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365A -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365A
KR20160122365A KR1020150052109A KR20150052109A KR20160122365A KR 20160122365 A KR20160122365 A KR 20160122365A KR 1020150052109 A KR1020150052109 A KR 1020150052109A KR 20150052109 A KR20150052109 A KR 20150052109A KR 20160122365 A KR20160122365 A KR 2016012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vehicle
grommet
rear camera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배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진배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배,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진배
Priority to KR102015005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365A/ko
Publication of KR2016012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카메라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상면 외부로 볼트가 돌출되는 카메라부;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볼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그로멧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결합의 호환성이 확보되어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볼트 결합은 물론 탄성 지지 방식의 결합까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REAR VIEW CAMARA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용 후방카메라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가니쉬(Rear Garnish)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구멍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가니쉬는 차체판에서 분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차체판에서 분리되지 않는 리어 가니쉬가 많아지고 있으며, 리어 가니쉬가 없는 차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는 경우, 작업 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볼트 타입 후방카메라(결합을 위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후방카메라)에 너트를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볼트(V)와 너트(N)로 결합되는 볼트 타입 후방카메라가 결합된 단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볼트(V)에 중공이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화면(내비게이션 등)에 연결되는 전선(W)이 관통 중공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 방식은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어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고,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지 않거나 리어 가니쉬가 없는 경우에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볼트 타입 후방카메라를 너트로 결합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볼트 타입의 결합이 아닌 핀 타입(탄성 지지 방식)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종래의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종래의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걸림홈(1a)을 구비하며 자동차 후방의 차체판(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구(1); 걸림홈(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카메라 고정구(1)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판 스프링(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볼트 타입의 결합이 아닌 핀 타입 결합으로 볼트 타입과 다른 방식의 결합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그 구조상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어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에만 이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지 않거나 리어 가니쉬가 없는 경우에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여전히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KR 20-0439302 Y1 (2008. 03. 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는 경우는 물론 리어 가니쉬가 차체판에서 분리되지 않거나 리어 가니쉬가 없는 경우에도 차량용 후방카메라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상면 외부로 볼트가 돌출되는 카메라부;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볼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그로멧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에도 호환되기 때문에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볼트 타입 결합은 물론 핀 타입(탄성 지지 방식)의 결합까지 가능해진다. 따라서 리어 가니쉬가 분리되어 작업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을 할 수 있고, 리어 가니쉬가 분리되지 않거나 리어 가니쉬가 없어 작업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핀 타입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트 타입 후방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볼트 타입 후방카메라가 설치된 단면도
도 3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가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설치 순서도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캡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의 결합과정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와 결합된 상태에서 자동차 후방의 차체판(B) 또는 리어 가니쉬(G)에 천공된 체결홀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8의 (G)는 기본적으로 리어 가니쉬를 가리키지만 리어 가니쉬가 없는 차량의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차체판(B)을 가리킨다. 또한 도 8의 리어 가니쉬(G)는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리어 가니쉬(G)가 분리되는 경우와 분리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상면(101) 외부로 볼트(102)가 돌출되는 카메라부(100); 볼트(102)가 삽입되는 중공(201)이 형성된 원통형 바디부(200); 및 바디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단이 볼트(102)의 상단에 고정되는 그로멧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볼트(102)에 중공이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화면(내비게이션 등)에 연결되는 전선(W)이 중공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면(101)과 그로멧부(300)의 하단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면(101)과 그로멧부(300)의 하단 사이에 리어 가니쉬(G)의 두께 또는 리어 가니쉬(G)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면(101)과 그로멧부(300)의 하단 사이에 리어 가니쉬(G)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면(101)과 그로멧부(300)의 하단 사이에 공간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면 그로멧부(300)에 가해지는 힘이 커져 그로멧부(3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살펴본다.
카메라부(100)는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서, 카메라부(100)의 상면(101)의 외부로 볼트(10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바디부(200)의 내부에 중공(201)이 형성되는데, 이 중공(201)으로 카메라부(100)의 상면(101)으로 돌출되는 볼트(102)가 삽입 관통한다. 이때 바디부(2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리어 가니쉬(G)에 천공되는 체결홀은 일반적으로 원형을 띠게 되는데, 후방카메라 설치시 바디부(200)가 체결홀을 관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디부(200)의 단면이 체결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단면)의 직경은 리어 가니쉬(G)에 천공되는 체결홀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부(200)의 높이가 볼트(102)의 높이보다 낮게(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바디부(200)의 높이가 볼트(10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야만 바디부(200)의 상부로 볼트(102)의 상단이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된 볼트(102)의 상단에 그로멧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은 볼트(102)에 대응된 나사선이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바디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01)의 표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중공(201)의 표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면 볼트(102)와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발생하나 이는 바디부(200)와 볼트(102)의 결합 과정이 불편해지는 점을 동반한다. 즉, 바디부(200)와 볼트(102) 결합에서 그 결합력과 결합 과정의 용이성(편리성)이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디부(200)와 볼트(102)가 강하게 결합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는 중공(201)의 표면을 따라 나사선을 형성시킬 수 있고, 결합의 용이성을 원하는 경우에는 나사선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로멧부(300)는 바디부(200)의 상부에서 볼트(102)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리어 가니쉬(G)에 천공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바디부(200)를 지지함으로써 바디부(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그로멧부(300)는 체결캡(310); 및 그로멧(3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캡(310)은 볼트(102)의 상단에 체결되고, 그로멧(320)은 바디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헤드(321); 및 헤드(321)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는 걸림지지핀(322)으로 이루어져 바디부(200)를 지지함으로써 바디부(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로멧부(300)는 도 7에서와 같이 체결캡(310)과 그로멧(320)으로 분리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체결캡(310)과 그로멧(32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캡(31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로멧(3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바디부(200) 위로 노출된 볼트(102)의 상단에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캡(310)이 체결됨으로 바디부(200)와 그로멧(32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캡(31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됨으로써 볼트(102)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체결캡(310)은 이러한 링 형상이 아닌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ㄷ'자의 개방된 부분이 볼트(10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그로멧(320)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부(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헤드(321); 및 헤드(3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지지핀(322)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로멧(320)이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그로멧부(300)가 바디부(200)를 견고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해 걸림지지핀(322)은 헤드(32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될 때 바디부(200)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지지핀(322)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로 구성되어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지지핀(322)의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지지핀(322)이 위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가 원터치 방식으로 리어 가니쉬(G)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를 살펴보면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가 리어 가니쉬(G)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할 때, 걸림지지핀(322)은 약간 펴지게 되고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이 완료되면 걸림지지핀(322)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귀하여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가 상기 체결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걸림지지핀(322)의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호(弧) 형상으로 휘어지거나, 'W'자 형상으로 여러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지지핀(322)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된 상태에서 말단이 체결홀에 살짝 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지지핀(322)의 말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홀의 상부에서 더 넓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면, 후방카메라를 리어 가니쉬(G)로부터 분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즉, 후방카메라가 체결된 상태에서 걸림지지핀(322)의 말단이 체결홀에 걸쳐서 형성되면 후방카메라를 착탈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처럼 바디부(200)와 그로멧부(300)는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 바디부(200)와 그로멧부(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캡의 사시도인데, 도 9에는 체결캡(31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체결캡(31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캡(310)의 상면에는 단면이 'V'자 형상인 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 설치시 체결캡(310)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체결캡(310)을 회전시켜 볼트(102)에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볼트(102)는 바디부(200)의 위로 일부만이 노출되기 때문에 사람이 충분한 힘을 가해 볼트(102)에 결합시키지 못할 수 있고, 리어 가니쉬(G)에 체결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체결캡(310)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유지 보수 목적의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체결캡(310)의 상면에는 단면이 'V'자 형상인 홈(311)이 형성된다면 송곳과 같은 도구의 말단이 홈(311)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체결캡(3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캡(310)의 하면에는 상기 홈(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312)는 홈(311)을 형성하는 과정(프레스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로멧부(300)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캡(310)과 그로멧(3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때, 그로멧(320)의 헤드(321)가 바디부(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디부(200)의 상부 전체를 덮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나, 헤드(321)가 바디부(200)의 상면 전체를 덮지 않기 때문에 헤드(321)와 바디부(200)의 상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공간에 의해 헤드(321)와 바디부(200)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이 부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로멧(320)이 수평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체결캡(310)의 결합력을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돌기(312)가 형성됨으로써 돌기(312)가 바디부(200)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고, 이로써 헤드(321)와 바디부(200)의 상면 사이의 부족한 마찰력을 보강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체결캡(310)과 그로멧(32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마찰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패드는 일반적인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에도 호환되기 때문에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볼트 타입 결합은 물론 원 터치 방식(핀 타입)의 결합까지 가능해진다. 따라서 리어 가니쉬가 분리되어 작업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을 할 수 있고, 리어 가니쉬가 분리되지 않거나 리어 가니쉬가 없어 작업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원 터치 방식의 핀 타입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는 결합의 호환성이 확보되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를 어떤 차량의 경우에도 적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카메라의 제작업자 입장에서는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와 핀 타입의 후방카메라를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만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후방카메라를 공급받아 설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치업자 입장에서는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와 핀 타입의 후방카메라를 모두 구매할 필요 없이 볼트 타입의 후방카메라만 구매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100: 카메라부 101: 상면
102: 볼트 200: 바디부
201: 중공 300: 그로멧부
310: 체결캡 311: 홈
312: 돌기 320: 그로멧
321: 헤드 322: 걸림지지핀

Claims (4)

  1. 상면(101) 외부로 볼트(102)가 돌출되는 카메라부(100);
    상기 볼트(102)가 삽입되는 중공(201)이 형성된 원통형 바디부(200) 및
    상기 바디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볼트(102)의 상단에 고정되는 그로멧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부(300)는 체결캡(310)과 그로멧(3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체결캡(310)은 상기 볼트(102)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그로멧(320)은 상기 바디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헤드(321); 및 상기 헤드(321)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는 걸림지지핀(322)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핀(322)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걸림지지핀(322) 각각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핀(322)의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KR1020150052109A 2015-04-14 2015-04-14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KR20160122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09A KR20160122365A (ko) 2015-04-14 2015-04-14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09A KR20160122365A (ko) 2015-04-14 2015-04-14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65A true KR20160122365A (ko) 2016-10-24

Family

ID=5725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109A KR20160122365A (ko) 2015-04-14 2015-04-14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3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302Y1 (ko) 2007-07-09 2008-04-03 주식회사 세논테크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302Y1 (ko) 2007-07-09 2008-04-03 주식회사 세논테크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4743B1 (en) A fastener stud for a snap-on mounting attachment
US9150165B1 (en) Vehicle camera assembly
US9340158B2 (en) Outer mirror
CN103841869B (zh) 安装系统
KR102406128B1 (ko) 차량용 체결 클립 및 그 장착 방법
AU2010279851B2 (en) Separable lane-control bollard assembly
US9126556B2 (en) Air-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CN106660481B (zh) 机动车辆照明设备的装配组件
EP3054177A1 (en) Stud locking tool
KR20160122365A (ko) 차량용 후방카메라 조립체
CN110873106A (zh) 车门
JP2003301426A (ja) 道路標識柱
KR101705173B1 (ko) 차량용 후방카메라의 장착구조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JP6508962B2 (ja) 樹脂板へのボルトの締結構造
KR101028027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JP6939454B2 (ja) エンジン搭載構造
KR102673379B1 (ko) 벌브 홀더 브라켓
KR200484562Y1 (ko)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KR20190054291A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와이어링을 장착하는 구조
JP6763042B2 (ja) ルーフレール、およびルーフレールの取り付け方法
KR101172197B1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지지용 트림의 장착구조
KR101684983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의 마운팅 장치
JP6113804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1744905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