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59Y1 -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 Google Patents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59Y1
KR200444459Y1 KR2020080017028U KR20080017028U KR200444459Y1 KR 200444459 Y1 KR200444459 Y1 KR 200444459Y1 KR 2020080017028 U KR2020080017028 U KR 2020080017028U KR 20080017028 U KR20080017028 U KR 20080017028U KR 200444459 Y1 KR200444459 Y1 KR 200444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utomatic binder
arc
sheath
terminal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순
Original Assignee
두성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두성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2020080017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3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rapping or unwrapping wir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전선의 단부에 전원 단자핀을 자동으로 결착시킴에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부와 단자핀을 결합시키는 결착장치 사이에 피복의 제거 유무를 전선의 통전 상태로 감지 및 확인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불량 및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구 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1)의 상부면에 전선 공급부(2), 피복 탈피부(3) 및 결착장치(4)가 구비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피복 탈피부(3)와 결착장치(4) 사이에는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의 통전 상태를 감지하여 피복의 탈피 유무를 확인하도록 통전감지장치(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효 과>
따라서, 본 고안은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탈피)한 후 단자핀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통전 유무를 확인한 후에만 다음 단계인 결착장치로 넘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전선 불량(오류)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제품의 불량과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양산 및 자동화 공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통전감지장치, 피복, 자동결착기, 통전구간, 접선이동면, 통전체, 고정구, 지지대

Description

전원단자 자동결착기{Apparatus for terminal fastening machine}
본 고안은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의해 전원 단자핀이 전선 단부에 결합됨에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부와 단자핀을 결합시키는 결착장치 사이에 피복의 제거 유무를 전선의 통전 상태로 감지 및 확인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불량 및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는 도 1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프레임(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전선(10)을 일방향으로 진행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선 공급부(2)와, 상기 전선 공급부를 통해 진행되는 전단부측 피복(11)을 벗겨내도록 형성되는 피복 탈피부(3)와, 상기 피복 탈피부를 통해 소정의 피복(11)이 제거된 전선 단부에 단자핀(20)이 결합되도록 결착장치(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선(10)은 피복이 입혀진 상태에서 다수개의 피딩롤러(2a)와 가이드롤러(2b) 및 공급가이드(2c)를 갖는 전선 공급부(2)를 통해 피복 탈피부(3)로 진 행하게 되고, 상기 피복 탈피부에는 상,하 1조의 커팅날이 대기하고 있어 인입된 전선의 전기선(심선)을 제외한 피복(11) 일부를 베이듯 소폭 절삭하게 된다.
이후, 전선 공급부(2)는 설정된 타임머 또는 센서에 의해 피복(11)이 일부 절삭된 전선(10)을 진행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구간(거리)만큼 후진하게 하여 피복이 벗겨지도록 한다.
이때,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은 전원 단자핀(20)과 결착되기 위해 결착장치(4)의 설정된 결착위치로 이송하게 되고, 이후 이송된 전선(10)은 설정된 포인트에서 단자핀(20)과 결착된 후 다시 피복 탈피부(3)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핀(20)과 결착된 전선(10)은 탈피 없이 후발 공정으로 진행 또는 공급되도록 전선 공급부에 의해 최초 진행 방향대로 설정된 구간(거리)만큼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는 피복 탈피기(3)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11)을 벗겨냄에 있어서, 정확한 절삭 포인트를 세팅하지 못하거나 피복 탈피기(3)의 커팅날이 무뎌져 원활한 절삭을 실행하지 못할 경우, 전선의 피복이 제대로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감지 확인없이 다음 공정인 결착장치(4)로 이송되는 바, 이는 단자대와 결합시 전선과 정위치에 결착되지 못하여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불량이 계속되는 상태로 장치가 운전(동작)되어 전체 장치의 고장 원인이 되고 있고, 이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자가 발생되며 작업 지연에 따른 전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전선의 단부에 전원 단자핀을 자동으로 결착시킴에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부와 단자핀을 결합시키는 결착장치 사이에 피복의 제거 유무를 전선의 통전 상태로 감지 및 확인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불량 및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전선(10)을 일방향으로 진행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선 공급부(2)와, 상기 전선 공급부를 통해 진행되는 전단부측 피복(11)을 벗겨내도록 형성되는 피복 탈피부(3)와, 상기 피복 탈피부를 통해 소정의 피복(11)이 제거된 전선 단부에 단자핀(20)이 결합되도록 결착장치(4)가 구비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의 통전 유무를 확인하여 피복(11)의 탈피 상태를 체크하도록 피복 탈피부(3)와 결착장치(4) 사이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어 마주보는 내측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전구간(110)이 형성되는 복수의 통전체(100)와; 상기 복수의 통전체(100)를 각각 지지 고정하며 지지대에 대해 분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200)와; 상기 고정구(200)의 일측 및 타측과 결합되어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전체의 통전구간(110)은 피복이 제거된 전선(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저항의 분산을 위해 원호형으로 만곡된 접선 이동면(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체(100)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형상이 호형 판재(100a), 호형 선재(100b), 호형-바(100c), 회전롤러(100d)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탈피)한 후 단자핀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통전 유무를 확인한 후에만 다음 단계인 결착장치로 넘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전선 불량(오류)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제품의 불량과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양산 및 자동화 공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선의 단부에 전원 단자핀을 자동으로 결착시킴에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부와 단 자핀을 결합시키는 결착장치 사이에 피복의 제거 유무를 전선의 통전 상태로 감지 및 확인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불량 및 장치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통전감지장치는 전선의 인입(통과)에 따라 전기적 통전상태를 확인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통전체(100), 상기 통전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구(200) 및 상기 통전체를 포함한 고정구를 프레임(1)에 설치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전체(100)는 상기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의 통전 유무를 확인하여 피복(11)의 탈피 상태를 체크하도록 피복 탈피부(3)와 결착장치(4) 사이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어 마주보는 내측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전구간(1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고정구(200)는 복수의 통전체(100)를 각각 지지 고정하며 지지대(300)에 대해 분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지지대(300)를 통해 인입된 전원선과 연결되어 통전체(300)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200)는 지지대(300)와 절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단부와 결합되는 절연체(210)와, 상기 절연체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도체의 메인플레이트(22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어 통전체(100)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사이드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의 사이드플레이트(230)에 의해 통전체(100)는 메인플레이 트(220)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절연체(210)는 지지대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이 메인플레이트(220)를 통해 통전체(100)로 전달되되 지지대(300)로는 통전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대(300)는 고정구(200)의 일측 및 타측과 결합되어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통전체는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 피복 탈피부로부터 결착장치로 이송되는 과정 사이에 형성되는데, 피복이 벗겨져 노출된 전기선이 통과하면서 양음(+, -) 전극에 의해 피복 제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선의 직경보다 소폭 좁게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컨데, 피복이 벗겨진 전기선의 직경은 1~3mm 일 경우, 통전구간 즉 공극의 간격은 0.5~0.8mm)
이때, 상기 통전체의 통전구간(110)은 피복이 제거된 전선(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저항의 분산을 위해 원호형으로 만곡된 접선 이동면(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면이 원형인 전선(전기선)의 측면 진행시 통전구간 즉, 공극과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며 소폭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의 통전체 사이 통전구간(공극)은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공극 중앙으로 갈수록 완만한 호형 곡선을 이루도록 배려하여 이송되는 전선(전기선)이 마찰저항에 의해 꺽이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체(100)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형상이 호형 판재(100a), 호형 선재(100b), 호형-바(100c), 회전롤러(100d)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전체는 다양한 실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판재(100a)는 납작한 금속 판재를 원호형으로 구부리되, 상술한 접선 이동면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한뒤, 통전구간을 설정하여 고정구로 하여금 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호형 판재(100a)는 양단에는 절곡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의 사이드플레이트(230)로 하여금 메인플레이트(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메인플레이트와 결합시 일반적인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체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선재(100b)는 단면이 원형인 호형 중공관 또는 환봉형태로 이루어지되, 호형 판재에 비해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호형 판재와 같이 전선이 선회하며 결착장치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접선 이동면을 구비하여 통전구간(110)이 설정된 후 고정구로 하여금 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호형 선재(100b)는 양단에는 절곡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의 사이드플레이트(230)로 하여금 메인플레이트(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메인플레이트와 결합시 일반적인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통전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바(100c)는 상술한 고정구(200)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반면, 비교적 직경이 크고 강성이 큰 전선(10)의 통전유무를 정밀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전체의 몸체 전체가 도체로 이루어지되 상술한 호형 판재 및 호형 선재와 같이 접선 이동면을 구비하며 고정구의 메인플레이트 내부로 관통되는 연결축(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40)은 고정구의 메인플레이트(220)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삽입되되 별도의 텐션스프링(222)의 하여금 대칭된 호형-바가 서로 통전구간(공극)을 향해 밀고 있도록 탄성을 유지하며 연결축(140)의 단부는 너트(N)로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호형-바(100c)로 형성된 통전체는 결착장치로 이송되는 전선이 접선 이동면으로 하여금 인입되면 텐션스프링(222)에 의해 상하 압축되도록 형성되어 전선의 피복 유무 즉, 통전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는 사이드플레이트(230)가 생략된 형태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통전체의 다른 일 실시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100d)는 상술한 호형-바(100c)의 텐션 동작구조를 이용하되 서로 마주보는 통전구간은 회전롤러에 의해 직경이 비교적 작거나 강성이 약한 전선의 통과를 부드럽게 이송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구의 사이드플레이트(230)가 생략 가능하고 바로 메인플레이트(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메인플레이트의 관통공(221)으로 회전롤러의 연결축(150)이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텐션스프링(222)이 삽입된 후 너트(N)로 하여금 연결축(150)이 고정되어 상술한 호형-바처럼 상하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통전체는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으로부터 통전 확인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한편, 복잡한 구조의 추가 시스템 부설없이 결착 라인 중에 형성되어 제품 불량의 판단 및 장치 오류의 진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양산 또는 자동화라인에 대한 생산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전감지장치가 구비된 전원단자 자동결착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전감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전감지장치의 통전체를 다양하게 실시변형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프레임 2 ... 전선 공급부
3 ... 피복 탈피부 4 ... 결착장치
10 ... 전선 11 ... 피복
20 ... 단자핀 100 ... 통전체
110 ... 통전구간 200 ... 고정구
300 ... 지지대

Claims (4)

  1. 프레임(1)의 상부면에 전선 공급부(2), 피복 탈피부(3) 및 결착장치(4)가 구비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피복 탈피부(3)와 결착장치(4) 사이에는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의 통전 상태를 감지하여 피복의 탈피 유무를 확인하도록 통전감지장치(A)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용 통전감지장치(A)는
    상기 피복(11)이 벗겨진 전선(10)의 통전 유무를 확인하여 피복(11)의 탈피 상태를 체크하도록 피복 탈피부(3)와 결착장치(4) 사이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어 마주보는 내측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전구간(110)이 형성되는 복수의 통전체(100)와;
    상기 복수의 통전체(100)를 각각 지지 고정하며 지지대에 대해 분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200)와;
    상기 고정구(200)의 일측 및 타측과 결합되어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체의 통전구간(110)은
    피복이 제거된 전선(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저항의 분산을 위해 원호형으로 만곡된 접선 이동면(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체(100)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형상이 호형 판재(100a), 호형 선재(100b), 호형-바(100c), 회전롤러(100d)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4. 삭제
KR2020080017028U 2008-12-23 2008-12-23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KR200444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28U KR200444459Y1 (ko) 2008-12-23 2008-12-23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28U KR200444459Y1 (ko) 2008-12-23 2008-12-23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459Y1 true KR200444459Y1 (ko) 2009-05-14

Family

ID=4134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28U KR200444459Y1 (ko) 2008-12-23 2008-12-23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74B1 (ko) * 2017-04-28 2017-09-21 장정래 단자대 자동 압착기용 전선 공급장치
KR102078555B1 (ko) * 2019-06-05 2020-02-18 신두효 와이어 단자 결착기 및 이를 이용한 단자 결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74B1 (ko) * 2017-04-28 2017-09-21 장정래 단자대 자동 압착기용 전선 공급장치
KR102078555B1 (ko) * 2019-06-05 2020-02-18 신두효 와이어 단자 결착기 및 이를 이용한 단자 결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548B2 (en) Electric wire delivery apparatus and electric wire sizing-cu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444459Y1 (ko) 전원단자 자동결착기
CN114270644B (zh) 用于剥离电缆的设备和方法、及用于制造电缆的系统
CN113571991A (zh) 接线端子组装设备
CN107738919A (zh) 一种电子线路板自动化检测设备
JP6323098B2 (ja) ピン挿入装置及びピン挿入不良判定方法
CN111668768B (zh) 一种电缆检测辅助装置
JP4430005B2 (ja) 導通式ストリップ刃設定方法
KR101778943B1 (ko) 전선의 텐션유지 기능이 개선된 전선 자동공급장치
CN107611859A (zh) 剥线机
JP5229544B2 (ja) 被覆電線の被覆剥き装置
JP3706902B2 (ja) 光ファイバ布線装置と光ファイバ布線方法
JPS5848871A (ja) 多心ケ−ブルの電気試験装置
CN108110589A (zh) 一种低频电缆组件压接系统辊轮式切线机构
CN210803504U (zh) 一种带电缆流水线作业系统
CN106240869B (zh) 母线槽用的包装机
US11591179B2 (en) Multi-core cable core alignment device and multi-core cable core alignment method
JPH066922A (ja) 被覆電線の剥皮方法
JPS6232564B2 (ko)
CN207997121U (zh) 一种高精度自动化无铅焊接装置
CN110568208A (zh) 一种带电缆流水线作业系统
JP2017091990A (ja) 充電池検査装置、及び充電池検査方法
CN117444095B (zh) 一种配电柜加工用组装设备
CN117238659B (zh) 一种电感线圈绕线机构及电感全自动生产设备
CN212114267U (zh) 一种用于端子机的送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