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50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50Y1
KR200437750Y1 KR2020070000725U KR20070000725U KR200437750Y1 KR 200437750 Y1 KR200437750 Y1 KR 200437750Y1 KR 2020070000725 U KR2020070000725 U KR 2020070000725U KR 20070000725 U KR20070000725 U KR 20070000725U KR 200437750 Y1 KR200437750 Y1 KR 200437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haft
driven
spac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철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to KR2020070000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와 상기 착즙공간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착즙필터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고 개구영역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배출통의 전면에 형성된 원호단면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레일의 외표면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캡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조절캡에 결합된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의 자유단에 결합된 조절블럭과 상기 조절블럭을 상기 조절캡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축에 장착된 조절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조절블럭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배출통에 결합되는 찌꺼기배출조절부와,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직선상의 원동축부와 각각 원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 및 원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원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며 상기 원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 에 배치되며 상기 원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원동회전체와, 직선상의 종동축부와 각각 종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 및 종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종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종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착즙필터에 지지되며 상기 종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서 상기 원동이송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종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서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종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럭은 상기 착즙통의 대향면에 축삽입공이 상기 원동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축부는 직선상의 회전축과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의 요홈에 연결되는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지지링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이 상기 축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절취홈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링을 통해 상기 배출통의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둘레영역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착즙, 축삽입공, 조절블럭, 지지링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찌꺼기배출조절부의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원동착즙회전체와 종동착즙회전체의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찌꺼기배출공영역의 단면도,
도6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7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
도8은 도6에 도시된 찌꺼기배출조절부의 사시도,
도9는 도6에 도시된 원동착즙회전체와 종동착즙회전체의 사시도,
도10은 도6에 도시된 찌꺼기배출공영역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지지축 14, 114 : 투입관
30, 130 : 착즙통 31, 131 : 이송공간부
32, 132 : 착즙공간부 33, 133 : 착즙필터
15, 115 : 배출통 40, 140 : 원동착즙체
41a : 지지링 41b : 바디부
41d : 회전파쇄돌부 71d : 축삽입공
71e : 고정파쇄돌부 71f : 청소홈
50, 150 : 종동착즙체 60, 160 : 찌꺼기배출조절부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 형태로 음식을 착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 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착즙기가 안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6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8은 도6에 도시된 찌꺼기배출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9는 도6에 도시된 원동착즙회전체와 종동착즙회전체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도6에 도시된 찌꺼기배출공영역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130)과, 착즙통(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15)과, 배출통(115)의 전방에 배치되는 찌꺼기 배출조절부(160)와, 착즙통(1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14)과, 구동축(1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150)와,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축(112a)에 더하여 구동축(112a)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1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131)와, 이송공간부(1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132)와, 착즙공간부(1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착즙필터(133)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131)는 내부에 이송공간(1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1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132)는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관 일방의 내부공간은 착즙공간(1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관 양쪽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착즙필터(133)는 상호 연결된 착즙관(133a) 및 지지관(133c)을 갖고 있다.
착즙관(133a) 대부분 영역에는 즙통과공(133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133c)은 일 측이 밀폐되어 있고, 밀폐영역에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30)은 이송공간(131a)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131)의 후면이 하우징(1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131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11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115)은 찌꺼기배출공(115b)의 하부에는 배출슈트(115d)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 측면에는 각각 배출지지홈(1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141)의 지지링(141a)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115e)이 찌꺼기배출공(115b)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원동축전방지지홈(115e)과 찌꺼기배출공(115b)의 측방에서 찌꺼기배출공(115b)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15)은 착즙공간부(1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15c)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찌꺼기배출조절부(160)는 배출통(115)의 전면에서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원호단면의 안내레일(161)과, 안내레일(161)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조절캡(162)과, 안내레일(16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조절캡(162)에 결합된 조절축(163)과, 조절축(163)의 자유단에 결합된 조절블럭(170)과, 조절블 럭(170)을 조절캡(162)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조절축(163)에 장착된 조절스프링(164)을 갖고 있다.
안내레일(161)은 찌꺼기배출공(115b)에 연통하고 개구부(161a)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레일(161)은 자유단에 인접하는 외표면에 수나사부(161b)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한 쌍의 안내홈(161c)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절캡(162)은 바닥부(162a)와, 바닥부(162a)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측벽부(162b)와, 바닥부(162a)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단면의 격벽(162d)을 갖고 있다.
측벽부(162b)는 내표면에 암나사부(162c)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격벽(162d)은 이격거리를 두고 조절축(163)의 고정단 영역을 둘러싸도록 바닥부(162a)의 내표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절캡(162)은 암나사부(162c)를 통해 안내레일(161)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절캡(162)은 회전 조작을 통해 안내레일(161)의 종단으로부터 배출통(115)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조절축(163)은 일단이 이링(E Ring)을 통해 바닥부(162a)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축지지홈(171b)에 억지 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조절블럭(170)은 대략 원형단면의 지지부(171)와, 지지부(171)의 저면에 형성된 대략 삼각형상 단면의 안내부(172)를 갖고 있다.
지지부(171)는 조절캡(162)의 대향면에 원형상의 스프링지지홈(171a)이 형성 되고, 스프링지지홈(171a)의 내측에는 축지지홈(17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71)의 찌꺼기배출공(115b) 대향면은 조절캡(16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측면에는 한 쌍의 안내돌부(171c)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절블럭(170)은 안내돌부(171c)가 안내홈(161c)에 삽입되도록 안내레일(161)에 설치된다.
조절스프링(164)은 격벽(162d)의 둘레영역에서 양단이 바닥부(162a)와 스프링지지홈(171a)의 바닥면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찌꺼기배출조절부(160)는 조절캡(162)을 회전조작하여 조절블럭(170)이 찌꺼기배출공(115b)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조절블럭(170)이 찌꺼기배출공(115b)을 폐쇄한 상태에서 착즙공간(132b)내에 있는 찌꺼기는 그 배출압력이 조절스프링(164)의 탄성력보다 커질 때 찌꺼기배출공(115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투입관(1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1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141)와, 각각 원동축부(1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142) 및 원동착즙요철부(143)를 갖고 있다.
원동축부(141)는 직선상의 회전축(141e)과, 회전축(141e)의 전단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회전축(141e)에 결합된 지지링(141a)을 갖고 있다.
지지링(141a)은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원동이송요철부(1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원동이송요철부(1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원동축부(141)의 후단이 구동축(112a)결합되고, 지지링(141a)을 통해 원동축전방지지홈(115e)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14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151)와, 종동축부(1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152)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원동이송요철부(1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지지관(133c)의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에 지지되며, 종동이송요철부(152)가 이송공간(131a)에서 원동이송요철부(142)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130)에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한다.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와, 상판부(1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82)와, 투입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81)로부터 하우징(111) 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181a)이 지지축(113)의 걸림홈(1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캡(162)을 회전 조작하여 조절블럭(170)이 찌꺼기배출공(115b)을 폐쇄하도록 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140)과 종동착즙체(150)가 회전하면, 투입관(1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1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1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142)와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쇄된 후, 착즙공간(1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1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143), 종동착즙요철부(153) 및 착즙필터(13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 은 착즙필터(133)와 배출통(115)의 즙배출개구(115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원동착즙요철부(143)의 요홈을 통과한 후 찌꺼기배출공(115b)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원동축부(141)의 축선이 찌꺼기배출공(115b)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원동축전방지지홈이 찌꺼기배출공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찌꺼기배출공(115b)을 통한 찌꺼기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와 상기 착즙공간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착즙필터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 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고 개구영역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배출통의 전면에 형성된 원호단면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레일의 외표면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캡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조절캡에 결합된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의 자유단에 결합된 조절블럭과 상기 조절블럭을 상기 조절캡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축에 장착된 조절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조절블럭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배출통에 결합되는 찌꺼기배출조절부와,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직선상의 원동축부와 각각 원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 및 원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원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며 상기 원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원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원동회전체와, 직선상의 종동축부와 각각 종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 및 종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종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종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착즙필터에 지지되며 상기 종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서 상기 원동이송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종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서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종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럭은 상기 착즙통의 대향면에 축삽입공이 상기 원동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축부는 직선상의 회전축과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의 요홈에 연결되는 절취홈이 형성되 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지지링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이 상기 축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절취홈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링을 통해 상기 배출통의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둘레영역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찌꺼기배출공과 조절블럭사이에 찌꺼기가 축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링은 상기 절취홈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축삽입공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배출통 대향면에 회전파쇄돌부가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협경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찌꺼기배출공과 조절블럭사이에 찌꺼기가 축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블럭에는 고정파쇄돌부를 상기 착즙통을 향해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삽입공에 축적되는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블럭에는 청소홈을 상기 축삽입공에 연통하고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찌꺼기배출조절부의 사시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원동착즙회전체와 종동착즙회전체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2에 도시된 찌꺼기배출공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3)과,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30)과, 착즙통(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5)과, 배출통(15)의 전방에 배치되는 찌꺼기배출조절부(60)와, 착즙통(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4)과, 구동축(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40)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50)와,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전면 구동축(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2)는 구동축(12a)에 더하여 구동축(12a)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31)와, 이송공간부(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32)와, 착즙공간부(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착즙필터(33)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31)는 내부에 이송공간(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32)는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관 일방의 내부공간은 착즙공간(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관 양쪽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착즙필터(33)는 상호 연결된 착즙관(33a) 및 지지관(33c)을 갖고 있다.
착즙관(33a) 대부분 영역에는 즙통과공(33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33c)은 일 측이 밀폐되어 있고, 밀폐영역에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30)은 이송공간(31a)이 지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31)의 후면이 하우징(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31b)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1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15)은 찌꺼기배출공(15b)의 하부에는 배출슈트(15d)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 측면에는 각각 배출지지홈(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41)의 지지링(41a)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15e)이 찌꺼기배출공(15b)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즉, 원동축전방지지홈(15e)은 찌꺼기배출공(15b)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5)은 착즙공간부(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5c)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찌꺼기배출조절부(60)는 배출통(15)의 전면에서 지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원호단면의 안내레일(61)과, 안내레일(61)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조절캡(62)과, 안내레일(6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조절캡(62)에 결합된 조절축(63)과, 조절축(63)의 자유단에 결합된 조절블럭(70)과, 조절블럭(70)을 조절캡(62)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조절축(63)에 장착된 조절스프링(64)을 갖고 있다.
안내레일(61)은 찌꺼기배출공(15b)에 연통하고 개구부(61a)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레일(61)은 자유단에 인접하는 외표면에 수나사부(61b)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한 쌍의 안내홈(61c)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절캡(62)은 바닥부(62a)와, 바닥부(62a)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측벽부(62b)와, 바닥부(62a)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단면의 격벽(62d)을 갖고 있다.
측벽부(62b)는 내표면에 암나사부(62c)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격벽(62d)은 이격거리를 두고 조절축(63)의 고정단 영역을 둘러싸도록 바닥부(62a)의 내표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절캡(62)은 암나사부(62c)를 통해 안내레일(61)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절캡(62)은 회전 조작을 통해 안내레일(61)의 종단으로부터 배출통(15)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조절축(63)은 일단이 이링(E Ring)을 통해 바닥부(62a)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축지지홈(71b)에 억지 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조절블럭(70)은 대략 원형단면의 지지부(71)와, 지지부(71)의 저면에 형성된 대략 삼각형상 단면의 안내부(72)를 갖고 있다.
지지부(71)는 조절캡(62)의 대향면에 원형상의 스프링지지홈(71a)이 형성되고, 스프링지지홈(71a)의 내측에는 축지지홈(7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71)의 찌꺼기배출공(15b) 대향면은 조절캡(6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측면에는 한 쌍의 안내돌부(71c)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1)는 찌꺼기배출공(15b) 대향면 즉, 착즙통(30)의 대향면에 축삽입공(71d)이 원동축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1)는 찌꺼기배출공(15b) 대향면에 고정파쇄돌부(71e)가 착즙통(3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청소홈(71f)이 축삽입공(71d)에 연통하고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절블럭(70)은 안내돌부(71c)가 안내홈(61c)에 삽입되도록 안내레일(61)에 설치된다.
조절스프링(64)은 격벽(62d)의 둘레영역에서 양단이 바닥부(62a)와 스프링지지홈(71a)의 바닥면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찌꺼기배출조절부(60)는 조절캡(62)을 회전조작하여 조절블럭(70)이 찌꺼기배출공(15b)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조절블럭(70)이 찌꺼기배출공(15b)을 폐쇄한 상태에서 착즙공간(32b)내에 있는 찌꺼기는 그 배출압력이 조 절스프링(64)의 탄성력보다 커질 때 찌꺼기배출공(15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투입관(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41)와, 각각 원동축부(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42) 및 원동착즙요철부(43)를 갖고 있다.
원동축부(41)는 직선상의 회전축(41e)과, 회전축(41e)의 전단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회전축(41e)에 결합된 지지링(41a)을 갖고 있다.
지지링(41a)은 바디부(41b)와, 바디부(41b)로부터 축삽입공(71d)을 향해 연장 형성된 협경부(41c)를 갖고 있다.
바디부(41b)는 원동착즙요철부(43)의 요홈에 연결되는 절취홈(41f)이 형성되어 있다.
협경부(41c)는 배출통(15) 대향면에 회전파쇄돌부(41d)가 찌꺼기배출공(15b)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동이송요철부(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43)는 원동이송요철부(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40)는 원동축부(41)의 후단이 구동축(12a)결합되고, 바디부(41b)를 통해 원동축전방지지홈(15e)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42)는 이송공간(31a) 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43)는 착즙공간(32b)을 통과하며, 절취홈(41f)은 찌꺼기배출공(15b)에 연통하며, 원동축부(41)의 전단은 축삽입공(71d)에 삽입된다.
종동착즙회전체(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51)와, 각각 종동축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52)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52)는 원동이송요철부(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50)는 종동축부(51)의 전단이 지지관(33c)의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a)에 지지되며, 종동이송요철부(52) 이송공간(31a)에서 원동이송요철부(42)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30)에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52)는 이송공간(31a)을 통과한다.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와, 상판부(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82)와, 투입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81)로부터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81a)이 지지축(13)의 걸림홈(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캡(62)을 회전 조작하여 조절블럭(70)이 찌꺼기배출공(15b)을 폐쇄하도록 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40)와 종동착즙체(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40)과 종동착즙체(50)가 회전하면, 투입관(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42)와 종동이송요철부(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쇄된 후, 착즙공간(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43), 종동착즙요철부(53) 및 착즙필터(3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착즙필터(33)와 배출통(15)의 즙배출개구(15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원동착즙요철부(43)의 요홈과 절취홈(41f)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찌꺼기배출공(15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고정파쇄돌부(71e)와 회전파쇄돌부(41d)에 의해 찌꺼기배출공(15b)과 조절블럭(70)사이에 찌꺼기가 축적되는 것이 저지된다(회전파쇄돌부와 고정파쇄돌부는 축적되는 찌꺼기를 분쇄하는 작용을 함).
또한 축삽입공(71d)에 진입한 찌꺼기는 청소홈(71f)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동축부(41)의 축선이 찌꺼기배출공(15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원동축전방지지홈이 찌꺼기배출공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음), 찌꺼기배출공(15b)을 통해 찌꺼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에에서는 착즙회전체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종동착즙회전체(50)로 분할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단일형태로 착즙회전체를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원동축부의 축선이 찌꺼기배출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와 상기 착즙공간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착즙필터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고 개구영역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배출통의 전면에 형성된 원호단면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레일의 외표면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캡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조절캡에 결합된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의 자유단에 결합된 조절블럭과 상기 조절블럭을 상기 조절캡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축에 장착된 조절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조절블럭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배출통에 결합되는 찌꺼기배출조절부와,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직선상의 원동축부와 각각 원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 및 원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원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며 상기 원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원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원동회전체와, 직선상의 종동축부와 각각 종동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 및 종동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종동축부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종동축부의 전단은 상기 착즙필터에 지지되며 상기 종동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서 상기 원동이송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종동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서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종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럭은 상기 착즙통의 대향면에 축삽입공이 상기 원동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축부는 직선상의 회전축과 상기 원동착즙요철부의 요홈에 연결되는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지지링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전단이 상기 축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절취홈이 상기 찌꺼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링을 통해 상기 배출통의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둘레영역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은 상기 절취홈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축삽입공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배출통 대향면에 회전파쇄돌부가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협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럭에는 고정파쇄돌부가 상기 착즙통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럭에는 청소홈이 상기 축삽입공에 연통하고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070000725U 2007-01-15 2007-01-15 착즙기 KR200437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25U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25U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50Y1 true KR200437750Y1 (ko) 2007-12-27

Family

ID=4162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725U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01-15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5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78Y1 (ko) 2008-11-14 2010-07-21 이은숙 착즙기
KR200449577Y1 (ko) 2008-11-14 2010-07-21 이은숙 착즙기
KR200449603Y1 (ko) 2008-12-12 2010-07-23 이은숙 착즙기
KR200451124Y1 (ko) * 2008-11-14 2010-11-25 이은숙 착즙기
KR200451125Y1 (ko) * 2008-12-12 2010-11-25 이은숙 착즙기
KR200451541Y1 (ko) 2008-12-12 2010-12-21 이은숙 착즙기
KR101267801B1 (ko) 2011-08-09 2013-05-31 김성문 착즙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78Y1 (ko) 2008-11-14 2010-07-21 이은숙 착즙기
KR200449577Y1 (ko) 2008-11-14 2010-07-21 이은숙 착즙기
KR200451124Y1 (ko) * 2008-11-14 2010-11-25 이은숙 착즙기
KR200449603Y1 (ko) 2008-12-12 2010-07-23 이은숙 착즙기
KR200451125Y1 (ko) * 2008-12-12 2010-11-25 이은숙 착즙기
KR200451541Y1 (ko) 2008-12-12 2010-12-21 이은숙 착즙기
KR101267801B1 (ko) 2011-08-09 2013-05-31 김성문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750Y1 (ko) 착즙기
EP3620730B1 (en) Ice-breaking device
KR101365503B1 (ko) 원액기
AU2010287215B2 (en) Juicer module and vertical screw juicer
KR101566647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254388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319762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455080B1 (ko) 착즙기
KR2004370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198036B1 (ko) 착즙기
KR200437749Y1 (ko)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101232461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2124596B1 (ko) 분리회전형 주서기
KR200441689Y1 (ko) 착즙기
KR100913522B1 (ko) 퓨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39506Y1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0466655Y1 (ko) 착즙기
KR20043950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62953Y1 (ko) 착즙기
KR200451123Y1 (ko) 착즙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