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06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506Y1 KR200439506Y1 KR2020070000722U KR20070000722U KR200439506Y1 KR 200439506 Y1 KR200439506 Y1 KR 200439506Y1 KR 2020070000722 U KR2020070000722 U KR 2020070000722U KR 20070000722 U KR20070000722 U KR 20070000722U KR 200439506 Y1 KR200439506 Y1 KR 2004395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ice
- space
- coupled
- lev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상기 수납컵의 전방에서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찌꺼기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레버부와 상기 회동레버부의 회동동작시 상기 찌꺼기통이 상기 수납컵의 회전영역에 접 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접근제한경계선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레버부에 결합되는 작용레버부를 갖는 접근제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찌꺼기통을 수납컵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착즙, 수납컵, 접근제한레버, 찌꺼기통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접근제한레버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접근제한레버의 설치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
도5는 도4에 수평유동방지부의 분해사시도,
도6 및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된 접근제한레버의 회동조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지지축 14, 114 : 투입관
30, 130 : 착즙통 31, 131 : 이송공간부
32, 132 : 착즙공간부 15, 115 : 배출통
40, 140 : 원동착즙체 50, 150 : 종동착즙체
60 : 접근제한레버 61 : 회동레버부
62 : 작용레버부 91 : 수직유동방지부재
92 : 수평유동방지부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등을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착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 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착즙기가 안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111b)과, 하우징(1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130)과, 착즙통(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15)과, 받침판(1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납컵(119)과, 수납컵(119)의 전방에 설치되는 찌꺼기통(118)과, 착즙통(1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14)과,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원동착즙회전체(1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150)와,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착즙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111b)은 저면에 4개의 안착돌부(111d)가 부착되어 있고, 안착돌부(111d)에 의해 받침판(111b)은 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구동부(112)는 착즙구동축(112a)에 더하여 받침판(111b)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112b)과, 착즙구동축(112a)과 컵구동축(112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1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131)와, 이송공간부(1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13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131)는 내부에 이송공간(1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1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132)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은 착즙공간(1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즙공간부(132)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30)은 이송공간(131a)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131)의 후면이 하우징(1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131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후술하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15)은 착즙공간부(1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15b)을 통해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컵(119)은 즙배출개구(115a)의 하측영역에서 컵구동축(112b)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찌꺼기통(118)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찌꺼기배출공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투입관(1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1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141)와, 각각 원동축부(1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142) 및 원동착즙요철부(143)를 갖고 있다.
원동이송요철부(1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원동이송요철부(1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140)는 원동축부(14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후단은 착즙구동축(1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14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14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151)와, 각각 종동축부(1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152) 및 종동착즙요철부(153)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원동이송요철부(1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전방에서 원동착즙요철부(143)에 치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150)는 종동축부(151)의 전단이 배출통(115)의 종동축전방지지홈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152)는 이송공간(131a)을 통과하고 종동착즙요철부(153)는 착즙공간(132b)을 통과한다.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와, 상판부(1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82)와, 투입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8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80)는 상판부(1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181a)이 지지축(113)의 걸림홈(1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수납컵(119)의 전방에 찌꺼기통(118)을 설치한다.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112a)과 컵구동축(112b)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140)와 종동착즙체(150)가 회전하면, 투입관(1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1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1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142)와 종동이송요철부(1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시 분쇄된 후, 착즙공간(1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1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한편 컵구동축(112b)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컵(119)도 회전한다.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115)의 즙배출개구(115a)를 통과한 후, 회전중인 수납컵(119)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원동착즙요철부(143)와 종동착즙요철부(1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배출통(115)의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찌꺼기통(118)으로 낙하한다.
착즙이 완료되면 찌꺼기통(118)을 이동시켜 수납된 찌꺼기를 처리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장치에 따르면, 찌꺼기통(118)의 설치영역을 육안으로 짐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찌꺼기통(118)과 수납컵(119)이 충돌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찌꺼기통을 수납컵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상기 수납컵의 전방에서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찌꺼기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 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레버부와 상기 회동레버부의 회동동작시 상기 찌꺼기통이 상기 수납컵의 회전영역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접근제한경계선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레버부에 결합되는 작용레버부를 갖는 접근제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접근제한경계선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상기 작용레버부가 접근제한경계선에 도달할 때 상기 작용레버부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근제한레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레버부는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 완료할 때 상기 스토퍼돌기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근제한레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과 수직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하는 동안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과 상기 수평부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통해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기역자 형상의 수직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받침판은 중공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 상기 작용레버부의 통과영역에는 안내관이 내부공간을 향해 배치되도 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절캡과, 하단영역이 상기 안내관의 하측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에 장착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을 상기 조절캡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관에 장착된 조절스프링을 갖는 수평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용레버부는 상기 받침판의 대향면에 수평유동방지홈이 상기 승강봉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접근제한레버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접근제한레버의 설치상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5는 도4에 수평유동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중공(中空)형태의 받침판(11b)과, 하우징(11)의 전면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3)과,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30)과, 착즙통(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15)과, 받침판(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납컵(19)과, 수납컵(19)의 전방에 설치되는 찌꺼기통(18)과, 하우징(11)에 설치된 접근제한레버(60)와, 받침판(11b)의 저면에 결합되는 기역자 형상의 수직유동방지부재(91) 및 수평유동방지부(92)와, 착즙통(3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14)과, 착즙구동축(12a)에 결합된 상태로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동착즙회전체(40)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착즙회전체(50)와,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8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전면 착즙구동축(12a)의 인접영역에 종동축후방지지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11b)은 저면 후술하는 작용레버부(62)의 통과영역에는 안내관(11c)이 내부공간을 향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안내관(11c)은 내표면 하단에 이탈방지돌부(11f)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판(11b)은 저면에 4개의 안착돌부(11d)가 부착되어 있고, 안착돌부(11d)의 전방에는 스토퍼돌기(11e)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돌부(11d)에 의해 받침판(11b)은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스토퍼돌기(11e)는 후술하는 작용레버부(62)가 접근제한경계선(회동레버부의 회동동작시 찌꺼기통이 수납컵의 회전영역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획선)에 도달할 때 작용레버부(62)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2)는 착즙구동축(12a)에 더하여 받침판(11b)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12b)과, 착즙구동축(12a)과 컵구동축(12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걸림홈(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30)은 단일관 형상의 이송공간부(31)와, 이송공간부(31)의 전방에 형성된 착즙공간부(32)를 갖고 있다.
이송공간부(31)는 내부에 이송공간(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이송지지홈(31b)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즙공간부(32)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관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은 착즙공간(3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즙공간부(32)의 대부분 영역에는 즙안내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30)은 이송공간(31a)이 지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공간부(31)의 후면이 하우징(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이송지지홈(31b)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15)은 저면에 즙배출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통(15)은 내표면에 후술하는 원동축부(4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후술하는 종동축부(51)의 전단이 삽입 지지되는 종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5)은 착즙공간부(32)의 전방에서 배출지지홈(15c)을 통해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컵(19)은 즙배출개구(15a)의 하측영역에서 컵구동축(12b)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찌꺼기통(18)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찌꺼기배출공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접근제한레버(60)는 받침판(11b)의 저면에 회동핀(61a)을 통해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대략 원호형상의 회동레버부(61)와, 회동레버부(61)에 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작용레버부(62)를 갖고 있다.
회동레버부(61)는 회동핀(61a)이 결합된 종단영역에 반원단면의 안내돌부(61d)를 사이에 두고 정방향스토퍼면(61b)과 역방향스토퍼면(61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방향스토퍼면(61b)은 작용레버부(62)가 접근제한경계선에 도달할 때 스토퍼돌기(11e)와 상호 작용하여 작용레버부(62)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형성되고, 역방향스토퍼면(61c)은 작용레버부(62)가 받침판(11b)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 완료할 때 스토퍼돌기(11e)와 상호 작용하여 작용레버부(62)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형성된다.
작용레버부(62)는 회동레버부(61)의 회동동작시 찌꺼기통(18)이 수납컵(19)의 회전영역에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회동레버부(61)에 결합된다.
그리고 작용레버부(62)는 받침판(11b)의 대향면에 수평유동방지홈(62a)이 후술하는 승강봉(92b)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유동방지부재(91)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91b)와 수직부(91a)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유동방지부재(91)는 작용레버부(62)가 받침판(11b)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하는 동안 작용레버부(62)가 받침판(11b)의 저면과 수평부(91b)사이에 수용되도록 수직부(91a)를 통해 받침판(11b)의 저면에 결합된다.
수평유동방지부(92)는 안내관(11c)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절캡(92a)과, 하단영역이 안내관(11c)의 하측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내관(11c)에 장착된 승강봉(92b)과, 승강봉(92b)을 조절캡(92a)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안내관(11c)에 장착된 조절스프링(92e)을 갖고 있다.
승강봉(92b)은 상부영역에 확경부(92c)를 갖도록 형성되고, 확경부(92c)의 상면에는 스프링지지홈(92d)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강봉(92b)은 확경부(92c)가 안내관(11c)의 내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이탈방지돌부(11f)에 의해 안내관(11c)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조절스프링(92e)은 일단이 스프링지지홈(92d)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투입관(14)은 내측개구가 이송공간(31a)에 연통하도록 이송공간부(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는 직선상의 원동축부(41)와, 각각 원동축부(4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동이송요철부(42) 및 원동착즙요철부(43)를 갖고 있다.
원동이송요철부(42)는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원동착즙요철부(43)는 원동이송요철부(42)의 전방에서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회전체(40)는 원동축부(41)의 전단이 배출통(15)의 원동축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후단은 착즙구동축(12a)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원동착즙회전체(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원동이송요철부(42)는 이송공간(31a)을 통과하고 원동착즙요철부(43)는 착즙공간(32b)을 통과한다.
종동착즙회전체(50)는 직선상의 종동축부(51)와, 각각 종동축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이송요철부(52) 및 종동착즙요철부(53)를 갖고 있다.
종동이송요철부(52)는 원동이송요철부(42)에 치합할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형태로 형성된다.
종동착즙요철부(53)는 종동이송요철부(52)의 전방에서 원동착즙요철부(43)에 치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회전체(50)는 종동축부(51)의 전단이 배출통(15)의 종동축전방지지홈에 지지되고 후단은 하우징(11)의 종동축후방지지홈(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착즙회전체(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동이송요철부(52)는 이송공간(31a)을 통과하고 종동착즙요철부(53)는 착즙공간(32b)을 통과한다.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와, 상판부(8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82)와, 투입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81)로부터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83)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80)는 상판부(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핀(81a)이 지지축(13)의 걸림홈(13a)에 삽입되도록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3,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방향스토퍼면(61b)과 스토퍼돌기(11e)가 상호 작용할 때까지 접근제한레버(60)를 회동 조작하여 작용레버부(62)를 접근제한경계선에 배치한다(도3과 도7 참조). 여기서 정방향스토퍼면(61b)과 스토퍼돌기(11e)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근제한경계선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작용레버부(62)에 접촉하도록 찌꺼기통(18)을 설치한다.
전원공급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착즙구동축(12a)과 컵구동축(12b)은 회전한다.
착즙구동축(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체(40)와 종동착즙체(5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체(40)와 종동착즙체(50)가 회전하면, 투입관(14)을 통해 착즙재료(야채나 과일 등)를 투입한다.
투입관(14)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이송공간(31a)으로 공급된다.
이송공간(31a)에 공급된 착즙재료는 원동이송요철부(42)와 종동이송요철부(52)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시 분쇄된 후, 착즙공간(32b)으로 이송된다.
착즙공간(32b)에 이송된 착즙재료는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한편 컵구동축(12b)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컵(19)도 회전한다.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15)의 즙배출개구(15a)를 통과한 후, 회전중인 수납컵(19)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원동착즙요철부(43)와 종동착즙요철부(53)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배출통(15)의 찌꺼기배출공을 통해 찌꺼기통(18)으로 낙하한다.
착즙이 완료되면 찌꺼기통(18)을 이동시켜 수납된 찌꺼기를 처리한다.
다음에 역방향스토퍼면(61c)과 스토퍼돌기(11e)가 상호 작용할 때까지 접근제한레버(60)를 회동 조작하여 작용레버부(62)가 받침판(11b)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되도록 한다9도6 참조). 여기서 역방향스토퍼면(61c)과 스토퍼돌기(11e)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근제한레버(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접근제한레버를 받침판의 저면 하측으로 완전히 진입시킬 수 있음).
그리고 작용레버부(62)의 진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승강봉(92b)의 하단은 수평유동방지홈(62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승강봉(92b)의 하단이 수평유동방지홈(62a)에 삽입됨에 따라 접근제한레버(60)는 받침판(11b)의 판면에 수평인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작용레버부(62)의 진입이 완료될 때 작용레버부(62)는 수평부(91b)와 받침판(11b)사이에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용레버부(62)가 수평부(91b)와 받침판(11b)사이에 진입함에 따라 접근제한레버(60)는 받침판(11b)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에에서는 착즙회전체가 원동착즙회전체(40)와 종동착즙회전 체(50)로 분할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단일형태로 착즙회전체를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접근제한레버를 통해 찌꺼기통의 설치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찌꺼기통을 수납컵(특히 손잡이 부분)이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Claims (5)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착즙구동축과 상기 받침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컵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이송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송공간부와 착즙공간이 상기 이송공간에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착즙공간부를 가지고 후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저면에 즙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배출개구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착즙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통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즙배출개구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컵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납컵과, 상기 수납컵의 전방에서 상기 찌꺼기배출공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찌꺼기통과, 내측개구가 상기 이송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공간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투입관과, 착즙회전축과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이송요철부와 상기 재료이송요철부의 전방에서 상기 착즙회전축에 결합된 재료착즙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착즙회전축을 통해 상기 착즙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재료이송요철부가 상기 이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착즙요철부가 상기 착즙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착즙통에 설치되는 착즙회전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레버부와 상기 회동레버부의 회동동작시 상기 찌꺼기통이 상기 수납컵의 회전영역에 접근 하는 것을 제한하는 접근제한경계선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레버부에 결합되는 작용레버부를 갖는 접근제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상기 작용레버부가 접근제한경계선에 도달할 때 상기 작용레버부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회동레버부는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 완료할 때 상기 스토퍼돌기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상호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과 수직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 하측으로 진입하는 동안 상기 작용레버부가 상기 받침판의 저면과 상기 수평부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통해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기역자 형상의 수직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은 중공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 상기 작용레버부의 통과영역에는 안내관이 내부공간을 향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안내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절캡과, 하단영역이 상기 안내관의 하측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에 장착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을 상기 조절캡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관에 장착된 조절스프링을 갖는 수평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작용레버부는 상기 받침판의 대향면에 수평유동방지홈이 상기 승강봉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0722U KR200439506Y1 (ko) | 2007-01-15 | 2007-01-15 | 착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0722U KR200439506Y1 (ko) | 2007-01-15 | 2007-01-15 | 착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506Y1 true KR200439506Y1 (ko) | 2008-04-16 |
Family
ID=4134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0722U KR200439506Y1 (ko) | 2007-01-15 | 2007-01-15 | 착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50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455Y1 (ko) | 2013-05-21 | 2014-09-18 | 이은숙 | 착즙기 |
-
2007
- 2007-01-15 KR KR2020070000722U patent/KR2004395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455Y1 (ko) | 2013-05-21 | 2014-09-18 | 이은숙 | 착즙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72362B2 (ja) | 食品処理機 | |
CN104582550B (zh) | 用于家用食物处理设备的安全系统 | |
US9459035B2 (en) |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n ice dispenser, and corresponding assembly | |
EP1787526B1 (en) | Blender for producing ice-cream and similar | |
RU218447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
US20100251740A1 (en) | Ice dispenser with an ice comminuting device | |
DE202011109913U1 (de) | Kaffeegetränksystem, Kaffeebohnenverpackungspatrone zur Verwendung mit diesem System, Patrone für Kaffeebohnenmaterial | |
KR200437750Y1 (ko) | 착즙기 | |
US20080178742A1 (en) | Built-In Coffee Machine And Related Activation Process | |
CN109475253A (zh) | 粉碎机 | |
KR10137532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39506Y1 (ko) | 착즙기 | |
CN108209619A (zh) | 碾磨刀及碾磨装置 | |
KR20210122569A (ko) | 커피추출장치 | |
KR20210122570A (ko) | 커피추출장치 | |
KR20100062386A (ko) | 원두커피 자동분쇄기 | |
JP2019180386A (ja) | 新型の薬をまく機械装置 | |
US7644710B2 (en) | Grill | |
CH616065A5 (ko) | ||
KR20100071697A (ko) |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 | |
ES2910088B2 (es) | Util reciclador, modulo reciclador y maquina recicladora de capsulas con productos alimenticios | |
KR200441689Y1 (ko) | 착즙기 | |
KR200437749Y1 (ko) | 착즙기 | |
US20180008085A1 (en) | System for refilling beverage dispenser with powder | |
CN208384701U (zh) | 一种售货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