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443B1 -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Google Patents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443B1 KR101257443B1 KR1020120103395A KR20120103395A KR101257443B1 KR 101257443 B1 KR101257443 B1 KR 101257443B1 KR 1020120103395 A KR1020120103395 A KR 1020120103395A KR 20120103395 A KR20120103395 A KR 20120103395A KR 101257443 B1 KR101257443 B1 KR 101257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shaft
- packing
- hole
- juice
- juic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이 상부를 향하게 구동모터가 내설된 본체의 상부로 착즙 통과 여과 망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 망의 내부에 스크류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과 스크류가 연결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의 바닥에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로 착즙 통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안치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안치 공간에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의 둘레로 융기되어 구동축을 감싸는 방수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방수 패킹이 착즙 통의 바닥 저면에 위치하게 되면 방수 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의 방수 패킹의 설계가 가능해져 방수 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국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에 의해 착즙 통이 관통된 부분으로 착즙 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착즙 통의 저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끼워지는 방수 패킹이 구동축이 돌출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방수 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 등을 착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착즙기는 스크류가 수평으로 놓이는 수평형 착즙기와 스크류가 수직으로 놓이는 수직형 착즙기로 구분된다.
상기 수평형 착즙기는 수평으로 놓인 스크류의 일단이 구동모터의 동력전달 축과 결합하게 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크류의 타단에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처짐 현상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는 동안 스크류의 타단에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착즙시 떨림 및 소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착즙 대상물이 고르게 착즙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형 착즙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형 착즙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직형 착즙기는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스크류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스크류가 회전하여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형 착즙기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29640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가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주스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주스기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는 뚜껑(10)과, 유입된 음식물을 절단, 분쇄 또는 압축하며 하측으로 이송하고, 회전축(41)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40) 측면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지고, 저면에 찌꺼기가 배출되는 망드럼배출공(54)이 형성되는 망드럼(50)과,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도록 상기 스크류(40) 및 망드럼(50)이 결합되고, 외측면에 즙배출구(21)가 형성되고, 상기 망드럼배출공(54)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10)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20)과, 상측에 상기 하우징(20)이 놓이는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41)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4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32)이 형성되는 구동몸체(30) 및 상기 망드럼배출공(54) 또는 찌꺼기배출구(22)를 개폐하는 찌꺼기개폐기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찌꺼기개폐기구(80)는 상기 망드럼배출공(54) 또는 찌꺼기배출구(2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다소 돌출형성된 방수부(23)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부(23)의 중앙에 관통공(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회전축(41)의 하단이 하방으로 삽입되어 구동축(3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방수부(23)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즙이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몸체(3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관통공(23a)에는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관통공패킹(25)이 형성되어 즙이 구동몸체(3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방수부(23)의 관통공(23a)에 관통공패킹(25)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패킹(25)에 구동축(32)이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동축(32)과 관통공패킹(25)의 접촉면적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방수부(23)는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에 관통공(23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단면이 대략 "⊂"와 같은 링 형상을 갖는 관통공패킹(25)이 관통공(23a)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관통공(23a)의 내경과 방수부(23)의 상면 및 하면이 관통공패킹(25)에 싸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구동축(32)과 접촉하는 부분이 관통공패킹(25)의 내경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관통공패킹(25)의 내경이 마모되는 경우 틈새가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동축(32)과 관통공패킹(25)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선행기술의 구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패킹(25)의 내경 높이(H)가 방수부의 상면 두께로 제한되기 때문에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구동축(32)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구동축(32)의 일단과 타단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구동축(32)의 일단 중심과 타단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해야 하지만 구동축(32)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구동축(32)의 일단 중심과 타단 중심이 어긋나는 휨이 발생하여 구동축 회전시 일단과 타단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구동축(32)의 일단과 타단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관통공패킹(25)에 끼워져 회전하게 되면 관통공패킹(25)의 내경을 구동축(32)이 무리하게 압착되어 관통공패킹(25)의 마모를 더욱 가속시키게 되어 결국 관통공패킹(25)과 구동축(32)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즙 통을 관통하여 스크류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이 착즙 통을 관통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패킹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구동축이 상부를 향하게 구동모터가 내설된 본체의 상부로 착즙 통과 여과 망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 망의 내부에 스크류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과 스크류가 연결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의 바닥에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로 착즙 통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안치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안치 공간에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의 둘레로 융기되어 구동축을 감싸는 방수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 패킹은 그 끝단의 지름 크기가 안치 공간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뿔 기둥의 형상을 갖고, 상기 안치 공간은 방수 패킹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 패킹은 외경 둘레에 제 1 밀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착 돌기에 대응하는 안치 공간에 제 1 밀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밀착 돌기와 제 1 밀착 홈이 요철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 패킹은 내경 둘레로 제 2 밀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내경에 구동축이 끼워졌을 때 제 2 밀착 돌기가 구동축의 외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진 구동축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구동축이 관통하는 커버측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측 관통공의 저면과 본체의 상면 사이에 방수 패킹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측 관통공은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커버측 관통공과 본체의 상면 사이에 조립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 패킹의 하단 둘레로 걸림 턱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 공간에 걸림 턱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의하면, 방수 패킹이 착즙 통의 바닥 저면에 위치하게 되면 방수 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의 방수 패킹의 설계가 가능해져 방수 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국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착즙 통의 바닥에 구동축을 감싸는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착즙 액의 수위보다 구동축과 착즙 통이 만나는 입구가 높아져 착즙 액이 입구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축이 기울어져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패킹구조가 적용되는 착즙기는 구동축(112)이 상부를 향하게 구동모터가 내설된 본체(110)의 상부로 착즙 통(120)과 여과 망(130)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 망(130)의 내부에 스크류(14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12)과 스크류(14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동축 패킹구조는 상기 착즙 통(120)의 바닥에 구동축(112)이 관통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의 둘레로 착즙 통(12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안치 공간(126)이 형성된 함몰부(124) 및 상기 함몰부(124)의 안치 공간(126)에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112)의 둘레로 융기되어 구동축(112)을 감싸는 방수 패킹(15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착즙 통(120)에 장착된 스크류(14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구동축(112)은 본체(110)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착즙 통(1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착즙 통(120)의 내부에는 여과 망(130)과 스크류(140)가 장착되는데, 상기 착즙 통(120)의 하부에는 착즙 액을 배출시키는 즙 배출구(121)와 찌꺼기를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 망(130)은 측벽으로 미세 홀(132)이 형성되고 착즙 통(120)에 투입된 착즙 대상물이 스크류(140)의 회전에 따라 여과 망(130)의 측벽으로 압착되어 으깨지면서 착즙 액과 찌꺼기로 분리시켜 착즙 통(12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112)이 착즙 통(1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착즙 통(120)의 바닥에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착즙 통(120)의 내부에 위치한 구동축(112)은 스크류(140)의 하단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스크류(140)로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축(112)과 스크류(140)가 연결될 때 착즙 시 발생하는 착즙 액이 관통홀(122)을 통해 착즙 통(1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착즙 통(120)의 저면에 함몰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124)에 방수 패킹(150)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착즙 통(12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중심으로 착즙 통(120)의 바닥이 내부를 향해 함몰된 함몰부(124)가 형성되어 안치 공간(126)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 공간(126)에 본체(110)의 상면에서 융기되고 구동축(112)의 둘레를 감싸는 방수 패킹(150)이 끼워져 착즙 액이 관통홀(122)과 구동축(112)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방수 패킹(150)은 그 끝단의 지름 크기가 안치 공간(126)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뿔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수 패킹(150)의 중심에 내경(151)이 형성되어 구동축(112)이 상기 내경(151)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착즙 통(120)의 바닥에 형성된 함몰부(124)의 안치 공간(126)은 방수 패킹(150)의 외형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안치 공간(126)은 착즙 통(120)의 내부로 갈수록 지름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함몰부(124)의 안치 공간(126)에 방수 패킹(150)의 상부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함몰부(124)의 안치 공간(126)에 방수 패킹(150)이 끼워졌을 때 안치 공간(126)과 방수 패킹(15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안치 공간(126)과 방수 패킹(150)을 밀착시켜 더욱 효과적으로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치 공간(126)과 방수 패킹(150)이 밀착되도록 방수 패킹(150)의 외경 둘레에 제 1 밀착 돌기(152)가 형성된다. 또한, 방수 패킹(150)에 형성된 제 1 밀착 돌기(152)와 대응하는 안치 공간(126)에 제 1 밀착 홈(128)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밀착 돌기(152)와 제 1 밀착 홈(128)이 요철결합된다.
이와 같이 방수 패킹(150)에 제 1 밀착 돌기(152)가 형성되고, 안치 공간(126)에 제 1 밀착 홈(128)이 형성되어 요철결합되면 요철결합의 면적만큼 안치 공간(126)과 방수 패킹(15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착즙 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방수 패킹(150)에 제 1 밀착 돌기(152)가 형성되고 안치 공간(126)에 제 1 밀착 홈(128)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방수 패킹(150)에 제 1 밀착 홈(128)이 형성되고 안치 공간(126)에 제 1 밀착 돌기(152)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방수 패킹(150)과 구동축(112) 사이로 착즙 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패킹(150)의 내경(151) 둘레로 제 2 밀착 돌기(15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방수 패킹(150)의 내경(151)에 제 2 밀착 돌기(154)가 형성되면, 구동축(112)이 방수 패킹(150)의 내경(151)에 끼워졌을 때 제 2 밀착 돌기(154)가 구동축(112)의 외경에 밀착되어 착즙 액이 방수 패킹(150)과 구동축(112)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즙 통(120)의 바닥을 관통하여 스크류(140)와 연결되는 구동축(112)은 착즙 통(120)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22a)에 둘러싸여 스크류(140)와 구동축(112)의 연결 부위가 착즙 통(120)의 바닥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착즙 통(120)의 내부 바닥에는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1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122a)는 착즙 통(120)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 구동축(112)이 관통하는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착즙 통(120)의 바닥을 관통한 구동축(112)은 지지부(122a)에 둘러싸이게 되며, 이때 지지부(122a)의 상단은 대략 스크류(140)의 중앙 높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착즙 통(120)의 내부 바닥에 비해 지지부(122a)의 상단이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22a)의 상단이 높게 위치하게 되면 착즙 시 발생하는 착즙 통 내에서의 착즙 액의 수위보다 구동축(112)과 접하는 지지부(122a)의 입구가 높게 되어 착즙 액이 지지부(122a)의 입구에 도달하지 않아 착즙 액이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부(122a)의 상단이 스크류(140)의 중앙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스크류(140)와 구동축(112)의 연결 부위가 스크류(140) 전체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구동축(112)에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이 스크류(140)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스크류(140) 회전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른 상태로 회전할 수 있어 스크류(140)의 외경과 여과 망(1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착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축(112)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착즙 통(120)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스크류(140)가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140) 일측의 상단 외경 부위가 여과 망(130)의 내경과 근접하게 되고, 이와 반대방향인 스크류(140) 타측의 상단 외경 부위는 여과 망(130)의 내경과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140) 일측의 하단 외경 부위는 스크류(140)의 상단과 반대로 여과 망(130)의 내경과 멀어지게 되고, 스크류(140) 타측의 하단 외경 부위는 여과 망(130)의 내경과 근접하게 됨으로써, 스크류(140)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여 스크류와 여과 망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스크류(140)와 여과 망(130)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되면 착즙 대상물이 여과 망(130)에 밀착되지 않아 정상적인 착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22a)의 상단이 스크류(140)의 중앙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스크류(140)와 구동축(112)의 연결 부위가 스크류(140) 전체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회전 동력이 스크류(140)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스크류(140)와 여과 망(13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원활한 착즙이 이루어진다.
한편, 착즙 통(120)의 바닥에 형성된 함몰부(124)에 끼워져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 패킹(150)은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110)의 상면에 마련되는데, 상기 방수 패킹(150)은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160)에 의해 고정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커버(160)는 대략 본체(11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112)이 관통하는 커버측 관통공(16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60)와 본체(110)는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커버(160)의 연부를 따라 후크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결속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 돌기가 결속되는 결속 홈(미도시)이 커버(160)에 형성되어 결속 돌기와 결속 홈의 결속에 의해 커버(160)가 본체(1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에 커버(160)가 마련될 때 상기 커버(160)에 형성된 커버측 관통공(162)의 저면과 본체(110)의 상면 사이에 방수 패킹(150)이 개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커버측 관통공(162)은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커버측 관통공(162)과 본체(110)의 상면 사이에 조립 공간(1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 공간(164)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방수 패킹(150)의 하단 둘레로 걸림 턱(156)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 패킹(150)의 상단은 커버측 관통공(162)을 통해 본체(11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방수 패킹(150)이 커버(160)에 의해 본체(110)의 상면에 고정되면 필요 시 커버(160)를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방수 패킹(150)을 커버측 관통공(162)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방수 패킹(150)의 마모 및 파손 또는 방수 패킹(150)의 세척 시 용이하게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에 의하면, 방수 패킹(150)이 착즙 통(120)의 바닥 저면에 위치하게 되어 구동축(112)과 방수 패킹(15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방수 패킹(150)이 착즙 통(120)의 바닥 저면에 설치됨으로써 방수 패킹(150)과 구동축(112)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의 방수 패킹(150)의 설계가 가능해져 방수 패킹(150)과 구동축(112)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국 착즙 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여과 망(130)이 장착되는 착즙 통(120)에 여과 망(130)의 외측면에 달라붙은 찌꺼기를 제거하는 회전 브러시(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브러시(170)는 착즙 통(120)과 여과 망(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착즙 통(12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평 기어(125)와 맞물리도록 회전 브러시(170)의 하단에 링 기어(1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 기어(125)는 스크류(140)의 하단에 형성된 톱니기어(142)와 맞물려 스크류(140)의 회전에 따라 평 기어(125)가 회전하여 회전 브러시(17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170)에 구비된 블레이드(174)가 여과 망(130)의 외측면에 달라붙은 찌꺼기를 탈락시키게 된다.
110 : 본체 112 : 구동축
120 : 착즙 통 121 : 즙 배출구
122 : 관통홀 122a : 지지부
123 : 찌꺼기 배출구 124 : 함몰부
125 : 평 기어 126 : 안치 공간
128 : 제 1 밀착 홈 130 : 여과 망
140 : 스크류 142 : 톱니기어
150 : 방수 패킹 151 : 내경
152 : 제 1 밀착 돌기 154 : 제 2 밀착 돌기
156 : 걸림 턱 160 : 커버
162 : 커버측 관통공 164 : 조립 공간
170 : 회전 브러시 172 : 링 기어
174 : 블레이드
120 : 착즙 통 121 : 즙 배출구
122 : 관통홀 122a : 지지부
123 : 찌꺼기 배출구 124 : 함몰부
125 : 평 기어 126 : 안치 공간
128 : 제 1 밀착 홈 130 : 여과 망
140 : 스크류 142 : 톱니기어
150 : 방수 패킹 151 : 내경
152 : 제 1 밀착 돌기 154 : 제 2 밀착 돌기
156 : 걸림 턱 160 : 커버
162 : 커버측 관통공 164 : 조립 공간
170 : 회전 브러시 172 : 링 기어
174 : 블레이드
Claims (7)
- 구동축(112)이 상부를 향하게 구동모터가 내설된 본체(110)의 상부로 착즙 통(120)과 여과 망(130)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 망(130)의 내부에 스크류(14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12)과 스크류(140)가 연결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120)의 바닥에 구동축(112)이 관통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의 둘레로 착즙 통(12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안치 공간(126)이 형성된 함몰부(124); 및
상기 함몰부(124)의 안치 공간(126)에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된 구동축(112)의 둘레로 융기되어 구동축을 감싸는 방수 패킹(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킹(150)은 그 끝단의 지름 크기가 안치 공간(126)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뿔 기둥의 형상을 갖고, 상기 안치 공간(126)은 방수 패킹(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킹(150)은 외경 둘레에 제 1 밀착 돌기(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착 돌기(152)에 대응하는 안치 공간(126)에 제 1 밀착 홈(128)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밀착 돌기(152)와 제 1 밀착 홈(128)이 요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킹(150)은 내경(151) 둘레로 제 2 밀착 돌기(154)가 형성되어, 상기 내경(151)에 구동축(112)이 끼워졌을 때 제 2 밀착 돌기(154)가 구동축(112)의 외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형성된 내부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22)에 끼워진 구동축(112)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부(1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구동축(112)이 관통하는 커버측 관통공(162)이 형성된 커버(160)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측 관통공(162)의 저면과 본체(110)의 상면 사이에 방수 패킹(15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관통공(162)은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커버측 관통공(162)과 본체(110)의 상면 사이에 조립 공간(164)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 패킹(150)의 하단 둘레로 걸림 턱(156)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 공간(164)에 걸림 턱(156)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395A KR101257443B1 (ko) | 2012-09-18 | 2012-09-18 |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395A KR101257443B1 (ko) | 2012-09-18 | 2012-09-18 |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7443B1 true KR101257443B1 (ko) | 2013-04-23 |
Family
ID=4844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395A KR101257443B1 (ko) | 2012-09-18 | 2012-09-18 |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4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319A1 (ko) * | 2013-09-06 | 2015-03-12 | Kim Jae Won | 주스기 |
KR101593615B1 (ko) * | 2014-12-17 | 2016-02-12 | 김화식 | 푸드 균질기 |
WO2018016711A1 (ko) * | 2016-07-18 | 2018-01-25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원액기 |
KR102057628B1 (ko) * | 2018-07-25 | 2019-12-19 | (주)쿠첸 | 커터 아세이 모듈을 포함한 쿠킹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1248A (en) | 1994-08-29 | 1995-06-06 | Airlux Electrical Co., Ltd. | Multi-food processor and juice extractor |
KR100793852B1 (ko) | 2005-03-21 | 2008-01-11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KR101074420B1 (ko) | 2011-07-28 | 2011-10-17 | 범진아이엔디(주) | 원액기 |
KR20110138572A (ko) * | 2010-06-21 | 2011-12-28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주서 모듈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395A patent/KR1012574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1248A (en) | 1994-08-29 | 1995-06-06 | Airlux Electrical Co., Ltd. | Multi-food processor and juice extractor |
KR100793852B1 (ko) | 2005-03-21 | 2008-01-11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KR20110138572A (ko) * | 2010-06-21 | 2011-12-28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주서 모듈 |
KR101074420B1 (ko) | 2011-07-28 | 2011-10-17 | 범진아이엔디(주) | 원액기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319A1 (ko) * | 2013-09-06 | 2015-03-12 | Kim Jae Won | 주스기 |
CN105658117A (zh) * | 2013-09-06 | 2016-06-08 | 金再垣 | 榨汁机 |
KR200480611Y1 (ko) * | 2013-09-06 | 2016-06-15 | 김재원 | 주스기 |
CN107822477A (zh) * | 2013-09-06 | 2018-03-23 | 金再垣 | 榨汁机 |
KR101593615B1 (ko) * | 2014-12-17 | 2016-02-12 | 김화식 | 푸드 균질기 |
WO2018016711A1 (ko) * | 2016-07-18 | 2018-01-25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원액기 |
KR102057628B1 (ko) * | 2018-07-25 | 2019-12-19 | (주)쿠첸 | 커터 아세이 모듈을 포함한 쿠킹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76055C (en) | Juicer | |
KR101257443B1 (ko) |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 |
KR102433760B1 (ko) | 푸드 프로세서 | |
RU2399361C1 (ru) | Соковыжималка | |
KR101772862B1 (ko) | 믹서기 | |
KR101343600B1 (ko) | 착즙 주서기 | |
TW201545688A (zh) |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 |
JP2011527229A (ja) | ジューサモジュール及び垂直スクリュージューサ | |
KR100966608B1 (ko) | 주서 모듈 | |
EP3398455B1 (en) | Large-capacity juicer | |
KR101311997B1 (ko) | 착즙기의 스크류 연결구조 | |
RU2651503C2 (ru) | Соковыжималка | |
KR101257441B1 (ko)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
CN104720549A (zh) | 具有改进型榨汁筒紧固结构的榨汁机 | |
KR200470356Y1 (ko) | 거름망 찌꺼기 제거기능을 갖는 착즙기 | |
KR20190002091U (ko) |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 |
KR20120054572A (ko)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RU2448633C1 (ru) | Модуль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шнеком | |
KR20130028762A (ko) |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 |
KR101408892B1 (ko) | 착즙기용 거름망 | |
KR101267808B1 (ko) | 착즙기 | |
KR200469922Y1 (ko) | 착즙기 | |
KR200470211Y1 (ko) | 착즙기 | |
KR200451123Y1 (ko) | 착즙기 | |
CN219147318U (zh) | 一种便于清理的榨汁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