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66B1 -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66B1
KR101493266B1 KR20080130915A KR20080130915A KR101493266B1 KR 101493266 B1 KR101493266 B1 KR 101493266B1 KR 20080130915 A KR20080130915 A KR 20080130915A KR 20080130915 A KR20080130915 A KR 20080130915A KR 101493266 B1 KR101493266 B1 KR 10149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air conditioning
condensed water
vehicle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491A (ko
Inventor
변상철
김용호
박대근
이남준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30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드레인 호스의 일측 구간에 형성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조립시 꼬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일단부 및 차실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레인 호스, 암결합체부, 숫결합체부, 공조장치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DRAIN HO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레인 호스의 일측 구간에 형성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조립시 꼬이지 않도록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공조장치는, 겨울철에는 온기를 발생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에는 송풍실(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실(12)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송풍팬(22)과, 송풍팬(22)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24)를 구비한다. 이러한 송풍기(20)는,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외기도입구(13) 또는 내기도입구(14)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 통로(15)로 송풍한다.
여기서, 송풍기(20)의 송풍팬(22)은 양방향 흡입형 팬으로서, 상부의 제 1팬부(22a)와 하부의 제 2팬부(22b)로 구성되며, 이들 제 1 및 제 2팬부(22a, 22b)는 송풍실(12)의 상부공기와 하부공기를 각각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내부통로(15)로 각각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5)상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실(17)과, 이 냉각실(17)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실(17)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도입시켜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공조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및, 외기도입구(13)로부터 송풍실(12)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배수구조(40)는, 송풍실(12)의 바닥면(12a)과 냉각실(17)의 바닥면(17a)을 연결하는 배수통로(44)와, 냉각실(17)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a) 바닥면(17a)에 형성되는 드레인 포트(Drain Port: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42)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드레인 호스(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드레인 호스(50)는, 대시판넬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은 고무호스로 형성되어 있고 엔진룸측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공조장치는, 송풍실(12)의 바닥면(12a)과 연통되는 입구(44a)와, 냉각실(17)의 바닥면(17a)과 연통되는 출구(44b)를 가진 배수통로(44)를 통해 송풍실(12)의 바닥면(12a)에 고인 수분을 냉각실(17)의 바닥면(17a)으로 배수시킨다. 상기 냉각실(17)의 바닥면(17a)으로 배수된 수분은, 바닥면(17a)의 드레인 포트(42)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공조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30)의 외부를 흐르는 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표면에 맺히게 된다. 이렇게 증발기(30)에 맺힌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증발기(30)를 타고 떨어지다가 하부케이스(10a)의 바닥면(17a)에 모인 후, 드레인 포트(42)로 이동한다. 상기 드레인 포트(42)까지 이동한 응축수는, 드레인 포트(42)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50)의 안내를 받아 차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배수구조(40)를 통해 하부케이스(10a)에 모인 응축수와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써, 증발기(30)의 응축수와 송풍실(12)의 수분으로 인한 각종 장치들의 손상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구조(40)에 구비되는 드레인 호스(50)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포트(42)에 고무호스 부분을 연결한 후 대시패널(52)의 구멍을 통해 밴딩된 파이프부분을 엔진룸측으로 삽입시킨 후 설치된다.
그런데, 엔진룸측에서 이루어지는 드레인 호스(50)의 설치작업은, 대시판넬로 가려져 차실내측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 진룸에서 이루어지는 드레인 호스(50)의 설치작업은, 주변이 복잡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가 꼬인 채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드레인 호스(50)가 꼬인 상태로 조립이 되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공조케이스(10)에 고여 썩게 된다.
또한, 드레인 호스(50)가 꼬임에 따라 배출되지 못하고 고인 응축수는, 증발기(30)의 하단까지 잠겨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리고, 에어콘 가동시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이렇게 드레인 호스의 조립작업시 꼬임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조립작업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 호스의 일측 구간에 형성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조립시 꼬이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 호스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 레인 호스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일단부 및 차실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드레인 호스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암결합체부와, 상기 암결합체부에 결합되도록 드레인 호스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숫결합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결합체부는, 드레인 호스의 타측단에 밀착되도록 드레인 호스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누설방지단과, 상기 누설방지단을 두고 일정 깊이 내주면에 삽입 형성되는 암중공체와, 상기 암중공체의 후단 가장자리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숫결합체부는, 암결합체부의 누설방지단이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드레인 호스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숫중공체와, 상기 숫중공체가 암중공체에 삽입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에 암중공체의 걸림홈에 걸려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억지끼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 호스의 취급시 부주의로 인하여 또는 설치상 부득이하게 드레인 호스가 움직이더라도, 차실내측의 호스가 꼬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의 배수로가 막히는 일이 없어, 응축수가 고여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조립작업시 차실내측 드레인 호스의 꼬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의 송풍실(12)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송풍팬(22)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24)를 구비한다. 이러한 송풍기(20)는,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외기도입구(13) 또는 내기도입구(14)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5)로 송풍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5)에는, 냉각실(17)에 증발기(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3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및, 외기도입구(13)로부터 송풍실(12)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배수구조(40)는, 송풍실(12)의 바닥면(12a)과 냉각실(17)의 바닥면(17a)을 연결하는 배수통로(44)와, 냉각실(17)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a) 바닥면(17a)에 형성되는 드레인 포트(Drain Port: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42)에는,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드레인 호스(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일반적인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50)는, 대시판넬(52)을 기준으로 차실내측(I)은 고무호스(R)로 형성되어 있고 엔진룸측(E)은 파이프(P)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50)의 특징부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50)는, 대시판넬(52)을 기준으로 차실내측(I)은 고무호스(R)로 형성되고, 엔진룸측(E)은 파이프(P)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호스(R) 부분에는,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꼬임이 방지되는 연결수단(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드레인호스(50)의 일단부에 암결합체부(62)가 형성된다. 상기한 암결합체부(62)는, 드레인 호스(50)의 일단부에 이중 사출로 형성된다. 상기 암결합체부(62)는, 드레인 호스(50)에 이중 사출 제조방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에 제한받지 않고 다른 제조방법을 통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암결합체부(62)는, 드레인 호스(50)의 끝단에서 일정 깊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상기 암결합체부(62)를 드레인 호스(50)의 단부에서 일정 깊이 안쪽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누설방지단(64)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누설방지단(62)은, 호스간 접촉이 기밀하도록 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누설방지단(64)의 안쪽 내주면에는, 이중 사출로 삽입되는 암중공체(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암중공체(66)의 후단 가장자리 측면에는 걸림홈(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68)에는, 후술할 숫결합체부(70)가 조립후에 빠지지 않도록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60)에는, 차실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드레인호 스(50)의 타단부에 숫결합체부(70)가 형성된다. 상기한 숫결합체부(70)는, 이중사출 제조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숫결합체부(70)는, 드레인 호스(50)에 이중 사출 제조방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에 제한받지 않고 다른 제조방법을 통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숫결합체부(70)에는, 드레인 호스(50)의 타단부에 외부로 돌출되어 암결합체부(62)의 누설방지단(64)이 삽입되도록 일부분을 노출시킨 숫중공체(72)가 형성된다.
상기 숫중공체(72)에는, 암중공체(66)에 삽입이 유지되도록 하는 삽입관(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74)의 선단에는, 암중공체(66)의 걸림홈(68)에 걸려 조립되도록 하는 억지끼움 날개(7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수단(60)을 이용한 드레인 호스(5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파이프(P)부분과 가까이에 형성된 숫결합체부(70)의 삽입관(74)을 드레인 포트(42)측 가까이 연결되는 암결합체부(62)의 암중공체(66)에 억지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관(74)의 선단에 형성된 억지끼움 날개(76)는, 수축된 상태로 암중공체(66)를 통과한 후 펼쳐져 암중공체(66)에 걸리게 된다.
상기 삽입관(74)의 선단에 형성된 억지끼움 날개(76)는, 암중공체(66)의 가장자리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68)에 긴밀하게 걸림에 따라 응축수 및 수분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74)이 암중공체(66)에 결합되면, 숫중공체(72)의 일부 는, 암결합체부(62)의 누설방지단(64)에 삽입됨으로써, 고무호스(R)간 밀착되어 응축수 및 수분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연결수단(60)으로 연결된 드레인 호스(5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상기한 연결수단(60)으로 연결된 드레인 호스(50)의 설치작업은, 차량의 실내측(I)에 장착된 공조케이스(10)의 드레인 포트(42)에 고무호스(R) 부분을 이용하여 드레인 호스(50)를 연결한다.
상기한 차실내측에서 드레인 포트(42)에 대한 드레인 호스(50)의 설치가 완료되면, 타단의 밴딩된 파이프(P) 부분을 대시판넬(52)의 구멍을 통해 엔진룸측(E)으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한 대시판넬(52)의 구멍을 통해 엔진룸측으로 삽입된 드레인 호스(50)의 파이프부분을 잡고, 복잡한 엔진룸내 상황에 맞도록 설치한다. 이때, 드레인 호스(50)의 파이프부분을 잡고 설치 위치에 맞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더라도 차실내에 위치한 연결수단(60)에 의해 드레인 호스(50)가 꼬이지 않게 된다.
즉, 엔진룸측에 있는 드레인 호스(50)가 회전하더라도, 차실내측에 있는 연결수단(60)의 숫결합체부(70)와 암결합체부(62)가 서로 헛돌기 때문에, 꼬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실내측 드레인 포트(42)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50)는, 꼬여서 꺽이거나 눌리지 않고 정확히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드레인 호스(50)가 꼬이지 않고 정확히 연결됨에 따라, 응축수 및 수분은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공조케이스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 내부의 응축수 및 수분이 배출되는 드레인 호스에 연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드레인 호스의 조립 작업시 일부분이 꼬이지 않고 정확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 공조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드레인 호스의 조립시 발생하는 호스의 꼬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드레인 호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조케이스 50: 드레인 호스(Drain Hose)
60: 꼬임방지 연결수단 62: 암결합체부
64: 누설방지단 66: 암중공체
68: 걸림홈 70: 숫결합체부
72: 숫중공체 74: 삽입관
76: 억지끼움 날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증발기(30)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드레인 호스(5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5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일단부 및 차실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60)은, 드레인 호스(5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암결합체부(62)와, 상기 암결합체부(62)에 결합되도록 드레인 호스(5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숫결합체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암결합체부(62)는, 드레인 호스(50)의 타측단에 밀착되도록 드레인 호스(5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누설방지단(64)과, 상기 누설방지단(64)을 두고 일정 깊이 내주면에 삽입 형성되는 암중공체(66)와, 상기 암중공체(66)의 후단 가장자리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4. 증발기(30)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드레인 호스(5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5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일단부 및 차실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한 연결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60)은, 드레인 호스(5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암결합체부(62)와, 상기 암결합체부(62)에 결합되도록 드레인 호스(5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숫결합체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숫결합체부(70)는, 암결합체부(62)의 누설방지단(64)이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드레인 호스(5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숫중공체(72)와, 상기 숫중공체(72)가 암중공체(66)에 삽입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관(74)과, 상기 삽입관(74)의 선단에 암중공체(66)의 걸림홈(68)에 걸려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억지끼움 날개(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KR20080130915A 2008-12-22 2008-12-22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KR10149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915A KR101493266B1 (ko) 2008-12-22 2008-12-22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915A KR101493266B1 (ko) 2008-12-22 2008-12-22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491A KR20100072491A (ko) 2010-07-01
KR101493266B1 true KR101493266B1 (ko) 2015-02-16

Family

ID=4263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915A KR101493266B1 (ko) 2008-12-22 2008-12-22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30B1 (ko) * 2013-03-18 2019-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의 드레인 호스
KR101666562B1 (ko) * 2013-08-19 2016-10-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6565B1 (ko) * 2013-08-20 2016-10-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52983B1 (ko) * 2014-01-20 2018-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37A (ja) * 1991-07-26 1993-02-09 Asahi Glass Co Ltd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ー用記録シート
JPH11170853A (ja) * 1997-12-13 1999-06-2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におけるドレンホース構造
JP2000158937A (ja) * 1998-11-25 2000-06-13 Denso Corp クーラユニット
JP2004291701A (ja) 2003-03-25 2004-10-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37A (ja) * 1991-07-26 1993-02-09 Asahi Glass Co Ltd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ー用記録シート
JPH11170853A (ja) * 1997-12-13 1999-06-2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におけるドレンホース構造
JP2000158937A (ja) * 1998-11-25 2000-06-13 Denso Corp クーラユニット
JP2004291701A (ja) 2003-03-25 2004-10-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491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266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US20150165866A1 (en) Aspirator in-car sensor module for vehicle, installation structure of in-car sensor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US20130074528A1 (en) Air dehumidification unit and process
KR10164972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KR1014673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20160091227A (ko) 냉난방 모듈
US6716100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CN107107713B (zh) 用于机动车辆的供暖、通风和/或空调装置
JP2002331823A (ja) クーラユニットの凝縮水排出装置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97630B1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드레인 호스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40083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203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0755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1157002A (ja) 車両用空調装置の排水構造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32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KR101282851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냉각수 유입/배출 파이프 고정구조
KR100917579B1 (ko)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101982754B1 (ko) 차량용 공조케이스
KR10095040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