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875B1 -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75B1
KR102028875B1 KR1020190012144A KR20190012144A KR102028875B1 KR 102028875 B1 KR102028875 B1 KR 102028875B1 KR 1020190012144 A KR1020190012144 A KR 1020190012144A KR 20190012144 A KR20190012144 A KR 20190012144A KR 102028875 B1 KR102028875 B1 KR 10202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ail
lifting
lower sta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2081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288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102019001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8Connections of sails to masts, spa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B63B2035/73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 Y02T70/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배용 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돛을 제작 및 설치함에 있어,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제작함으로써,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그 설치 과정에서도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단가의 하락과 돛 설치율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며, 또한, 그 기초를 구성함에 있어, 스테인레스재로 구성함으로써, 염분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등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돛의 승강 작동 및 풍향의 방향에 따라 돛의 각도 조절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Sail for fishing boats}
본 발명은 낚싯배용 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제작상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돛(sail)은 배에 장착되어 바람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기 위한 수단이다.
현재 인근 해역에서 고기잡이용으로 사용되는 낚싯배 역시 동력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소형 선박은 고기떼를 좇아 항해하기 때문에 때로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조업에 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물살의 흐름이나 바람에 의해 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즉 바람이 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불어오게 되면 바람의 방향에 따라 선체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즉 바람의 영향으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가 휩쓸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은 동력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온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돛을 설치하여 운항 중 또는 정박 중 풍력을 이용하여 배의 방향 조절을 위한 돛을 설치하는 낚싯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돛들은 돛 전체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어 제작 후, 배에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힘들면서도 제작 단가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돛의 설치가 기피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10-0062746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12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돛을 제작 및 설치함에 있어,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제작함으로써,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그 설치 과정에서도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단가의 하락과 돛 설치율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기초를 구성함에 있어, 스테인레스재로 구성함으로써, 염분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등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돛의 승강 작동 및 풍향의 방향에 따라 돛의 각도 조절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낚싯배의 갑판 후미에 수직 설치되며, 하단에는 장착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장착 플레이트 상부에는 하부 도르레고리를 가지며 플랜지 결합되는 활대 장착부가 형성되고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가 형성된 지주부와, 지주부의 상단에는 상향 경사를 이루게 절곡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상부 도르레고리를 갖는 로프 걸이대가 형성된 마스트(mast);
활대 장착부에 힌지 결합 및 수평으로 돌출되며 수평방향 회전 작동하며, 일단에는 제1 결합편이 형성된 제1 하부활대;
활대 장착부에 힌지 결합 및 수평으로 돌출되며 수평방향 회전 작동하여 제1 하부활대과 각도 조절되며, 일단에는 제2 결합편이 형성된 제2 하부활대;
승강대의 일측에 결합 및 제1,2 하부활대의 사이로 수평 돌출되며, 일단에는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 양측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로프가 형성된 상부활대;
하단이 제1 하부활대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활대에 연결되는 제1 돛과, 하단이 제2 하부활대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활대에 연결되는 제2 돛으로 된 돛 유닛;
중간이 어느 하나의 상부 도르레고리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제1,2 하부활대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하부활대 고정로프;
상부 지지로프의 중앙으로부터 상부 도르레고리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하부 도르레고리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인출되어 상부활대의 승강을 단속하는 승강로프;
갑판에 설치되며, 승강로프의 인출된 단부가 연결되어 승강로프의 권취 및 권해를 단속하는 권상기; 및
양측 제1,2 하부활대를 연결하여, 활대 장착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2 하부활대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로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는, 지주와 상부활대와 하부 활대 및 다수의 로프가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조립식 설치를 통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등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며, 특히 제작 단가의 하락으로 돛 설치율의 증대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기초를 이루는 지주와 상부활대와 하부 활대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염분으로 인한 부식이 최소화되는 등 내구성 향상에 따른 수명 연장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권상기를 통한 승강로프의 권취 및 권해 작동을 통해 승강대의 승강 조절로 돛의 접이 및 전개가 용이하게 되며, 특히 제1,2 하부활대가 각도 조절로프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인바, 편리한 조작을 통해 돛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로프 연결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마스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활대 장착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승강대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각도조절 로프유닛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돛 유닛 전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돛 유닛 각도 조절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로프 연결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마스트 요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활대 장착부 요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승강대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는 마스트(mast)(100)와, 제1 하부활대(200)와, 제2 하부활대(300)와, 상부활대(400)와, 돛 유닛(500)과, 하부활대 고정로프(600)와, 승강로프(700)와, 권상기(800)와,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마스트(mast)(1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마스트(100)는 염분 등에 의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로 된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낚싯배의 갑판 후미에 설치되게 구성되며, 지주부(110)와 로프 걸이대(1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110)는 수직 길이를 이루는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에는 마스트(100)를 갑판에 설치하기 위한 평판형 장착 플레이트(111)가 구성된다.
또한, 지주부(110)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1)의 상부에서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1,2 하부활대(200)(300)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활대 장착부(120)가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활대 장착부(120)는 양측이 반원 형태로 분할된 한 쌍을 이루어 지주부(110)에 플랜지 결합되어 필요시 지주부(110)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110)에는 통상의 로프의 안내가 가능하게 하는 도르레(도면중 미도시함)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하부 도르레고리(1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활대 장착부(120)에는 후술하는 제1,2 하부활대(200)(300)의 조립식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양측 한 쌍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이 구성된 것으로,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은 후술하는 로프 걸이대(150) 측에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각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은 활대 장착부(120)에 구성시 수직 방향으로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지주부(110)에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지주부(110)가 관통 및 그 지주부(110)를 따라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13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130)에는 그 둘레에서 사방에 승강대(130)를 관통하여 지주부(110)의 둘레에 간섭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1)(131')가 구성된 것으로, 그 가이드롤러(131)(131')에 의해 승강대(130)가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구름력이 부여되어 원활한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주부(110)에는 후술하는 상부활대(400)의 조립식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상부활대 장착편(132)이 구성된 것으로, 상부활대 장착편(132)은 후술하는 로프 걸이대(150) 측에 구성되되, 상기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의 사이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로프 걸이대(150)는 상기 지주부(1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향 경사를 이루면서 낚싯배의 후방을 향하게 돌출 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로프 걸이대(150)를 상향 경사 구성함은 후술하는 승강로프(700)가 작동시 그 승강로프(7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지주부(110)와 110~120˚ 각도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일예로 110˚ 이하 각도로 구성하게 되면 승강로프(7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절곡에 의해 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20˚ 이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자칫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인바, 그 각도를 110~120˚로 구성함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로프 걸이대(150)에는 그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상부 도르레고리(151)가 구성되어 도르레(도면중 미도시함)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마스트(100)는 지주부(110)의 장착 플레이트(111)를 통해 낚싯배의 후미에서 갑판에 장착 설치되게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1,2 하부활대(200)(300) 및 상부활대(400)의 조립식 장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하부활대(2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제1 돛(510)의 하부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하부활대(200)는 수평 길이를 이루며 염분 등에 의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로 된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일측의 하부활대 장착편(122)에 볼트(B)와 너트(N)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1 결합편(210)이 돌출 구성된다.
즉, 제1 하부활대(200)는 제1 결합편(210)을 통해 하부활대 장착편(122)에 결합되어 마스트(100)로부터 수평 돌출되는 한편, 하부활대 장착편(122)의 힌지(H) 작동에 의해 수평 회전되어 후술하는 제2 하부활대(300)와 각도 조절에 따른 돛 유닛(5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하부활대(3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제2 돛(520)의 하부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2 하부활대(300)는 수평 길이를 이루며 염분 등에 의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로 된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타측의 하부활대 장착편(122')에 볼트(B)와 너트(N)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2 결합편(310)이 돌출 구성된다.
즉, 제2 하부활대(300)는 제2 결합편(310)을 통해 하부활대 장착편(122')에 결합되어 마스트(100)로부터 상기 제1 하부활대(200)와 평면상 각도를 이루게 수평 돌출되는 한편, 하부활대 장착편(122')의 힌지(H) 작동에 의해 수평 회전되어 상기 제1 하부활대(200)와 각도 조절에 따른 돛 유닛(5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활대(4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제1,2 돛(510)(520)의 상부가 고정되어 중심을 이루게 한다.
이를 위해, 상부활대(400)는 수평 길이를 이루며 염분 등에 의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로 된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상부활대 장착편(132)에 볼트(B)와 너트(N) 체결이 가능하도록 결합편(410)이 돌출 구성된다.
또한, 상부활대(400)의 상부에는 그 길이방향 양측을 연결하여 후술하는 승강로프(700)의 연결이 가능한 상부 지지로프(420)가 구성된다.
즉, 상부활대(400)는 결합편(410)을 통해 승강대(130)의 상부활대 장착편(132)에 결합되어 승강대(130)와 함께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후술하는 돛 유닛(500)의 전개 및 접이를 안내하게 구성된다.
상기 돛 유닛(500)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바람에 저항하여 낚싯배의 동력 및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돛 유닛(500)은 서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제1,2 하부활대(200)(300)의 평면상 각도 조절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1,2 돛(510)(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먼저 제1 돛(510)은 그 하단이 상기 제1 하부활대(20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활대(400)에 연결고리 등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돛(520)은 그 하단이 상기 제2 하부활대(30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활대(400)에 연결고리 등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돛(510)과는 후면상 삼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활대 고정로프(6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2 하부활대(200)(300)의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하부활대 고정로프(600)는 중간부가 상기 로프 걸이대(150)의 중간부에 위치된 상부 도르레고리(151)를 경유하되, 도르레를 이용하여 경유하는 한편, 그 양단이 상기 제1,2 하부활대(200)(300)의 중간부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하부활대 고정로프(600)는 양측의 제1,2 하부활대(200)(300)를 잡아 고정하는 한편, 그 제1,2 하부활대(200)(300)가 각도 조절되는 과정에서 도르레를 통해 유동 안내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로프(7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상부활대(400)의 승강을 단속하여 돛 유닛(500)의 전개 및 접이를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승강로프(700)는 그 일단이 상기 상부 지지로프(420)의 중앙에 고리 등을 통해 연결되는 한편, 전방에 위치한 상부 도르레고리(151)에 설치되는 도르레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는 상부 도르레고리(151)에 설치되는 도르레와 하부 도르레고리(121)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인출되게 구성된다.
즉, 승강로프(700)는 그 하부를 당김시 상부활대(400)가 상승하여 돛 유닛(500)을 상부로 전개하는 한편, 당김력을 해제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돛 유닛(500)을 하부로 접을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상부활대(400)의 승강 과정에서 승강대(130)는 가이드롤러(131)(131')의 롤링 작동에 의해 안정된 상,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권상기(800)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승강로프(700)의 당김 및 해제를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권상기(800)는 낚싯배의 갑판에 설치되게 구성되며, 모터(810) 구동되는 권취드럼(820)에 승강로프(700)의 인출된 단부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권상기(800)는 권취드럼(820)의 권취 작동에 의해 승강로프(700)를 당겨 상부활대(400)의 상승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권해 작동에 의해 승강로프(700)를 풀어 상부활대(400)의 하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은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양측의 제1,2 하부활대(200)(300)의 각도를 조절하되, 활대 장착부(1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의 힌지(H)를 축으로 하여 회동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은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각도조절로프(910)가 구성된 것으로, 각도조절로프(910)는 그 일단이 제2 하부활대(300)의 선단에 고정되고, 연결고리를 통해 유동 가능하도록 제1 하부활대(200)의 끝단과 제2 하부활대(300)의 중간부와 제1 하부활대(200)의 중간부를 간격을 두고 적어도 1회 이상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 경유하여 제1,2 하부활대(200)(300)의 후방으로 인출 및 낚싯배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에는 제1 각도고정로프(920)가 구성된 것으로, 제1 각도고정로프(920)는 그 일측이 제1 하부활대(200)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낚싯배에 고정되어 제1 하부활대(200)가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에는 제2 각도고정로프(930)가 구성된 것으로, 제2 각도고정로프(930)는 그 일측이 제2 하부활대(300)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낚싯배에 고정되어 제2 하부활대(300)가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즉,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은 각도조절로프(910)과 제1,2 각도고정로프(920)(930)의 당김과 풀림 작동에 의해 제1,2 하부활대(200)(300)의 각도 조절 및 돛 유닛(500)의 제1,2 돛(510)(5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는 마스트와 제1,2 하부활대(200)(300)와 상부활대(400)가 분리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각각의 분리 제작을 통해 그 제작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각각이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조립식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설치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활대 장착부(120)는 지주부(110)에 플랜지 결합되게 구성된 것인바, 필요에 따라 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트와 제1,2 하부활대(200)(300)와 상부활대(400)가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바다에서 사용시 그 수명이 현격히 연장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는 돛 유닛(500)의 전개 및 접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을 참조하여 돛 유닛(500)은 그 상단이 상부활대(400)에 고정된 것인바 상부활대(400)의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해 전개 및 접이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권취드럼(820)의 권취 작동에 의해 승강로프(700)를 당기게 되면 상부활대(400)는 승강대(130)와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인바 돛 유닛(500)을 상부로 끌어올려 전개가 가능하게 되며, 반대로 권취드럼(820)의 권해 작동에 의해 승강로프(700)를 풀어주게 되면 상부활대(400)는 승강대(130)와 함께 하강하게 되는 것인바 돛 유닛(50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돛 유닛(500)의 접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부활대(400)의 승강 과정에서 승강대(130)는 가이드롤러(131)(131')의 롤링 작동에 의해 상부활대(400)의 안정된 상,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는 돛 유닛(500)의 양측 제1,2 돛(510)(520)의 각도 조절에 의해 풍력 또는 풍향에 따른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그 각도의 조절은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를 참조하여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은 제1,2 각도고정로프(920)(930)를 풀어준 상태에서 낚싯배에 고정된 각도조절로프(910)를 당기게 되면 양측 제1,2 하부활대(200)(300)가 각각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의 힌지(H) 작동에 의해 좁아지는 각도로 조절되게 되며, 이후 각도조절로프(910) 및 제1,2 각도고정로프(920)(930)를 고정하여 제1,2 하부활대(200)(300)의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각도조절로프(910)를 풀어준 상태에서 양측의 제1,2 각도고정로프(920)(930)를 당기게 되면 측 제1,2 하부활대(200)(300)가 각각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의 힌지(H) 작동에 의해 벌어지는 각도로 조절되게 되며, 이후 각도조절로프(910) 및 제1,2 각도고정로프(920)(930)를 고정하여 제1,2 하부활대(200)(300)의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1)는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의 간단한 작동에 의해 제1,2 돛(510)(5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풍력 또는 풍향에 대응하여 낚싯배의 동력 또는 방향 전환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는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한 한편, 돛 유닛의 편리한 작동 구조를 통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0 : 마스트 110 : 지주부
111 : 장착 플레이트 120 : 활대 장착부
121 : 하부 도르레고리 122,122' : 하부활대 장착편
130 : 승강대 131,131' : 가이드롤러
132 : 상부활대 장착편
150 : 로프 걸이대 151 : 상부 도르레고리
200 : 제1 하부활대 210 : 제1 결합편
300 : 제2 하부활대 310 : 제2 결합편
400 : 상부활대 410 : 결합편
420 : 상부 지지로프
500 : 돛 유닛 510,520 : 제1,2 돛
600 : 하부활대 고정로프 700 : 승강로프
800 : 권상기
900 : 각도조절 로프유닛 910 : 각도조절로프
920 : 제1 각도고정로프 930 : 제2 각도고정로프

Claims (5)

  1. 낚싯배의 갑판 후미에 수직 설치되며, 하단에는 장착 플레이트(111)가 형성되며, 장착 플레이트(111) 상부에는 하부 도르레고리(121)를 가지며 플랜지 결합되는 활대 장착부(120)가 형성되고,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130)가 형성된 지주부(110)와, 지주부(110)의 상단에서 상향 경사를 이루게 절곡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상부 도르레고리(151)를 갖는 로프 걸이대(150)가 형성된 마스트(mast)(100);
    활대 장착부(120)에 힌지 결합 및 수평으로 돌출되며 수평방향 회전 작동하며, 일단에는 제1 결합편(210)이 형성된 제1 하부활대(200);
    활대 장착부(120)에 힌지 결합 및 수평으로 돌출되며 수평방향 회전 작동하여 제1 하부활대(200)와 각도 조절되며, 일단에는 제2 결합편(310)이 형성된 제2 하부활대(300);
    승강대(130)의 일측에 결합 및 제1, 2 하부활대(200)(300)의 사이로 수평 돌출되며, 일단에는 결합편(4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 양측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로프(420)가 형성된 상부활대(400);
    하단이 제1 하부활대(20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활대(400)에 연결되는 제1 돛(510)과, 하단이 제2 하부활대(30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활대(400)에 연결되는 제2 돛(520)으로 된 돛 유닛(500);
    중간이 어느 하나의 상부 도르레고리(151)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제1, 2 하부활대(200)(3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하부활대 고정로프(600);
    상부 지지로프(420)의 중앙으로부터 상부 도르레고리(151)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하부 도르레고리(121)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여 인출되어 상부활대(400)의 승강을 단속하는 승강로프(700);
    갑판에 설치되며, 승강로프(700)의 인출된 단부가 연결되어 승강로프(700)의 권취 및 권해를 단속하는 권상기(800); 및
    양측 제1,2 하부활대(200)(300)를 연결하여, 활대 장착부(120)를 중심으로 하여 제1,2 하부활대(200)(300)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트(100)의 활대 장착부(120)에는 로프 걸이대(150) 방향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힌지(H)로 장착되어 각각 수평 회동 작동하는 한 쌍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2 하부활대(200)(300)가 각각의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에 볼트(B) 및 너트(N) 체결되게 구성되고,
    승강대(130)는,
    관체로 구성되어 지주부(110)가 관통 및 그 지주부(110)를 따라 상,하 승강 작동되게 구성하되,
    둘레 사방에는 관통되어 지주부(110)에 구름 작동하여 원활한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1)(131')가 포함되며,
    승강대(130) 방향 둘레 일측에는 하부활대 장착편(122)(122')의 사이에 위치되게 상부활대 장착편(132)이 돌출 형성되어 상부활대(400)의 일단이 볼트(B) 및 너트(N)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로프 걸이대(150)는,
    지주부(110)와 110~120° 각도를 이루게 구성하여 승강로프(700)의 걸림이 방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각도조절 로프유닛(900)은,
    일단이 제2 하부활대(300)의 선단에 고정되고, 연결고리를 통해 제1 하부활대(200)의 끝단과 제2 하부활대(300)의 중간부와 제1 하부활대(200)의 중간부를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 경유하여 인출 및 낚싯배에 고정되는 각도조절로프(910);
    일측이 제1 하부활대(2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낚싯배에 고정되어 제1 하부활대(200)를 고정하는 제1 각도고정로프(920); 및
    일측이 제2 하부활대(3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낚싯배에 고정되어 제2 하부활대(300)를 고정하는 제2 각도고정로프(9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KR1020190012144A 2019-01-30 2019-01-30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KR10202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44A KR102028875B1 (ko) 2019-01-30 2019-01-30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44A KR102028875B1 (ko) 2019-01-30 2019-01-30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75B1 true KR102028875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44A KR102028875B1 (ko) 2019-01-30 2019-01-30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64B1 (ko) 2023-01-02 2023-05-11 김윤장 낚싯배용 돛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4287A (ja) * 1991-02-06 1992-09-09 Yamaha Motor Co Ltd オートセーリング装置
JP2000128086A (ja) * 1998-10-26 2000-05-09 Wise Gear:Kk 船体の方向安定調整装置
KR20080001291U (ko) 2006-11-20 2008-05-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시금치 수확장치
KR20100062746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10118140A (ko) * 2009-02-23 2011-10-28 에스티엑스 프랑스 에스에이 기계화된 돛 설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4287A (ja) * 1991-02-06 1992-09-09 Yamaha Motor Co Ltd オートセーリング装置
JP2000128086A (ja) * 1998-10-26 2000-05-09 Wise Gear:Kk 船体の方向安定調整装置
JP4114835B2 (ja) * 1998-10-26 2008-07-09 株式会社ワイズギア 船体の方向安定調整装置
KR20080001291U (ko) 2006-11-20 2008-05-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시금치 수확장치
KR20100062746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10118140A (ko) * 2009-02-23 2011-10-28 에스티엑스 프랑스 에스에이 기계화된 돛 설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64B1 (ko) 2023-01-02 2023-05-11 김윤장 낚싯배용 돛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4482B (zh) 包括浮动基座的浮动式顺风涡轮机和用于安装这样的风力涡轮机的方法
US4166596A (en) Airship power turbine
CN103228530B (zh) 浮体结构物作业系统、浮体结构物、作业船及浮体结构物的作业方法
DK180422B1 (en) Segmented-foil divertor
JP2021512833A (ja) 物体を配置するためのクレーンおよび方法
KR102028875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낚싯배용 돛 장치
KR20190120785A (ko) 터빈 시스템 및 계류 시스템
CN109911147A (zh) 一种用于船舶救生的具有调节和回收功能的抛绳器
JPH05139378A (ja) 翼型帆
WO1997041028A1 (en) Parachute-type sail for boats
US6408776B1 (en) Synchronously driven, multiple cable boat lift
CN109963807A (zh) 海上起重船以及操作方法
NL2021129B1 (en) Process to place a wind turbine
US2197654A (en) Rig for sailboats
KR101189897B1 (ko) 선박 인양용 크레인
KR102148767B1 (ko) 수류 발전 장치
JP2007282682A (ja) ヨット玩具
JP2007528464A (ja) 風力発電装置
JPS582117B2 (ja) カタマラン帆船の三角帆巻き収め装置
RU2303353C1 (ru) Погру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оре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CN111089029A (zh) 风力发电机组的导流装置及其控制方法、风力发电机组
CN219361306U (zh) 一种阵列式风帆
US9399504B2 (en) Aerodynamic wingsail
KR200263045Y1 (ko) 양망기
CN105980245B (zh) 拉索辊卷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45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831

Effective date: 2023030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39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0410

Effective date: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