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351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351B1
KR100923351B1 KR1020080005052A KR20080005052A KR100923351B1 KR 100923351 B1 KR100923351 B1 KR 100923351B1 KR 1020080005052 A KR1020080005052 A KR 1020080005052A KR 20080005052 A KR20080005052 A KR 20080005052A KR 100923351 B1 KR100923351 B1 KR 100923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sitioning
height
b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091A (ko
Inventor
차관봉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8000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3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고정바에 걸려고정되는 제1연결벨트로서 고정되면서 높이방향에 서 순차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위치결정브래킷; 및,
상기 위치결정브래킷에 제2연결벨트로서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손잡이 높이가 조절가능토록 됨으로써 청소년과 성인들이 각자의 높이에 적합하게 손잡이를 조절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손잡이, 위치결정브리킷, 위치결정턱, 가이드홀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a grip the regulation of height}
본 발명은, 고정바에 걸려고정되는 제1연결벨트로서 고정되면서 높이방향에 서 순차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위치결정브래킷 및 상기 위치결정브래킷에 제2연결벨트로서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져 손잡이의 높이가 조절가능토록 됨으로써 청소년과 성인들이 각자의 높이에 적합하게 손잡이를 조절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차량 또는 도시철도차량과 같은 전철 차량 및 버스차량 등에는 승객이 자신의 신체를 차량의 주행진동과 급출발 및 급정거 등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천정측에 입석 승객용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승객용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천정에 고정지지된 고정바(1)에 일단이 고정지지되는 연결벨트(3)와, 상기 연결벨트(3)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링형상의 손잡이부(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5)는 연결벨트의 정렬을 위한 브래킷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승객용 손잡이(2)는 일반적으로 손잡이부(4)의 높이가 성 인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이나 노약자 또는 어린이 등은 상기 손잡이(2)를 사용할 수 없어 차량의 급선회와 급출발 및 급정거시 넘어져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철이나 버스의 실내에 상기한 손잡이 외에도 차량의 출입문 주위에 수직바를 설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수직바가 승객의 안전에는 도움을 주지만, 출입문 주위에 설치된 수직바 주위로 승객들이 몰려 승하차시 매우 혼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되고, 손잡이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을 흡수토록 하며, 손잡이가 자동복원토록 되어 항상 정위치에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 높이가 조절가능토록 됨으로써 청소년과 성인들이 각자의 높이에 적합하게 손잡이를 조절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바에 걸려고정되는 제1연결벨트로서 고정되면서 높이방향에서 순차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위치결정브래킷; 및,
상기 위치결정브래킷에 제2연결벨트로서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결정브래킷의 가이드홀 최상부에 손잡이의 가이드바에 연결되는 권취유니트가 더 연결되어 손잡이의 미사용시 일정위치에 복원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되고, 손잡이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을 흡수토록 하며, 손잡이가 자동복원토록 되어 항상 정위치에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 높이가 조절가능토록 됨으로써 청소년과 성인들이 각자의 높이에 적합하게 손잡이를 조절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다.
본원발명은, 위치결정브래킷(100)과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에 연결되는 손잡이(3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자동차등의 고정바(110)에 걸려고정되는 제1연결벨트(130)로서 고정되면서 높이방향에 서 순차로 위치결정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몸체(140)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175)을 구비하는 가이드홀(170)이 일체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홀(175)은, 가이드홀(170)을 따라 각각 형성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일수직선상에 그 중심이 위치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홀(175)의 최상부와 동일선상의 상부에 위치토록 몸체(140)의 내측에 스프링(153)과 권취휠(155)이 회전축(151)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권취유니트(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의 위치결정홀(175)에서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걸림바(310)에 제2연결벨트(330)로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바(310)는 그 양단에 지지판(315)이 각각 연결되어 위치결정홀(17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벨트(330)의 일측에는 걸림바(310)와 손잡이(300)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토록 상호 대응되는 제1,2지지판(353)(355)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357)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유니트(350)가 더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원발명은 자동차등에 설치되는 고정바(110)에 제1연결벨트(130)를 통하여 위치결정브래킷(100)을 연결한 후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에 손잡이(300)를 제2연결벨트(330)로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위치결정브래킷(100)에 의해 손잡이의 높이가 결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몸체(140)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175)을 구비하는 가이드홀(170)이 일체로 관통형성되어 그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되는 걸림바(310)를 통하여 연결되는 손잡이(300)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위치결정홀(175)에 손잡 이(300)를 연결하는 걸림바(310)가 위치할 경우 손잡이가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여 청소년 및 어린이 등이 손잡이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175)은, 가이드홀(170)을 따라 각각 형성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일수직선상에 그 중심이 위치토록 되어 위치결정브래킷(100)이 고정바(110)에 연결될 때 작용하는 편심현상을 최소화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벨트(330)의 일측에는 걸림바(310)와 손잡이(300)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토록 상호 대응되는 제1,2지지판(353)(355)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357)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유니트(350)가 더 연결되어 손잡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신장이 가능토록 되어 어린이등의 사용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홀(175)의 최상부와 동일선상의 상부에 위치토록 몸체(140)의 내측에 스프링(153)과 권취휠(155)이 회전축(151)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권취유니트(150)가 더 구비되어 손잡이(300)의 미 사용시 손잡이(300)를 지지하는 걸림바(310)를 항상 최상의 위치로 당겨 위치결정함으로써 손잡이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바(310)는 그 양단에 지지판(315)이 각각 연결되어 위치결정홀(17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는 수직방향의 높이조절은 물론 일정길이로 신장이 가능토록 되어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 모두가 손잡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위치결정브래킷 110...고정바
153...스프링 155...권취휠
175...위치결정홀 300...손잡이
310...걸림바

Claims (6)

  1.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위치결정브래킷(100)을 통하여 손잡이(300)가 고정바(110)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몸체(140)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175)을 구비하는 가이드홀(170)이 일체로 관통형성되어 손잡이(300)에 연결되는 걸림바(310)가 그 높이방향에 순차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위치결정홀(175)은, 가이드홀(170)을 따라 각각 형성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일수직선상에 그 중심이 위치토록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상기 위치결정홀(175)의 최상부와 동일선상의 상부에 위치토록 몸체(140)의 내측에 스프링(153)과 권취휠(155)이 회전축(151)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권취유니트(150)가 구비되어 걸림바(3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지하철의 고정바(110)에 걸려고정되는 제1연결벨트(130)로서 고정되고, 걸림바(310)에 제2연결벨트(330)로서 손잡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310)는 그 양단에 지지판(315)이 각각 연결되어 위치결정홀(17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브래킷(100)은, 상기 걸림바(310)와 손잡이(300)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토록 상호 대응되는 제1,2지지판(353)(355)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357)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유니트(35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1020080005052A 2008-01-16 2008-01-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100923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052A KR100923351B1 (ko) 2008-01-16 2008-01-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052A KR100923351B1 (ko) 2008-01-16 2008-01-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91A KR20090079091A (ko) 2009-07-21
KR100923351B1 true KR100923351B1 (ko) 2009-10-22

Family

ID=4133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052A KR100923351B1 (ko) 2008-01-16 2008-01-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74B1 (ko) * 2013-10-22 2014-10-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높이 조절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4089A (zh) * 2013-04-17 2013-07-17 吉林大学 一种小幅度摆动且高度可调的公交拉手
CN114228766B (zh) * 2021-12-25 2023-11-28 镇江市星翌交通设备配件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地铁扶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33Y1 (ko) * 1990-08-24 1992-06-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KR0136692Y1 (ko) * 1995-12-11 1999-06-01 전성원 버스 손잡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20045109A (ko) * 2000-12-07 2002-06-19 이계안 차량용 손잡이
KR200436186Y1 (ko) * 2007-02-08 2007-06-29 김예진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대중교통수단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33Y1 (ko) * 1990-08-24 1992-06-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KR0136692Y1 (ko) * 1995-12-11 1999-06-01 전성원 버스 손잡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20045109A (ko) * 2000-12-07 2002-06-19 이계안 차량용 손잡이
KR200436186Y1 (ko) * 2007-02-08 2007-06-29 김예진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대중교통수단용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74B1 (ko) * 2013-10-22 2014-10-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높이 조절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91A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11794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KR10092335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MXPA02003717A (es) Estructura de suejecion y soporte para pasajeros de vehiculos de transporte publico.
ES2382587T3 (es) Pasarela de un paso que comprende un fuelle entre dos partes de vehículo, por ejemplo de un tranvía, conectadas de manera articulada
US5165719A (en) Shoulder belt positional adjustment device for a seatbelt
ES2221821T3 (es) Par de rieles para asiento de vehiculo.
RO133040B1 (ro) Dispozitiv de protecţie pentru copii, ergonomic şi reglabil, ataşabil la un scaun de autoturism
CN103612576A (zh) 一种儿童安全座椅
KR100756957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 버클 고정구조
JP2006151637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US20210038448A1 (en) Wheelchair carrying vehicle
KR10103538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200284194Y1 (ko) 차량 승객용 손잡이 구조
CN207644220U (zh) 一种车厢滑动式婴儿摇篮装置
JP6590966B2 (ja) 軌条車両の可動式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軌条車両
KR200484586Y1 (ko) 차량용 높이조절 이중 손잡이
EP0159555A1 (en) Annular bumper on a vehicle, in particular amusement park vehicles such as dodgem cars
CN211016018U (zh) 一种安全带体验装置
ITBO960479A1 (it) Dispositivo per impedire oscillazioni del casco protettivo di piloti di veicoli come autoveicoli, aeromobili e natanti
KR200283559Y1 (ko) 버스용 가변식 안전장치
KR101356196B1 (ko) 버스의 휠체어 탑승자용 시트벨트 장치
KR101991726B1 (ko)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KR100558729B1 (ko) 차량용 가드 파이프
KR102211631B1 (ko) 개인휴대가 가능한 탈선사고 대비 열차용 안전벨트
KR101593978B1 (ko)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