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13Y1 -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13Y1
KR200441813Y1 KR2020070009842U KR20070009842U KR200441813Y1 KR 200441813 Y1 KR200441813 Y1 KR 200441813Y1 KR 2020070009842 U KR2020070009842 U KR 2020070009842U KR 20070009842 U KR20070009842 U KR 20070009842U KR 200441813 Y1 KR200441813 Y1 KR 200441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otor
case
coo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2020070009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14Cooling of electronic units in air str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케이스(22)의 중앙 내부에는 블로워모터(M)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케이스(22)의 연결플랜지(22b)는 블로워케이스(26)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터케이스(22)에 냉각통로부(22c)를 형성하여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부(22c)를 통해 블로워모터(M)로 안내하여 블로워모터를 냉각하되, 상기 연결플랜지(22b)의 측면에 연통구멍(22d)이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가 상기 냉각통로부(22c)의 내부에 유입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공수가 줄어지며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블로워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cooling structure of blower motor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종래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블로워팬은 생략),
도4는 도2의 블로워케이스와 모터커버의 내부를 나타낸 절단사시도(블로워팬 및 블로워모터는 생략),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블로워팬은 생략),
도7은 도5의 블로워 케이스와 모터커버의 내부를 나타낸 절단사시도(블로워팬 및 블로워모터는 생략)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22 : 모터케이스 22a : 모터삽입부
22b : 연결플랜지 22c : 냉각통로부
22d : 연통구멍 26 : 블로워케이스
M : 블로워모터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조장치는, 외부에서 도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또는 내기를 도입하는 송풍유니트(1)와, 흡입된 공기를 냉매의 증발에 의해 냉각시키거나 엔진 냉각수의 냉각열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니트(2)(증발기 및 히터 코어 유니트)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니트(1)는, 상부에 외기 도입부(3) 및 내기 도입부(4)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 중심에 블로워(5)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 측면에는 열교환유니트 공기유입구(7)와 결합하는 송풍유니트 공기토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유니트(2)는, 측면에 상기 열교환유니트 공기유입구(7)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증발기 코어 및 히터 코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안내되는 취출구(9)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종래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블로워팬을 생략한 도면이며, 도4는 도2의 블로워케이스와 모터커버의 내부를 나타낸 절단사시도로서 블로워팬 및 블로워모터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케이스(12)의 모터삽입부(12a) 내부에는 블로워모터(14)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삽입부(12a)의 단부 외주 면에는 연결플랜지(12b)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2b)가 블로워케이스(16)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2)에는 상기 블로워케이스(16) 내의 공기를 상기 블로워모터(14)로 안내하여 블로워모터를 냉각하도록 냉각통로부(1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워케이스(16)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통로부(12c)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통로부(12c)의 내부에 연통하는 연통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케이스(12)에 냉각통로부(12c) 대신에 상기 블로워케이스(16)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블로워모터(14)로 안내하는 별도의 냉각호스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에서는, 블로워케이스(16)에 연통구멍(16a)을 형성하여 냉각통로부(12c)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블로워케이스(16)와 모터케이스(12)의 조립부(연결부)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어 블로워모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며, 별도의 냉각호스를 사용하는 냉각구조에서는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공수가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공수가 줄어지며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블로워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케이스의 중앙 내부에는 블로워모터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케이스의 연결플랜지는 블로워케이스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터케이스에 냉각통로부를 형성하여 상기 블로워케이스 내의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부를 통해 블로워모터로 안내하여 블로워모터를 냉각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의 측면에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케이스 내의 공기가 상기 냉각통로부의 내부에 유입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블로워팬을 생략한 도면이며, 도7는 도5의 블로워케이스와 모터커버의 내부를 나타낸 절단사시도로서 블로워팬 및 블로워모터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케이스(22)의 모터삽입부(22a) 내부에는 블로워모터(M)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삽입부(22a)의 단부 외주면에는 연결플랜지(22b)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22b)가 블로워케이스(26)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22)의 모터삽입부(22a)의 중간 외주면에는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를 상기 블로워모터(M)로 안내하여 블로워모터를 냉각하도록 냉각 통로부(22c)가 상기 모터삽입부(22a)의 내부에 연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플랜지(22b)의 측면에는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가 상기 냉각통로부(22c)의 내부에 유입하도록 냉각통로부(22c)에 연통하는 연통구멍(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22b)는 상기 블로워케이스(26)의 내부바닥면(26a)보다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통로부(22c)가 형성된 부분에는 살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상기 연통구멍(22d)은 상기 블로워케이스(26)의 내부와 상기 냉각통로부(22c)의 내부를 직접 연통시켜, 도6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케이스(26) 내부의 공기가 바로 상기 냉각통로부(22c)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므로, 블로워케이스(26)와 모터케이스(22)의 연결부에서 냉각공기가 누설될 염려가 없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는, 블로워케이스에 별도의 연통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블로워케이스(26) 내부의 공기가 모터케이스(22)의 냉각통로부(22c)로 유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공수가 줄어지며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블로워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터케이스(22)의 중앙 내부에는 블로워모터(M)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케이스(22)의 연결플랜지(22b)는 블로워케이스(26)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터케이스(22)에 냉각통로부(22c)를 형성하여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부(22c)를 통해 블로워모터(M)로 안내하여 블로워모터를 냉각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22b)는 상기 블로워케이스(26)의 내부바닥면(26a)보다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워케이스(26)의 내부바닥면(26a)보다 돌출한 상기 연결플랜지(22b)의 측면에 연통구멍(22d)이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케이스(26) 내의 공기가 상기 냉각통로부(22c)의 내부에 유입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구조.
KR2020070009842U 2007-06-15 2007-06-15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KR200441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842U KR200441813Y1 (ko) 2007-06-15 2007-06-15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842U KR200441813Y1 (ko) 2007-06-15 2007-06-15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813Y1 true KR200441813Y1 (ko) 2008-09-08

Family

ID=4164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842U KR200441813Y1 (ko) 2007-06-15 2007-06-15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895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506726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11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41813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KR101493266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KR20080078280A (ko) 차량용 송풍기 모터의 냉각장치
KR1014673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20110131998A (ko)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 고정부재
US1051316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O2018016197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14300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1198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모터의 냉각장치
KR1015203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43748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덕트연결구조
JP20151238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25986B1 (ko) 자동차 공기 조화기의 모터 냉각용 모터 커버구조
KR1017379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23787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64965Y1 (ko)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케이스
JP66713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0755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