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333B1 - 선박 후미용 돛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후미용 돛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333B1
KR101636333B1 KR1020150158035A KR20150158035A KR101636333B1 KR 101636333 B1 KR101636333 B1 KR 101636333B1 KR 1020150158035 A KR1020150158035 A KR 1020150158035A KR 20150158035 A KR20150158035 A KR 20150158035A KR 101636333 B1 KR101636333 B1 KR 10163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ail
ship
barb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호 filed Critical 문성호
Priority to KR102015015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083Masts for sailing ship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5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 B63B2015/00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선박의 후미, 즉 고물 부근에 설치되어 바람에 대하여 선박의 조타를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한 후미용 돛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선박의 갑판 후미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마스트(mast);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마스트에 설치되는 돛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돛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활대;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상부활대;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제1돛;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다른 하나에 결속되는 제2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후미용 돛 장치{Sail Apparatus For Stern Of Ship}
본 발명은 소형 선박용 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선박의 후미, 즉 고물 부근에 설치되어 바람에 대하여 선박의 조타를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한 후미용 돛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설치되는 돛은 예로부터 바람을 이용하여 항해를 위한 동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현재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각종 선박에서는 돛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지만 요트라든가 특수한 경우에는 돛을 설치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내연기관과 풍력을 함께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돛을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인근해역에서 고기잡이용으로 사용하는 고기잡이배 또는 취미생활을 위한 낚싯배 역시 동력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소형 선박은 고기떼를 좇아 항해하기 때문에 때로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조업에 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물살의 흐름이나 바람에 의해 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배(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W)에서 불어오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방향에 따라 선체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즉 바람의 영향으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가 휩쓸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은 동력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온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10-0062746호는 거주구의 측면에 돛(sail)을 설치하여, 선미 측 방향에서 불어오는 풍력을 선박의 추진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선박의 추진 에너지인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이는 바람에 대하여 선박의 조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1291호 역시 정박시 또는 운항중 필요시 수평으로 접힐 수 있는 접이식 돛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역시 바람에 대하여 선박의 조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10-0062746호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129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소형 선박을 위한 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어떤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오더라도 선박이 바람에 휩쓸려 위치와 방향이 의도치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선박의 갑판 후미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마스트(mast);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마스트에 설치되는 돛어셈블리; 를 포함하되, 상기 돛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활대;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상부활대;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제1돛;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중 다른 하나에 결속되는 제2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활대를 상기 마스트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활대고정부는; 상기 마스트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통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 직각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좌우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공이 타공되는 상판 및 하판;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 설치공에 각각 끼워지는 하부축핀; 상기 하부축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활대에 연결되는 하부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활대를 상기 마스트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상부활대설치수단은;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기동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끼움공이 타공된 상판과 하판이 설치되는 승강판; 상기 상판과 하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상부축핀에 끼워져 상기 상부축핀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돛과 제2돛이 선박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L1,L2)가 늘어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
Figure 112016035290943-pat00001
"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마스트를 상기 선박의 갑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스트 고정부는; 마스트를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측벽에 볼트공이 타공되는 지지브래킷; 갑판 상면에 앵커볼트로써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브래킷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타공되어 있는 지지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선박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소형 선박을 위한 돛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불어오는 바람에 따라 선박 후미에 설치된 돛을 조정함으로써, 이 돛을 마치 방향키와 유사하게 이용함으로써 선박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선박의 후미 설치용 돛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2장으로 구성된 돛을 펼침으로써 일반적인 돛과 같이 바람의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선박의 후미 설치용 돛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미돛을 설치한 선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마스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하부활대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상부활대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의 작용 설명을 위한 선박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바람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선박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로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 후미용 돛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의 후미, 즉 고물 측에 직립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돛(10)을 펼쳤을 경우 선박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조타용 키(key)와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된다.
선박 후미용 돛 장치(1, 이하 '돛 장치'라 함)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의 갑판(101) 위에 직립 설치되는 마스트(30, mast)와;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마스트(30)에 설치되는 돛어셈블리와; 마스트(30)를 갑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스트 고정부(20)를 포함한다. 물론 돛(10)은 돛을 가진 고전적인 선박에서와 같이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돛어셈블리는 한 쌍의 하부활대(11,11'), 하나의 상부활대(12) 및 2장의 돛(10, sail)을 포함한다. 한 쌍으로 구성된 하부활대(11,11')는 마스트(30)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마스트(30)의 하부에 설치된다. 하나의 상부활대(12)는 마스트(30)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하부활대(11,11') 상측에 설치된다. 상부활대(12)는 특히 마스트(30)의 연장방향(H)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돛(10)을 펼칠 때에는 상부활대(12)를 위로 끌어올리고 돛(10)을 내릴 때에는 아래로 내리면 된다.
돛(10)은 2장(10',10")으로 구성된다. 돛(10)은 선박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L1,L2)가 늘어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
Figure 112015109814575-pat00002
"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돛(10')은 상단이 상부활대(12)에 결속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활대 중 어느 하나(11)에 결속되며, 제2돛(10")은 상단이 상부활대(12)에 결속되고 하단이 하부활대 중 다른 하나(11')에 결속된다. 돛과 활대 간의 결속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는 로프(13)를 이용하되 돛을 설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돛(10)의 상단의 경사도(A)는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선박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돛(10)의 후단은 선박의 고물에서 완전히 벗어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도 10과 도 11은 로프(13)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돛(10)은 적어도 5개의 로프(1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1로프(131)는 상부활대(12)에 연결되어 돛을 상하로 펼치거나 접을 때 사용하며, 제2로프(132)는 상부활대(1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돛을 팽팽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해 사용한다. 제3로프(133)와 제4로프(134)는 각각 하부활대(11,11')에 연결되어 하부활대(11,11')를 펼치는데 사용하며, 제4로프(135)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지그재그 형태로 하부활대(11,11')을 연결함으로써 하부활대(11,11')가 펼쳐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각 로프(13)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모두 한곳으로 집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한자리에서 후미돛을 완벽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하부활대고정부(40)는 하부활대(11,11')를 마스트(3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하 도 4 및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통형 베이스(41)가 마스트(30)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마스트(30)는 마스트(30)가 될 수도 있고 마스트(30)가 끼워지는 지지관(22)이 될 수도 있다.
좌우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공(421,431)이 타공되는 상판(42) 및 하판(43)이 베이스(41)의 상단 및 하단에 직각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축핀(46)이 상판(42)과 하판(43)의 좌우측 설치공(421)에 각각 끼워진다. 하부슬리브(45)는 하부축핀(46)의 외주에 끼워지며 하부활대(11,11')에 연결된다. 하부슬리브(45)는 파이프(451) 및 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볼트공(453)이 타공된 결합판(453)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활대설치수단(50)은 상부활대(12)를 마스트(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마스트(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레일(32)이 홈(31)의 형태로 마련된다. 마스트(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해 성형됨으로써 레일(32)을 갖게 된다.
이동블럭(56)은 레일(32)에 결합하여 그의 연장방향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된다.
승강판(51)이 이동블럭(56)에 연결되며, 그의 상하부에는 횡방향으로 끼움공(521,531)이 타공된 상판(52)과 하판(53)이 설치된다. 상부슬리브(55)는 상판(52)과 하판(53)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상부축핀(57)에 끼워져 상부축핀(57)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슬리브(55)에는 상부활대(12)가 조립으로 고정된다. 상부슬리브(55) 역시 파이프(551)와, 파이프(551)에 용접되며 볼트공(553)이 타공된 결합판(552)으로 구성된다. 승강판(51)의 상하부에는 이동블럭(56)을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블럭고정공(511)이 타공되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마스트(30)를 선박의 갑판(101, 도 3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스트 고정부(20)를 설명한다.
마스트(30)가 끼워지게 되는 지지관(22)은 지지관 고정구(21)에 의해 갑판(101) 상면에 직립하여 고정된다. 측벽에 볼트공(233)이 타공되는 지지브래킷(23)이 지지관(22)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지지브래킷(23)은 평판(23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판(232)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판(211)이 갑판(101) 상면에 앵커볼트로써 고정되며 이를 위해 앵커볼트공(214)이 마련된다. 지지관 고정구(21)는 베이스판(211)과 지지틀체(212)로 구성된다. 베이스판(211)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지지틀체(212)는 지지브래킷(23)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한다. 지지틀체(212)에는 지지브래킷의 볼트공(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215)이 타공되어 있다. 버팀대(213)는 지지틀체(212) 및 베이스판(211)에 동시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강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하부활대(11,11')에는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11)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활대(11,11')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돛(10)의 방향(내지 벌려지는 폭)을 화살표방향(W,W')을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부활대(12) 역시 화살표방향(W")을 따라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돛(10)의 기본적인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스트(30) 상단에는 로프고정구(60)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 설치된다. 로프고정구(60)는 평판(62)과, 평판(62) 저면에 용접되는 소켓(61)과, 소켓(61)의 측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로프고정대(63)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화살표(W)방향으로 불어오는 경우에 있어서, 돛(10)을 도 8(a)와 같이 펼쳤다면 돛(10)에도 바람이 화살표 방향(W')으로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선박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돛(10)의 저항에 의해 선박의 진행방향(도면에서 위쪽으로 향한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바람이 반대방향에서 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 경우에도 돛의 저항에 의해 배의 이물은 배의 진행방향을 향하게 된다.
돛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는데, 순풍을 이용하여 동력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역풍을 이용하여 정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돛 장치 10 : 돛
11,11' : 하부활대 12 : 상부활대
13 : 로프 20 : 마스트 고정부
30 : 마스트 31 : 레일
40 : 하부활대고정부 50 : 상부활대설치수단
60 : 로프고정구 100 : 선박(배)

Claims (5)

  1. 선박의 갑판 후미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마스트(mast);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마스트에 설치되는 돛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돛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활대;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상부활대;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제1돛;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다른 하나에 결속되는 제2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활대를 상기 마스트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활대고정부는;
    상기 마스트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통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 직각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좌우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공이 타공되는 상판 및 하판;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 설치공에 각각 끼워지는 하부축핀; 상기 하부축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활대에 연결되는 하부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활대를 상기 마스트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상부활대설치수단은;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기동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끼움공이 타공된 상판과 하판이 설치되는 승강판; 상기 상판과 하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상부축핀에 끼워져 상기 상부축핀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돛과 제2돛은 선박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늘어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
    Figure 112016035290943-pat00003
    "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를 상기 선박의 갑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스트 고정부는;
    마스트를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측벽에 볼트공이 타공되는 지지브래킷;
    갑판 상면에 앵커볼트로써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브래킷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타공되어 있는 지지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후미용 돛 장치.
KR1020150158035A 2015-11-11 2015-11-11 선박 후미용 돛 장치 KR10163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35A KR101636333B1 (ko) 2015-11-11 2015-11-11 선박 후미용 돛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35A KR101636333B1 (ko) 2015-11-11 2015-11-11 선박 후미용 돛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333B1 true KR101636333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035A KR101636333B1 (ko) 2015-11-11 2015-11-11 선박 후미용 돛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876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로봇
KR102392878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트용 절첩식 세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684U (ko) * 1975-03-28 1976-09-30
JPS56122700U (ko) * 1980-02-21 1981-09-18
US4704979A (en) * 1985-11-26 1987-11-10 Ammen Mark E Sail system
JPH0159796U (ko) * 1987-10-09 1989-04-14
KR20080001291U (ko) 2006-11-20 2008-05-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시금치 수확장치
KR20100062746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684U (ko) * 1975-03-28 1976-09-30
JPS56122700U (ko) * 1980-02-21 1981-09-18
US4704979A (en) * 1985-11-26 1987-11-10 Ammen Mark E Sail system
JPH0159796U (ko) * 1987-10-09 1989-04-14
KR20080001291U (ko) 2006-11-20 2008-05-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시금치 수확장치
KR20100062746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876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로봇
KR102392878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트용 절첩식 세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6383A1 (en) Umbrella assembly structured for use in high wind conditions
ES2554877B1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propulsión vélica para barcos y remolcadores
KR101636333B1 (ko) 선박 후미용 돛 장치
US98155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arding animals onto a boat
US7984686B1 (en) Canopy for kayak and canoe
JP6001750B2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US11072396B2 (en) Freestanding adjustable recreational canopy
US20150003918A1 (en) Pier Installation Support Assembly
JP5558192B2 (ja) 起倒式帆を備える帆走船
US6655314B2 (en) Mast step
US20030226492A1 (en) Pulpit mounted rotating bowsprit
CN107848603B (zh) 小艇支撑装置
US10661860B2 (en) Water diverter for outboard marine motors
FR2664559A1 (fr) Greement pour yachts et multi-coques, a pliage et demontage rapide.
FR2778386A1 (fr) Double mature en parallele pour voiliers multicoques
CH701489A2 (fr) Voilier catamaran à deux mâts.
FR2586398A1 (fr) Greement, a antenne, reglable selon la force du vent et la direction du vent, ne necessitant pas de haubanage
FR3077056A1 (fr) Trimaran asymetrique
FR2591991A1 (fr) Dispositif d'embarcation multi-coque equilibree permettant l'utilisation de voiles ou de moteurs
US6062155A (en) Mast mounted boom support for sailboats
FR2633245A1 (fr) Trimaran comportant deux mats jumeaux, un sur chaque flotteur lateral, lesdits mats etant inclines se rejoignent a leur extremite superieure au droit de la coque centrale
FR2526753A1 (fr) Embarcation a voile
FR2576277A2 (fr) Dispositif pour accoupler deux planches a voile pour obtenir un engin marin propulse par le vent ou des rames
EP1557350A1 (en) High-performance sailing boat using wing sections and lifting sails
JP2008201271A (ja) 船外推進装置の揚力発生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