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808B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808B1
KR101267808B1 KR1020110125665A KR20110125665A KR101267808B1 KR 101267808 B1 KR101267808 B1 KR 101267808B1 KR 1020110125665 A KR1020110125665 A KR 1020110125665A KR 20110125665 A KR20110125665 A KR 20110125665A KR 101267808 B1 KR101267808 B1 KR 101267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fan
rotating body
cu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Priority to KR102011012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상기 종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종동키가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회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축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즙교란팬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착즙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됨에 따라 착즙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이고, 도12는 도10에 도시된 즙교란팬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중공(中空)형태의 받침판(111b)과, 하우징(1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130)과, 착즙통(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15)과, 받침판(1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즙컵(119)과, 배출통(115)에 고정 결합되는 즙교란팬(160)과, 착즙통(1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14)과,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150)와,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착즙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착즙구동축(112a)에 더하여 받침판(111b)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즙구동축(112b)과, 착즙구동축(112a)과 즙구동축(112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1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131)와, 이송공간부(1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13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131)는 내부에 이송공간(1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1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132)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은 착즙공간(1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즙공간부(132)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30)은 이송공간(131a)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131)의 후면이 하우징(1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131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고정돌부(11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후술하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15)은 착즙공간부(1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15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즙컵(119)은 즙배출개구(115a)의 하측영역에서 즙구동축(112b)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즙교란팬(160)은 사각형의 중앙교란판(161)과, 중앙교란판(161)의 상단으로부터 중앙교란판(161)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축(162)과, 중앙교란판(161)의 양측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방교란판(163)을 갖고 있다.
고정축(162)은 상단에 고정홈(162a)이 길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앙교란판(161)은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측방교란판(163)은 두께방향을 따라 교란창(163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각 교란창(163a)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교란보조판(163b)이 판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즙교란팬(160)은 고정홈(162a)에 고정돌부(115c)를 억지끼움시킴으로써 배출통(115)에 고정된다.
투입관(1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1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141)와, 각각 원동축부(1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142) 및 원동착즙요철부(143)를 갖고 있다.
원동이송요철부(1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원동이송요철부(1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후단은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14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151)와, 각각 종동축부(1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152)및 종동착즙요철부(153)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원동이송요철부(1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전방에서 원동착즙요철부(143)에 치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종동축전방지지홈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와, 상판부(1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82)와, 투입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8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181a)이 지지축(113)의 걸림홈(1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112a)과 즙구동축(112b)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가 회전하면, 투입관(1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1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1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142)와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시 분쇄된 후, 착즙공간(1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1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115)의 즙배출개구(115a)를 통과한 후, 즙컵(119)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배출통(115)의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즙구동축(112b)이 회전함에 따라 즙컵(119)도 회전한다.
즙컵(119)이 회전할 때 즙컵(119)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즙교란팬(160)에 의해 파괴된다.
전술한 종래의 착즙기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0723(발명의 명칭 : 착즙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고정홈(162a)에 고정돌부(115c)를 억지끼움방법으로 즙교란팬(160)이 배출통(115)에 고정되고 고정홈(162a)에 고정돌부(115c)를 억지끼움하는 동작이 즙컵(119)의 내부공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즙교란팬(160)을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즙교란팬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상기 종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회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축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또는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회전체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팬회전체의 회전력이 즙교란팬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팬회전체는 상기 즙교란팬이 상승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즙교란팬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벽부가 상기 원동키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즙교란팬이 즙컵의 바닥면에 자립하도록 상호작용하는 지지돌기와 지지홈을 즙교란팬과 즙컵에 나누어 형성하고 즙교란팬이 즙컵의 바닥면에 자립된 상태에서 상호 정렬되도록 종동키와 원동키를 즙교란팬와 팬회전체에 나누어 형성하는 한편 즙교란팬이 즙컵의 바닥면에 자립된 상태에서 종동키와 원동키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을 즙교란팬와 팬회전체 중 어느 일방에 설치함으로써, 즙교란팬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회전체, 배출통, 착즙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4는 착즙회전체, 배출통 및 착즙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즙컵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즙교란팬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팬회전체와 즙교란팬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팬회전체와 즙교란팬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
도12는 도10에 도시된 즙교란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회전체, 배출통, 착즙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착즙회전체, 배출통 및 착즙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즙컵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즙교란팬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팬회전체와 즙교란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21)과 팬구동축(24)을 갖는 구동부(20)와, 하우징(11)의 배면에 설치된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착즙구동축(21)에 결합된 착즙회전체(30)와, 하우징(11)에 형성된 지지벽부(12) 및 컵받침판(13)과, 하우징(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40)과, 배출통(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착즙통(60), 청소회전체(70), 및 투입부(80)와, 컵받침판(13)에 설치된 즙컵(17)과, 즙컵(17)에 설치된 즙교란팬(90)과, 하우징(11)에 결합된 팬회전체(18)와, 즙교란팬(90)에 설치된 자석(19)을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상면에 배출통안착면(11a)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안착면(11a)의 중앙영역에는 하우징언덕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은 전면에 형성된 선반(15)을 갖고 있다.
구동부(20)는 착즙구동축(21)과 팬구동축(24)에 더하여 보조축(22)과,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의 회전력을 착즙구동축(21), 팬구동축(24) 및 보조축(22)에 각각 전달하는 전동부(도시되지 않음)와, 보조축(22)에 결합된 스퍼기어(23)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조립체를 사용하여 착즙구동축(21)과 보조축(2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의 회전력을 착즙구동축(21)과 보조축(22)에 각각 전달한다. 팬구동축(24)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착즙구동축(21)과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0)는 팬구동축(24)의 회전력을 팬회전체(18)에 전달하는 팬전동부(25)를 갖고 있다.
팬전동부(25)는 팬구동축(24)에 결합된 풀리(25a)와, 풀리(25a)에 결합된 벨트(25b)를 갖고 있다.
착즙구동축(21)은 하우징언덕부(11b)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배출통바닥면부(41)를 통해 배출통(4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보조축(22)은 배출통안착면(11a)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착즙회전체(30)는 회전체축(31)과, 회전체축(31)에 결합된 회전체바디부(32) 및 지지캡(33)을 갖고 있다.
회전체바디부(32)는 외표면에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축지지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캡(33)은 회전체축(31)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회전체(30)는 배출통(40)의 내부에서 회전체바디부(32)를 통해 착즙구동축(21)에 결합되고, 축지지홈(32a)에 하우징언덕부(11b)가 지지되고, 지지캡(33)을 통해 후술하는 회전체지지공(83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벽부(12)는 배출통안착면(11a)의 둘레영역에 기립 형성되고, 한 쌍의 레버작동홈(12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부(12)는 배출통(40)의 즙안내구(42a)와 찌꺼기배출구(42b)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컵받침판(13)은 하우징(11)이 지면에 설치될 때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40)은 배출통바닥면부(41)와, 배출통바닥면부(4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배출통바닥면부(41)로부터 절곡 형성된 배출통측면부(42)와, 배출통측면부(42)에 결합된 기역자형태의 즙안내관(43)을 갖고 있다.
배출통바닥면부(41)는 중앙영역에 배출통언덕부(41d)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언덕부(41d)에는 회전체축통과공(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바닥면부(41)는 배출통(40)의 둘레영역에 보조축통과공(41c), 즙안내홈(도시되지않음) 및 찌꺼기안내홈(도시되지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측면부(42)에는 즙안내구(42a)와 찌꺼기배출구(42b)가 형성되어 있다.
즙안내구(42a)는 즙안내홈(도시되지않음)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배출구(42b)는 찌꺼기안내홈(도시되지않음)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측면부(42)는 내표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홈(42c)이 형성되어 있다.
즙안내관(43)은 일단이 즙안내구(42a)에 연통하고, 타단이 선반(15)의 저면에 노출되도록 배출통측면부(42)에 결합된다. 즙안내관(43)의 타단이 즙배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40)은 하우징언덕부(11b)가 배출통언덕부(41d)에 삽입되고 보조축(22)이 보조축통과공(41c)을 통과하고, 회전체축(31)이 회전체축통과공(41e)을 통과하고, 배출통바닥면부(41)가 배출통안착면(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통(40)은 회전체바디부(32)가 배출통바닥면부(4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착즙회전체(30)와 착즙통(60)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즙안내구(42a)와 찌꺼기배출구(42b)를 통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착즙통(60)은 즙통과공(61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착즙망체(61)와, 착즙망체(61)를 지지하는 착즙프레임(62)과, 착즙프레임(6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반원형의 회전방지돌기(63)를 갖고 있다.
착즙망체(61)는 길이방향을 따라 점점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60)은 착즙망체(61)가 착즙회전체(30)를 둘러싸고, 회전방지돌기(63)가 회전방지홈(42c)에 안착되고, 하단이 배출통안착면(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착즙통(60)은 회전체바디부(32)가 배출통바닥면부(4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착즙통(60)은 착즙회전체(30)가 회전할 때 착즙회전체(30)와 협조하여 착즙회전체(30)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청소회전체(70)는 원형의 지지링(71)과, 지지링(71)에 기립 형성된 수직프레임(72)과, 수직프레임(72)에 결합된 고리형태의 수평프레임(73)과, 수직프레임(72)에 고정된 청소솔(74)과, 지지링(71)의 저면에 스퍼기어(23)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청소회전체기어(75)를 갖고 있다.
청소회전체기어(75)는 스퍼기어(23)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청소회전체(70)는 청소회전체기어(75)가 스퍼기어(23)에 맞물리고, 청소솔(74)이 착즙망체(61)에 접촉하고, 청소회전체기어(75)를 통해 배출통바닥면부(4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투입부(80)는 재료안내구(81a)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부(81)와, 재료안내구(81a)에 연통하도록 덮개판부(8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재료투입관부(82)와, 덮개판부(81)에 결합된 회전체지지판(83)을 갖고 있다.
재료투입관부(82)는 상단에 재료투입구(82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지지판(83)에는 재료통과공(83a)과 회전체지지공(83b)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지지판(83)은 재료통과공(83a)이 재료안내구(81a)에 연통하도록 덮개판부(8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입부(80)는 덮개판부(81)가 배출통측면부(42)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덮개판부(81)를 통해 배출통측면부(42)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덮개판부(81)의 결합은 재료통과공(83a)이 착즙통(60)과 착즙회전체(30)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재료투입관부(82)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는 착즙통(60)과 착즙회전체(30) 사이영역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가압레버(50)는 승강레일부(51)와, 승강레일부(51)로부터 절곡 형성된 가압암(52)과, 승강레일부(51)를 하우징(11)을 향해 잡아당기도록 지지벽부(12)에 설치된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레버(50)는 승강레일부(51)가 레버작동홈(12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레버(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길 때 가압레버(50)는 분리위치(투입부를 배출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가압암이 덮개판부로부터 이탈하는 위치)로 상승하고 가압레버(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해제할 때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레버(50)는 가압위치(가압암이 덮개판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즙컵(17)은 바닥면에 지지돌기(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즙컵(17)은 즙안내관(43)의 종단에 정렬되도록 컵받침판(13)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즙컵(17)은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즙교란팬(90)은 직선상의 팬축(91)과, 팬축(91)에 결합된 회전날개(92)를 갖고 있다.
팬축(91)은 하단에 지지홈(9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종동키(91b)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키(91b)는 대략 이등변삼각형단면의 돌부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즙교란팬(90)은 회전날개(92)가 즙컵(17)의 내부에 배치되고 팬축(91)이 즙컵(17)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즙교란팬(90)의 설치는 지지홈(91a)과 지지돌기(17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즙컵(17)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다.
팬회전체(18)는 저면에 종동키(91b)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키(18a)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벨트홈(18b)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키(18a)는 대략 십자 형태로 배치된 4개의 원동키돌부로 구현되어 있고 각 원동키돌부에는 안내경사면(91c)이 형성되어 있다.
팬회전체(18)는 전체 적어도 원동키(18a)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팬회전체(18)는 원동키(18a)의 둘레영역에 안내벽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벽부(18c)는 즙교란팬(90)이 상승할 때 팬축(91)의 상단에 접촉하는 경사형태의 내표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즙교란팬(90)이 상승할 때 원동키(18a)와 종동키(91b)가 안정적으로 걸림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팬회전체(18)는 벨트홈(18b)에 벨트(25b)가 진입하도록 선반(15)에 설치된다.
자석(19)은 팬축(91)의 상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자석(19)은 즙교란팬(90)이 즙컵(17)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종동키(91b)가 원동키(18a)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즙교란팬(90)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팬회전체(18)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팬축(91)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돌기(17a)와 지지홈(91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자립하도록 즙교란팬(90)을 즙컵(17)에 설치한다.
다음에 즙교란팬(90)이 설치된 상태로 즙컵(17)을 컵받침대(13)에 올려놓는다.
즙컵(17)이 컵받침대(13)에 올려지면 즙교란팬(90)은 상승하고 종동키(91b)와 원동키(18a)는 걸림상태가 된다.
다음에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구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21), 보조축(22) 및 팬구동축(23)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21)과 보조축(22)이 회전하면 착즙회전체(30)와 청소회전체(70) 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재료투입관부(82)를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재료투입구(82a)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는 착즙회전체(30)와 착즙통(60) 사이의 압착작용에 의해 즙과 찌꺼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즙은 즙안내홈(도시되지않음)과 즙안내구(42a)를 통해 즙안내관(43)으로 배출된 후 컵받침판(13)에 설치된 즙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생성된 찌꺼기는 찌꺼기안내홈(도시되지않음)과 찌꺼기배출구(4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그리고 팬구동축(23)이 회전하면 팬회전체(18)와 즙교란팬(90)은 회전한다.
즙교란팬(90)이 회전할 때 즙컵(17)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즙교란팬(90)에 의해 파괴된다.
그리고 청소회전체(70)가 착즙회전체(3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청소솔(74)에 의 즙통과공(61a)에 끼어있는 찌꺼기가 제거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팬축(91)에 자석(19)을 설치하고 팬회전체(18)를 자성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회전체(18')에 자석(19')을 설치하고 즙교란팬(90')의 팬축(91')을 자성재질로 제작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즙컵(17)의 바닥면에 지지돌기(17a)를 형성하고 팬축(91)에 지지홈(91a)를 형성하고 있으나, 즙컵(17)의 바닥면에 지지홈을 형성하고 팬축(91)에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즙교란팬(90, 90')이 즙컵(17)의 바닥면에 자립하도록 상호작용하는 지지돌기(17a)와 지지홈(91a)을 즙교란팬(90, 90')과 즙컵(17)에 나누어 형성하고 즙교란팬(90, 90')이 즙컵(17)의 바닥면에 자립된 상태에서 상호 정렬되도록 종동키(91b)와 원동키(18a)를 즙교란팬(90, 90')와 팬회전체(18, 18')에 나누어 형성하는 한편 즙교란팬(90, 90')이 즙컵(17)의 바닥면에 자립된 상태에서 종동키(91b)와 원동키(18a)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즙교란팬(90, 90')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19, 19')을 즙교란팬(90, 90')와 팬회전체(18, 18') 중 어느 일방에 설치함으로써, 즙교란팬(90, 9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팬회전체(18)에 안내벽부(18c)를 형성함으로써, 팬회전체(18)의 회전력이 즙교란팬(90, 9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11, 111 : 하우징 12 : 지지벽부
13 : 컵받침판 17, 119 : 즙컵
18 : 팬회전체 18a : 키홈
20, 120 : 구동부 21 : 착즙구동축
24 : 팬구동축 25 : 팬전동부
30 : 착즙회전체 40, 115 : 배출통
41 : 배출통바닥면부 42 : 배출통측면부
43 : 즙안내관 50 : 가압레버
60, 130 : 착즙통 61 : 착즙망체
62 : 착즙프레임 63 : 회전방지돌기
70 : 청소회전체 71 : 지지링
74 : 청소솔 75 : 청소회전체기어
80 : 투입부 81 : 덮개판부
82 : 재료투입관부 83 : 회전체지지판
90, 160 : 즙교란팬 91 : 팬축
113 : 지지축 114 : 투입관
140 : 원동착즙체 150 : 종동착즙체

Claims (5)

  1.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상기 종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종동키가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회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축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회전체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상기 종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종동키가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회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축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하우징과, 착즙구동축과 팬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된 착즙회전체와, 즙통과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즙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착즙회전체와 협조하여 상기 착즙회전체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착즙재료를 압착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착즙통과,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가 상기 착츱통과 상기 착즙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와, 찌꺼기배출구와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회전체와 상기 착즙통이 착즙재료를 압착할 때 생성되는 즙과 찌꺼기를 각각 상기 즙배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즙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즙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즙컵과, 직선상의 팬축과 상기 팬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즙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축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 즙교란팬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즙컵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팬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팬회전체에 전달하는 팬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즙컵은 바닥면에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회전체는 저면에 원동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축은 하단에 지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원동키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는 종동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키에 인접하는 영역이 자성체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즙교란팬은 상기 지지홈과 상기 지지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즙교란팬이 상기 즙컵의 바닥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즙교란팬을 상승시키는 자기력이 상기 팬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상기 팬회전체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회전체는 상기 즙교란팬이 상승할 때 상기 원동키와 상기 종동키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즙교란팬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벽부가 상기 원동키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1020110125665A 2011-11-29 2011-11-29 착즙기 KR10126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65A KR101267808B1 (ko) 2011-11-29 2011-11-29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65A KR101267808B1 (ko) 2011-11-29 2011-11-29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808B1 true KR101267808B1 (ko) 2013-05-31

Family

ID=4866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65A KR101267808B1 (ko) 2011-11-29 2011-11-29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00B1 (ko) 2013-06-07 2013-12-20 김재원 착즙 주서기
EP3158897A1 (fr) * 2015-10-20 2017-04-26 Santos Appareil électrique de pré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039A (ja) 2001-07-03 200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ューサー
KR200416634Y1 (ko) 2006-02-27 2006-05-22 이석래 착즙기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039A (ja) 2001-07-03 200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ューサー
KR200416634Y1 (ko) 2006-02-27 2006-05-22 이석래 착즙기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00B1 (ko) 2013-06-07 2013-12-20 김재원 착즙 주서기
CN103735143A (zh) * 2013-06-07 2014-04-23 金再垣 榨汁机
US10299620B2 (en) 2013-06-07 2019-05-28 Jae-won Kim Juice extractor
EP3158897A1 (fr) * 2015-10-20 2017-04-26 Santos Appareil électrique de pré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US10219646B2 (en) 2015-10-20 2019-03-05 Santos Electrical appliance for preparing food juice by pr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763B (zh) 搅拌机的真空装置
CN107184069B (zh) 包括压榨螺杆的烹饪制备家电设备
KR101099429B1 (ko) 원액기
KR101311995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TW201545688A (zh)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KR20180037567A (ko) 진공믹서기
CN103732108A (zh) 一种用于将水果或蔬菜汁液与水果或蔬菜果肉分离的粉碎分离器
KR101432635B1 (ko) 사탕수수용 착즙기
CN102813442A (zh) 榨汁机
KR101267808B1 (ko) 착즙기
KR101257441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TWM507180U (zh) 帶有果汁壓榨滾筒的改良緊固結構的果汁壓榨萃取器
KR101389959B1 (ko) 착즙기의 동력전달 구조
CN107595097A (zh) 一种碾压式蔬果榨汁机
KR101205952B1 (ko) 착즙기
KR101323115B1 (ko) 착즙기
KR200474455Y1 (ko) 착즙기
KR20130059615A (ko) 착즙기
KR200470211Y1 (ko) 착즙기
CN209153029U (zh) 食物处理机
KR200469922Y1 (ko) 착즙기
CN209106919U (zh) 过滤组件及食物处理机
CN208755652U (zh) 罩体组件及食物处理机
KR101392475B1 (ko) 착즙기
KR200441689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