 선원의 수를 감소시키는 계기가 되어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의 수집과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선박은 선체에 고정되는 대부분의 구조물이 선체에 볼트 체결결합되고, 선박의 항해를 위한 조종부의 콘솔과 연결되는 배선 라인이 데크 상부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선라인을 감싸며 보호하는 커버가 더 구비된다.
그러나, 배선 라인 및 커버 등의 구조물이 데크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배선 라인에 승조원의 발 걸림 등이 발생하여 승조원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한 배선 라인의 손상시 발화 위험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배선 라인 및 커버 등의 구조물이 데크 상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승조원이 상기 레일에 의해 발 걸림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므로 선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박은 항해를 위한 조타장치 등이 구비되는 조종실이 데크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무게중심의 편중으로 인한 선박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승조원 및 의장품의 탑승 및 적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환 변경 적용 가능하여 사용편의성 및 운항안정성이 증가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장품의 적재 및 승조원의 탑승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측단이 일체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데크부에 고정되는 돌설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부가 구비되는 레일대차부; 상기 레일대차부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선체의 조종을 위한 조종조작부가 구비된 콘솔부; 및 상기 조종조작부와 상기 선체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케이블베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대차부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된 축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콘솔안착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솔부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가 권취식으로 수용되는 권취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베어부가 펼쳐짐에 따라 수용되도록 상기 케이블베어부의 두께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 데크함몰부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된 지렛대지지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지렛대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기설정된 위치에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체결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에는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함몰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함몰홈의 측면벽 사이에는 상기 레일대차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레일부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레일대차부 상부에 고정된 콘솔부가 선체의 전후측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레저용 내지 화물적재용 등의 용도에 따른 호환 변경 적용이 가능하므로 호환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적재물의 중량 및 적재 위치에 따라 상기 콘솔부의 위치가 선체의 전후측을 따라 조정됨으로써 주행을 위한 최적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주행성능이 개선되며, 무게중심 편중에 따른 침몰 내지 전복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조종조작부와 선체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콘솔부 내부에 권취식으로 수용되도록 구비된 케이블베어부가 데크부 일측에 함몰 형성된 데크함몰부에 배치되어 승조원의 발걸림 및 케이블 손상에 의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콘솔부가 후방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콘솔부가 전방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의 내부가 부분 투영된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콘솔부가 전방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의 내부가 부분 투영된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콘솔부가 후방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콘솔부가 전방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의 내부가 부분 투영된 측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100)는 데크부(10), 레일부(20), 레일대차부(30), 콘솔부(40), 및 케이블베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100)는 선체(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립체를 의미한다.
먼저, 상기 데크부(10)는 의장품의 적재 및 승조원의 탑승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상기 선체(1)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부(10)에는 의장품의 적재 및 승조원의 탑승을 위한 평탄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데크부(10)에 승조원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탈부착식 승조원석이 선택적으로 더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10)에는 상기 레일부(20)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펼쳐짐에 따라 수용되도록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두께 이상의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상기 데크함몰부(11)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단부가 상기 선체(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상기 콘솔부(40)와 연결되어 상기 콘솔부(40)의 위치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콘솔부(40)의 내부로 권취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크함몰부(11)는 상기 데크부(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함몰부(11)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함몰부(11)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삽입시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상기 데크부(10)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설정된 두께 이상의 깊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함몰부(11)에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상기 데크부(10)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승조원의 발걸림에 따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콘솔부(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솔부(40)와 연결된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측이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이탈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함몰부(11)는 상기 선체(1)의 후미부분에서 상기 선체(1)의 중앙부 일측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함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크함몰부(11)의 폭은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폭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함몰부(11) 폭방향 양측의 상기 데크부(10)에는 레일부 세트(20a,20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데크함몰부(11) 폭방향 양측으로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가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의 상측에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삽입된 상기 데크함몰부(11)의 상측 일부분에 덮개부재가 더 구비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함몰부(11)에 삽입 배치된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부분이 상기 덮개부재에 의해 외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승조원의 탑승시 안정성이 개선되며 의장품의 적재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20)는 상기 데크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선체(1)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0)는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21)와, 상기 안착부(21)의 하측으로부터 내측단이 일체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데크부(10)에 고정되는 돌설연장부(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1)는 상기 레일부(20)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안착되도록 평탄면으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설연장부(22)는 상기 안착부(21)의 하측으로부터 내측단이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하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설연장부(22)의 하단부는 평탄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데크부(10)에 안착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돌설연장부(22)의 하단부는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0)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체결홀(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체결부재가 삽입 및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20)가 상기 데크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결홀(23)은 상기 체결부재의 크기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상기 고정체결홀(23)이 각각 상이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결홀(23)에는 상기 체결부재 또는 후술되는 고정체결부재(36)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부(10) 및 상기 레일부(20) 사이는 볼트 체결,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레일부(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부(20)는 복수개의 레일단위체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상기 레일단위체는 상기 레일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되, 상기 레일부(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레일단위체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일부(20)는 한 쌍의 단위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레일부 세트(20a,20b,20c,20d,20e,20f)를 포함하며, 각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20c, 20d,20e,20f)는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20c,20d,20e,20f)는 상기 콘솔부(40)의 최외곽 폭보다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는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데크함몰부(11)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 사이에 상기 데크함몰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 사이의 간격은 상기 레일차량부(3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차량부(30)에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부(33)가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에 구름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부(10)에는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레일부 세트(20c,20d,20e,20f)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크부(10)에는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일측으로 이격 배치된 레일부 세트(20c,20d)가 배치되고,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타측으로 이격 배치된 레일부 세트(20e,20f)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레일부 세트(20c,20d,20e,20f)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된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부(10)에 세 쌍의 레일부 세트가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데크부(10)에는 한 쌍의 레일부 세트만 배치되거나 세 쌍 이상의 레일부 세트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데크부(10)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부(20) 전체 외곽 폭은 상기 콘솔부(40)의 폭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부(20)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기 레일대차부(30)가 배치되고, 상기 레일대차부(30) 상부에 상기 콘솔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솔부(40)의 폭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레일부(20)에 상기 레일대차부(30)가 복수개 배치되므로 상기 콘솔부(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균형이 유지되므로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레일부(20)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부(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대차부(30)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21)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걸림부(32a,34a)가 형성되는 프레임부(32,34,37)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프레임부(32,34,37)에 연결된 축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상기 롤러부(33)와, 상기 프레임부(32,34,37)의 상부에 연결되는 콘솔안착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프레임부(32,34,37)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콘솔안착부(31)는 상부에 상기 콘솔부(40)가 안착 및 고정되도록 상면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상면 일측에는 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콘솔부(4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상면 일측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콘솔부(40)의 하부에 형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안착부(31)의 폭방향 양측으로 롤러구동부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32,34,37), 상기 롤러부(33), 상기 브레이크부, 고정체결부재(3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콘솔안착부(31)의 폭방향 양측으로 제1측면벽(32)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제1측면벽(32)은 상부가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양측 모서리와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안착부(21)의 하측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측면벽(32)의 하단부는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안착부(21)의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제1걸림부(32a)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제1측면벽(32)의 외측으로 프레임몸체(37)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몸체(37)는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몸체(37)의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2측면벽(3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측면벽(34)의 하부는 상기 안착부(21)의 하측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측면벽(34)의 하단부는 상기 콘솔안착부(31)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안착부(21)의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제2걸림부(34a)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대차부(30)에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21)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각 상기 걸림부(32a,34a)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부(32a)와 상기 제2걸림부(34a)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대차부(30)에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21)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각 상기 걸림부(32a,34a)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벽(34)은 상기 제1측면벽(32)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측면벽(32) 및 상기 제2측면벽(34) 사이에는 상기 롤러부(33)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측면벽(32) 및 상기 제2측면벽(3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레일부(20)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부(33)는 상기 프레임부(32,34,37)에 연결된 상기 축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구름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롤러부(33)는 상기 프레임몸체(37)의 전후측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부(33)는 상기 제1측면벽(32) 및 상기 제2측면벽(34) 사이에 형성된 상기 축부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를 회전중심으로 구름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롤러부(33)는 원통의 축을 따라 상기 축부가 배치되고, 원통의 측면이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축부 및 상기 롤러부(33)사이에 베어링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기 프레임부(32,34,37)의 상기 제1측면벽(32) 및 상기 제2측면벽(34)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측면벽(32) 및 상기 제2측면벽(34)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러부(33)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구름 이동되는 상기 롤러부(33)의 회전면은 상기 안착부(21)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21)의 접촉되는 접촉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부(33)의 함몰 형성된 접촉면이 상기 안착부(2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이동됨에 따라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32,34,37)에 연결된 축부와 결합된 상기 롤러부(33)가 구비된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기 롤러구동부가 한 쌍의 상기 레일부(20)에 각각 안착되어 선박의 운항시 폭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무게 편중시에도 상기 콘솔부(40)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프레임부(32,34,37)의 일측에 구비된 지렛대지지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브레이크레버(3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지렛대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부(32,34,37)의 상기 프레임몸체(37)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는 스토퍼부(35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35a)는 상기 프레임몸체(37) 상측에 배치된 상기 지렛대지지부와 연결된 상기 브레이크레버(35)의 회동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35a)는 하단부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레버(35)는 손잡이부와 회동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동연결부는 'Y' 형상으로 구비되어 분기된 각 단부가 상기 지렛대지지부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레버(35)는 상기 지렛대지지부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몸체(37)의 상면 일측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회동연결부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렛대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브레이크레버(35)와 연결되며, 상기 지렛대지지부의 타측은 상기 스토퍼부(35a)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레버(35)가 상기 지렛대지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부(35a)는 지렛대원리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35a)와 상기 안착부(21)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레버(35)가 상기 지렛대지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부(35a)는 지렛대원리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35a)와 상기 안착부(21)가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35a)가 상기 안착부(21)에 밀착 및 마찰되어 제동되므로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정지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레버(35)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정지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레일대차부(30)가 구름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35a)는 상기 프레임몸체(37) 일측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되, 상기 브레이크레버(35)의 회동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부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는 내마모성 재질의 금속 또는 탄성재질의 고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렛대지지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5)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브레이크레버(35)의 회동에 대응되어 지렛대원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토퍼부(35a)가 상기 안착부(21)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정지 및 고정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기 프레임부(32,34,37)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체결홀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부(21)에는 기설정된 위치에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고정체결홀(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기 프레임부(32,34,37)에는 상기 레일부(20)와 상기 레일대차부(30)를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몸체(37)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 및 고정되는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결부재(36)는 상기 프레임몸체(37)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몸체(37)의 상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헤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고정체결부재(3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상기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결부재(36)는 기설정된 길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결부재(36)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뒤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삽입되어 걸림됨에 따라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삽입 및 걸림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부(2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체결부재(36)가 상기 고정체결홀(23)로부터 이탈되어 상측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몸체(37)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체결부재(36)를 상기 레일부(20)의 상기 고정체결홀(23)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레일대차부(30)가 상기 레일부(20)에 걸림 및 고정되어 이동이 방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전자식 브레이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제어부를 통해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제동 및 이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대차부(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 세트(20a,20b,20c,20d,20e,20f)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데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레일부 세트(20a,20b)에 1개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데크함몰부(11)로부터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이격배치된 각 레일부 세트(20c,20d,20e,20f)에 각각 1개 또는 2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부에 상기 콘솔부(40)가 배치되어 상기 레일대차부(30) 및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더라도 균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콘솔부(40)의 모서리측 및 중앙측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솔부(40)는 각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선체(1)의 조종을 위한 조종조작부(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종조작부(41)는 상기 콘솔부(40)의 전방부에 구비되되, 상기 조종조작부(41)는 운항상태가 표시되도록 각종 계기가 구비되는 계기부와, 상기 선체(1)의 항해 및 상기 콘솔부(40)의 위치 이동에 사용되는 조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솔부(40)의 후방부에는 조종석(42)이 구비되며, 상기 조종조작부(41) 및 상기 조종석(42)의 상부에는 루프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프부(43)는 상기 선체(10)의 항해시 바람에 의한 저항이 경감되도록 전방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권취식으로 수용되는 형성되는 권취공간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솔부(40)의 하부에는 상기 콘솔안착부(31)에 안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콘솔체결부(4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솔체결부(44)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상기 형합홈에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콘솔안착부(31)의 상면 일측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콘솔체결부(44)의 하부에 형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레일대차부(30)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콘솔부(40)의 배치시 상기 콘솔부(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솔부(40)의 모서리측 및 중앙측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솔부(40)에는 승조원이 상기 브레이크레버(35) 및 상기 고정체결부재(36)의 헤드부를 수동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대차부(3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확장되어 외부와 연통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콘솔부(40)는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대차부(30)는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레일대차부(30)에는 상기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부(33)와 연결되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부(20)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레일대차부(30)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전후측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레저용, 화물적재용 내지 군사용 등의 용도에 따른 호환 변경 적용이 가능하므로 호환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적재물의 중량 및 적재 위치에 따라 상기 콘솔부(40)의 위치가 전후측을 따라 조정됨으로써 주행을 위한 최적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주행성능이 개선되며, 무게중심 편중에 따른 침몰내지 전복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권취식으로 수용되는 형성되는 상기 권취공간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권취공간은 상기 콘솔부(40)의 하부 일측이 개구되되, 상기 콘솔부(40)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권취식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공간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연결되어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상기 권취공간에 권취식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권취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데크함몰부(11)에 삽입 및 펼침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베어부(50)는 상기 조종조작부(41)와 상기 선체(1)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베어부(50)는 상기 데크부(10)의 중앙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되 상기 레일부(20)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데크함몰부(11)에 삽입 및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베어부(50)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중공형 단위체(51)가 구비되고, 각 상기 중공형 단위체(51) 사이에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굴곡되도록 연결체(52)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형 단위체(51)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으로 구비되되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체(52)는 각 상기 중공형 단위체(51)의 일측과 클램프 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중공형 단위체(51) 사이에 상기 연결체(5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선택적으로 굴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베어부(50)는 일측이 상기 콘솔부(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선체(1)의 후측부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측은 상기 조종조작부(41) 내부에 형성된 상기 권취공간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타측은 상기 선체(1)의 후측부에 형성된 상기 선체(1)의 내부와 관통된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상기 선체(1)의 구동부와 상기 조종조작부(41)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베어부(50)는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단부는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후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권취공간으로 권취되며 삽입되거나 펼쳐지며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단부가 상기 권취공간으로 권취되며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단부가 상기 권취공간으로부터 펼쳐지며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권취공간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케이블베어부(50)의 일단부는 상기 데크함몰부(11)로 이동되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종조작부(41)와 상기 선체(1)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콘솔부(40)에 권취식으로 수용되도록 구비된 상기 케이블베어부(50)가 상기 데크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상기 데크함몰부(11)에 배치되어 승조원의 발걸림 및 케이블 손상에 의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기 콘솔부(40) 전방의 데크부(10)에 의장품이 적재되거나 승조원이 탑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부(10)에 승조원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탈부착식 승조원석이 선택적으로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1)의 무게중심이 후측으로 편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솔부(40) 전방의 데크부(10)에 의장품의 및 승조원이 배치되므로 상기 선체(1)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콘솔부(40) 후방의 데크부(10)에 의장품이 적재되거나 승조원이 탑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솔부(40)가 상기 선체(1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1)의 무게 중심이 전측으로 편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솔부(40) 후방의 데크부(10)에 의장품의 및 승조원이 배치되므로 상기 선체(1)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주행 성능이 향상되며 무게중심 편중에 따른 침몰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콘솔부(40)는 상기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부(40)의 전후방 양측으로 의장품과 승조원이 적재 및 탑승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200)에서 레일부 및 레일대차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크부(21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부(210)에는 레일부(220)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함몰홈(21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20) 및 상기 함몰홈의(210a) 측면벽 사이에는 레일대차부(230)가 상기 레일부(220)의 안착부(221)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데크부(210)에는 상기 레일부(220)가 삽입되어 삽입된 상기 레일부(220)의 상면이 상기 데크부(2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레일부(220)의 높이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상기 함몰홈(21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220) 및 상기 함몰홈의(210a) 측면벽 사이에는 레일대차부(230)가 상기 레일부(220)의 안착부(221)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격공간으로 상기 레일대차부(230)의 제1측면벽(232) 및 제2측면벽(234)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함몰홈(210a)의 폭은 상기 제1측면벽(232) 및 상기 제2측면벽(234) 사이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함몰홈(210a)에 상기 레일부(220)와 상기 레일대차부(230)의 상기 제1측면벽(232) 및 상기 제2측면벽(234)이 삽입되고, 상기 레일대차부(230)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유격공간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홈(210a)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210)에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데크부(210)에 상기 레일부(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 각 상기 레일부(220)가 배치된 상기 데크부(210)에 상기 함몰홈(210a)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함몰홈(210a)에 상기 레일부(220)가 삽입시 상기 레일부(220)의 상면이 상기 데크부(2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이 형성되므로 승조원의 발걸림에 따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10,210: 데크부
20,220: 레일부 30,230: 레일대차부
40: 콘솔부 50: 케이블베어부
20,220: 레일부 30,230: 레일대차부
40: 콘솔부 50: 케이블베어부
Claims (5)
- 의장품의 적재 및 승조원의 탑승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측단이 일체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데크부에 고정되는 돌설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 상면에 배치되어 구름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부가 구비되는 레일대차부;
상기 레일대차부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선체의 조종을 위한 조종조작부가 구비된 콘솔부; 및
상기 조종조작부와 상기 선체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케이블베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대차부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 하면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된 축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콘솔안착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부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베어부가 권취식으로 수용되는 권취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베어부가 펼쳐짐에 따라 수용되도록 상기 케이블베어부의 두께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 데크함몰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된 지렛대지지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지렛대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기설정된 위치에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체결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에는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함몰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함몰홈의 측면벽 사이에는 상기 레일대차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유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842A KR101885201B1 (ko) | 2018-03-28 | 2018-03-28 |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842A KR101885201B1 (ko) | 2018-03-28 | 2018-03-28 |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201B1 true KR101885201B1 (ko) | 2018-08-03 |
Family
ID=6325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842A KR101885201B1 (ko) | 2018-03-28 | 2018-03-28 |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2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11151A (zh) * | 2021-10-20 | 2022-01-11 | 一路行(北京)科技有限公司 | 移动操作舱结构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2384A (ja) * | 1997-04-18 | 1998-11-04 | Oomotogumi:Kk | ケーソン掘削機のケーブル引線装置 |
KR100540127B1 (ko) | 2005-06-23 | 2006-01-10 | 한일뉴즈주식회사 | 고속단정 |
US6988461B1 (en) * | 2005-04-15 | 2006-01-24 | James Joseph B | Telescoping boat tower apparatus |
KR20060030875A (ko) * | 2006-03-22 | 2006-04-11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모노레일식 운반대차 |
KR101302017B1 (ko) * | 2011-11-30 | 2013-08-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
KR20160024515A (ko) * | 2014-08-26 | 2016-03-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양방향 운항 선박 |
-
2018
- 2018-03-28 KR KR1020180035842A patent/KR1018852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2384A (ja) * | 1997-04-18 | 1998-11-04 | Oomotogumi:Kk | ケーソン掘削機のケーブル引線装置 |
US6988461B1 (en) * | 2005-04-15 | 2006-01-24 | James Joseph B | Telescoping boat tower apparatus |
KR100540127B1 (ko) | 2005-06-23 | 2006-01-10 | 한일뉴즈주식회사 | 고속단정 |
KR20060030875A (ko) * | 2006-03-22 | 2006-04-11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모노레일식 운반대차 |
KR101302017B1 (ko) * | 2011-11-30 | 2013-08-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
KR20160024515A (ko) * | 2014-08-26 | 2016-03-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양방향 운항 선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11151A (zh) * | 2021-10-20 | 2022-01-11 | 一路行(北京)科技有限公司 | 移动操作舱结构 |
CN113911151B (zh) * | 2021-10-20 | 2024-01-12 | 一路行(北京)科技有限公司 | 移动操作舱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07131B1 (en) | Platform and system for boat | |
US7437998B2 (en) | Water-ride facility | |
US7581507B2 (en) | Launch and recovery devices for wate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 |
JP2000504650A (ja) | いかだを進水させ収納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101885201B1 (ko) |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 |
US11932352B2 (en) | Tower for a boat | |
US6390864B1 (en) | Outboard motor positioner | |
CA2785335A1 (en) | Elevated walkway for improved cabin height | |
JPS582115B2 (ja) | トラベラ装置 | |
EP0049716B1 (en) | Stowage bin mechanism | |
KR20180120458A (ko) | 구명정의 보관, 운반 및 투척을 위한 트롤리 | |
EP3037339B1 (en) | Windlass assembly | |
WO2001054974A1 (en) | Device at a track slide for a sail | |
KR20180101653A (ko) |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 |
CN113998060B (zh) | 一种可移动式登艇梯 | |
CN113460242B (zh) | 一种用于舰船运输车辆的止动定位系统 | |
CN110539850A (zh) | 车辆工具运输艇 | |
US1958040A (en) | Boat launching and stowing apparatus | |
US10625652B2 (en) | System for accommodating objects | |
CN205524831U (zh) | 平台救助艇艇架 | |
JP6684493B2 (ja) | 車両乗下船装置及び車両乗下船装置を備えた船舶 | |
JP3084369B1 (ja) | ヘリコプターのソリ防護構造 | |
CN210761190U (zh) | 车辆转运作业专用艇 | |
RU2166459C2 (ru) | Бортовое по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номной за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других грузов через боковой грузовой люк | |
KR20180002424U (ko) | 선박용 승하선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