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87Y1 - 음식재료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재료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87Y1
KR200437087Y1 KR2020060027472U KR20060027472U KR200437087Y1 KR 200437087 Y1 KR200437087 Y1 KR 200437087Y1 KR 2020060027472 U KR2020060027472 U KR 2020060027472U KR 20060027472 U KR20060027472 U KR 20060027472U KR 200437087 Y1 KR200437087 Y1 KR 200437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terial processing
space
cap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철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to KR2020060027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후단에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의 전방에 이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압착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공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둘레면에 착즙공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공간부의 내부에서 협경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원뿔대통형상의 압착통과, 전면에 캡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축공이 상기 압착통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캡축공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드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캡과, 가공축부와 각각 상기 가공축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공축부의 후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이송스크류부 및 압착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상기 이송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압착요철부가 상기 압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가공축부의 전단이 상기 지지캡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공축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재료가공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소정의 전원전압사이를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를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엔드캡의 사이구간에서 상기 가공축부의 길이방향을 따 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된 가압봉과;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는 안전작동부와; 상기 가압봉이 상기 하우징에 접근할 때 레버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압봉의 대향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전원전압사이 및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구동부사이중 어느 일방에 개재하는 상시 오프상태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엔드캡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공체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 음식가공, 착즙, 리미트스위치, 전원공급스위치

Description

음식재료가공장치{Eatable Material Process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부분절개 평면도,
도3 및 도4는 각각 엔드캡의 회전조작시 가압봉의 동작상태도,
도5는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투입관 14, 114 : 엔드캡
16 : 가압봉 17 : 리미트스위치
20, 120 : 재료가공통 21, 121 : 이송공간부
22, 122 : 가공공간부 30, 130 : 압착통
40, 140 : 재료가공체 50 : 안전작동부
51 : 가압돌부 52 : 복귀스프링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반죽 등의 재료 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 가락 등의 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락형태의 음식(칼국수, 우동, 국수 등)이나 즙 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제면기와 착즙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5는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120)과, 재료가공통(12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13)과, 재료가공통(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뿔대통형상의 압착통(130)과, 재료가공통(1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캡(114)과, 엔드캡(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캡(115)과, 재료가공통(120)과 압착통(13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체(140)와, 하우징(111)의 외표면에 설치된 전원공급스위치(118)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구동축(112a)의 둘레영역에 3개의 하우징걸림리브(111a)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축(112a)에 더하여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재료가공통(120)은 내부에 이송공간(121a)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121)와, 내부에 압착공간(122a)이 이송공간(121a)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공공간부(12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121)는 후단에 지지면(121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121b)에는 하우징걸림리브(111a)에 대응하는 3개의 이송걸림리브(121c)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가공통축공(121f)이 형성되어 있다.
가공공간부(122)는 저면에 즙배출구(122b)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3개의 가공걸림리브(122c)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통(120)은 이송걸림리브(121c)를 하우징걸림리브(111a)사이를 통과시킨 후 하우징걸림리브(111a)와 상호 작용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면(121b)을 통해 하우징(1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투입관(113)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121a)에 연통하도록 재료가공통(12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 분리 형성된 투입안내관(113a)을 갖고 있다.
압착통(130)은 둘레 대부분영역에 착즙공(13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가공공간부(122)의 내부에서 협경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엔드캡(114)은 전면에 캡축공(114a)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연부에는 가공걸림리브(122c)에 대응하는 3개의 캡걸림리브(도시되지 않음)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114)은 캡걸림리브(도시되지 않음)를 가공걸림리브(122c)사이를 통과시킨 후 가공걸림리브(122c)와 상호 작용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재료가공통(1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재료가공통(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축공(114a)은 압착통(1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지지캡(115)은 4개의 지지바(도시되지 않음)가 십자형태로 만나는 중앙영역에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캡(115)은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캡축공(114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엔드캡(114)에 나사 결합된다.
재료가공체(140)는 직선상의 가공축부(141)와, 각각 가공축부(1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이송스크류부(142) 및 압착요철부(143)를 갖고 있다.
압착요철부(143)는 이송스크류부(142)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체(140)는 가공축부(141)의 전단이 지지캡(115)의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고 후단은 구동축(1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재료가공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부(142)는 이송공간을 통과하고, 압착요철부(143)는 압착공간(122a)을 통과한다.
전원공급스위치(118)는 하우징(1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료가공통(120)을 하우징(111)에 결합한다.
다음에 가공통축공(121f)을 통해 재료가공체(140)를 구동축(112a)에 결합한다.
다음에 압착요철부(143)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압착통(130)을 가공공간부(122)에 삽입한다.
다음에 가공축부(141)가 캡축공(114a)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엔드캡(114)을 회전시켜 가공공간부(122)에 결합한다.
다음에 가공축부(141)의 전단이 지지되도록 지지캡(115)을 엔드캡(114)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가공공간부(122)의 즙배출구(122b)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18)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재료가공체(140)는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투입관(113)을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투입관(113)에 투입된 재료는 재료가공체(140)에 공급된 후, 이송스크류부(142)에 의해 분쇄되면서 압착통(130)으로 공급된다.
압착통(130)에 공급된 재료는 압착통(130)과 압착요철부(14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압착요철부(143)의 압착동작에서 발생하는 즙은 압착통(130)의 착즙공(130a)과 즙배출구(12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착즙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지지캡(115), 엔드캡(114), 압착통(130), 재료가공통(120) 및 재료가공체(140)를 분리시킨 후, 세척 보관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엔드캡(114)이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 원공급스위치(118)를 온 조작되는 경우 구동부(112)에 동작전압이 공급되어 재료가공체(140)가 구동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락형태의 음식을 제조하는(지지캡에 가락배출구를 형성하면 가락형태의 음식을 제조할 수 있음) 다른 재료가공장치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드캡이 설치되어 있는 않은 상태에서 구동부에 동작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음식재료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후단에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의 전방에 이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압착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공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둘레면에 착즙공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공간부의 내부에서 협경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원뿔대통형상의 압착통과, 전면에 캡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축공이 상기 압착통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캡축공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드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캡과, 가공축부와 각각 상기 가공축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공축부의 후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이송스크류부 및 압착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상기 이송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압착요철부가 상기 압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가공축부의 전단이 상기 지지캡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공축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재료가공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소정의 전원전압사이를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를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엔드캡의 사이구간에서 상기 가공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된 가압봉과;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는 안전작동부와; 상기 가압봉이 상기 하우징에 접근할 때 레버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압봉의 대향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전원전압사이 및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구동부사이중 어느 일방에 개재하는 상시 오프상태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엔드캡을 통해 가압력이 가압봉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압봉은 상기 엔드캡 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작동부는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엔드캡의 상기 가압봉의 대향영역에 형성된 가압돌부와,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재료가공통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가압봉에 장착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부분절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20)과, 재료가공통(2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3)과, 재료가공통(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뿔대통형상의 압착통(30)과, 재료가공통(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캡(14)과, 엔드캡(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캡(15)과, 재료가공통(20)과 압착통(3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체(40)와,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설치된 전원공급스위치(18)와, 재료가공통(20)의 일 측면에 결합된 가압봉(16)과, 가압봉(16)을 하우징에 접근하고 이반시키기 위한 압력을 전달하는 안전작동부(50)와, 전원공급스위치(18)와 구동부(12)사이에 개재하는 상시(常時) 오프(OFF)상태의 리미트스위치(17)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전면 구동축(12a)의 둘레영역에 3개의 하우징걸림리브(11a)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2)는 구동축(12a)에 더하여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재료가공통(20)은 내부에 이송공간(21a)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21)와, 내부에 압착공간(22a)이 이송공간(21a)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공공간부(2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21)는 후단에 지지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21b)에는 하우징걸림리브(11a)에 대응하는 3개의 이송걸림리브(21c)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가공통축공(21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공간부(21)는 일 측면에 봉통과돌부(21d)가 형성되어 있고, 봉통과돌부(21d)에는 봉통과공(21e)이 가압봉(1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공공간부(22)는 저면에 즙배출구(22b)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3개의 가공걸림리브(22c)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공공간부(22)는 일 측면에 봉지지돌부(22d)가 형성되어 있고, 봉지지돌부(22d)에는 봉지지공(22e)이 봉통과공(21e)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지지공(22e)은 전방영역에 확경부(22f)가 형성되어 있고, 확경부(22f)에는 부시(22g, Bush)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통(20)은 이송걸림리브(21c)를 하우징걸림리브(11a)사이를 통과시킨 후 하우징걸림리브(11a)와 상호 작용하도록 회전시킴으로 써, 지지면(21b)을 통해 하우징(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투입관(13)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21a)에 연통하도록 재료가공통(2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 분리 형성된 투입안내관(13a)을 갖고 있다.
압착통(30)은 둘레 대부분영역에 착즙공(3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가공공간부(22)의 내부에서 협경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엔드캡(14)은 전면에 캡축공(14a)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연부에는 가공걸림리브(22c)에 대응하는 3개의 캡걸림리브(도시되지 않음)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14)은 캡걸림리브(도시되지 않음)를 가공걸림리브(22c)사이를 통과시킨 후 가공걸림리브(22c)와 상호 작용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재료가공통(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재료가공통(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축공(14a)은 압착통(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지지캡(15)은 4개의 지지바(도시되지 않음)가 십자형태로 만나는 중앙영역에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캡(15)은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캡축공(14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엔드캡(14)에 나사 결합된다.
재료가공체(40)는 직선상의 가공축부(41)와, 각각 가공축부(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이송스크류부(42) 및 압착요철부(43)를 갖고 있다.
압착요철부(43)는 이송스크류부(42)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나선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체(40)는 가공축부(41)의 전단이 지지캡(15)의 축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고 후단은 구동축(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재료가공체(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부(42)는 이송공간을 통과하고, 압착요철부(43)는 압착공간(22a)을 통과한다.
전원공급스위치(18)는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봉(16)은 엔드캡(14) 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판(16a)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봉(16)은 봉지지공(22e)과 봉통과공(21e)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재료가공통(20)에 설치된다. 재료가공통(2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봉(16)의 후단은 리미트스위치(17)의 레버(17a)에 접근하고, 지지판(16a)은 후술하는 봉지지돌부(22d)의 전면에 접촉하며, 지지판(16a)은 부시(22g)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가압봉(16)은 부시(22g)에 의해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하우징(11)의 전면과 엔드캡(14)의 사이구간에서 가공축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안전작동부(50)는 엔드캡(14)의 둘레연부 일 측에 캡축공(1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압돌부(51)와, 가압봉(16)에 삽입된 상태로 봉지지공(22e)에 장착되는 복귀스프링(52)을 갖고 있다.
가압돌부(51)는 하우징(11)의 대향영역에 상향 경사면(51a)과 경사면(5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평탄면(51b)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돌부(51)는 재료 가공통(20)과의 결합을 위해 엔드캡(14)을 회전시키는 동안 가압봉(16)의 전단이 경사면(51a)을 타고 상승한 후 평탄면(51b)에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돌부(51)에 의해 엔드캡(14)을 재료가공통(20)에 결합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하우징(11)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이 가압봉(16)에 전달된다.
복귀스프링(52)은 봉지지공(22e)의 확경부(22f)와 지지판(16a)의 후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귀스프링(52)에 의해 엔드캡(14)을 재료가공통(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이 가압봉(16)에 전달된다.
리미트스위치(17)는 가압봉(16)이 하우징(11)에 접근할 때 레버(17a)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우징(11)의 가압봉(16) 대향영역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봉(16)을 결합시킨 상태로 재료가공통(20)을 하우징(11)에 결합한다.
다음에 가공통축공(21f)을 통해 재료가공체(40)를 구동축(12a)에 결합한다.
다음에 압착요철부(43)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압착통(30)을 가공공간부(22)에 삽입한다.
다음에 가공축부(41)가 캡축공(14a)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엔드 캡(14)을 회전시켜 가공공간부(22)에 결합한다. 엔드캡(14)이 가공공간부(22)에 결합되는 동안 가압봉(16)의 전단이 가압돌부(51)의 경사면(51a)을 타고 상승한다.
가압봉(16)의 전단이 가압돌부(51)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면 가압봉(16)은 하우징(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리미트스위치(17)의 레버(17a)는 가압된다(도3 및 도4 참조).
가압봉(16)이 하우징(11)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복귀스프링(52)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17)의 레버(17a)가 가압되면 리미트스위치(17)는 온상태가 되고, 전원공급스위치(18)와 전압전원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가공축부(41)의 전단이 지지되도록 지지캡(15)을 엔드캡(14)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가공공간부(22)의 즙배출구(22b)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8)를 조작하여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2a)이 회전함에 따라 재료가공체(40)는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투입관(13)을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투입관(13)에 투입된 재료는 재료가공체(40)에 공급된 후, 이송스크류부(42)에 의해 분쇄되면서 압착통(30)으로 공급된다.
압착통(30)에 공급된 재료는 압착통(30)과 압착요철부(43)의 상호 작용에 의 해 압착된다. 압착요철부(43)의 압착동작에서 발생하는 즙은 압착통(30)의 착즙공(30a)과 즙배출구(2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착즙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지지캡(15), 엔드캡(14), 압착통(30), 재료가공통(20) 및 재료가공체(40)를 분리시킨 후, 세척 보관한다.
여기서 엔드캡(14)을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조작하는 과정에서 복귀스프링(5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봉(16)은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가압봉(16)이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면, 리미트스위치(17)의 레버(17a)는 오프상태가 되고 전원공급스위치(18)와 전압전원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캡(14)의 설치동작과 연동하여 전원공급스위치(18)와 구동부(12)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미트스위치(17)를 마련함으로써, 엔드캡(14)이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공급스위치(18)를 온 조작하는 경우에는 구동부(12)에 동작전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엔드캡(14)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공체(4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엔드캡(14)에 형성된 가압돌부(51)를 포함하도록 안전작동부(50)를 구성함으로써, 엔드캡(14)의 회전조작시 가압봉(16)에 의한 레버(17a)의 가압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2)와 전원공급스위치(18)사이에 리미트스위치(17)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원공급스위치(18)와 전원전압사이에 리미트스위 치(17)를 설치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엔드캡이 설치될 때 전원공급스위치와 구동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엔드캡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공체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후단에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의 전방에 이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압착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공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공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가공통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둘레면에 착즙공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공간부의 내부에서 협경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원뿔대통형상의 압착통과, 전면에 캡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축공이 상기 압착통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캡축공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드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캡과, 가공축부와 각각 상기 가공축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공축부의 후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이송스크류부 및 압착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상기 이송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압착요철부가 상기 압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가공축부의 전단이 상기 지지캡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공축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재료가공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소정의 전원전압사이를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를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엔드캡의 사이구간에서 상기 가공축부의 길이방 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된 가압봉과;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는 안전작동부와;
    상기 가압봉이 상기 하우징에 접근할 때 레버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압봉의 대향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전원전압사이 및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구동부사이중 어느 일방에 개재하는 상시 오프상태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은 상기 엔드캡 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작동부는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엔드캡의 상기 가압봉의 대향영역에 형성된 가압돌부와, 상기 엔드캡을 상기 재료가공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때 상기 가압봉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재료가공통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가압봉에 장착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20060027472U 2006-10-02 2006-10-02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37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72U KR200437087Y1 (ko) 2006-10-02 2006-10-02 음식재료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72U KR200437087Y1 (ko) 2006-10-02 2006-10-02 음식재료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87Y1 true KR200437087Y1 (ko) 2007-11-02

Family

ID=4163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472U KR200437087Y1 (ko) 2006-10-02 2006-10-02 음식재료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40B1 (ko) 2010-10-28 2012-07-30 이은숙 착즙기용 착즙부재제조방법
KR200463482Y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음식재료가공장치
WO2022050765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20220031385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502349B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82Y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167040B1 (ko) 2010-10-28 2012-07-30 이은숙 착즙기용 착즙부재제조방법
WO2022050765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20220031385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422157B1 (ko) * 2020-09-04 2022-07-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N114980780A (zh) * 2020-09-04 2022-08-30 株式会社Nuc电子 食品加工机
KR102502349B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0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EP2777449B1 (en) Juicer with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housing
KR101254388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CN102149305A (zh) 榨汁机模块及垂直螺旋榨汁机
KR101074420B1 (ko) 원액기
KR200437750Y1 (ko) 착즙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101319762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232461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323115B1 (ko) 착즙기
KR20100006306U (ko) 착즙기
KR20130059615A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KR20043950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9628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49577Y1 (ko) 착즙기
KR200456315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9922Y1 (ko) 착즙기
KR200421318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51541Y1 (ko) 착즙기
KR200451123Y1 (ko) 착즙기
KR100600553B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110006829U (ko) 음식재료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