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66Y1 -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66Y1
KR200444466Y1 KR2020070016409U KR20070016409U KR200444466Y1 KR 200444466 Y1 KR200444466 Y1 KR 200444466Y1 KR 2020070016409 U KR2020070016409 U KR 2020070016409U KR 20070016409 U KR20070016409 U KR 20070016409U KR 200444466 Y1 KR200444466 Y1 KR 200444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beam sensor
light
side bea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446U (ko
Inventor
경광국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6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6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는 세차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광측 빔센서;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에 따라 상기 투광측 빔센서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차기본체의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그 세차기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광측 빔센서; 및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세차기본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의 광경로를 가지며 육안으로 식별되는 빔을,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다른 하나에 조사시키는 빔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빔센서, 빔출력장치

Description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Car shape Washing appar sens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을 감지하여 세차용 브러시를 승강시키기 위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계시 차량의 굴곡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인 빔센서들의 위치정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기능에 따라 연속형(連續形)(터널형) 자동 세차기와 문형(門形) 자동 세차기로 구분한다.
연속형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본체가 고정되어 있고,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기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물과 세제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차 표면의 물을 건조시킨다.
문형 자동 세차기는 연속형 자동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기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위와 같은 동작을 하면 서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한다.
상기 연속형 자동세차기의 일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세차기본체(1)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6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 에어건조부(30), 측면 천건조부(40) 및 상면 천건조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시(11)(12)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왁스용 브러시(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측면천건조부(40)에는 회전체(42)가 마련되어 있고, 상면 천건조부(50)에는 탑회전체(5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세차기에 마련되는 탑브러시(12)(22) 및 탑회전체(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세정차량(C)의 이동경로상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세정차량(C)의 상면 굴곡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탑브러시(12)(22) 및 탑회전체(52)를 구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세차기본체(1)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빔센서(70)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하고 두고, 투광측 빔센서(70)로부터 나온 빛이 수광측 빔센서(미도시)에 의해 수광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탑브러시(12)(22) 등은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승강작동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센서(70,71)들은, 일측의 투광측 빔센서(70)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타측의 수광측 빔센서(71)가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평행한 방향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빔센서(70,71)들이 상기 세차기본체(1)의 양측에 위치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빔센서(70,71)들의 위치정렬을 수행하고자 하면, 상기 투광측 빔센서(70)로부터 빔이 조사되게 한 후, 상기 조사된 빔이 수광측 빔센서(71)가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빔수신 확인작업은 상기 투광측 빔센서(70)의 위치를 고정하여 두고, 상기 수광측 빔센서(71)의 위치를 상하로 조금씩 변화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빔센서(70,71)들을 위치정렬시키기 위한 작업의 효율을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차기본체의 양측에 위치한 빔센서들의 위치정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차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광측 빔센서;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에 따라 상기 투광측 빔센서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차기본체의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그 세차기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광측 빔센서; 및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세차기본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의 광경로를 가지며 육안으로 식별되는 빔을,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다른 하나에 조사시키는 빔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출력장치는 레이저 포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출력장치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간의 위치정렬을 위한 빔출력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빔센서들 간의 위치정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다른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와 빔출력장치(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는 세차기본체(도1참조;1)의 일측에 설치되고, LED와 같은 빔송신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는 상기 세차기본체의 타측(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차기본체의 일측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LED와 같은 빔수신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광측 빔센서(171)는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에 따라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수신함으로써, 수신결과에 따라 제어부가 세차용 브러시(도1참조;1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에 의해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의 수신이 차단되면, 수신차단결과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그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용 브러시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세차용 브러시의 상승으로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가 수신하게 되면, 수신결과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그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의 수신이 차단될 때까지 상기 세차용 브러시를 상하방향의 일정위치에서 상기 차량에 접촉하면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에 의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세차용 브러시를 동작시키기에 앞서,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는 평행한 방향의 일직선 상에 위치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의 위치정렬은 상기 빔출력장치(173)에 의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빔출력장치(173)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세차기본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의 광경로를 가지며, 도 4에 실선으로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육안으로 식별되는 빔을 조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출력장치(173)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에 설치되고, 육안으로 식별되는 레이저와 같은 빔을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 측에 조사시키는 레이저 포인터가 채용되었다. 특히,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는 수평방향의 위치정렬을 위한 레이저 수평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육안으로 식별되는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포이터에 의해 상기 수 광측 빔센서(171) 측에 수평방향으로 조사됨으로써,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가 평행한 방향으로의 일직선 상에 위치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로부터 조사되는 빔이 상기 수광측 빔센서(171)에 수신되었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위치정렬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결국 제품의 양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빔출력장치(173)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와 수광측 빔센서(171)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하나의 빔출력장치(173)가 다수개의 세차기본체에 채용될 수 있고, 채용과정에서 상기 빔출력장치(173)와 투광측 빔센서(170)측 간의 결합 또는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빔출력장치(173)를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예컨대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 측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빔출력장치(173)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170) 측에 걸림홈(미도시)을 마련하여 두고, 상기 빔출력장치(173)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빔출력장치(173)와 투광측 빔센서(170) 간의 결합 또는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 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세차기를 평면에서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를 측면에서 보인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0:투광측 빔센서 171:수광측 빔센서
173:빔출력장치

Claims (3)

  1. 세차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광측 빔센서;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의 굴곡에 따라 상기 투광측 빔센서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세차기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차기본체의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그 세차기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광측 빔센서; 및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세차기본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의 광경로를 가지며 육안으로 식별되는 빔을,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다른 하나에 조사시키는 빔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출력장치는 레이저 포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출력장치는, 상기 투광측 빔센서와 수광측 빔센서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KR2020070016409U 2007-10-09 2007-10-09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KR200444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09U KR200444466Y1 (ko) 2007-10-09 2007-10-09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09U KR200444466Y1 (ko) 2007-10-09 2007-10-09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46U KR20090003446U (ko) 2009-04-14
KR200444466Y1 true KR200444466Y1 (ko) 2009-05-14

Family

ID=4128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09U KR200444466Y1 (ko) 2007-10-09 2007-10-09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554B2 (ja) * 2018-03-07 2022-03-24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46U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466Y1 (ko)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JP5839948B2 (ja) 洗車機
JP6771984B2 (ja)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2010023777A (ja) 洗車機における車形検出方法及び車形検出装置
JP7316896B2 (ja) 車両処理装置
JP5492598B2 (ja)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6280774B2 (ja) 洗車機
JP4900258B2 (ja) 洗車機
KR100806869B1 (ko)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JP3902026B2 (ja) 車形検出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6301163B2 (ja) 洗車機
JP2021070387A (ja) 車両処理装置
JP2655360B2 (ja) 洗車機における上面乾燥装置
KR100981951B1 (ko)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
JP6779077B2 (ja) 洗車機における車形検出方法及び装置
JP6085449B2 (ja) 車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車機
JP7041554B2 (ja)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2004009972A (ja) 洗車機における車形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4047672B2 (ja) 車形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車機
JP5492665B2 (ja)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5586307B2 (ja) 洗車機
JP3718982B2 (ja) 門型洗車機
JP4641910B2 (ja) 洗車機
EP4261087A1 (en) Washing machine for vehicles having profiles with protruding parts and washing method of the said vehicles
JP4872965B2 (ja) カスタムミラー検出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