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03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03Y1
KR200449603Y1 KR2020080016515U KR20080016515U KR200449603Y1 KR 200449603 Y1 KR200449603 Y1 KR 200449603Y1 KR 2020080016515 U KR2020080016515 U KR 2020080016515U KR 20080016515 U KR20080016515 U KR 20080016515U KR 200449603 Y1 KR200449603 Y1 KR 200449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juice
helical
screw
helic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307U (ko
Inventor
장규철
김종길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080016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0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헬리컬치형의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스크류치형의 원동스크류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착즙기어와, 헬리컬치형의 종동헬리컬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착즙기어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기어수용부와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류기어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메인즙낙하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기어수용부와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나란한 보조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수용부와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헬리컬기어수용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투입관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둘레면에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크류기어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압착통과, 상기 압착통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방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지홈에 상기 종 동착즙기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보조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기어지지부와,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즙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연통하고 상기 즙통과개구가 상기 메인즙낙하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에 결합되는 배출통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압착통부로부터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향해 접근할수록 점점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지재질의 보조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는 외표면에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보조스크류기어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크류기어부에 형성된 나선스크류치형보다 낮은 높이로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스크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착즙효율이 향상되고 압착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착즙, 스크류치형, 압착통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착즙기어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착즙기어영역의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의 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착즙통의 사시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가 착즙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배출통의 사시도,
도8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착즙기어의 사시도,
도10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착즙기어영역의 단면도,
도11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의 사시도,
도12는 도8에 도시된 착즙통의 사시도,
도13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가 착즙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도8에 도시된 배출통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지지축 20, 120 : 착즙기어
21, 121 : 원동착즙기어 22, 122 : 종동착즙기어
30, 130 : 착즙통 31, 131 : 헬리컬기어수용부
32, 132 : 스크류기어수용부 33, 133 : 보조수용부
34, 134 : 투입관부 40, 140 : 배출통
41, 141 : 배출통바디부 42, 142 : 배출관부
50, 150 : 기어지지부 60, 160 : 압착통
61 : 프레임 62 : 메인압착통부
63 : 보조압착통부 70, 170 : 보호커버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등의 착즙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 형태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착즙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착즙기어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착즙기어영역의 단면도이며, 도11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의 사시도이며, 도12는 도8에 도시된 착즙통의 사시 도이며, 도13은 도8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가 착즙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4는 도8에 도시된 배출통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구동축(112a)에 결합된 한 쌍의 착즙기어(120)와,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착즙통(130)과, 착즙통(130)의 전면에 결합된 배출통(140)과, 착즙통(130)의 내부에 설치된 압착통(160) 및 기어지지부(150)와, 착즙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15)와, 하우징(1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12)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114)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종단에 고정요홈(113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착즙기어(120)는 구동축(112a)에 결합된 원동착즙기어(121)와, 원동착즙기어(121)에 기어결합된 종동착즙기어(122)를 갖고 있다.
원동착즙기어(121)는 외표면에 헬리컬기어치형이 형성된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와, 원동헬리컬기어부(121a)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원동스크 류기어부(121b)를 갖고 있다.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의 일단에는 축결합홈(121c)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스크류기어부(121b)는 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고, 외표면에는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스크류기어부(121b)는 원동헬리컬기어부(1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도록(즉,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기어(121)는 한 쌍의 지지축(113)의 사이영역에서 축결합홈(121c)을 통해 구동축(112a)에 결합된다.
종동착즙기어(122)는 종동헬리컬기어부(122a)와, 종동헬리컬기어부(122a)의 양단에 결합된 종동기어축(122b)을 갖고 있다.
종동헬리컬기어부(122a)는 외표면에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의 헬리컬기어치형에 맞물릴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기어(122)는 한 쌍의 지지축(113)의 사이영역에서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122a)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종동착즙기어(122)는 설치상태에서 종동기어축(122b)은 하우징(111)의 후방지지홈(111a)과 후술하는 기어지지부(150)의 전방지지홈(150a)에 지지된다.
착즙통(130)은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122a)를 수용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수용공간(1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기어수용부(131)와, 원동스크류기어부(121b)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류기어수용공 간(132c)이 헬리컬기어수용공간(131b)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기어수용부(132)와, 스크류기어수용부(132)에 나란한 보조수용공간(133c)이 헬리컬기어수용공간(131b)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공간부(133)와, 헬리컬기어수용공간(131b)에 연통하도록 헬리컬기어수용부(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투입관부(134)를 갖고 있다.
헬리컬기어수용부(131)는 양 측면에 원호상의 가이드부(131a)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기어수용부(132)는 하부영역에 메인즙낙하개구(132a)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공간부(133)는 스크류기어수용부(132)와 협조하여 대략 "8"자 형상단면 터널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공간부(133)는 전 길이구간에 걸쳐 스크류기어수용부(1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30)은 가이드부(131a)를 통해 지지축(113)에 결합된다. 여기서 착즙통(130)의 결합은 투입관부(134)가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배출통(140)은 전면에 찌꺼기배출공(141e)이 형성되어 있는 컵형태의 배출통바디부(141)와, 찌꺼기배출공(141e)에 연통하도록 배출통바디부(141)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관부(142)를 갖고 있다.
배출통바디부(141)는 전체적으로 스크류기어수용부(132)와 보조공간부(133) 에 형상 맞춤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즙통과개구(14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바디부(141)는 찌꺼기배출공(141e)의 둘레영역과 찌꺼기배출공(141e)의 인접영역에 한 쌍의 원형단면의 지지기둥(141b)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축결합돌부(141c)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축결합돌부(141c)에는 축결합공(141d)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40)은 축결합공(141d)에 지지축(113)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배출통(140)의 설치는 찌꺼기배출공(141e)이 스크류기어수용부(132)에 연통하고 즙통과개구(141a)가 메인즙낙하개구(132a)에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착통(160)은 원동스크류기어부(121b)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둘레면에는 다수의 즙통과공(1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통(160)은 전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기어지지부(150)는 압착통(160)과 일체로 관형태로 형성되고, 종동착즙기어(122)에 대향하는 면은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지지부(150)는 종동착즙기어(122)에 대향하는 면에 전방지지홈(1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통(160)과 기어지지부(150)는 각각 스크류기어수용공간(132c)과 보조수용공간(133c)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압착통(160)과 기어지지 부(150)의 설치는 압착통(160)의 전단이 찌꺼기배출공(141e)의 둘레영역에 형성된 지지기둥(141b)에 지지되고, 기어지지부(150)의 전단으로 다른 지지기둥(141b)이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보호커버(170)는 상판부(171)와, 상판부(17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72)와, 투입관부(1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7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보호관부(173), 상판부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축(174)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70)는 보호관부(173)에 투입관부(134)가 삽입된 상태로 상방향에서 고정축(174)을 고정요홈(113a)에 각각 진입시킴으로써 지지축(113)에 설치된다.
보호커버(170)가 설치된 상태에는 착즙통(130)과 배출통(140)은 스커트부(172)에 의해 가려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즙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통(140)의 즙통과개구(141a)의 하부에 설치하고, 찌꺼기수거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관부(142)의 하부에 각각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14)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기어(121)와 종동착즙기어(122)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기어(121)와 종동착즙기어(122)가 회전하면, 투입관부(134)를 통해 착즙재료(야채, 과일 등)를 투입한다.
보호관부(173)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투입관부(134)를 통해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122a)에 공급된 후, 분쇄된다.
원동헬리컬기어부(1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122a)에서 분쇄된 재료는 원동스크류기어부(121b)와 압착통(160)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면서 찌꺼기배출공(141e)을 향해 이송된다.
여기서 원동스크류기어부(121b)와 압착통(160)사이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압착통(160)의 즙통과공(160a)과 메인즙낙하개구(132a), 즙통과개구(141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즙수납컵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원동스크류기어부(121b)와 압착통(160)사이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원동스크류기어부(121b)와 압착통(160)사이에 충진된 착즙재료의 미는 힘에 의해 배출관부(142)를 통해 찌꺼기수납통으로 낙하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압착통(160) 전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착즙효율이 저하되고(압착동작시 압착통이 쉽게 변형됨) 압착통(160)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석류, 포도 등과 같이 단단한 씨를 갖는 착즙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가중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즙효율이 향상되고 압착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헬리컬치형의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스크류치형의 원동스크류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착즙기어와, 헬리컬치형의 종동헬리컬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착즙기어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기어수용부와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류기어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메인즙낙하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기어수용부와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나란한 보조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수용부와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헬리컬기어수용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투입관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둘레면에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크류기어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압착통과, 상기 압착통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방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지홈에 상기 종동착즙기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보조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기어지지부와, 전면에 찌꺼기배출 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즙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연통하고 상기 즙통과개구가 상기 메인즙낙하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에 결합되는 배출통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압착통부로부터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향해 접근할수록 점점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지재질의 보조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는 외표면에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보조스크류기어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크류기어부에 형성된 나선스크류치형보다 낮은 높이로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스크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착즙재료의 압착길이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압착통부는 상기 배출통의 내표면에 상기 메인압착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착즙기어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착즙기어영역의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착즙통의 사시도이며, 도6은 도1에 도시된 압착통과 기어지지부가 착즙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도1에 도시된 배출통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3)과, 한 쌍의 지지축(13) 사이영역에서 구동축(12a)에 결합된 한 쌍의 착즙기어(20)와, 지지축(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착즙통(30)과, 착즙통(30)의 전면에 결합된 배출통(40)과, 착즙통(30)의 내부에 설치된 압착통(60) 및 기어지지부(50)와, 착즙통(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5)와,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2)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14)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전면 구동축(12a)의 인접영역에 후방지지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2)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축(13)은 종단에 고정요홈(13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착즙기어(20)는 구동축(12a)에 결합된 원동착즙기어(21)와, 원동착즙기어(21)에 기어 결합된 종동착즙기어(22)를 갖고 있다.
원동착즙기어(21)는 외표면에 헬리컬기어치형이 형성된 원동헬리컬기어부(21a)와, 원동헬리컬기어부(21a)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원동스크류기어부(21b)를 갖고 있다.
원동헬리컬기어부(21a)의 일단에는 축결합홈(21c)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스크류기어부(21b)는 후술하는 보조압착통부(63)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스크류기어부(21d)와, 후술하는 메인압착통부(62)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스크류기어부(21e)를 갖고 있다.
보조스크류기어부(21d)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내부식성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외표면에는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스크류기어부(21e)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내부식성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외표면에는 보조스크류기어부(21d)에 형성된 나선스크류치형보다 낮은 높이로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크류기어부(21d)와 메인스크류기어부(21e)는 원동헬리컬기어부(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도록(즉,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착즙기어(21)는 한 쌍의 지지축(13)의 사이영역에서 축결합홈(21c)을 통해 구동축(12a)에 결합된다.
종동착즙기어(22)는 종동헬리컬기어부(22a)와, 종동헬리컬기어부(22a)의 양단에 결합된 종동기어축(22b)을 갖고 있다.
종동헬리컬기어부(22a)는 외표면에 원동헬리컬기어부(21a)의 헬리컬기어치형에 맞물릴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착즙기어(22)는 한 쌍의 지지축(13)의 사이영역에서 원동헬리컬기어부(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22a)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 치된다.
그리고 종동착즙기어(22)는 설치상태에서 종동기어축(22b)은 하우징(11)의 후방지지홈(11a)과 후술하는 기어지지부(50)의 전방지지홈(50a)에 지지된다.
착즙통(30)은 원동헬리컬기어부(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22a)를 수용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수용공간(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기어수용부(31)와, 원동스크류기어부(21b)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류기어수용공간(32c)이 헬리컬기어수용공간(31b)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기어수용부(32)와, 스크류기어수용부(32)에 나란한 보조수용공간(33c)이 헬리컬기어수용공간(31b)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공간부(33)와, 헬리컬기어수용공간(31b)에 연통하도록 헬리컬기어수용부(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투입관부(34)를 갖고 있다.
헬리컬기어수용부(31)는 양 측면에 원호상의 가이드부(31a)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기어수용부(32)는 하부영역에 메인즙낙하개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공간부(33)는 스크류기어수용부(32)와 협조하여 대략 "8"자 형상단면 터널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공간부(33)는 전 길이구간에 걸쳐 스크류기어수용부(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30)은 가이드부(31a)를 통해 지지축(13)에 결합된다. 여기서 착즙통(30)의 결합은 투입관부(34)가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배출통(40)은 전면에 찌꺼기배출공(41e)이 형성되어 있는 컵형태의 배출통바디부(41)와, 찌꺼기배출공(41e)에 연통하도록 배출통바디부(41)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관부(42)를 갖고 있다.
배출통바디부(41)는 전체적으로 스크류기어수용부(32)와 보조공간부(33)에 형상 맞춤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즙통과개구(4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바디부(41)는 찌꺼기배출공(41e)의 인접영역에 원형단면의 지지기둥(41b)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축결합돌부(41c)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축결합돌부(41c)에는 축결합공(41d)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40)은 축결합공(41d)에 지지축(13)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배출통(40)의 설치는 즙통과개구(41a)가 메인즙낙하개구(32a)에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착통(60)은 수지재질의 프레임(61)과, 프레임(61)에 결합된 메인압착통부(62)와, 배출통(40)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조압착통부(63)를 갖고 있다.
프레임(61)은 직선상의 연결프레임(61a)과, 연결프레임(61a)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전방지지관(61b) 및 후방지지관(61c)을 갖고 있다.
전방지지관(61b)은 내표면이 메인압착통부(62)로부터 찌꺼기배출공(41e)을 향해 접근할수록 점점 내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61)은 전방지지관(61b)의 내표면이 보조압착통부(63)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메인압착통부(62)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내부식성 금속재질 판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즙통과공(62a)을 전 영역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관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프레임(61)과 함께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판체는 사다리꼴 형태로 준비함으로써 메인압착통부(62)는 원동스크류기어부(21b)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된다.
보조압착통부(63)는 수지재질을 사용하여 배출통(40)과 함께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압착통부(63)는 찌꺼기배출공(41e)의 둘레영역으로부터 메인압착통부(62)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압착통부(63)는 메인압착통부(62)와 찌꺼기배출공(41e)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압착통부(63)는 메인압착통부(62)로부터 찌꺼기배출공(41e)을 향해 접근할수록 점점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어지지부(50)는 프레임(61)과 일체로 관형태로 형성되고, 종동착즙기어(22)에 대향하는 면은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지지부(50)는 종동착즙기어(22)에 대향하는 면에 전방지지홈(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어지지부(50)는 보조수용공간(33c)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기어지지부(50)의 설치는 기어지지부(50)의 전단으로 지지기둥(41b) 이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보호커버(70)는 상판부(71)와, 상판부(7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72)와, 투입관부(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71)로부터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보호관부(73), 상판부(71)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축(74)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70)는 보호관부(73)에 투입관부(34)가 삽입된 상태로 상방향에서 고정축(74)을 고정요홈(13a)에 각각 진입시킴으로써 지지축(13)에 설치된다.
보호커버(70)가 설치된 상태에는 착즙통(30)과 배출통(40)은 스커트부(72)에 의해 가려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즙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통(40)의 즙통과개구(41a)의 하부에 설치하고, 찌꺼기수거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관부(42)의 하부에 각각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4)를 조작하여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착즙기어(21)와 종동착즙기어(22)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착즙기어(21)와 종동착즙기어(22)가 회전하면, 투입관부(34)를 통해 착즙재료(야채, 과일 등)를 투입한다.
보호관부(73)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투입관부(34)를 통해 원동헬리컬기어 부(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22a)에 공급된 후, 분쇄된다.
원동헬리컬기어부(21a)와 종동헬리컬기어부(22a)에서 분쇄된 재료는 원동스크류기어부(21b)와 압착통(60)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면서 찌꺼기배출공(41e)을 향해 이송된다.
여기서 메인스크류기어부(21e)와 메인압착통부(62)사이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즙통과공(62a), 메인즙낙하개구(32a)와 즙통과개구(41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즙수납컵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보조스크류기어부(21d)와 보조압착통부(63)사이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즙은 보조스크류기어부(21d)와 보조압착통부(63)사이공간과 메인즙낙하개구(32a)와 즙통과개구(41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즙수납컵으로 낙하한다.
한편 메인스크류기어부(21e)와 메인압착통부(62)사이의 압착동작과 보조스크류기어부(21d)와 보조압착통부(63)사이의 압착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찌꺼기는 원동스크류기어부(21b)와 압착통(60)사이에 충진된 착즙재료의 미는 힘에 의해 배출관부(42)를 통해 찌꺼기수납통으로 낙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압착통부(62)를 갖도록 압착통(60)을 형성하는 한편 메인압착통부(62)의 대응영역에 형성된 스크류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원동스크류기어부(21b)를 형성함으로써, 착즙효율이 향상되고(압착동작시 압착통의 변형이 감소됨) 압착통(6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압착통부(63)를 배출통(40)의 내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착즙재료 의 압착길이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압착통부를 갖도록 압착통을 형성하는 한편 메인압착통부의 대응영역에 형성된 스크류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원동스크류기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즙효율이 향상되고 압착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헬리컬치형의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스크류치형의 원동스크류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착즙기어와, 헬리컬치형의 종동헬리컬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착즙기어와, 상기 원동헬리컬기어부와 상기 종동헬리컬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기어수용부와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류기어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메인즙낙하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기어수용부와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나란한 보조수용공간이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수용부와 상기 헬리컬기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헬리컬기어수용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투입관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즙통과, 둘레면에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크류기어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압착통과, 상기 압착통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방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지홈에 상기 종동착즙기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기어지지부와, 전면에 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 즙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찌꺼기배출공이 상기 스크류기어수용부에 연통하고 상기 즙통과개구가 상기 메인즙낙하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착즙통에 결합되는 배출통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와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압착통부로부터 상기 찌꺼기배출공을 향해 접근할수록 점점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지재질의 보조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동스크류기어부는 외표면에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보조스크류기어부와, 상기 메인압착통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크류기어부에 형성된 나선스크류치형보다 낮은 높이로 나선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 금속재질의 메인스크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압착통부는 상기 배출통의 내표면에 상기 메인압착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080016515U 2008-12-12 2008-12-12 착즙기 KR200449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15U KR200449603Y1 (ko) 2008-12-12 2008-12-12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15U KR200449603Y1 (ko) 2008-12-12 2008-12-12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07U KR20100006307U (ko) 2010-06-22
KR200449603Y1 true KR200449603Y1 (ko) 2010-07-23

Family

ID=4424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15U KR200449603Y1 (ko) 2008-12-12 2008-12-12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9138A (zh) * 2012-06-27 2014-01-15 大林产业株式会社 烯烃聚合催化剂组合物以及使用所述烯烃聚合催化剂组合物的烯烃聚合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640A (ko) * 2002-08-19 2004-02-25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방법
KR20040037750A (ko) * 2002-10-30 2004-05-07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스위치
KR20040039507A (ko) * 2002-11-01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빈도에 의한 메뉴 동적정렬 방법
KR200416640Y1 (ko) 2006-02-28 2006-05-19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착즙기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12-27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착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640A (ko) * 2002-08-19 2004-02-25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방법
KR20040037750A (ko) * 2002-10-30 2004-05-07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스위치
KR20040039507A (ko) * 2002-11-01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빈도에 의한 메뉴 동적정렬 방법
KR200416640Y1 (ko) 2006-02-28 2006-05-19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착즙기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12-27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07U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25Y1 (ko) 착즙기
JP2011527229A (ja) ジューサモジュール及び垂直スクリュージューサ
EP2976974A2 (en) Juice extraction module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49603Y1 (ko) 착즙기
KR101432635B1 (ko) 사탕수수용 착즙기
KR200451541Y1 (ko) 착즙기
KR200449577Y1 (ko) 착즙기
KR200451123Y1 (ko) 착즙기
KR200451539Y1 (ko) 착즙기
KR200451124Y1 (ko) 착즙기
KR200449578Y1 (ko) 착즙기
KR2004370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323115B1 (ko) 착즙기
KR101198036B1 (ko)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20130059615A (ko) 착즙기
KR20130098700A (ko) 착즙기
KR200470211Y1 (ko) 착즙기
KR102287205B1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69922Y1 (ko) 착즙기
CN113349621B (zh) 榨汁机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0469628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6655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