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689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689Y1
KR200441689Y1 KR2020070000723U KR20070000723U KR200441689Y1 KR 200441689 Y1 KR200441689 Y1 KR 200441689Y1 KR 2020070000723 U KR2020070000723 U KR 2020070000723U KR 20070000723 U KR20070000723 U KR 20070000723U KR 200441689 Y1 KR200441689 Y1 KR 200441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pace
plate
contai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705U (ko
Inventor
장규철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to KR202007000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68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사각형의 중앙교란판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앙교란판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적어도 일 측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측방교란판을 가지고, 상기 중앙교란판과 상기 측방교란판이 상기 수납컵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을 통해 상기 착즙통과 상기 배출통 중 어느 일방에 고정 결합되는 교란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즙이 수납컵으로 낙하할 때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착즙, 투입관, 교란팬, 컵구동축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교란팬의 사시도,
도4는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지지축 14, 114 : 투입관
30, 130 : 착즙통 31, 131 : 이송공간부
32, 132 : 착즙공간부 15, 115 : 배출통
40, 140 : 원동착즙체 50, 150 : 종동착즙체
60 : 교란팬 61 : 중앙교란판
62 : 고정축 63 : 측방교란판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착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 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착즙기가 안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4는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중공(中空)형태의 받침판(111b)과, 하우징(1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130)과, 착즙통(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15)과, 받침판(1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납컵(119)과, 착즙통(1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14)과,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150)와,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착즙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착즙구동축(112a)에 더하여 받침판(111b)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112b)과, 착즙구동축(112a)과 컵구동축(112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1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131)와, 이송공간부(1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13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131)는 내부에 이송공간(1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1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132)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은 착즙공간(1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즙공간부(132)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30)은 이송공간(131a)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131)의 후면이 하우징(1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131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후술하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15)은 착즙공간부(1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15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컵(119)은 즙배출개구(115a)의 하측영역에서 컵구동축(112b)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투입관(1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1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141)와, 각각 원동축부(1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142) 및 원동착즙요철부(143)를 갖고 있다.
원동이송요철부(1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원동이송요철부(1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후단은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14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151)와, 각각 종동축부(1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152) 및 종동착즙요철부(153)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원동이송요철부(1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전방에서 원동착즙요철부(143)에 치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종동축전방지지홈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1)의 종동축후방지지 홈(1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와, 상판부(1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82)와, 투입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8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181a)이 지지축(113)의 걸림홈(1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112a)과 컵구동축(112b)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가 회전하면, 투입관(1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1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1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142)와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시 분쇄된 후, 착즙공간(1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1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115)의 즙배출개구(115a)를 통과한 후, 수납컵(119)으로 낙하한다. 여기서 즙이 수납컵(119)으로 낙하할 때 즙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한다.
그리고 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배출통(115)의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컵구동축(112b)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컵(119)도 회전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즙이 수납컵(119)으로 낙하할 때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기포가 취식때까지 그대로 유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즙이 수납컵으로 낙하할 때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사각형의 중앙교란판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앙교란판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적어도 일 측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측방교란판을 가지고, 상기 중앙교란판과 상기 측방교란판이 상기 수납컵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을 통해 상기 착즙통과 상기 배출통 중 어느 일방에 고정 결합되는 교란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즙액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즙액표면의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교란판은 상광하협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포를 더욱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측방교란판은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교란창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판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교란보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교란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중공(中空)형태의 받침판(11b)과, 하우징(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3)과,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30)과, 착즙통(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5)과, 받침판(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납컵(19)과, 배출통(15)에 고정 결합되는 교란팬(60)과, 착즙통(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4)과, 착즙구동축(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40)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50)와,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전면 착즙구동축(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2)는 착즙구동축(12a)에 더하여 받침판(11b)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12b)과, 착즙구동축(12a)과 컵구동축(12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31)와, 이송공간부(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3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31)는 내부에 이송공간(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32)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은 착즙공간(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즙공간부(32)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30)은 이송공간(31a)이 지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31)의 후면이 하우징(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31b)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고정돌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4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후술하는 종동축부(5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5)은 착즙공간부(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5b)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컵(19)은 즙배출개구(15a)의 하측영역에서 컵구동축(12b)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교란팬(60)은 사각형의 중앙교란판(61)과, 중앙교란판(61)의 상단으로부터 중앙교란판(61)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축(62)과, 중앙교란판(61)의 양측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방교란판(63)을 갖고 있다.
고정축(62)은 상단에 고정홈(62a)이 길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앙교란판(61)은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측방교란판(63)은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63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각 교란창(63a)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교란보조판(63b)이 판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란팬(60)은 고정홈(62a)에 고정돌부(15c)를 억지끼움시킴으로써 배출통(15)에 고정된다.
투입관(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41)와, 각각 원동축부(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42) 및 원동착즙요철부(43)를 갖고 있다.
원동이송요철부(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43)는 원동이송요철부(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 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40)는 원동축부(41)의 전단이 배출통(15)의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후단은 착즙구동축(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42)는 이송공간(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43)는 착즙공간(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51)와, 각각 종동축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52) 및 종동착즙요철부(53)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52)는 원동이송요철부(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종동착즙요철부(53)는 종동이송요철부(52)의 전방에서 원동착즙요철부(43)에 치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50)는 종동축부(51)의 전단이 배출통(15)의 종동축전방지지홈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52)는 이송공간(31a)을 통과하고 종동착즙요철부(53)는 착즙공간(32b)을 통과한다.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와, 상판부(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82)와, 투입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81)로부터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81a)이 지지축(13)의 걸림홈(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12a)과 컵구동축(12b)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40)와 종동착즙체(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40)와 종동착즙체(50)가 회전하면, 투입관(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42)와 종동이송요철부(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시 분쇄된 후, 착즙공간(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15)의 즙배출개구(15a)를 통과한 후, 수납컵(19)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배출통(15)의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컵구동축(12b)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컵(19)도 회전한다.
수납컵(19)이 회전할 때 수납컵(19)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교란팬(60)에 의해 파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컵(19)의 내부에서 수납컵(1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교란팬(60)을 마련함으로써, 즙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교란판(61)을 상광하협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즙액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즙액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교란팬과 즙액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됨).
그리고 교란창(63a)과 각 교란창(63a)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판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교란보조판(63b)을 포함하도록 측방교란판(63)을 구성함으로써, 기포를 더욱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교란창과 측방교란판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즙액의 유동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포가 파괴될 가능성이 커짐).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즙회전체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종동착즙회전체(50)로 분할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단일형태로 착즙회전체를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컵의 내부에서 수납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교란팬을 마련함으로써, 즙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고 즙을 자연스럽게 혼합시켜 준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사각형의 중앙교란판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앙교란판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중앙교란판의 적어도 일 측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교란창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판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교란보조판을 구비한 측방교란판을 가지고, 상기 중앙교란판과 상기 측방교란판이 상기 수납컵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을 통해 상기 착즙통과 상기 배출통 중 어느 일방에 고정 결합되는 교란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070000723U 2007-01-15 2007-01-15 착즙기 KR200441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23U KR200441689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23U KR200441689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05U KR20080002705U (ko) 2008-07-18
KR200441689Y1 true KR200441689Y1 (ko) 2008-09-02

Family

ID=4149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723U KR200441689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6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28Y1 (ko) * 2009-12-30 2013-10-28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9629Y1 (ko) * 2009-12-30 2013-10-28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음식재료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05U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0730B1 (en) Ice-breaking device
CN102149305A (zh) 榨汁机模块及垂直螺旋榨汁机
KR200437750Y1 (ko) 착즙기
CN108430285A (zh) 食品加工机螺旋切割附件
CN113490441B (zh) 用于从水果和/或蔬菜中提取汁液的装置
KR200441689Y1 (ko) 착즙기
ES2362596B1 (es) Centrifugadora de alto rendimiento.
US20130206017A1 (en) Citrus juice extractor
EP3250330B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used capsules and/or cartridges, for example of coffee or some other infusion, for separ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from the rest of the pack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101455080B1 (ko) 착즙기
US20230121117A1 (en) A juicer
KR101257443B1 (ko)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RU2448633C1 (ru) Модуль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шнеком
KR101232461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0439506Y1 (ko) 착즙기
JP6104441B1 (ja) 食品入り包装容器の分離機
KR101267808B1 (ko) 착즙기
KR102087077B1 (ko) 식판 자동 분리장치
KR200437749Y1 (ko) 착즙기
US20220361716A1 (en) Blender
KR200313468Y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및 이물질 분리장치
JP2022548236A (ja) フードプロセッサー
KR20043950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6655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