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100Y1 - 시금치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시금치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100Y1
KR200441100Y1 KR2020060030040U KR20060030040U KR200441100Y1 KR 200441100 Y1 KR200441100 Y1 KR 200441100Y1 KR 2020060030040 U KR2020060030040 U KR 2020060030040U KR 20060030040 U KR20060030040 U KR 20060030040U KR 200441100 Y1 KR200441100 Y1 KR 200441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ch
harvesting
vehicle
soi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291U (ko
Inventor
전현종
최용
이충근
조영목
홍석봉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60030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10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8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인력으로 수확하던 시금치를 자동화하여 수확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시금치 수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는 차체프레임과 복수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부와, 차량부의 전방에 마련되며 농지로부터 시금치를 파냄과 동시에 뿌리를 절단하고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뿌리절단부와 흙받이부와 진동부로 이루어지는 채취부와, 차량부의 차륜에 마련되며 채취부에서 수확된 시금치를 차륜 사이에 정렬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시금치를 자동으로 채취하고 이를 단묶음 및 수확작업 등이 용이하도록 정렬 이송하기 때문에, 인력절감 및 작업효율 개선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금치 수확장치{SPINACH HARVE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차량부 11..차체프레임
12..주차륜 14..엔진
18a,18b,18c..벨트 22..록킹레버
30..채취부 33..뿌리절단부
35..진동부 36..캠축
40..회전핸들 50..가이드부
본 고안은 시금치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지에서 재배되는 시금치를 자동으로 뿌리를 절단하면서 수확하는 시금치 수확장치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연약한 엽채류에 해당하는 시금치는 채취시 그 연약성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는 시금치 손상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방지하고자 수작업으로 시금치를 수확한다.
따라서, 재배농가는 시금치를 인력으로 수확해야 하므로 과다한 인건비를 지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시금치의 생산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시금치를 더욱 비싸게 구입해야 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시금치 수확 과정 중에는 불필요한 시금치 뿌리를 절단하는 과정과 시금치에 묻어 있는 흙을 털어내야 하는 과정 등 여러 과정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사용하더라도 작업 효율이 떨어져 채산성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력으로 수확하던 시금치를 자동화하여 수확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시금치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는 차체프레임과 복수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부와, 차량부의 전방에 마련되며 농지로부터 시금치를 파냄과 동시에 뿌리를 절단하고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뿌리절단부와 흙받이부와 진동부로 이루어지는 채취부와, 차량부의 차륜에 마련 되며 채취부에서 수확된 시금치를 차륜 사이에 정렬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상기 채취부는 차체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고정대와, 이 고정대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축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뿌리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뿌리절단부는 차량부의 이동시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전방이 하향 경사져 있는 한편 시금치 뿌리를 잘라낼 수 있도록 전방에 칼날이 마련되며, 후방에는 시금치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포크 형상의 흙분리대가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차륜을 감싸는 한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상기 차량부는 후방에 핸들바를 구비하여 일측 종단에는 엔진 클러치가 설치되고 타측 종단에는 한 쌍의 주차륜이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레버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시금치 수확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부(10)과, 차량부(10)의 전방에 마련되어 농지로부터 시금치를 수확하는 채취부(30)와, 채취된 시금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50)로 이루어진다.
차량부(10)는 장방형의 차체프레임(11)과, 그 양측 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주차륜(12)과, 이 주차륜(12)의 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륜(13)을 포함한다. 주차륜(12)은 엔진(14)에 의해 구동되는데, 엔진(14)의 풀리(15)는 감속기(16)의 풀리(17)와 벨트(18a)로 연결되고 감속기(16)의 풀리(17)는 차륜(12,13)의 밋션 풀리(19)와 벨트(18a)로 연결되어 주차륜(12)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차량부(10)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핸들바(20)가 마련되는데, 핸들바(20)의 일측 종단에는 엔진 클러치(21)가 설치되고, 타측 종단에는 한 쌍의 주차륜(12)이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레버(22)가 설치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3은 변속기어이다.
채취부(30)는 차량부(10)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땅속의 시금치를 캐내기 위한 것으로, 차량부(10)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고정대(31)와 이 고정대(3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축 결합되는 프레임(32)과 프레임(32)의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뿌리절단부(33)를 포함한다. 뿌리절단부(33)는 차량부(10)의 이동시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전방이 하향 경사져 있는 한편 시금치 뿌리를 잘라낼 수 있도록 전방에 칼날이 마련된다. 뿌리절단부(33)의 후방에는 시금치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포크(folk) 형상의 흙분리대(34)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채취부(30)는 뿌리절단부(33)가 용이하게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함과 동시에 흙이 분리될 수 있도록 진동부(35)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진동부(35)는 상기 감속기(16)의 풀리(17)와 벨트(18c)로 연결되는 캠축(36)과, 캠축(36)과 프레임(32) 사이에 연결되어 캠축(36)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캠로드(37)를 포함한다.
또한, 채취부(30)는 뿌리절단부(33)가 땅속에 진입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높이조절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차량부(10)의 보조륜(13)에 일체로 마련되는데,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륜(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로드(38)와, 차체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로드(38)가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38a) 체결됨으로써 상하 이동되는 고정로드(39)를 포함한다. 승강로드(38)의 동작은 고정로드(39)에 마련된 회전핸들(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채취부(30)에 의해 자동으로 수확된 시금치는 이후 단묶음 등의 포장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체프레임(11)에는 이동하는 수확장치의 주차륜(12)과 보조륜(13)에 밟히지 않도록 차륜(12,13)과 동일선 상의 전방에 가이드부(50)가 마련된다. 즉, 가이드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11)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고정대(51)에 설치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51)의 후방은 주차륜(12)과 보조륜(13)을 감싸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뿌리절단부(33)에서 채취된 시금치는 이동하는 차륜(12,13)에 밟히지 않으면서 차륜(12,13)간 사이 예컨대, 차체프레임(11)의 하부로 정렬 이송된다. 이러한 가이드부(50)의 전방에 위치하는 뿌리절단부(33) 후방에는 분초판(52)이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농지에 본 수확장치를 설치하고 엔진(14)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14)과 감 속기(16)를 통해 벨트(18a,18b)로 연결된 주차륜(12)이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감속기(16)와 벨트(18c)로 연결된 캠축(36)도 회전하게 되면서 캠로드(3)를 통해 채취부(30)의 뿌리절단부(33)를 진동시키게 된다.
차량부(10)가 이동을 시작하게 되면 캠축(36)에 의해 진동하는 뿌리절단부(33)는 진동하면서 일정한 깊이로 땅속을 팜과 동시에 칼날로 시금치 뿌리를 절단하게 되고, 뿌리가 절단된 시금치는 뿌리절단부(33)의 후방에 마련된 흙분리대(34)에 의해 흙이 분리된다. 그리고, 흙이 분리된 시금치는 연속해서 양측 차륜(12,13)에 마련된 가이드부(50)에 의해 차체프레임(11) 하부로 모아지도록 정렬 이송된다. 정렬이송된 시금치는 이후 단묶음되어 포장상자에 넣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금치 수확장치는 엔진 구동되는 차량부와, 차량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농지의 시금치를 파냄과 동시에 뿌리를 절단하고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채취부와, 채취된 시금치가 차륜에 밟히지 않으면서 그 사이에 정렬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시금치를 자동으로 채취하고 이를 단묶음 및 수확작업 등이 용이하도록 정렬 이송하기 때문에 인력절감 및 작업효율 개선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차체프레임과 복수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부와,상기 차량부의 전방에 마련되며 농지로부터 시금치를 파냄과 동시에 뿌리를 절단하고 흙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채취부와, 상기 차량부의 차륜에 마련되며 상기 채취부에서 수확된 시금치를 차륜 사이에 정렬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취부는 차체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고정대에 하측으로 수직하게 축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단에 연결 설치되며 전방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시금치의 뿌리를 잘라 내는 뿌리절단부와, 뿌리절단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흙을 털어내는 흙분리대와, 프레임과 캠 연결되어 뿌리절단부가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흙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금치 수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차륜을 감싸는 한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금치 수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는 후방에 핸들바를 구비하여 일측 종단에는 엔진 클러치가 설치되고 타측 종단에는 한 쌍의 주차륜이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금치 수확장치.
KR2020060030040U 2006-11-20 2006-11-20 시금치 수확장치 KR200441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40U KR200441100Y1 (ko) 2006-11-20 2006-11-20 시금치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40U KR200441100Y1 (ko) 2006-11-20 2006-11-20 시금치 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91U KR20080001291U (ko) 2008-05-23
KR200441100Y1 true KR200441100Y1 (ko) 2008-07-23

Family

ID=4164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40U KR200441100Y1 (ko) 2006-11-20 2006-11-20 시금치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71B1 (ko) * 2011-09-29 2013-03-19 (주)한서정공 작물뿌리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93B1 (ko) * 2011-11-15 2013-11-15 대한민국 시금치 수확기
KR101471037B1 (ko) * 2013-04-11 2014-12-09 모영환 땅속 작물 수확기
KR101348291B1 (ko) * 2013-10-25 2014-01-09 남미정 트랙터용 진동형 농산물 수확기
KR101636333B1 (ko) 2015-11-11 2016-07-05 문성호 선박 후미용 돛 장치
CN109104973B (zh) * 2018-10-23 2024-01-12 黄淮学院 马铃薯捡拾分级一体化收获机
KR20200060608A (ko) 2018-11-22 2020-06-01 이학남 시금치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시금치 뿌리절단날 위치를 조절하는 시금치 수확기
KR102028875B1 (ko) 2019-01-30 2019-10-04 김인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KR102260204B1 (ko) 2019-09-27 2021-06-03 이학남 자주식 농작물 수확기
KR102506921B1 (ko) 2020-10-16 2023-03-08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수확날 완충수단을 구비한 수집형 엽채류 주행수확기
KR102506917B1 (ko) 2020-10-16 2023-03-08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주행능력을 가진 수집형 엽채류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71B1 (ko) * 2011-09-29 2013-03-19 (주)한서정공 작물뿌리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91U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100Y1 (ko) 시금치 수확장치
KR101782255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393504B1 (ko) 땅콩 수확기
CN106612650B (zh) 地膜回收方法
JP5640270B2 (ja) 切り花収穫機
CN101312643A (zh) 选择性收割机
JP4923568B2 (ja) 豆類収穫機
JP2004041159A (ja) ニンニク等の収穫装置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JP4781250B2 (ja) 豆刈り装置の刈取り刃体
JP6484834B2 (ja) 鱗茎野菜収穫機
JP2880915B2 (ja) イ草苗の掘取り機構
JPH0713458Y2 (ja) 野菜収穫機
JP3279444B2 (ja) 球葱収穫機
CN210641425U (zh) 单行切茎大蒜收获机
JPH09308340A (ja) 根菜収穫機の前処理装置
JP3450740B2 (ja) 栽培作物用作業機
JP3071741B2 (ja) 球葱収穫機
JP3287533B2 (ja) 根菜類収穫機
JP3279534B2 (ja) 球葱収穫機
JP2856680B2 (ja) イ草苗の株分け機構
JP2008048646A (ja)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JPH0627052Y2 (ja) 歩行型茎稈刈取り機の集稈装置
JPH08126422A (ja) 自走球葱収穫機
JP3279553B2 (ja) 自走球葱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