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39Y1 -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 Google Patents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39Y1
KR200439839Y1 KR2020070006917U KR20070006917U KR200439839Y1 KR 200439839 Y1 KR200439839 Y1 KR 200439839Y1 KR 2020070006917 U KR2020070006917 U KR 2020070006917U KR 20070006917 U KR20070006917 U KR 20070006917U KR 200439839 Y1 KR200439839 Y1 KR 200439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grill
direct
pot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송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송강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to KR2020070006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냄비 본체에 뚜껑이 결합된 내부에 석쇠를 내장하고,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 물 보관부와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의 중앙부에는 직화유입로를 상부로 관통되게 물 보관부의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하여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직화유입로의 상부측 유출구에는 다수개의 개구부를 상면에 볼록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걸림턱을 절곡 형성한 하부로 직화안내부를 연장 형성하여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직화가열구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냄비 본체의 상부 결합턱과 뚜껑의 저면 사이에는 금속재 테두리에 그물망 형태로 된 철망을 볼록하게 형성한 석쇠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여, 냄비 하나로 필요에 따라 냄비 뚜껑을 덮으면 직화 냄비로 냄비 뚜껑을 탈거시키면 직화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직화가열구를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냄비 본체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직화 냄비, 직화 구이판, 석쇠, 개구부, 뚜껑

Description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Cooking pot also used as direct-broiling pan}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냄비 본체 11 : 직화유입로
13 : 결합턱 14 : 물 보관부
20 : 직화가열구 21 : 개구부
22 : 직화안내부 23 : 걸림턱
30 : 석쇠 31 : 테두리
32 : 철망 40 : 뚜껑
50 : 가열기구
본 고안은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하나로 필요에 따라 직화 냄비와 직화 구이판으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직화가열구를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냄비 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가 구비된 직화 구이판이나 냄비는 본체의 오목한 물 보관부에 물을 넣어 사용하면 가열기구에 얹어진 구이판이나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화기와 함께 증기가 발생하여 구이판이나 냄비 내부의 석쇠 위에 올려놓은 식재료 면에 골고루 가하여 단시간 내에 찜 및 구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이나 냄비 본체의 물 보관부에 물을 넣지 않고 사용하면 가열기구에 얹어진 구이판이나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화가 인입되어 구이판이나 냄비 내부의 석쇠 위에 올려놓은 식재료 면에 직접 열을 골고루 가하여 단시간 내에 구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직화 냄비는 식재료를 올려놓기 위한 석쇠가 냄비 본체 내부의 깊숙한 바닥면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생선이나 고기를 직화로 굽기 위한 석쇠 구이판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었고, 직화 구이판은 뚜껑이 없으므로 고구마 등의 식재료를 심층부까지 굽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소비자는 구이 조리를 하기 위해 식재료에 따라 직화 냄비와 직화 구이판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가 직화 구이판이나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닥면이 매끄럽지 않아 구이 조리를 하고 난 후 냄비 본체를 세척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냄비 하나로 필요에 따라 냄비 본체에 뚜껑을 덮어서 직화 냄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냄비 본체에서 뚜껑을 탈거시키면 직화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직화가열구를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냄비 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냄비 본체에 뚜껑이 결합된 내부에 석쇠를 내장하고,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 물 보관부와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에 있어서, 냄비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에 직화유입로를 상부로 관통되게 물 보관부의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하여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직화유입로의 상부측 출구에 다수개의 개구부를 상면에 볼록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걸림턱을 절곡 형성한 하부로 직화안내부를 연장 형성하여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직화가열구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냄비 본체의 상부 결합턱과 뚜껑의 저면 사이에는 금속재 테두리에 그물망 형태로 된 철망을 볼록하게 형성한 석쇠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냄비 본체(10) 내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냄비 본체(10)의 바닥면 둘레에 물 보관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냄비 본체(10)의 중앙부에는 가열기구(50)로부터 공급되는 직화를 유입시키기 위한 직화유입로(11)가 상부로 관통되게 물 보관부(14)의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화유입로(11)의 상부측 유출구에는 다수개의 개구부(21)를 상면에 볼록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걸림턱(23)을 절곡 형성한 하부로 직화안내부(22)를 연장 형성하여 냄비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한 직화가열구(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직화가열구(20)는 걸림턱(23)에 의해 직화유입로(11)의 상단면에 걸리게 되어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지지가 된다. 따라서, 직화가열구(20)를 냄비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때 들어올리기만 하면 냄비 본체(10)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냄비 본체(10)의 상단 테두리(12) 내측으로는 통상의 뚜껑(40)이 결합되는 결합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턱(13)에는 금속재 테두리(31)에 그물망 형태로 된 철망(32)을 볼록하게 형성한 석쇠(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턱(13)은 석쇠(30)의 다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석쇠(30)가 냄비 본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턱(13)은 석쇠(30)의 철망(32) 위에 식재료를 올려놓고 식재료를 구울 때나 찜을 할 때 냄비 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과 기름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냄비 본체(10)의 결합턱(13)에 설치된 석쇠(30) 위로는 굽거나 찜을 하고자 하는 식재료가 수용되도록 높이를 높게 형성한 뚜껑(40)이 복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냄비 본체(10)의 바닥면 둘레에 스테인리스나 황동 등의 금속재로 된 석쇠(10)의 철망(12) 위에서 고기나 생선 등이 구워지는 동안 열에 의해 튀어나온 기름이 연소되어 연기나 그을음이 나지 않도록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해 물을 담아 놓는 물보관부(14)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가열기구(50)로부터 인입되는 직화가 통할 수 있도록 직화가열구(20)의 상면에 다수개의 개구부(21)를 볼록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식재료를 조리시 위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물 보관부(14) 로 잘 흘러내리게 하면서 직화 구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통상의 직화 구이판이나 직화 냄비에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냄비 본체(10)의 상부측 바깥둘레면에 장착되는 냄비 손잡이이고, 41은 냄비 뚜껑(40)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뚜껑 손잡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직화 냄비로 사용할 때 구이를 하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냄비 본체(10)의 물 보관부(14)에 물을 넣지 않고 사용하게 되며, 뚜껑(40)을 열고 석쇠(30)의 철망(32) 위에 굽고자 하는 고구마 등의 식재료를 올려놓은 후 뚜껑(40)을 덮고 냄비 본체(10)의 밑에서 가열기구(50)에 의해 직화를 공급하게 되면 가열기구에서 공급되는 직화가 냄비 본체(10)의 직화유입로(11)와 직화가열구(20)의 직화안내부(22)를 거쳐 직화가열구(2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21)를 통해 냄비 본체(10)의 내부로 확산되면서 석쇠(30)의 철망(32) 위에 올려놓은 식재료 면에 열기을 골고루 가하여 단시간 내에 구이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냄비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을 통해 위쪽을 향하여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열기와 다수개의 개구부(21)를 통해 인입되어 석쇠(10)의 철망(12)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열기가 석쇠(30)의 철망(32) 위에 놓인 고구마 등의 식재료 면에 골고루 접촉하게 되어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구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직화 냄비로 찜을 하려면 냄비 본체(10)의 물 보관부(14)에 물을 담고 석쇠(30)의 철망(32) 위에 찜을 하고자 하는 만두, 호빵 등의 식재료를 올려놓은 후 뚜껑(40)을 덮고 냄비 본체(10)의 밑에서 가열기구(50)에 의해 직화를 공급 하게 되면 가열기구(50)에서 공급되는 직화는 냄비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물 보관부(14)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면서 식재료를 익게 하며 동시에 직화가열구(20)의 개구부(21)를 통해 냄비 본체(10)의 내부로 열기을 골고루 가하게 되어 내부 냄새를 억제하면서 단시간 내에 식재료가 익게 된다.
고기나 생선 등을 구울 때는 도 3에 나타낸 상태에서 뚜껑(40)을 탈거한 후 석쇠형태의 직화 구이판으로 사용하게 되며, 냄비 본체(10)의 밑에서 가열기구(50)에 의해 직화를 공급하게 되면 가열기구(50)에서 공급되는 직화는 냄비 본체(10)의 직화유입로(11)와 직화가열구(20)의 직화안내부(22)를 거쳐 직화가열구(20) 상면의 개구부(21)를 통해 냄비 본체(10)의 내부로 확산되면서 석쇠(30)의 철망(32) 위에 올려놓은 고기 등의 식재료 면에 열기을 골고루 가하여 단시간 내에 구이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냄비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을 통해 위쪽을 향하여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열기와 다수개의 개구부(21)를 통해 인입되어 석쇠(30)의 철망(32)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열기가 석쇠(30)의 철망(32) 위에 놓인 고기나 생선 등의 식재료 면에 골고루 접촉하게 되어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냄비 본체(10)의 오목한 물 보관부(14)에 물을 담아 놓으면 고기나 생선 등의 식재료를 구울 때 열에 의해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이 냄비 본체(10)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지만 물 보관부(14)의 물 위로 떨어지거나 직화가열구(20)에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21) 위로 떨어져 경사면을 따라 물 보관부(14)로 모여지기 때문에 기름이나 수분이 타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연기가 나지 않으며, 물 보관부(14)에 담긴 물이 가열되면서 증발된 스팀이 고기나 생선 등의 표면을 건조하지 않게 수분을 공급하므로 부드럽고 윤기 있는 구이의 맛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4에서 고기나 생선 등을 굽지 않은 상태로 석쇠(30)를 탈거시키면 냄비 본체(10)의 물 보관부(14)에 담긴 물이 가열되었을 때 얇게 썬 고기 등의 식재료를 가열된 물에 넣어서 익힐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냄비 하나로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냄비 하나로 필요에 따라 냄비 뚜껑을 덮으면 직화 냄비로 사용이 가능하고, 냄비 뚜껑을 탈거시키면 직화 구이판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가열기구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가 냄비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직화가열구에 형성되어 있어 냄비를 사용하고 난 후 냄비 본체로부터 직화가열구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이 가능하므로 냄비 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냄비 본체(10)에 뚜껑(40)이 결합된 내부에 석쇠를 내장하고, 냄비 본체(10)의 바닥면에 물 보관부(14)와 가열기구(50)로부터 직화를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21)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10)의 중앙부에는 직화유입로(11)를 상부로 관통되게 물 보관부(14)의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하여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직화유입로(11)의 상부측 유출구에는 다수개의 개구부(21)를 상면에 볼록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걸림턱(23)을 절곡 형성한 하부로 직화안내부(22)를 연장 형성하여 냄비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한 직화가열구(20)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냄비 본체(10)의 상부 결합턱(13)과 뚜껑(40)의 저면 사이에는 금속재 테두리(31)에 그물망 형태로 된 철망(32)을 볼록하게 형성한 석쇠(3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KR2020070006917U 2007-04-26 2007-04-26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KR200439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7U KR200439839Y1 (ko) 2007-04-26 2007-04-26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7U KR200439839Y1 (ko) 2007-04-26 2007-04-26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39Y1 true KR200439839Y1 (ko) 2008-05-08

Family

ID=4164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17U KR200439839Y1 (ko) 2007-04-26 2007-04-26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791B1 (ko) 에어프라이어, 오븐 등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용 실리콘 냄비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US3938495A (en) Grill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surface
KR200439839Y1 (ko) 직화 구이판 겸용 냄비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100913250B1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KR101813854B1 (ko) 직화구이기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KR20160093836A (ko) 고기가 눌어붙지 않는 석쇠
KR100721651B1 (ko) 다기능 구이기
JP3070130U (ja) 焼肉器等の調理機器用蓋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0439837Y1 (ko) 석쇠의 직화가열판 결합구조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JP3224257U (ja) 加熱調理器具の蓋体
KR200225766Y1 (ko) 고기구이팬의 기름배출 유도장치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100720380B1 (ko) 찜 구이기
KR20090080858A (ko)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