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13Y1 - 입석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입석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13Y1
KR200438513Y1 KR2020060028538U KR20060028538U KR200438513Y1 KR 200438513 Y1 KR200438513 Y1 KR 200438513Y1 KR 2020060028538 U KR2020060028538 U KR 2020060028538U KR 20060028538 U KR20060028538 U KR 20060028538U KR 200438513 Y1 KR200438513 Y1 KR 200438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il spring
connecting rod
pin
low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규
Original Assignee
장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규 filed Critical 장복규
Priority to KR2020060028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중 운송차량의 입석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 천정부에 설치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정간격마다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구로 된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구에 대하여 수직공간방향으로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손잡이에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관과; 상기 코일스프링관 속에서 손잡이와 하부 고정구 사이로 삽입되는 띠형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가 하부 고정구 및 손잡이로 부터 이탈하지 않게 삽입하는 핀과, 상기 핀의 양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에 삽입하는 로울러로 이루어져 손잡이를 비틀거나, 급작스럽게 당길 때 연결대에 무리한 외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마모를 최대한 감소시키고, 하부 고정구의 통공에서 구름회전을 이루어 손잡이의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한다.
입석승객, 손잡이, 코일스프링, 핀 , 걸림턱, 로울러

Description

입석 승객용 손잡이{hand grip for subway}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본 고안에 대한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대한 손잡이부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중 연결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대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손잡이 110 : 고정부 120 :연결부
121 : 연결대 123 : 연질튜브 125 : 코일스프링관
130 : 손잡이대 131 : 통공 135 : 안착홀
150 : 핀 155 : 로울러 153, 157 : E링
본 고안은 전동차, 열차 및 버스와 같은 운송수단에서 서(입석) 있는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실내에 설치하는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 열차, 버스와 같은 운송수단에는 승객을 앉아있도록 하는 좌석 외에 도 서있는 상태로 이동하는 승객을 위하여 손잡이를 실내의 공간에 마련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승객용 손잡이는 차량의 실내 상부공간을 길게 지르는 지지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제공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승객들이 안정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한 손잡이를 형성한 손잡이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지지봉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입석상태의 승객들이 손을 들어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손잡이를 잡은 승객들은 버스, 또는 전동차의 운행중에 도로의 여건으로 발생되는 흔들림이나, 급출발 혹은 급제동 시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었다.
이처럼 입석상태의 승객들이 이동중에 발생되는 진동과, 급작스런 속도변화에 따른 쏠림현상에 의해 손잡이를 강한 힘으로 당기게 되므로 하부 고정구와 손잡이와 연결대의 고정부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동중 시간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하여 손잡이를 좌우방향으로 돌려 연결대에 비틀림력과, 구부림력을 가하는 경우가 다반사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입석승객들이 손잡이에 다양하게 외력을 가하게 되므로 손잡이는 고정부와 손잡이를 이어주는 연결대에 파손이 발생함과 동시에 절단현상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파지부(1')의 중앙이 볼록한 삼각형의 손잡이(1)를 비닐 튜우브(14)내에 끼워진 로우프(3)로 연결하고, 그 상단 에는 반원형 장착홈(6)(10)을 갖는 상,하부 고정구(7)(11)가 체결되어 형성된 통상의 손잡이에 있어서, 로우프(3)의 외주연에 코일스프링(17)을 삽입하고, 그 상,하단부에는 손잡이(1)의 상단 요홈(15)과 하부 장착구(7)의 하부 요홈(16)에 삽입 고정하여 된 차량 입석승객용 손잡이가 제안되어 실용신안등록 제32489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에서는 당겨지고, 구부러지고, 절곡되는 로우프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하여서 제품의 외관을 보호하고, 코일스프링의 기계적 성질에 의해 연결대의 위치 복원성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흔들림에도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유동되지 않아 손잡이가 차량에 부딪치거나, 승객을 건드리지 않는 상태로 되었다.
그러나, 선등록 구성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17)속에 비닐 튜우브(4)가 씌워진 로우프(3)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을 손잡이(1)의 상단 요홈(15)에, 타측을 장착구(7)의 하부 요홈(16)에 삽입하여 핀(9)으로 결합시킨 상태로 있으므로 지지봉(18)에서 손잡이(1)의 회전과, 구부러짐은 자유로우나, 핀(9)이 손잡이(1) 및 로우프(3)와 함께 회전할 때 장착구(7)의 하단 요홈(16) 혹은 손잡이(1)의 상단 요홈(15)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이 부분에서 당김 상태에 의해 마찰도가 높아 소음과, 스크레치(scratch)의한 칩(chip)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일스프링(17)은 신축 여유 없이 감긴 구조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서, 승객의 무리한 꺾음 동작시에는 신축 여유 구조가 없는 관계로 코일스프링의 외관이 변형되는 염려가 있으며, 코일스프링(17)의 일단이 손잡이(1)의 상단 요홈(15)에서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승객용 손잡이에 휨과, 꺾임동작에 대한 복원력이 향상되며, 조립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며, 손잡이 회전시 스크레치에 의한 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차의 실내 천정에 설치하는 지지바에 설치고정하는 상,하부 고정구로 된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구에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손잡이에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관과 연결대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삼각형상테이며 상단이 코일스프링관에 연결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구와 손잡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삽입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삽입하는 핀과, 상기 핀에 형성하는 결림턱과, 상기 핀에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게 E링으로 고정되는 로울러의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고정구와 손잡이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로울러와 접촉되는 제1와셔는 금속재이고, 제2와셔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손잡이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동차의 실내 천정에 설치하는 지지대(90)에 설치고정하는 상,하부 고정구(113)(115)로 된 고정부(110)와; 상기 하부 고정구(115)에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손잡이(100)에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관(125)과 연결대(121)로 이루어진 연결부(120)와; 삼각형상 테이며 상단이 코일스프링관(125)에 연결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구(115)와 손잡이(100)에 형성된 통공(131)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대(121)와, 상기 연결대(121)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삽입되며 양단에 걸림턱(152)이 형성되는 핀(150)과, 상기 핀(150)에 순차 설치되는 E링(153)과, 로울러(155)와, E링(157)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이송운송장치 즉, 버스, 전동차의 실내 천정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대(9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대(90)에는 입석승객들이 안전한 상태로 목적지까지 가는 동안 손으로 잡고 서 있도록 하는 손잡이(100)가 여러개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100)는 지지대(90)에 설치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설치되는 연결부(120);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하는 손잡이대(130)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정부(110)는 상부 고정구(113)와, 하부 고정구(115)로 구분되고, 이들의 상부 및 하부 고정구(113)(115)에는 지지대(90)의 외면을 감싸을 수 있는 반원형 조합홈(114)(116)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고정구(113)의 양쪽 즉, 조합홈(114)의 양측에는 체결요소홈(114a)을 형성하며 하부 고정구(115)에는 상기 체결요소홈과 일치하는 위치에 나사홀(116a)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고정구(115) 중앙에는 유기적 조립을 위한 통공(117)을 형성하되 통공(117) 내부에 안착홀(118)을 형성한다. 따라서 통공(117) 내부에는 안착홀(118)에 의하여 단턱면(119)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금속와이어 소재로 되어 손잡이대(130)와 고정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대(121)와, 연결대(121)에 씌워지는 연질튜브(123) 및 외관적인 장식과 함께 손잡이(100)의 유동을 진정시키는 코일스프링관(125)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연결대(121)에 연질튜브(123)가 씌워진 상태에서는 연질튜브(123)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연결대(121)의 양단이 연질튜브(123)에서 노출된 상태를 이루고, 이러한 연결대(121)를 코일스프링관(125)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대(121)의 양 단은 코일스프링관(125)의 양단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손잡이(100)를 구성하는 손잡이대(130)는 삼각테형상을 이루고 중앙 상부에 유기적 조립을 위한 통공(131)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131) 입구에는 코일스프링관(125)을 위한 원호형 반원홈(133)을 형성하고, 통공(131)의 하측에는 단턱면(137)을 갖는 안착홀(135)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관(125)의 구성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측과 하측부위를 밀착된 상태(T)로 감아 형성하고 중간부위에는 수축여유 간격(L)를 갖도록 감아 형성하며, 하측부위는 손잡이대(130)의 통공(131)에 깊이 삽입되도록 깔대기 형의 삽입부(127)으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대(121)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핀(150)에는 걸림턱(152)을 양단에 형성하고, 핀(150)의 걸림턱(152)위치에는 E링(153)과 로울러(155) 및 E링(157)을 삽입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0은 금속제 제1와셔, 190은 수지제 제2와셔이고, 193은 손잡이대의 통공 마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로우프 제조용 사(絲)를 꼬아서 된 연결대(121)를 연질튜브(123)에 삽입하여 양단이 연질튜브(123)의 양단으로 돌출되게 한상태에서 연결대(121)일측을 코일스프링관(125) 내경으로 삽입한다.
상기 연결대(121)가 삽입된 코일스프링관(125)의 경사진 삽입부(127)를 손잡이대(130)의 통공(131)으로 삽입하면 삽입부(127)의 경사부는 통공(131)의 원호형 안착홈(133)에 얹혀짐과 동시에 연결대(121)는 통공(131)의 안착홀(135)위치에 도 달된다.
상기 안착홀(135)에서는 연결대(121)에 수지제로 된 제2와셔(190)를 먼저 삽입한 뒤, 금속제로 된 제1와셔(170)을 삽입한 다음, 연결대(121) 선단에 핀(150)을 삽입하여 핀(150)이 제1와셔(170)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하고, 핀(150)의 양단으로 E링(152)과 로울러(155) 및 E링(157)을 삽입시켜 핀(150)에 로울러(155)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핀(150)에 로울러(150)를 설치하게 되면 연결대(121)는 로울러(155)에 걸려서 이탈하지 않게 되고, 로울러(150)는 안착홀(135)에 삽입된 금속제의 제1와셔(170)와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안착홀(135)과 연결된 손잡이대(130)의 통공(131)에 마개(139)를 씌우면 핀(150)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양단에 로울러(155)가 설치되어 있어 핀(150)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연결대(121)가 삽입된 코일스프링관(125)의 상단을 고정부(110)에 연결하는 데, 먼저 고정부(110)를 체결하고 있는 통상의 나사 또는 볼트를 풀러내어 상부 고정구(113)와 하부 고정구(115)를 분리시킨 다음, 분리된 하부 고정구(115)의 통공(117) 저면으로 코일스프링관(125)의 상단을 삽입한다.
상기 코일스프링관(125)은 통공(117)에 구비된 안착홀(118)의 단턱면(119) 저면에 맞닿는 상태가 되고, 연결대(121)의 선단은 통공(117)을 통해 안착홀(118)로 삽입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통공(117)을 통해 안착홀(118)로 삽입된 연결대(121)에 제2와셔(190)와 제1와셔(17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서 연결대(121)의 선단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핀(150)을 삽입한 다음, 핀(150)의 양단으로 E링(152)과 로울러(155) 및 E링(157)을 삽입하여 로울러(155)가 제1와셔(170)에 접촉되게 하므로 연결대(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과 함께 연결부(120)가 고정부(110)와 손잡이(100)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100)는 하부 고정구(115)의 조합홈(116)을 지지대(90)저면으로 접촉시키고, 지지대(90) 상부에는 상부 고정구(113)를 위치시키면서 체결요소홈(114a)와 나사홀(116a)이 일치하도록 맞추고 통상의 체결요소(볼트)를 체결요소홈(114a)으로 삽입하여 나사홀(116a)에 체결되도록 하면 상,하부 고정구(113)(115)의 조합홈(114)(116)은 오므라 들면서 지지대(90)의 외주면을 볼트의 체결력으로 밀착고정되는 상태가 되어 입석승객용 손잡이(100)가 지지대(9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100) 설치상태에서 연결부(120)는 그 중간에 수축할 수 있는 간격(L)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들이 손잡이(100)의 연결부(120)를 심하게 구부 릴 때 코일스프링관(125)에 형성된 수축여유 간격(L)으로 인하여 구부림각도를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구부림력이 제거되면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처음 형태로 복귀하면서 그 형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사용자들이 느끼는 시각적인 불편함이 제거된다. 또한, 사용자들이 손잡이대(130)를 잡아당기는 상태에서 손잡이대(130)를 좌, 우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대(121)의 핀(150)에 삽입된 로울러(155)는 금속제인 제1와셔(170)의 표면과 구름접촉을 일으키면서 회전하게 되는 데, 로울러의 구름접촉에 의한 회전으로 칩(Chip)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대(1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연결대(121)는 꼬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핀(150)의 양단에 설치되는 로울러(155)는 핀(150)의 직경보다 커서 자연적 핀(150)에 걸린 연결대(121)의 상면이 지지대(90)에 접촉되지 않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연결대(121)의 상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관(125)의 경사진 삽입부(127)는 손잡이대(130)의 통공(131)으로 깊이 삽입될 수 있어서, 코일스프링관(125)을 심하게 구부려도 손잡이대(130)의 통공에서 코일스프링관(125)의 끝단이 노출되지 않아 안정된 제품의 조립성이 유지된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입석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실내의 천정을 가로지르는 지지대에 설치된 손잡이에서 연결대를 심하게 구부려도 수축 여유에 의하여 코일스프링관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손잡이대와 연결대 사이를 연결하는 핀의 로울러는 금속제로 된 제1와셔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스크레치 및 칩이 발생하지 않아 조립상태에 대한 안정도가 향상되며, 사용자들의 강제적인 힘을 가하는 사용 예에도 변형되지 않아 제품의 외관이 수려한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동차의 실내 천정에 설치하는 지지대(90)에 설치고정하는 상,하부 고정구(113)(115)로 된 고정부(110)와; 상기 하부 고정구(115)에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손잡이(100)에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관(125)과 연결대(121)로 이루어진 연결부(120)와; 삼각형상 테이며 상단이 코일스프링관(125)에 연결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구(115)와 손잡이(100)에 형성된 통공(131)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대(121)와, 상기 연결대(121)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삽입되며 양단에 걸림턱(152)이 형성되는 핀(150)과, 상기 핀(150)에 순차 설치되는 E링(153)과, 로울러(155)와, E링(157)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승객용 손잡이.
  2. 삭제
KR2020060028538U 2006-10-27 2006-10-27 입석 승객용 손잡이 KR200438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38U KR200438513Y1 (ko) 2006-10-27 2006-10-27 입석 승객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38U KR200438513Y1 (ko) 2006-10-27 2006-10-27 입석 승객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13Y1 true KR200438513Y1 (ko) 2008-02-20

Family

ID=4134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538U KR200438513Y1 (ko) 2006-10-27 2006-10-27 입석 승객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6030A (zh) * 2012-09-23 2012-12-19 冯静 可变化成刚性的公交车拉环及其使用方法
KR20160046280A (ko)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1740972B1 (ko) * 2015-08-26 2017-05-29 주식회사 코하마 차량용 손잡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6030A (zh) * 2012-09-23 2012-12-19 冯静 可变化成刚性的公交车拉环及其使用方法
CN102826030B (zh) * 2012-09-23 2015-12-16 冯静 可变化成刚性的公交车拉环及其使用方法
KR20160046280A (ko)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1708336B1 (ko) 2015-05-12 2017-02-21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1740972B1 (ko) * 2015-08-26 2017-05-29 주식회사 코하마 차량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13Y1 (ko) 입석 승객용 손잡이
KR20070014499A (ko) 버스 승객용 손잡이
US6473953B1 (en) Wire gripper and method of installing decorative wire strings
KR20048824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N207311467U (zh) 拉手组件及轨道车辆
CN206814231U (zh) 一种抗冲击的电梯扶手
KR10092335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CN202219740U (zh) 儿童安全座椅及其角度调节机构
KR20100095076A (ko) 대중교통수단의 손잡이
KR200357880Y1 (ko) 차량용 입석 손잡이
JP2011056977A (ja) 乗物用握り棒
CN216709122U (zh) 一种公交车用扶手及公交车
KR100376472B1 (ko) 버스용 손잡이 장착구조
KR200436435Y1 (ko) 입석 승객용 손잡이
CN205468689U (zh) 一种公交车座椅扶手
CN205737936U (zh) 一种平行于把手管转动的车用刹把
CN221049557U (zh) 一种车用拉手结构及车辆
KR100377144B1 (ko) 차량용 손잡이
JPS61196834A (ja) 安全補助用マイハンド
KR200284194Y1 (ko) 차량 승객용 손잡이 구조
CN209637464U (zh) 一种新型汽车后备箱弹簧
KR100642492B1 (ko) 운송차량용 손잡이
CN208947167U (zh) 一种公交车用缓冲扶手
JPH11321422A (ja) 乗物用吊り具
KR19990030959U (ko) 차량용 천정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