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302Y1 -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302Y1
KR200439302Y1 KR2020070011260U KR20070011260U KR200439302Y1 KR 200439302 Y1 KR200439302 Y1 KR 200439302Y1 KR 2020070011260 U KR2020070011260 U KR 2020070011260U KR 20070011260 U KR20070011260 U KR 20070011260U KR 200439302 Y1 KR200439302 Y1 KR 200439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ing
vehicle
fix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윤
금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논테크
Priority to KR2020070011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3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후방감시장치에 있어서, 후방부를 향해 경사진 전면 중앙에서 상면 후방부 사이에 원통형의 카메라 하우징이 삽입 설치되는 경사진 카메라 설치공이 형성되고, 수평상태를 갖는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 판 스프링의 탄성편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천공된 구멍에 고정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카메라 고정구와; 전면부가 개구되도록 사각 철판을 절단하여 양측면에 한 쌍의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차체의 구멍을 통해 끼워져 차체 내부로 돌출된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와 차체의 내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차체에 고정시켜 주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방 감시 카메라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 자체의 회동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불특정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이 변화됨으로 인한 후방감시 영역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후방 감시, 카메라, 카메라 고정구, 판 스프링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A fixed device for back watching carmera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후진 및 운행시 인명 및 각종 물체의 접촉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가 볼 수 없는 후방지역을 촬상하여 실내 룸미러 등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 주는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구를 판 스프링 하나로 매우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카메라가 회동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불특정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이 변화됨으로 인한 후방감시 영역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감시는 자동차의 좌,우측 및 내부의 백미러를 통하여 감시하고 있으나, 방향이 한정되어 이를 완벽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사각지역이 발생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에 초음파를 송신하여 반사되는 초음파의 수량으로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장애물 존재 유무만 판단하고 후방의 정확한 상황을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에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와 연결된 모니터를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을 감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자동차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대부분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과 스크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부의 번호판 상면부 등에 고정 설치하거나, 카메라 자체에 판형의 고정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크류로 고정, 또는 카메라 자체에 볼트를 일체로 형성시켜 번호판 상면부의 천정면 등에 구멍을 뚫고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을 통해 고정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들 중 스크류를 이용하여 브라켓 또는 고정구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감시용 카메라를 고정할 경우 고정작업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그 구성품이 많아 조립 및 제품의 생산비용 자체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부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고정하므로 도난의 우려가 있다.
또한, 카메라 자체에 볼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번호판 상면부의 천정면 등에 볼트가 삽입될 구멍을 뚫어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의 경우 좁은 공간에서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켜 고정하기 매우 힘이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 고정부에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약화되거나 외부에서 불특정인이 카메라를 강제로 회동시킬 경우 카메라의 초점이 변화됨으로 인한 후방감시 영 역변화로 후방 감시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후진 및 운행시 인명 및 각종 물체 등을 촬영하여 실내 룸미러 등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 주는 감시 카메라 고정구를 하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카메라 자체의 회동을 완벽히 방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불특정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이 변화됨으로 인한 후방감시 영역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는, 자동차의 후방부에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후진 중 자동차의 후방상황을 촬영하여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자동차의 후방감시장치에 있어서,
상면은 수평상태의 사각형태, 전면과 저면은 각각 후방부와 상방부로 경사진 사각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측면은 역삼각 형태를 갖게 됨은 물론 후방부를 향해 경사진 전면 중앙에서 상면 후방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카메라 하우징이 삽입 설치되는 경사진 카메라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 판 스프링의 탄성편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구비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카메라 고정구와;
전면부가 개구되도록 사각 철판을 절단하여 양측면에 한 쌍의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두 탄성편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편의 외측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손잡이 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차체의 구멍을 통해 끼워져 차체 내부로 돌출된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와 차체의 내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감시용 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된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차체에 고정시켜 주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편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에 형성된 걸림홈과 차체의 내면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자유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판 스프링 자체가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체에 천공되는 구멍 역시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와 구멍이 원기둥 및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부와 구멍의 일측부에 각각 회동 방지돌기와 회동 방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후진 및 운행시 인명 및 각종 물체 등을 촬영하여 실내 룸미러 등에 설치된 모 니터에 디스플레이해 주는 카메라 고정구에 걸림홈을 구비한 고정부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양측에 탄성편을 구비한 판 판스프링을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원통형으로 된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가 끼워지는 구멍의 주연부에 각각 회동 방지돌기 및 걸림홈을 형성하거나 고정부 및 구멍 자체를 사각기둥 및 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카메라 자체의 회동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불특정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이 변화됨으로 인한 후방감시 영역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카메라 고정구를 판 스프링으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카메라 고정구와 카메라 하우징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 장치는, 자동차의 후방부에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후진 중 자동차의 후방상황을 촬영하여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자동차의 후방감시장치에 있어서,
상면은 수평상태의 사각형태, 전면과 저면은 각각 후방부와 상방부로 경사진 사각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측면은 역삼각 형태를 갖게 됨은 물론 후방부를 향해 경사진 전면 중앙에서 상면 후방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카메라 하우징(1)이 삽입 설치되는 경사진 카메라 설치공(21)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 판 스프링(3)의 탄성편(31)이 걸려지는 걸림홈(23)을 구비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후방 차체(4)에 천공된 구멍(41)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카메라 고정구(2)와;
전면부가 개구되도록 사각 철판을 절단하여 양측면에 한 쌍의 탄성편(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두 탄성편(31)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편(32)의 외측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손잡이 편(33)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차체(4)의 구멍(41)을 통해 끼워져 차체 내부로 돌출된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와 차체(4)의 내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감시용 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된 상기 카메라 고정구(2)를 차체에 고정시켜 주는 판 스프링(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편(31)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걸림홈(23)과 차체(4)의 내면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311)와, 상기 탄성부(311)의 자유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판 스 프링(3) 자체가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3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체(4)에 천공되는 구멍(41) 역시 상기 고정부(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이 원기둥 및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의 일측부에는 각각 회동 방지돌기(24)와 회동 방지홈(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5와 26은 카메라 설치공(21)에 삽입 설치되는 카메라 하우징(1)을 카메라 고정구(2)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결합공과 이에 결합되는 스크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는 카메라 하우징(1)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채 자동차의 후방 차체(4)에 천공된 구멍(41)에 고정부(22)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구(2)와, 상기 차체(4)의 내부에서 카메라 고정구(2)와 차체(4)의 내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스프링(3)으로 구성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고정구(2)는 상면은 수평상태의 사각형태로 형성하고, 전면과 저면은 각각 후방부와 상방부를 향해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전면은 50-60도 사이, 후면은 30-40도 사이)로 경사진 사각형태를 가지며, 양 측면은 역 삼각 형태를 갖는 구성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후방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 상기 전면 중앙에서 상면 후방부 사이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1)이 원활히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 설치공(21)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는 자동차의 후방 차체(4)에 천공된 구멍(41)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부(2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22)의 양측면에는 판 스프링(3)의 탄성편(31)이 걸려질 수 있는 걸림홈(23)을 각각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에 있어서 카메라 설치공(21)의 경사각도는 카메라 자체가 자동차의 후방부에서 번호판(5)의 상부에 위치된 차체(4)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후방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촬영범위를 감안하여 설계하면 되는데, 각각의 차량 높이나 카메라 설치 위치 등을 감안하여 여러 각도로 형성하여 시험한 결과 30-40도 범위 내에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 및 차체(4)에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22)가 끼워지는 구멍(41)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원기둥 형상과 원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사각기둥과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을 사각기둥 및 사각형으로 형성한 경우 외부에서 어떠한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더라도 카메라 고정구(2) 가제가 회동되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없으나,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을 원기둥 및 원형으로 형성한 경우 비록 판 스프링(3)을 통해 상기 카메라 고정구(2)를 차체(4)에 고정 설치했다 할지라도 그 자체가 원형이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불특정인이 외부에서 카메라 고정구(2)를 강제로 회동시키면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을 도 1과 같이 원기둥 및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부(22)와 구멍(41)의 일측부에 각각 회동 방지돌기(24)와 회동 방지홈(42)을 더 형성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불특정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 및 촬영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방감시 영역변화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외부 형상은 본 고안의 도면으로 제시한 형상(즉, 상면은 수평상태의 사각형태, 전면과 저면은 각각 후방부와 상방부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사각형태, 양 측면은 역 삼각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직육방체 또는 원기둥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의 형상과 카메라 설치공(21)의 경사각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시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또, 상기 판 스프링(3)은 일정면적을 갖는 사각 철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전면부가 개구된 형태를 갖도록 제작함으로 인해 그의 양측면에 한 쌍의 탄성편(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두 탄성편(31)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 연결편(32)의 외측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판 스프링(3)의 분해 또는 조립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잡고 당기거나 밀어주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 편(33)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편(31)은 탄성부(311)와 걸림편(312)을 일체로 구비하도록 절곡 형성한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311)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23)과 차체(4)의 내면에서 구멍(41)의 외측 일부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여 카메라 고 정부(22)가 차체(4) 밀착 고정되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걸림편(312)은 탄성부(311)의 자유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에 상기 판 스프링(3)을 결합시켰을 때 고정부(22)의 전면 양측부에 걸려져 판 스프링(3) 자체가 카메라 고정구(2)의 고정부(22)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카메라 고정구(2)를 자동차의 후방부에 설치할 때 차체(4)에 천공된 구멍(41)을 통해 차체 내부로 돌출된 고정부(22)에 판 스프링(3)을 간단히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카메라 고정구(2) 자체를 차체에 고정 설치하거나 차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분해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고정구(2)가 판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매우 견고한 고정상태를 갖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카메라 고정구를 판 스프링으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카메라 고정구와 카메라 하우징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메라 하우징 2 : 카메라 고정구
3 : 판 스프링 4 : 차체
5 : 번호판 21 : 카메라 설치공
22 : 고정부 23 : 걸림홈
24 : 회동 방지돌기 25 : 스크류 결합공
26 : 스크류 31 : 탄성편
32 : 연결편 33 : 손잡이 편
41 : 구멍 42 : 회동 방지홈
311 : 탄성부 312 : 걸림편

Claims (5)

  1. 자동차의 후방감시장치에 있어서,
    후방부를 향해 경사진 전면 중앙에서 상면 후방부 사이에 원통형의 카메라 하우징이 삽입 설치되는 경사진 카메라 설치공이 형성되고, 수평상태를 갖는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 판 스프링의 탄성편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천공된 구멍에 고정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카메라 고정구와;
    전면부가 개구되도록 사각 철판을 절단하여 양측면에 한 쌍의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차체의 구멍을 통해 끼워져 차체 내부로 돌출된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와 차체의 내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차체에 고정시켜 주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편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과 차체의 내면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자유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판 스프링 자체가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두 탄성편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편의 외측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손잡이 편이 일체로 더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고정부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체에 천공되는 구멍 역시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구멍이 원기둥 및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부와 구멍의 일측부에 각각 회동 방지돌기와 회동 방지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KR2020070011260U 2007-07-09 2007-07-09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KR200439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260U KR200439302Y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260U KR200439302Y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302Y1 true KR200439302Y1 (ko) 2008-04-03

Family

ID=4164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260U KR200439302Y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3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365A (ko) 2015-04-14 2016-10-24 박진배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365A (ko) 2015-04-14 2016-10-24 박진배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5097B1 (en)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US8979288B2 (en) Snap fit connection in a rear view mirror
US8189045B2 (en) Surveillance camera
KR200391521Y1 (ko) 번호판 부착 타입의 차량 후방감시용 카메라장치
JP2001233121A (ja) 車両用灯具の支持構造
US20160114729A1 (en) Pivot Mechanism for a Vehicle External Rear View Mirror Assembly
JP2007261503A (ja) 車載カメラの取付ブラケット
KR200439302Y1 (ko)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JP2007062399A (ja) 自動車用ドア
JP2018103807A (ja) バックドアハンドル
WO2019095595A1 (zh) 用于车辆的摄像头及汽车
JP3349082B2 (ja) インナーミラーの回避構造
KR200430380Y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KR100868575B1 (ko) 차량 트렁크 손잡이 구조
KR100894484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US6666497B2 (en) Door hinge mounting structure
KR200430433Y1 (ko)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WO2021153027A1 (ja) 車両用カメラ装置
JP5546012B2 (ja) 車載用カメラ
JP2017061288A (ja) 車両用の後方カメラの取り付け構造
JP4490974B2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KR200434459Y1 (ko) 기울기 슬립이 방지되는 차량 후방 감시카메라의 장착구조
JP4516083B2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2598378B2 (ja) チェーン止め金具
KR102261847B1 (ko) 카메라와 레이더가 장착되는 일체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