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569A - 커피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569A
KR20210122569A KR1020200039881A KR20200039881A KR20210122569A KR 20210122569 A KR20210122569 A KR 20210122569A KR 1020200039881 A KR1020200039881 A KR 1020200039881A KR 20200039881 A KR20200039881 A KR 20200039881A KR 20210122569 A KR20210122569 A KR 2021012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unit
gear
coffe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이정원
김서연
최종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2569A/ko
Priority to PCT/KR2021/001547 priority patent/WO2021201412A1/en
Priority to US17/201,740 priority patent/US20210307557A1/en
Publication of KR2021012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10Grinding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회전하는 제1버(Burr), 상기 제1버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를 포함하는 제1그라인딩부, 및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상기 제2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 출구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상기 커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추출장치 {Coffee Extract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직접 커피를 드립(drip)해서 마시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에스프레소(espresso)나 드립커피(drip coffee)를 자동으로 추출해주는 자동커피머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분쇄된 원두의 신선함 유지기간이 1~2주 정도로 길지 않고, 고급원두에 대한 니즈(needs)가 증가하여, 신선한 원두를 구입하여 그라인딩까지 직접 하려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그라인더(grinder)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리인더가 내장된 자동커피머신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날은 크게 플랫 버(flat burr), 코니컬 버(conical Burr), 롤형 버(roller-type burr)와 같이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랫 버는 보통 카페 등의 커피 매장에서 많은 양의 그라인딩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는 반면, 한 번에 소량의 그라인딩을 하는 가정용으로는 대부분 코니컬 버를 사용한다. 롤형 버는 커피분말을 대량생산하는 공장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라인더가 포함된 자동커피머신 중 무인양품(Muji)사의 모델명 MJ-CM1 드립커피머신은 플랫 버를 수직으로 세워 그라인더를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분쇄날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하여, 그라인더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분쇄된 원두가 원주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플랫 버를 사용하여 그라인더 내에 쌓이는 원두가 많고,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직접 연결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대책이 부족하며, 분쇄도는 수동으로 직접 조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 2007932호도 그라인더를 포함하고 있는 커피머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버의 종류로 코니컬 버를 사용하고 있으나, 내부 코니컬 버가 회전을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구동부가 내부 코니컬 버에까지 연결되어야 하므로 커피가루가 배출되면서 구동부에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쇄도를 수동으로 직접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원두를 바로 갈아 사용함으로써 신선함을 유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그라인더를 쉽게 분리해서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된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단순화하고, 내부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그라인더에 의한 원두 분쇄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진동을 줄이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원두의 분쇄도를 자동조정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분쇄된 원두가 내부 그라인더에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두의 공급부터 분쇄된 원두의 배출까지의 경로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쇄된 원두는 수직방향으로만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분쇄를 위한 코니컬 버(Burr)의 외부 버(outer burr)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낙하하는 분쇄된 원두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라인더 내부에 쌓인 커피가루의 간편한 청소를 위해 그라인더를 착탈가능하고 분해가능하게 구현한 것이다.
또한, 그라인더의 원두 분쇄시 분쇄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윙(Swing) 타입의 아이들 기어를 사용하고, 공급된 원두를 위한 적정한 분쇄를 위해 분쇄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1버(Burr), 상기 제1버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를 포함하는 제1그라인딩부; 및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상기 제2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 출구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상기 커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 및 상기 제1버 출구를 거쳐 커피가루로 분쇄 된 후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결합하는 고정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두가 유입되는 원두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원두유입홀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축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지지부는 상기 원두유입홀의 내면과 상기 고정축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외주면에 기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1기어부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버 입구의 방향에서 원두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원두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가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두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에서 상기 제1버 출구를 지나면서 커피가루로 분쇄된 후,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보다 상기 제1개구부에 가깝게 상기 하우징바디에 수용되고, 상기 버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버에 삽입된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회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2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동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2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연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1기어부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회전부와 상기 제2기어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통홀의 중심 위치는 상기 제2연통홀의 중심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통홀이 형성된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은 상기 제2연통홀이 형성된 제2회전부의 반경방향과 다를 수 있다.
한편,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의 회전속도를 소정 비율로 줄이는 유성기어부; 및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그라인딩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 상기 그라인더고정부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를 보호하는 기어커버부; 상기 기어커버부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부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더고정부, 상기 기어커버부 및 상기 기어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버결합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 관통홀의 지름은 상기 제2버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제1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제2버의 일부는 상기 버결합부 관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버 출구에서 배출되는 커피가루는 상기 버결합부 관통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버의 삽입 또는 분리를 위한 링형태의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원두를 바로 갈아 사용함으로써 신선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그라인더를 쉽게 분리해서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된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단순화하여 내부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라인더에 의한 원두 분쇄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원두의 분쇄도를 자동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커피추출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분쇄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분쇄부에 포함되는 코니컬 버의 조립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코니컬 버의 외부 버인 제1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코니컬 버의 내부 버인 제2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일례를 분해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2그라인딩부와 가이드부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제2회전부, 제2기어부 및 제2그라인딩부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그라인더어셈블리가 지지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제2그라인딩부가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c)는 제2회전부의 가이드부와 회전링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기어부와 제1회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제1기어부가 정지한 경우 제1회전부에서 떨어진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제1기어부가 구동시 제1회전부에 맞물린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2회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원두(whole bean)라 함은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그대로의 생두(coffee bean)가 아니라,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말하는 것이다.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래 로스팅된 다크 로스팅 커피는 라이트 로스팅 커피보다 더 물에 쉽게 커피 성분이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로스팅정도에 무관하게 커피 추출을 위해 이용할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뜻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커피가루는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로,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는 특정 크기를 갖는 커피가루가 아니라,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값을 변화시켜 설정할 있는 크기를 뜻한다.
또한, 제1온도는 상온(room temperature)이하의 온도를 뜻하고,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뜻한다.
또한, 커피추출장치라 함은 분쇄된 원두 즉, 커피가루를 물과 혼합한 후 커피성분을 물에 녹여 커피액(coffee liquid)을 추출하는 장치를 뜻한다. 커피액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뜻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커피액을 추출한다는 것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만든다는 의미를 뜻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액을 뜻한다. 그러나, 커피가루처럼 사용된 경우에는 고체형태의 커피를 뜻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종래의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grinder)에서 주로 사용하는 버(Burr)의 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버는 원두를 분쇄하는 칼날(blade)을 가진 2개의 파트(외부버, 내부버)가 서로 마주보면서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의 핵심부품이다. 하나의 부품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하면서 원두를 분쇄하게 된다.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버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공급되는 원두를 칼날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원리이다. 대규모로 원두를 분쇄하는 공장을 제외하고, 카페나 가정용에서는 플랫 버 또는 코니컬 버를 주로 사용한다. 플랫 버와 코니컬 버 모두 2개의 날이 맞불려 분쇄되는 것은 동일하나 그 모양에 따라 나눈 것이다. 또한 플랫 버는 버의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직버와 수평버로 나눌 수 있다.
플랫 버의 경우 내부 버(a1, b1)가 외부에 위치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외부버(a2, b2)는 고정된다. 수직 버의 경우, 분쇄된 원두는(또는 커피가루)가 분쇄배출부를 통해 모두 배출되는 게 아니라 비산되어 의도치 않게 하우징(a3, b3) 양 측면에 상하부에 쌓이게 된다. 커피가루에 의해 오염되는 부위가 많고, 누적된 커피가루는 비위생적이고 새로 분쇄되는 원두와 섞여 배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맛을 떨어뜨릴 수 있다. 수평 버의 경우, 분쇄된 원두가 마찬가지로 쌓일 뿐 만 아니라, 수직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또는 구동 연결부로 하부에 존재하므로 구동부 또는 구동 연결부의 오염을 피할 수 없다. 즉 수평버와 수직버 모두 분쇄시 원심력으로 인해 하우징(a3, b3) 내부 전체가 오염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니컬 버는 중력방향으로 수직낙하를 통해 오염된 부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코니컬 버의 경우 내부버(c2, center burr)가 회전하고 외부버(c1, outer burr)는 고정되므로 내부버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가 내부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하는 커피가루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코니컬 버의 외부버가 회전하여, 분쇄경로를 최단화시키고, 오염부위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커피추출장치(1000)는 원두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하는 분쇄부(200), 상기 분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물과 함께 회전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필터부(미도시), 및 내부에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이나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수용부(610)를 포함하는 추출부(600), 상기 필터부(미도시)와 결합하여 상기 필터부(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분쇄부(200) 및 상기 추출부(600)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910) 및 상기 추출부(6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된 원두 또는 커피가루는 상기 분쇄부(200)의 방향으로 개구(615)된 추출부 입구(615)를 통해 추출부(600)에 수용된 후, 급수부(4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커피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는 이 외에도 상기 분쇄부에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부(100), 상기 지지부(910)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되는 베이스(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두공급부(1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량해서 원두를 공급할 수 도 있으나, 원두를 여러 회 사용가능한 양 만큼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상기 분쇄부에 원두를 공급하는 디스펜서(dispenser)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원두를 1회 음용할 만큼만 저장된 1회용 원두저장캡슐(미도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두저장캡슐이 상기 원두공급부(100)에 결합되면, 상기 원두저장캡슐을 자동적으로 개봉시킨 후 상기 분쇄부(2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두저장캡슐에는 원두의 종류 등이 담긴 식별장치(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별장치는 원두의 종류, 로스팅 된 정도, 및 로스팅된 날짜 등을 담고 있어, 이를 인식한 후, 상기 분쇄부(200)에서의 분쇄정도 (또는 분쇄도) 및 상기 추출부(600)에서의 추출시간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는 상기 원두공급부(100)에서 원두가 낙하하고, 낙하된 원두가 상기 분쇄부(200)에서 분쇄되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되어, 상기 추출부(600)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0)는 공급된 원두를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하게 된다. 상기 분쇄부에서는 커피종류에 따라 분쇄도 (grinding degree)가 다르고, 추출되는 정도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혹은 커피종류에 따라 달리 분쇄도를 설정할 수 있다. 커피액의 맛은 분쇄도, 로스팅 정도 및 물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원두의 분쇄도는 물과의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을 의미하므로, 미세하게 분쇄된 원두 일수록 표면적이 더 많아져, 커피 내 화합물을 추출하는 것이 더 쉬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부(200)는 원두가 분쇄될 때의 충격도 완화해야 하며,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청소가 편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쇄부는 코니컬 버(conical burr, 도 3(a) 참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코니컬 버의 내부 버(center burr)와 외부 버(outer burr)중 외부 버가 회전하게 하여, 구동부가 커피가루의 낙하영역 안에 위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추출부(600)는 상기 분쇄부(200)에서 낙하하는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부(미도시) 및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회전을 통해 상기 커피가루와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다. 물은 상기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으로 인해 물 분자의 무작위운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의 온도 상승은 매우 미미하여, 제1온도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상기 수용부(610)는 상기 필터부(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 또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메쉬재질로 되어 있어 물 또는 커피액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반면, 고체인 커피가루는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회전하면, 상기 필터부(미도시) 내부는 커피가루, 물 및 커피액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필터부(미도시) 외부와 상기 수용부(610) 사이에서는 물 및 커피액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추출부(600)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할 수 있는 커피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서버(800)는 주전자 형태의 포트일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추출부(6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로 배출되는 커피액을 낙하시켜 저장할 수도 있고, 커피액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커피액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저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추출부(600)는 추출시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콜드브루(cold brew)방식과 핫브루(hot brew)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온이하의 온도인 제1온도의 물을 이용하면 콜드브루방식이고,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를 이용하면 핫브루방식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추출부(600)는 제1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제1추출부(6001), 제2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제2추출부(60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추출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지지부(910)에 착탈가능하다.
상기 제1추출부(6001)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을 이용하므로 콜드브루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반면,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다른 구조를 갖는 제2추출부(60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추출부(6001)와 상기 제2추출부(6002)는 지지부(910)에 결합되는 구조 및 커피추출장치(1000)에서 분쇄부(200)와 커피서버(800)사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비슷하여, 서로 교체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추출방식에 따라, 제1추출부(600) 또는 제2추출부(700)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부(400)를 통해 제1온도의 물 또는 제2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0)는 급수노즐(41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추출부(6001) 또는 상기 제2추출부(6002)에 각각 제1온도의 물 또는 제2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0)는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 또는 상기 제2온도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급수부(400)는 외부 급수원을 통해 상기 제1온도의 물을 받아,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한 후 상기 제2추출부(6002)에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추출부는 제1추출부(6001)에 관한 것이고, 제2추출부(600는 상기 필터부대신 수용부(610)에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제2온도의 물을 드립시켜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외부급수원이 아닌 급수탱크(미도시)를 이용하여 미리 물을 급수탱크에 저장한 후 상기 급수탱크완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도있다.
상기 추출부(690)는 지지암(690)에 의해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부(91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920)는 상기 지지부(910)와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910)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91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910)에는 원두공급부(100), 분쇄부(200), 급수부(400) 및 제1추출부(600)등 이 직접 또는 간접연결되어 있어, 편심하중(eccentric load)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910)에는 벤딩모멘트(Bending Moment), 전단력(Shear force), 뒤틀림(torsion)등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920)는 이를 견딜 수 있게 상기 지지부(910)를 고정시키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920)의 내부에는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분쇄부(200), 상기 원두공급부(100), 상기 제1추출부(600) 또는 상기 급수부(400)에 사용될 수 있는 각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부의 물의 양, 상기 배출부(680)의 개폐여부, 상기 분쇄부의 회전, 상기 분쇄부의 분쇄도 조정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이와 달리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의 다른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추출부(600)는 분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분쇄된 원두, 즉 커피가루를 받아 물과 혼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게 된다. 특히, 콜드브루방식으로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1추출부(600)는 상온(room temperature) 이하의 온도를 가진 제1온도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추출부(600)는 수용부(610)와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미도시)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커피가루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가루는 급수되는 물과 혼합되고, 상기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교반되어 커피액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물 또는 추출된 커피액만을 통과시키고 커피가루는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미도시)에 의해 커피가루가 수용부(610)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외형의 대부분은 메쉬형태의 재질로 되어 있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부(610)는 추출된 커피액 또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급수부(400)를 통해 공급된 제1온도의 물(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온도의 물을 단순히 물이라 칭한다.)은 상기 수용부 공급될 수 있다.
도 2(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분쇄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구조가 단순하고 가정용으로 적합한 코니컬 버(conical burr)를 이용한다. 플랫버와 달리 분쇄시 열발생이 작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커피의 향미가 더 잘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원두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가루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곱게 갈릴수록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지게 되나, 원두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각 원두마다 최적의 커피를 위한 분쇄도(grinding degree)가 달라질 수 있다.
커피의 맛을 좌우하는 것으로는 커피의 신선도, 물의 온도와 종류, 추출방법등 많은 요인이 있다. 그 중 분쇄(grinding)는 커피 추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분쇄는 원두를 갈아 커피추출의 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과정이다. 분쇄를 통해 커피 추출시 여러 커피 성분들이 더욱 쉽게 물에 용해도리 수 있어 커피 향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쇄를 통해 개별적인 커피가루, 즉 커피입자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을 분쇄도를 조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공급된 원두에 따라 분쇄도를 조정을 위해 상기 제2버(232)는 후술할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쇄도 조정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원두의 종류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가 구동부를 제어하여 분쇄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두공급부에 공급되는 캡슐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나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하는 통신칩을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읽고 이에 맞는 분쇄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코니컬 버는 외부에 위치한 제1버(231) 및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231)와 함께 원두가 분쇄되는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232)를 포함한다. 종래 코니컬 버의 경우 제1버(231)는 고정되어 있고, 제2버(232)가 회전을 하여 원두를 커피가루로 분쇄시킨다. 이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2버(232)를 회전시키는 것이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회전중심을 맞추기에 쉬운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커피가루가 제2버(23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상기 제2버(232)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커피가루가 구동부에 쌓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쌓인 커피가루는 오염의 원인이자 구동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인 커피추출장치(1000)에서는 외부에 위치한 제1버(231)가 회전을 하고 제2버(232)는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회전중심을 맞추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2(b)는 커피추출장치(1000)에서 분쇄부(2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쇄부(200)는 공급되는 원두의 분쇄를 담당하는 그라인더어셈블리(210),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지지하고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제1버(231,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제1그라인딩부(211), 상기 제1버(231,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제2버(232,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제2그라인딩부(212)가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서 원두가 공급되는 방향에는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가 위치하여 원두를 공급받아 내부에 위치한 제1버(23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는 공급된 원두를 칼날(blade)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241) 및 상기 제1하우징(241)에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부는 제2버(232,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 및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2버(232)가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시 겹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290), 제2구동부(292,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90)는 제1기어부(2915) 및 상기 제1기어부(2915)를 회전시키는 제1동력부(29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290)는 상기 제2기어부(2925, 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2925, 도 4 참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292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부(2915) 및 제1동력부(2911) 사이에는 유성기어부(2913,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부는 제1동력부(2911)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수를 줄이고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상기 제1기어부(2915)에 스윙(swing) 타입의 아이들 기어(idle gear)가 사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이들 기어란 기어와 기어 사이를 연결해주는 종속적인 기어를 하나더 구비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제1기어부(2915, 도 4 참조)가 제1주기어(2916, 도 4참조) 및 제1종기어(2917)를 포함하고, 제1종기어(2917)는 제1그라인딩부(211)에 구비되는 제1회전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주기어(2916, 도 4 참조)와 제1종기어(291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어연결암(2918), 그리고,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제1주기어의 회전축인 제1주기어축(2916a)에 삽입된 후, 제1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되어 기어연결암(2918)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윙타입의 아이들 기어의 특징으로 제1주기어는 제1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제1동력부(2911)에 유성기어부(2913, 도 4 참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주기어축(2916a)은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자전(rotation)만 할 뿐,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이 이동하지 않는다.
반면, 제1주기어(2916)에 연결된 제1종기어(2917)는 자전(rotation)과 공전(revolution)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기어연결암(2918)에 지지되어 상기 제1종기어(2917)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종기어를 회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종기어축(2917a) 자체도 상기 제1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주기어(2916)를 중심으로 공전(revolution)할 수 있다.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회전부(250, 도 4 참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2919)의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 및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제1주기어(29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기어의 회전축 혹은 상기 기어연결암이 회전하는 힘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어연결암을 통해 상기 제1종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부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종기어(2917)가 회전시에는 항상 제1회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부에서 원두의 분쇄충격에 의한 반발력이나 진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을 상기 제1종기어(2917)에 전달되어도,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면서도, 상기 제1주기어(2916)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항상 제1종기어(2917)를 제1회전부(250)에 연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제1회전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제1주기어(2916)를 통해 제1주기어축(2916a) 혹은 제1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1기어부(2915), 유성기어부(2913) 및 제1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 상기 제1종기어축(2917a)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부(2911)는 구동모터인 제1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부(2911), 상기 기어고정부(283), 상기 기어커버부(282)의 일부 및 상기 제1기어부(2915)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9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설치공간(915)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커버부(282)의 일부, 상기 제1기어부(2915)의 일부, 그라인더고정부(281) 및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지지부(910) 밖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상기 지지어셈블리의 결합공간 (2811, 도 4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착탈가능한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2913, 도 4 참조)를 보호하는 기어커버부(282), 상기 기어커버부(282)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기어커버부(282) 및 상기 기어고정부(28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속재질로 프레스공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고, 용접, 리벳등의 방법에 의해 하나의 그라인더케이스(28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와 도 2(b)에는 중력방향을 g로 표시하였다.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를 통해 공급된 원두가 중력에 의해 수직낙하하는 일례를 도시하였기 때문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따라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가 위치할 필요는 없다. 다만, 중력을 따라 커피가루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을 수 있고, 중력방향은 커피추출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거의 수직하게 떨어지므로 분쇄부(200)에서 추출부(600)까지의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직선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화는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고, 짧게 만들어, 커피가루가 상기 분쇄부(200)의 내부에 쌓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버인 제1버(231)가 회전함으로써, 제1버(231)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250, 도 4참조)가 커피가루의 이동영역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제1회전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a)는 상기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제1버(231) 및 상기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된 제2버(232) 그리고, 상기 제1버(231) 및 상기 제2버(232)가 결합시 형성되는 분쇄공간(238)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버는 코니컬 버의 일종으로 통상적인 코니컬 버와 달리 외측에 위치한 제1버(231)가 회전한다. 반면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분쇄도 조정을 위해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뿐, 회전하지 않는다. 분쇄도 조정이란, 기설정된 값으로 커피가루의 분쇄되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는 상기 제2버(232)가 원추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므로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버(231)는 제1버 관통홀(2313)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날카로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톱날모양을 가진 외부버(outer serrated burr)라고 칭한다. 제1버(231)는 이와 달리 원추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추형상의 내부버(cone-shaped center burr)라고 칭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버(231)는 상기 제1버(231)의 회전을 위한 축방향을 기준으로 관통되는 제1버 관통홀(2313),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2318),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2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를 통해 유입되는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2318)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분쇄공간에서 분쇄 후 상기 제1버 출구(2319)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의 외측면 중 상기 제1버 외측면은 곡선과 직선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제1버의 외측면 중 상기 제1버 출구(2319)에 가까운 쪽의 단면은 원형의 형태를 갖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버(231)는 회전을 위해서 제1회전부(250, 도 4 참조)와 상기 제1버 입구(2318)쪽에서 결합할 수 있는데, 제1회전부(250, 도 4 참조)와 결합시, 상기 제1회전부(250, 도 4 참조)와 상기 제1버 사이에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곡선과 직선이 혼합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버 출구(2319)의 외측면은 상기 제2회전부(260, 도 4 참조)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제1버 외주면(2317)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주면은 제1버 경사부(2314)와 제1버 블레이드(blade, 2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버 입구(2318)쪽은 원두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를 포함하는 제1버 경사부(2314)가 구비되어 있으 제1버 출구(2319)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는 제1버 블레이드(2316)에 가까이 갈수록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크기가 줄어드는 테이퍼형태일 수 있다. 이는 제1버(231)와 제2버(232) 사이의 간격을 줄여 점차 1개의 원두만이 분쇄공간을 통과하면서 분쇄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버 출구(2319)쪽에는 원두를 분쇄해서 커피가루로 만드는 제1버 블레이드(23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23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버 관통홀(2323), 상기 제2버(232)의 외주면 중 상기 제1버 경사부(2314)에 대응되는 제2버 경사부(2324), 상기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임펠라(impellar, 2325),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에 대응되는 제2버 블레이드(2326)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에 공급되는 복수 개의 원두 중 상기 임펠라(2325) 및 상기 안내돌기(2315)에 의해 하나의 원두만이 하나의 안내돌기(2315)와 인접하는 안내돌기(2315) 및 하나의 임펠라(2325)와 인접하는 임펠라(2325)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들어와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 및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6)에 의해 분쇄되어 커피가루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와 상기 제2버의 분쇄공간의 크기는 상기 제2버(232)의 상기 제1버의 축"?향?* 따라 이동함으로써 분쇄도를 조정될 수 있다. 이후,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는 고정되므로, 즉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는 고정되므로, 공급되어 분쇄되는 원두의 크기는 상기 분쇄도에 따라 예상되는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배출될 것이다.
도 4(a)는 분쇄부(200)를 분쇄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쇄부(200)는 크게 그라인더어셈블리(210) 및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지지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어셈블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하는 제2그라인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회전하는 제1버(231), 상기 제1버(2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2313, 도 3 참조),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2318, 도 3 참조),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2319, 도 3 참조)를 포함할 있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상기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231)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238)을 형성하는 제2버(232) 및 상기 제2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결합부(2122)는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에서 결합하여,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버결합부(2122)의 외주면에는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통해 후술할 상기 제2회전부(260)에 결합할 수 있다.
싱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상기 버결합부(2122)를 사용자가 잡기 쉽게 하기 위한 핸들(2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2125)의 외주면은 돌기처리가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적절한 회전력을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핸들(2125)을 통해 상기 제2버(232) 및 상기 버결합부(2122)를 회전시켜 상기 제2회전부(260) 나사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2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 입구(2318)에 위치한 제1버 외측면(2312, 도 3참조)에 상기 제1회전부(25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는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회전부 관통홀(2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 관통홀(2501)과 상기 제1버 입구(2318)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의 회전을 위해서는 상기 제1회전부(250)의 외주면인 제1회전부 외주면(250a)을 따라 기어이빨형태를 갖게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할 제1기어부(29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와 같은 기어를 링기어(ring gear)라 칭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관통홀을 갖는 링형태로, 링의 외주면이 기어형상인 것을 뜻한다.
제1버(231)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회전부(250)는 큰 회전관성모멘트를 갖도록 직경을 가능한 크게 하고, 필요시 중량이 큰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원두 분쇄시의 충격에 의한 진동이 줄어들어 결국 커피가루의 분쇄된 크기가 균일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버(231)는 상기 제1버(231)의 외면에 결합된 제1회전부(250)를 통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버(232)는 아무런 구동장치없이 상기 제1버(231)내부에 삽입되어 분쇄도 조정을 위한 분쇄공간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약간의 이동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피가루가 배출 시 제2버(232)의 구동장치에 쌓일 염려가 없게되므로 간편한 청소, 오염방지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는 상기 제1버(231)와 결합하여 제1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회전부(250)를 수용하하는 제1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41)은 상기 제1회전부(2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2412),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추출부(600)를 향하여 개구된 제1개구부(2411a),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구부(2411a)의 반대방향에 구비된 제2개구부(2411b),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하우징바디(2412)는 측면만 있고, 추출부(600)에 근접한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방향에 위치한 타면은 모두 개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 및 상기 제1회전부(250)는 제2개구부(2411b)방향에서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되는 원두는 제1회전부 관통홀, 제1버 입구, 제1버 출구를 지나 제1개구부(2411a)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상기 제2개구부(2411b)에는 상기 제2개구부(2411b)와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42)은 상기 제1회전부(25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 제1회전부(250)의 회전중심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231)는 회전중심에 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제1버(231)의 외면에 결합된 제1회전부(250)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회전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회전중심을 유지하기가 힘들 수 있다.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분쇄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원하는 분쇄도를 갖는 커피가루를 만들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버(231)의 회전시,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241)과 상기 제2하우징(242)이 결합을 통해 제1회전부(2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250)는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1회전부(250)의 결합을 위해 제1버 고정부(25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버 고정부(251)는 상기 제1회전부(250)와 상기 제1버 입구(2318)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커피가루가 틈새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제1버에 슬립(slip)없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의 양단에는 제1베어링(2119a) 및 제2베어링(2119b, 도 6(b)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어링(2119a)은 제2하우징에서 상기 제1회전부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제2베어링(2119b)은 제1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회전부(250)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베어링(2119a) 및 상기 제2베어링(2119b)은 당연히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베어링 관통홀(2119c)과 제2베어링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부관통홀과 제1버 입구(2318) 및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가 상기 제1베어링(2119a) 및 상기 제2베어링(2119b)으로 인해 간섭받는 일은 없을 것이다.
제1하우징(241)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부(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제2하우징(242)은 원두가 유입되는 원두유입홀(2423)을 포함하고, 상기 원두유입홀(2423)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축지지부(910)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지지부(910)는 상기 원두유입홀(2423)의 내면과 상기 고정축지지부(9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2422)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지지부(910)는 상기 제2버를 관통하는 고정축(2128)이 결합되어, 상기 제1버(231)가 회전시 상기 제2버(232)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축지지부(910)은 상기 제1버 입구(2318)를 향해 상기 고정축(2128)이 삽입되는 고정축결합홈(2423, 도 6(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상기 분쇄공간(238)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축(2128)은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된 고정축(2128)은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 내부에서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분쇄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회전부(250)보다 상기 제1개구부(2411a)에 가깝게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되고, 상기 버결합부(2122)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된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쇄공간(238)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회전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260)는 회전운동을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힘을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랙(rack)과 피니어(pinion) 또는 베벨기어(bevel)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줄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도 4(a)에 도시된 상기 제2회전부(260)의 일례는 링형태를 가지고 회전하는 회전링(261), 상기 회전링(261)을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버결합부(2122)가 결합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2122)의 외면에 형성된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여, 상기 버결합부(2122)는 상기 가이드부(26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상기 지지어셈블리(270)의 결합공간(28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결합공간(281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착탈가능한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2913, 도 4(a) 참조)를 보호하는 기어커버부(282), 상기 기어커버부(282)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기어커버부(282) 및 상기 기어고정부(28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속재질로 프레스공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고, 용접, 리벳등의 방법에 의해 하나의 그라인더케이스(28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90)는 지지부(910, 도 1 참조)의 설치공간(915, 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290)는 제1회전부(25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290) 및 제2회전부(260)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90)는 상기 제1회전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250)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부(2915), 상기 제1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부(2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부(2911)와 상기 제1기어부(2915)사이에는 유성기어부(2913)가 위치하여, 상기 제1동력부(2911)의 회전속도를 적절한 속도로 감속시켜 상기 제1기어부(291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90)는 상기 제2회전부(260)에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부(260)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부(2925) 및 상기 제2기어부(292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29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지지부(910, 도 1 참조)나 베이스(920, 도 1 참조)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뿐, 커피추출장치의 급수부(400), 추출부(600) 및 분쇄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면 어디 있어도 무방하다. 만약 원두캡슐의 형태로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부(100)가 더 구비된다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원두공급부(100)도 제어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분쇄부(200)의 제어를 위해 제1동력부(2911) 및 제2동력부(2921)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제1기어부(2915)의 회전과 상기 제2기어부(2925)의 회전은 각각 독립적이다.
상기 제1기어부(2915)는 상기 제1회전부(250)를 회전시켜, 결국 제1버(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제2기어부(2925)는 상기 제2회전부(260)를 회전시켜, 제2그라인딩부(212)를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버(232)가 상기 버결합부(2122)에 의해 상기 제2회전부(260)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2회전부(2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231)내부에서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미세조정되어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원두 분쇄를 위한 제1회전부(250)와 분쇄도 조절을 위한 제2회전부(260)에 필요한 동력은 큰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제1회전부(25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부(2911)의 크기가 제2동력부(292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동력부(2911)의 크기라 함은 제1동력부(2911)에 구비되는 제1모터의 토크(torque), 파워(power)등의 크기가 제2동력부(2921)에 구비되는 제2모터의 토크, 파워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부(290)는 상기 제1구동부(29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90)는 상기 결합공간(2811)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부(260)를 회전시킬수 있다. (도 6(a)참조)
제1기어부(2915)는 제1주기어(2916) 및 제1종기어(2917)를 포함하고, 제1종기어(2917)는 제1그라인딩부(211)에 구비되는 제1회전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주기어(2916)와 제1종기어(291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어연결암(2918), 그리고,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919)는 제1주기어의 회전축인 제1주기어축(2916a)에 삽입된 후, 제1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되어 기어연결암(2918)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윙타입의 아이들 기어의 특징으로 제1주기어는 제1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제1동력부(2911)에 유성기어부(29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주기어축(2916a)은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자전(rotation)만 할 뿐,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이 이동하지 않는다.
반면, 제1주기어(2916)에 연결된 제1종기어(2917)는 자전(rotation)과 공전(revolution)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기어연결암(2918)에 지지되어 상기 제1종기어(2917)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종기어를 회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종기어축(2917a) 자체도 상기 제1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주기어(2916)를 중심으로 공전(revolution)할 수 있다.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회전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2919, 도 2(b)참조)의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 및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2919)의 복원력은 상기 제1주기어(29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기어의 회전축 혹은 상기 기어연결암이 회전하는 힘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어연결암을 통해 상기 제1종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부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2919)는 제1주기어축(2916a)에 결합하여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iring)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주기어(2916)가 회전시, 제1종기어(2917)가 제1회전부에 연결되며, 제1주기어(2916)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제1종기어(2917)를 제1회전부(250)에서 떨어뜨려놓을 수 있으면, 어떠한 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탄성부재가 아닌 액츄체이터(actuator)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종기어(2917)가 회전시에는 항상 제1회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부에서 원두의 분쇄충격에 의한 반발력이나 진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을 상기 제1종기어(2917)에 전달되어도,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면서도, 상기 제1주기어(2916)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항상 제1종기어(2917)를 제1회전부(250)에 연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제1회전부(250)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제1주기어(2916)를 통해 제1주기어축(2916a) 혹은 제1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1기어부(2915), 유성기어부(2913) 및 제1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 상기 제1종기어축(2917a)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회전부(250)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2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2412),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600)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2411a),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600)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2412)를 상기 제1회전부(25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하우징바디(2412)를 상기 제2회전부(26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연통홀(2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는 상기 제1연통홀(2413a)을 통해 상기 제1회전부(250)와 상기 제1기어부(2915)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회전부(260)는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상기 제2회전부(260)와 상기 제2기어부(2925)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통홀(2413a)의 높이는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높이와 다르다. 이는 상기 제1회전부(250)와 상기 제2회전부(260)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결합공간(2811, 도 6(a) 참조)의 일측에 치우져 있으므로, 상기 제1연통홀(2413a)이 형성된 제1회전부(250)의 반경방향은 상기 제2연통홀(2413b)이 형성된 제2회전부(260)의 반경방향과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통홀(2413a)과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같은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제1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연통홀(2413a)이 이루는 직선과, 상기 제2연통홀(2413b)이 이루는 직선은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부(250) 및 상기 제2회전부(260)의 설치 위치가 다르고, 상기 제1기어부(2915) 및 상기 제2기어부(2925)의 설치 위치가 다르므로,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형성된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위치가 서로 다를 것이다.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크기도 다를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외부를 보는 방향도 서로 다를 것이다.
도 4(b)는 제2그라인딩부(212)와 가이드부(262)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부(262)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2622)과 연결되기 위해 관통하는 제1관통홀(2601)과 제2관통홀(26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601)은 상기 제1버(231)에 가깝게 위치한 관통홀이고, 상기 제2관통홀(2602)은 상기 제1관통홀(2601)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관통홀(2601)을 지나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내주면 상기 수용공간(2622)에 버결합부(2122)를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산 형태를 갖는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구비할 수 있다. 버결합부의 외주면에도 나사산 형태의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고 있아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거나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사이의 나사결합을 풀어서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결국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분리가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분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버결합부(2122)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버(232)는 사용시에는 결합하고, 미사용시나 청소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232)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포함하는 일단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등간격으로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포함하는 원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부 돌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상기 회전링 내주면(2612)에 구비된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262)를 상기 회전링(26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을 막기위한 돌기스토퍼(262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스토퍼(2621a)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서 상기 추출부(600)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상기 돌기스토퍼(2621a)로 인해 상기 제2회전부(260)가 회전시, 회전링(261)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 가이드부(262)는 이에 따라 제자리에서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2버(232)를 관통하는 제2버 관통홀(23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버 관통홀(2323)을 고정축(2128)이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2122)도 상기 제2버(232)와 함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26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설치홀(2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 설치홀(2122c)의 내부에 상기 제2버(2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2버 설치홀(2122c)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는 버결합부 지지리브(21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관통되는 설치홀을 갖는 이유는 제1버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는 상기 가이드 부의 수용공간으로 떨어지고, 결국 커피가루의 일부는 설치홀(2122c)을 통해 상기 추출부(600)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핸들(2125)도 링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배출되는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는 관통홀과 일부 리브만이 있어, 상기 커피가루가 추출부가 아닌 다른 영역에 쌓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분쇄되는 원두가 분쇄부(200)를 통과하는 경로를 단순화 하고 최소화시킨 커피추출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분쇄부(200)는 코니컬 버를 사용하는데, 내부 버가 아닌 외부 버(제1버)가 회전하는 구조로 커피가루의 배출영역에 구동부를 위치시키는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커피추출장치(1000)에 중력이 작용하는 경우, 커피가루가 배출되는 경로에는 구동장치가 없고, 여러 개의 관통홀만이 존재하므로, 간섭없이 바로 추출부(60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가루가 분쇄부(200)의 내부에 쌓여서 오염되거나 낭비되는 일을 최소화 한 것이다.
도 5는 제2회전부와 제2그라인딩부(212) 그리고, 제2구동부(290)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2구동부(290)는 제2기어부(2925) 및 제2동력부(29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부(29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기어축(2929)이 회전을 하면, 상기 제2기어축(2929)에 결합된 제2기어(2927)가 회전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927)가 회전을 하면 결국 상기 제2회전부(260)의 회전링(261)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회전링(261)은 링형태로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외주면인 회전링 외주면(2611)중 상기 제2기어(292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기어이빨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2기어(2927)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내주면인 회전링 내주면(2612)에는 나사산 형태의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과 상기 가이드부(262)는 각각 하우징바디(2412)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제2회전부 지지부(2415, 도 9참조)와 복수 개의 가이드 고정부(2416, 도 9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b)에서 도시한 돌기스토퍼(2621a)에 의해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따라 회전하는게 아니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해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간격을 조절, 즉,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분쇄되는 커피가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90)는 구동결합부(2923) 및 구동체결부(2924)를 통해 상기 결합공간(2811)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도 6(a)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상기 지지어셈블리(270)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시는 상기 결합공간(2811)에 결합하여 사용하나, 미사용하거나 청소시에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 후에는 제1버(231) 및 제2버(232)가 각각 노출되므로 청소용 솔을 통해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에 형성된 결합공간(2811)에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결합을 하게 되면, 제1기어부(2915) 및 제1회전부, 제2기어부 및 제2회전부의 기어이빨과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부(250)와 상기 제2회전부(260)는 각각 제1연통홀(2413a) 및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상기 제1기어부(2915)와 상기 제2기어부(2925)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b)는 제1그라인딩부(211)와 제2그라인딩부(212)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2버(232), 상기 제2버(232)에 결합하는 버결합부(2122), 상기 제2버(232)와 상기 버결합부(2122)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고정축(2128) 및 상기 버결합부(2122)에 결합하여 잡는 부위를 제공하는 핸들(2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는 제1버(231),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250),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베어링(2119a) 및 제2베어링(2119b), 상기 버결합부(2122)와 결합하는 가이드부(262), 상기 가이드부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분쇄도를 조절하는 회전링(2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보다 상기 제2회전부(260)가 제1버 출구(2319)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그라인딩부(211)에는 상기 제1버(231), 베어링부를 포함한 상기 제1회전부(250), 상기 제2회전부(260)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241)과 상기 제1하우징(241)에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1개구부(2411a) 및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된 제2버의 일례는 도 6(c)에 도시하였다.
도 6(c)는 상기 제2버(232)가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되고, 고정축(2128)이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되어 지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의 홈말단과 상기 고정축(2128)의 삽입된 말단 사이에는 h 만큼의 거리차이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축(2128)을 완전히 고정하는게 아니라, 상기 고정축(2128)의 원주면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제2회전부(26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262)가 제1버의 축방향(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변할 수 있다. 즉 분쇄도 설정을 위해 상기 고정축(2128)이 삽입된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쇄공간(23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 도 3 참조)와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36, 도 3 참조)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제1기어부(2915) 및 제1회전부(25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제1구동부(290)는 제1기어부(2915) 및 제1동력부(2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부(2911)의 회전력이 유성기어부(2913) 및 상기 유성기어부(2913)에 연결된 제1주기어축(2916a)을 통해 상기 제1주기어(2916)에 전달될 것이다. 상기 제1주기어(2916)와 상기 제1회전부(250)사이에는 제1종기어(2917)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주기어(2916) 와 맞물려 상기 제1주기어(2916)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은 상기 제1주기어(291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주기어(2916)는 기어고정부(283) 내부에 포함될 있다.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은 상기 기어고정부(283)를 관통하여 제1주기어축(2916a)의 일부가 바깥에 노출될 수 있다. 바깥에 노출된 제1주기어축(2916a)의 일부에는 상기 제1주기어(2916) 와 상기 제1종기어(2917)를 연결하는 기어연결암(2918)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연결암(2918)과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이 연결된 부분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곳에서는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기어연결암(2918)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은 상기 제1주기어축(2916a)과 달리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만 연결되어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지지된다. 즉, 상기 제1주기어(2916)는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의 양단에서 모두 지지되는 반면,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기어연결암(2918)이 연결된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의 일단에서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주기어(2916)는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이 고정되어 고정된 자리에서만 회전하는 반면,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기어연결암(2918)과의 연결로 인해,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주기어(2916)의 회전에 의해 기어이빨이 맞물려 회전(자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이 상기 제1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공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 및 상기 제1종기어가 모두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부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 경우 기어연결암은 상기 제1종기어의 공전으로 인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고, 제1회전부 외주면(250a)에 구비될 수 있는 기어이빨 모양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회전부(250)가 회전하게 될 것이다.
즉, 제1주기어(2916)는 자전만이 가능하고, 제1종기어(2917)는 자전 및 공전이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회전부(250)는 하우징바디(2412)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25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회전부 관통홀(25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버 관통홀(2313)가 연통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 외주면(250a)의 경우 기어이빨을 갖고, 상기 기어이빨의 형태는 상기 제1종기어(2917)와 맞물일수 잇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250)는 상기 제1버(231)와 결합하여 상기 제1버(231)를 회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제1회전부(250)가 상기 제1버(231)보다 제2개구부(2411b)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버(232)는 상기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버 관통홀(2323)을 통해 고정축(212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919)는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된 탄성부재(2919)는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향으?* 회전 시, 반대 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탄성부재(2919)가 가하는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제1기어부(2915)는 상기 제1회전부(250)에서 떨어지게 될 것이다.
반면 제1주기어(2916)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제1종기어(2917)가 상기 제1회전부(250)에 맞물리도록 제1종기어축(2917a)이 제1회전방향으로 제1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제1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부(25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정지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탄성부재(2919)에 의해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종기어(2917)와 상기 제1회전부(25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는 제1기어부(2915)에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제1구동부(29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의 제1기어부(2915)의 상태 및 위치, 그리고, 탄성부재에 의한 힘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동력부(2911)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1주기어(2916) 및 제1종기어(2917) 그리고, 제1회전부(250)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즉, 상기 제1종기어의 초기위치를 상기 제1종기어(2917)가 제1회전부(25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로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제1기어부(2915)가 회전 후에는, 즉, 제1회전부(250)의 회전을 통해 분쇄가 완료된 경우,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지지되는 제1종기어축(2917a)이 탄성부재(2919)에 의해 상기 제1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회전부(2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결국 제1종기어축(2917a)은 상기 제1주기어축(2916a)을 따라 상기 제1회전부(2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b)는 제1구동부(290)가 제1회전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주기어(2916), 제1종기어(2917) 및 기어연결암, 그리고, 제1회전부의 회전방향 및 탄성부재에 의한 힘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와 달리, 상기 제1동력부(2911)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주기어(2916)가 회전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 예컨대 도면에 제1주기어 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인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1주기어(2916)에 맞물려 회전하므로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인 제2회전방향, 예컨대 시계방향, 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회전운동은 제1종기어(2917)의 자전에 의한 것이다.
반면,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지지되는 제1종기어축(2917a)은 상기 제1종기어(2917)의 자전시, 상기 제1주기어(2916)와 같은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제1종기어(2917)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기어연결암(2918)은 제1종기어축(2917a)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할 뿐이므로,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종기어(2917)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주기어(2916)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종기어(2917)는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자전)하고, 동시에 상기 제1종기어축(2917a)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공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연결암도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주기어(2916) 및 상기 제1종기어(2917)에 따른 상기 기어연결암(2918)의 회전력은 상기 탄성부재(2919)에 의한 복원력보다 크도록 해야 한다. 상기 탄성부재(2919)에 따른 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기어연결암(2918)이 회전하여 상기 제1종기어(2917)가 상기 제1회전부(250)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회전부(250)는 상기 제1회전부 외주면(250a)에 구비되는 기어이빨과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동력부(2911)의 회전력이 유성기어부(2913), 상기 제1주기어(2916) 및 상기 제1종기어(2917)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두의 분쇄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만약 제1기어부(2915)에 제1종기어(2917)가 없이 바로 제1회전부(250)에 결합된다면, 원두의 분쇄시 충격이 제1회전부(250)를 통해 제1기어부(2915)에 바로 전달될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 기어의 역할을 하는 제1종기어(2917)가 제1주기어(2916)로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제1종기어(2917)가 공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제1종기어(2917)의 충격은 상기 기어연결암(2918)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즉 분쇄충격이 상기 기어연결암을 통해 제1주기어(2916)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기어연결암(2918)이 반대방향, 예컨대 상기 제2회전방향, 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를 흡수할 수 있다. 결국 충격완화 및 진동저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스윙(Swing) 타입 아이들 기어(idle gear)를 통해 제1동력부(2911)의 구동력을 제1회전부(250)에 전달하게 되면, 원두의 분쇄 충격을 완화시키고 결국 진동을 줄이는 것이다. 원두의 분쇄충격은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서 발생하여 제1기어부(2915)를 통해 제1동력부(2911)로 전달될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 기어의 축이 자유상태임으로 인해 충격변동이 아이들 기어의 요동으로 흡수될 수 있다. 제1종기어축(2917a)이 제1주기어축(2916a)과 달리 기어고정부(283)와 같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서 발생하는 큰 충격들이 그대로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제1회전부(250)와 제1종기어(2917)없이 바로 제1주기어(2916)와 연결된다면, 위치 정밀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는 청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그라인딩부(211)와 제2그라인딩부(212), 엄밀히는 제1버(231)와 제2버(232)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지지어셈블리(270)에서 탈착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제1회전부(250)와 제1주기어(2916)가 바로 연결되는 경우, 탈착할 때마다 상기 제1회전부 외주면(250a)에 구비된 기어 이빨과, 제1주기어(2916)의 기어이빨이 부딪혀 손상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기어부(2915)는 제1주기어(2916)외에도 제1종기어(2917), 기어연결암(2918) 및 탄성부재(2919)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기어부(2915)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기어부(2915)는 상기 제1회전부(250)에서 이격되어 위와 같은 기어이빨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2919)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은 원두를 분쇄하는 경우에는 제1종기어(2917)가 제1회전부(250)가 연결을 방해하지 않고, 원두를 분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종기어(2917)가 제1회전부(250)에서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져야 한다.
물론, 탄성부재(2919) 대신 상기 제1기어부(2915)를 제1회전부(250)에 연결 및 해제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기구적 연결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분리하기 전 수동으로 제1기어부(2915)를 제1회전부(25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제2회전부(26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커피의 맛을 좌우하는 것으로는 커피의 신선도, 물의 온도와 종류, 추출방법등 많은 요인이 있다. 그 중 분쇄(grinding)는 커피 추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분쇄는 원두를 갈아 커피추출의 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과정이다. 분쇄를 통해 커피 추출시 여러 커피 성분들이 더욱 쉽게 물에 용해도리 수 있어 커피 향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쇄를 통해 개별적인 커피가루, 즉 커피입자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을 분쇄도를 조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260)는 분쇄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회전부(260)는 버결합부(2122)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버결합부(2122)를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260)는 베벨기어(Bevel gear),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피니언(pinion) 등 회전을 통해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즉, 제2회전부(260)가 회전을 하면, 상기 제2버(232)가 분쇄공간(238) 내에서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분쇄공간(23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의 이동은 버결합부(2122)의 이동을 뜻하고 결국 제2그라인딩부(212)의 이동을 뜻한다. 결국 제1버 블레이드(2316)와 제2버 블레이드(232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두가 분쇄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버(231)에 삽입된 제2버(232)는 고정축(2128, 도 6(b) 참조)이 고정축 결합홈(2421a, 도 6(b) 참조)에 삽입되는 깊이(L)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9에는 제2회전부(260)의 일례로 이중 링구조를 갖는 제2회전부(260)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상기 제2회전부(260)는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되는데, 상기 제1회전부(250)보다 상기 제1개구부(2411a)에 가깝게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2412)는 제2개구부(2411b)의 크기가 제1개구부(2411a)의 크기보다 넓다. 이는 제1회전부(250)의 외경이 제2회전부(26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이다. 제1버(231)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250)는 토크가 훨씬 크게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한 제1회전부(250)의 외경을 크게 해야하기 때문이다. 반면, 제2회전부(260)는 이미 삽입된 제2버(232)를 약간만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분쇄도를 조정하면 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바디(2412)는 제1회전부(250) 및 제2회전부(260)를 수용하는 공간에 따라서, 절곡된 형태의 가질 수 있다.
수용된 제2회전부(260)는 상기 제2구동부(29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링(261), 상기 회전링(261)을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버결합부(2122)가 결합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262), 상기 제1버 입구(2318)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부(262)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622)과 연통하는 제1관통홀(26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통해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회전부(260)는 이중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제2기어(2927)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링(261), 상기 회전링 내부에 삽입되어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은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링을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에는 가이드부(26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외주면인 회전링 외주면(2611)중 상기 제2기어(292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기어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상기 제2기어(2927)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내주면인 회전링 내주면(2612)에는 나사산 형태의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부(262)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262)는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가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상기 가이드부(262)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등간격으로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포함하는 원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부 돌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상기 회전링 내주면(2612)에 구비된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262)를 상기 회전링(26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260)는 상기 제1버 입구(2318)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부(262)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622)과 연통하는 제2관통홀(26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 출구(2319)에서 배출되는 커피가루는 상기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상기 추출부(600)로 배출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2622)과 연결되기 위해 관통하는 제1관통홀(2601)과 제2관통홀(26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601)은 상기 제2관통홀(2602)보다 상기 제1버(231)에 가깝게 위치한 관통홀이고, 상기 제2관통홀(2602)은 상기 제1관통홀(2601)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관통홀이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관통홀(2601)을 지나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통해 제2버(232)의 일부 및 고정축(2128)의 일단이 돌출되어 나오고,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관통홀(2601)의 크기 및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크기를 고려하여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다.
상기 가이드부(262)는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2122)는 상기 버결합부(2122)의 외면에 형성된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여, 상기 버결합부(2122)가 상기 가이드부(26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2622)에 버결합부(2122)를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산 형태의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구비할 수 있다. 버결합부(2122)의 외주면에도 나사산 형태의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고 있어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거나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사이의 나사결합을 풀어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분리가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분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버결합부(2122)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버(232)는 사용시에는 결합하고, 미사용시나 청소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232)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을 막기위한 돌기스토퍼(2621a, 도 4(b)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스토퍼(2621a, 도 4(b) 참조)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서 상기 추출부(600)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상기 돌기스토퍼(2621a, 도 4(b) 참조)로 인해 상기 제2회전부(260)가 회전시, 회전링(261)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 가이드부(262)는 돌기스토퍼(2621a)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링(261)과 상기 가이드부(262)는 각각 하우징바디(2412)에서 연장된 제2회전부 지지부(24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 지지부(2415)는 회전링을 지지하는 회전링 지지부(2415a)와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2415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회전부(260)는 상기 하우징바디(2412)의 일부가 상기 제1개구부(2411a)에서 상기 제2개구부(24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링(261)을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링 지지부(2415a) 와 상기 가이드부(262)를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24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부는(260)는 상기 하우징바디(2412)의 일부가 상기 제1개구부(2411a)에서 상기 제2개구부(24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262)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부(262)를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고정부(2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5b) 및 상기 가이드 고정부(2416)는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 복수 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5b) 및 상기 가이드 고정부(2416)는 회전링 관통홀(2613) 과 가이드부(262)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엄밀히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외주면의 일부에서 연장된 가이드부 돌기(2621)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가이드부(262)를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부(262)의 외주면 자체는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의 지름보다 작아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가 연장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과 상기 가이드부(262)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있는데, 상기 간극에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5b) 및 상기 가이드 고정부(241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5b)는 각각 가이드부(262)와 회전링(261)과 후크결합할 수 있다. 후크결합을 위해 상기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의 후크방향과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6b)의 후크방향은 반대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 지지부(2415a)는 상기 회전링(261)을 안에서 밖으로 미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반면, 상기 가이드 지지부(2415b)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관통홀(2601)의 방향, 즉 안쪽으로 밀어서 고정시키는 위함이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이와 달리 회전링(261) 및 가이드부(262)를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고정부(2416)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고정부(2416)의 사이에 하나의 가이드부 돌기(2621)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262)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나사결합된 가이드부 돌기(2621)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 돌기가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 (262)는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따라 회전하는게 아니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2)의 이동은 결국 상기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통해 결합된 버결합부(2122)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버결합부(2122)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2버(232) 및 상기 고정축(2128)을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 -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고정축(2128)이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 - 하여 분쇄되는 커피가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삽입깊이를 조절한다는 것은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와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을 뜻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커피추출장치 100: 원두공급부 200: 분쇄부
210: 그라인더어셈블리 211: 제1그라인딩부 212: 제2그라인딩부
2122: 버결합부 2125: 핸들 2128: 고정축
230: 버 어셈블리 231: 제1버 2312: 제1버 외측면
2313: 제1버 관통홀 2314: 제1버 경사부 2315: 안내돌기
2316: 제1버 블레이드 2317: 제1버 외주면 2318: 제1버 입구
2319: 제1버 출구 232: 제2버 2323: 제2버 관통홀
2324: 제2버 경사부 2325: 임펠라 2326: 제2버 블레이드
238: 분쇄공간 241: 제1하우징 2411a: 제1개구부
2411b: 제2개구부 2412: 하우징바디 2413a: 제1연통홀
2413b: 제2연통홀 2415: 제2회전부 지지부 2416: 가이드 고정부
242: 제2하우징 2421: 고정축 지지부 2422: 보강리브
2423: 원두유입홀 250: 제1회전부 270: 지지어셈블리
2501: 제1회전부 관통홀 250a: 제1회전부 외주면 251: 제1버 고정부
260: 제2회전부 2601: 제1관통홀 2602: 제2관통홀
261: 회전링 2611: 회전링 외주면 2612: 회전링 내주면
2613: 회전링 관통홀 262: 가이드부 2621: 가이드부 돌기
280: 그라인더케이스 281: 그라인더고정부 2811: 결합공간
282: 기어커버부 283: 기어고정부 290: 구동부
291: 제1구동부 2911: 제1동력부 2913: 유성기어부
2915: 제1기어부 2916: 제1주기어 2916a: 제1주기어축
2917: 제1종기어 2917a: 제1종기어축 2918: 기어연결암
2919: 탄성부재 292: 제2구동부 2921: 제2동력부
2923: 구동결합부 2924: 구동체결부 2925: 제2기어부
2927: 제2기어 2929: 제2기어축 400: 급수부
410: 급수노즐 600: 추출부 6001: 제1추출부
6002: 제2추출부 610: 수용부 615: 추출부 입구
690: 지지암 800: 커피서버 910: 지지부
915: 설치공간 920: 베이스

Claims (19)

  1. 회전하는 제1버(Burr), 상기 제1버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를 포함하는 제1그라인딩부; 및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상기 제2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 출구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상기 커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 및 상기 제1버 출구를 거쳐 커피가루로 분쇄 된 후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결합하는 고정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원두가 유입되는 원두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원두유입홀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축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지지부는
    상기 원두유입홀의 내면과 상기 고정축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외주면에 기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1기어부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버 입구의 방향에서 원두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원두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가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두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에서 상기 제1버 출구를 지나면서 커피가루로 분쇄된 후,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보다 상기 제1개구부에 가깝게 상기 하우징바디에 수용되고, 상기 버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버에 삽입된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2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동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제2회전부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연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1기어부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회전부와 상기 제2기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의 중심 위치는 상기 제2연통홀의 중심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이 형성된 제1회전부의 반경방향은
    상기 제2연통홀이 형성된 제2회전부의 반경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의 회전속도를 소정 비율로 줄이는 유성기어부; 및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
    상기 그라인더고정부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를 보호하는 기어커버부;
    상기 기어커버부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부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더고정부, 상기 기어커버부 및 상기 기어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결합부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버결합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 관통홀의 지름은 상기 제2버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제1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제2버의 일부는 상기 버 결합부의 관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버 출구에서 배출되는 커피가루는 상기 버결합부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버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버의 삽입 또는 분리를 위한 링형태의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KR1020200039881A 2020-04-01 2020-04-01 커피추출장치 KR20210122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81A KR20210122569A (ko) 2020-04-01 2020-04-01 커피추출장치
PCT/KR2021/001547 WO2021201412A1 (en) 2020-04-01 2021-02-05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17/201,740 US20210307557A1 (en) 2020-04-01 2021-03-15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81A KR20210122569A (ko) 2020-04-01 2020-04-01 커피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69A true KR20210122569A (ko) 2021-10-12

Family

ID=7792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881A KR20210122569A (ko) 2020-04-01 2020-04-01 커피추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07557A1 (ko)
KR (1) KR20210122569A (ko)
WO (1) WO20212014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8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9855A1 (de) * 2022-07-01 2024-01-15 Coffee Vision Ag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kaffeegetränk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474A (en) * 1990-08-03 1993-04-13 Bunn-O-Matic Corporation Coffee grinder
JP3039887B2 (ja) * 1992-01-18 2000-05-08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
KR101294265B1 (ko) * 2011-05-17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원두 분쇄 수단 및 드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US8684287B2 (en) * 2011-09-01 2014-04-01 Bing-Yang Lee Coffee grinder capable of removing parchments of coffee beans and method of removing the parchments
TWM480345U (zh) * 2013-10-11 2014-06-21 Shanz Yii Entpr Co Ltd 直落粉式咖啡磨豆機
US10105009B2 (en) * 2015-01-30 2018-10-23 Michael Teahan Variable speed coffee grinder
ES2699548T3 (es) * 2015-07-10 2019-02-11 Jura Elektroapparate Ag Instalación de molienda para máquinas de café
US10004354B2 (en) * 2015-12-30 2018-06-26 Conair Corporatio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JP6871582B2 (ja) * 2018-01-19 2021-05-12 スリーピース株式会社 コーヒー豆粉砕機構
EP3581078A1 (de) * 2018-06-14 2019-12-18 Jura Elektroapparate AG Mahlvorrichtung zum mahlen von kaffeebohn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8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7557A1 (en) 2021-10-07
WO2021201412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2570A (ko) 커피추출장치
CN105517470B (zh) 用于提供具有降低咖啡因含量的咖啡泡制品的咖啡机
KR20210122569A (ko) 커피추출장치
KR20130079630A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US20210307556A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E202011109913U1 (de) Kaffeegetränksystem, Kaffeebohnenverpackungspatrone zur Verwendung mit diesem System, Patrone für Kaffeebohnenmaterial
US20210345814A1 (en) Coffee maker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200099192A (ko) 콩 용기, 분할 장치 및 분쇄기를 갖는 커피 장치의 유닛
JP2008230857A (ja) 原材料小出し装置
JPS5811208B2 (ja) コ−ヒ−ミル
GB2435609A (en) Hand-held coffee grinder and infusion apparatus
EP3727110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handy drop stop
EP1901638A1 (en) Coffee maschine structure with high flexibility of use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EP3184010B1 (en) Bean grinder and automatic coffee pot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53751B1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KR20220014009A (ko) 커피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4091A (ko) 커피추출장치
KR101692236B1 (ko) 핸드 블렌더
GB2463900A (en) Coffe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grinding mechanism
JP3900056B2 (ja)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KR930004465B1 (ko) 커피 제조기
JP2001061664A (ja) 飲料作成機
JP4176033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